후나다 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나다 나카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1930년에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그는 입헌정우회 소속으로 활동하다가, 제1차 고노에 내각에서 법제국장관을 역임하고, 대정익찬회 정책국 내정부장을 지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공직 추방을 당했으나, 1951년 해제된 후 정계에 복귀하여 자유당,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했다. 제3차 하토야마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을 역임했고, 중의원 의장을 두 차례 역임했으며, 자유민주당 부총재를 지냈다. 그는 친 대만, 친 한국 성향의 매파 정치인이었으며, 에가와 스구루의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성에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법제국장관 - 히라타 도스케
히라타 도스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내대신 등을 역임하며 일본 법제 정비에 기여하고 무신조서 공포를 주도하는 등 사회 정책에도 관여했다. - 우쓰노미야시 출신 - 에다노 유키오
에다노 유키오는 1993년 정계 입문 후 민주당에서 중의원 의원을 역임하고 동일본대지진 당시 정부 대변인으로 활동했으며, 립헌민주당을 창당하여 대표를 역임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 우쓰노미야시 출신 - 치하라 미노리
치하라 미노리는 2003년 성우 활동을 시작하여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의 나가토 유키 역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2007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불렀고 2023년 복귀 콘서트를 개최했다. - 학교법인 이사장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 학교법인 이사장 - 가가와 도요히코
가가와 도요히코는 일본의 기독교 사회주의자이자 사회운동가, 소설가로서, 빈민 구제, 노동 운동, 농민 운동, 협동조합 운동 등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전시에는 제국주의에 협력적인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았고, 전후에는 정치 활동과 세계 평화 운동에 힘썼다.
후나다 나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船田中 (ふなだ なか) |
출생지 |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
출신 학교 |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영법과 |
직업 | 내무성 관료, 후나다 교육회 이사장, 작신학원 학원장 |
배우자 | 후나다 스미 |
자녀 | 장남 후나다 유즈루 (전 참의원 의원) |
친족 (정치인) | 의붓아버지: 모토다 하지메 (전 중의원 의원) 둘째 동생: 후나다 교지 (전 중의원 의원) 셋째 동생: 후지에다 센스케 (전 중의원 의원) 손자: 후나다 하지메 (중의원 의원) 손자며느리: 후나다 메구미 (전 참의원 의원)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입헌정우회 익찬정치회 호국동지회 일본협동당 무소속 자유당 자유민주당 (오노파 → 후나다파) |
칭호/훈장 | 종2위, [[파일:JPN Toka-sho BAR.svg|40px]]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중의원 영년재직의원 |
국회 의장 | |
직책 | 제51·56대 중의원 의장 |
취임일 | 1963년 12월 7일 1970년 1월 14일 |
퇴임일 | 1965년 12월 20일 1972년 11월 13일 |
원수 | 쇼와 천황 |
방위청 장관 | |
직책 | 제5대 방위청 장관 |
내각 | 제3차 하토야마 내각 |
취임일 | 1955년 11월 22일 |
퇴임일 | 1956년 12월 23일 |
중의원 의원 | |
선거구 | (도치기현 제1구) 도치기현 제1구 |
당선 횟수 | 15회 |
임기 시작 | 1930년 2월 20일 1952년 10월 1일 |
임기 종료 | 1945년 12월 18일, 1979년 4월 12일 |
기타 경력 | |
자유민주당 부총재 | [[파일:Liberal Democratic Party (Japan) Emblem.svg|20px]] 자유민주당 부총재 총재: 후쿠다 다케오 |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파일:Liberal Democratic Party (Japan) Emblem.svg|20px]] 제6대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총재: 기시 노부스케 |
2. 생애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서 조상 대대로 신직에 종사해온 후나다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제일고등학교를 거쳐 1918년 도쿄제국대학 법학대학 영법과를 졸업한 뒤 내무성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도쿄시 부시장과 시장 대리를 지낸 뒤 1930년 총선에 출마해 당선되었다.[1]
전전에는 입헌정우회 소속으로 1931년 총리대신 이누카이 쓰요시의 비서관을 지냈고, 1937년 제1차 고노에 내각 때 법제국장관으로 취임했다. 1940년 대정익찬회 정책국 내정부장을 역임했으며, 1945년 호국동지회를 결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일본협동당 창당에 참여했지만 GHQ에 의해 공직 추방을 당했다.[1]
1951년 공직 추방이 해제되고, 다음 해 치러진 총선에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자 합류했다. 같은 해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을 맡았으며, 자민당 외교조사회장과 안전보장조사회장을 역임했다. 정치적으로는 친대만·친대한민국파이자 매파에 속했다.[1]
당내 파벌에서는 오노 반보쿠가 이끄는 백정회(후의 목정회)에 속해 있었는데, 오노가 사망한 뒤 후나다가 이끄는 일신회와 무라카미 이사무가 이끄는 일양회로 분열되었고, 후나다는 일신회의 영수가 되었다.
제51·56대 일본 중의원 의장을 지냈다(재임 기간: 1963년 12월 7일 - 1965년 12월 20일, 1970년 1월 14일 - 1972년 11월 13일). 일본국 헌법 시행 후 세 번째로 오래 재임했다. 1977년 자유민주당 부총재가 되었다.[1][2]
아버지가 만든 학교법인 후나다교육회 이사장직을 맡았는데, 사쿠신가쿠인 고등학교 출신 에가와 스구루의 후견인으로 에가와 사건에도 개입했다.
1979년 4월 12일 향년 83세로 사망했다. 사후 2년 뒤에 자신이 후나다 나카의 딸이라고 주장하는 여성이 인지 소송을 제기한 적이 있었다.[2]
2. 1. 초기 생애 및 관료 경력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서 조상 대대로 신직에 종사해온 후나다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제일고등학교를 거쳐 1918년 도쿄제국대학 법학대학 영법과를 졸업한 뒤 내무성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도쿄시 부시장과 시장 대리를 지낸 뒤 1930년 총선에 출마해 당선되었다.2. 2. 정계 입문 및 전전 활동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서 조상 대대로 신직에 종사해온 후나다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제일고등학교를 거쳐 1918년 도쿄제국대학 법학대학 영법과를 졸업한 뒤 내무성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도쿄시 부시장과 시장 대리를 지낸 뒤 1930년 총선에 출마해 당선되었다.[1]전전에는 입헌정우회 소속이었는데 1931년 총리대신 이누카이 쓰요시의 비서관을 지냈고[1], 1937년 제1차 고노에 내각 때 법제국장관으로 취임했다. 1940년 대정익찬회 정책국 내정부장을 역임했으며 1945년 호국동지회를 결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에 일본협동당 창당에 참여했지만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공직 추방을 당했다.
2. 3. 전후 활동 및 공직 추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협동당 창당에 참여했지만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공직 추방을 당했다.[1]1951년 공직 추방이 해제되고 다음 해 치러진 총선에 자유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자 합류했다. 같은 해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때 방위청 장관이 되었으며, 자민당 외교조사회장과 안전보장조사회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오노 반보쿠가 이끄는 백정회에 속해 있었는데, 오노가 죽은 뒤 후나다가 이끄는 일신회와 무라카미 이사무가 이끄는 일양회로 분열되었다. 정치적으로는 친대만·대한민국파, 매파로서의 입장을 취했다.[1]
2. 4. 정계 복귀 및 자민당 활동
1951년 공직 추방이 해제되고 다음 해 치러진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다.[2]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자 합류했다. 같은 해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을 맡았으며, 자민주당 외교조사회장과 안전보장조사회장을 역임했다. 정치적으로는 친대만·대한민국파이자 매파에 속했다.[2]당내에서는 오노 반보쿠가 이끄는 백정회에 속해 있었는데, 오노가 사망한 후 백정회는 후나다가 이끄는 일신회와 무라카미 이사무가 이끄는 일양회로 분열되었고, 후나다는 일신회의 영수가 되었다.[2]
1977년 자유민주당 부총재가 되었다.[2]
2. 5. 파벌 활동 및 중의원 의장 역임
1951년 공직 추방이 해제되고 다음 해 치러진 총선에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자 합류했다. 같은 해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을 맡았으며, 자민당 외교조사회장과 안전보장조사회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정치적으로는 친대만·친대한민국파이자 매파에 속했다.당내 파벌에서는 오노 반보쿠가 이끄는 백정회(후의 목정회)에 속해 있었는데, 오노가 사망한 뒤 후나다가 이끄는 일신회와 무라카미 이사무가 이끄는 일양회로 분열되었고, 후나다는 일신회의 영수가 되었다.
제51·56대 일본 중의원 의장을 지냈다(재임 기간: 1963년 12월 7일 - 1965년 12월 20일, 1970년 1월 14일 - 1972년 11월 13일). 일본국 헌법 시행 후 세 번째로 오래 재임했다. 1977년 자유민주당 부총재가 되었다.[1][2]
2. 6.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사망
1977년 자유민주당 부총재가 되었다. 1979년 4월 12일 향년 83세로 사망했다. 사후 2년 뒤에 자신이 후나다 나카의 딸이라고 주장하는 여성이 인지 소송을 제기한 적이 있었다.[2]3. 정치 성향 및 평가
후나다 나카는 자민당 외교조사 회장, 안전보장조사 회장을 역임하며 친대만·대한민국파이자 매파적인 입장을 취했다.[1] 당내에서는 오노 반보쿠파에 속했다가 오노 사후 일신회(후나다파)의 영수가 되었다.
3. 1. 에가와 사건 개입 논란
1977년 자민당 부총재였던 후나다 나카는 사쿠신 학원 이사장으로서 사쿠신 학원 고등학교 출신(OB)인 에가와 스구루의 후견인으로 에가와 사건에 개입했다.[2] 그는 자신의 정치적 발언력을 배경으로 에가와를 요미우리 자이언츠(거인군)에 입단시켰다.[2]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후나다 헤이고 | 사쿠신 학원 설립자 |
장남 | 후나다 유즈루 | 도치기현지사, 2선 참의원 의원 역임 |
차남 | 후나다 교지 | 3선 중의원 의원, 행정관리청 장관 역임 |
3남 | 후지에다 센스케 | 8선 중의원 의원, 운수대신 역임 |
장인 | 모토다 하지메 | 중의원 의장 역임 |
며느리 | 하타 게이 | 참의원 의원 역임 |
손자 | 후나다 하지메 | 후나다 유즈루의 장남, 13선 중의원 의원 역임 |
정치인 가문으로 잘 알려진 후나다 삼형제의 장남이다. 사후, 후나다 나카의 딸을 칭하는 여성으로부터 인지 소송을 당했다.[2]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실시년도 | 회차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총선거 | 1930년 | 17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입헌정우회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32년 | 18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입헌정우회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36년 | 19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입헌정우회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37년 | 20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입헌정우회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42년 | 21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대정익찬회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총선거 | 1952년 | 25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LP (1950) | 52,117 | 15.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53년 | 26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LP (1950) | 41,666 | 12.6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55년 | 27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LP (1950) | 49,613 | 14.3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58년 | 28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44,204 | 11.7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0년 | 29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55,292 | 14.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3년 | 30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63,592 | 17.2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7년 | 31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70,473 | 1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69년 | 32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67,948 | 16.3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72년 | 33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93,947 | 21.7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76년 | 34회 | 중의원 의원 도치기현 제1구 | 자유민주당 | 71,518 | 15.6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6. 저서
제목 | 발행일 | 출판사 | 비고 |
---|---|---|---|
지방 재정 연구 | 1924년 11월 | 니혼 대학 | |
선거 법령 통해 | 1936년 2월 | 겐카이 서방 | |
국정 일신의 강령과 정책 | 1936년 7월 | 겐카이 서방 | 국정 일신 논총 특집호 제13집 |
법제 개요 교재 | 1936년 10월 | 겐카이 서방 | |
지방 재정 개선책 | 1936년 12월 | 국정 일신회 | 국정 일신 논총 제17집, 스케가와 게이시로와 공저 |
재정 경제 편람 | 1937년 6월 | 국정 일신회 | 국정 일신 논총 특집호 제18집 |
타산지석 패전 독일에서 제3제국 건설로 | 1937년 8월 | 국정 일신회 | 국정 일신 논총 제21집 |
문제는 지금부터다 다가오는 극동·약동하는 열국 | 1937년 10월 | 도쿄 조야 신문 출판부 | |
동아 명랑화를 위해 일·지·소·영 관계의 장래 | 1938년 1월 | 일본 청년 교육회 | |
사변 하의 일본에 다가오는 것 | 1938년 3월 | 시국과 인물사 | |
세계는 이렇게 움직인다 | 1940년 1월 | 쇼와 서방 | |
전쟁과 경제 및 정치 | 1943년 4월 | 계리사회 | |
결전 의회의 성과 | 1943년 8월 | 가와사키 상공 회의소 | 전시 산업 총서 제4집 |
전력 증강과 기업 정비 | 1943년 10월 | 계리사회 | |
생산 증강 기업 정비와 물가 문제 기타 | 1943년 | 후나다 나카 | |
미일 안보 자동 연장안을 둘러싸고 후나다 견해와 그 배경 | 1968년 8월 | 자유민주당 홍보위원회 출판국 | 학습 시리즈 제14집, 미야자키 요시마사와 공저 |
아오야마 한담 | 1970년 12월 | 일신회 | |
최근의 내외 정세에 대해 | 1972년 | 내외 정세 조사회 | 강연 시리즈 297 |
격동의 정치 10년 의장석에서 본다 | 1973년 4월 | 일신회 | |
지난 날을 그리며 후나다 나카의 발자취 | 1980년 4월 | 후나다 나카 사무소 |
참조
[1]
서적
日本官僚制総合事典:1868 - 2000
[2]
뉴스
毎日新聞
1981-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