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계원거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계 원주민은 광저우시나 포산시 주변을 기원으로 하는 광둥성 출신이 대다수인 일반 홍콩 주민과 달리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집단이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특수한 권리와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홍콩 반환 이후에도 홍콩 기본법에 의해 그 권리가 보장된다. 신계 원주민은 딩우크(소형 주택) 신청 권리 등 특별한 권리를 가지며, 향의국과 향사위원회를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러나 비원주민의 유입으로 인한 갈등과 사회 통합, 지속 가능한 발전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인구 - 재홍콩 일본인
    재홍콩 일본인은 1859년 개항 이후 홍콩으로 이주한 일본인들을 지칭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변화를 겪으며 인구 변동을 겪었고, 현재는 일본인 학교와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신제 - 홍콩 영토 확장 조약
    홍콩 영토 확장 조약은 1898년 영국과 청나라 간에 체결되어 홍콩의 방위를 강화하고자 신계를 99년간 영국에 조차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1997년 홍콩의 모든 영토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는 결과를 낳았다.
  • 신제 - 2018년 홍콩 버스 사고
    2018년 2월 10일 홍콩에서 발생한 버스 전복 사고로 19명이 사망하고 60명 이상이 부상했으며, 과속, 운전 부주의, 열악한 근무 환경 및 안전 관리 부실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신계원거민
개요
카우류 마을 주민 단체 사진
신계 원주민 관련 사진
유형민족 집단
거주 지역홍콩 신계
인구50만 명 이상 (추정)
언어광둥어
객가어
와이타우어
종교중국 민간 신앙
불교
도교
기독교
역사적 배경
기원송나라 시대 이전부터 신계에 거주한 다섯 주요 씨족 (鄧, 文, 侯, 彭, 廖) 및 기타 소규모 씨족
권리 및 특혜소규모 주택 정책 (남성 원주민에게만 해당)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토지에 대한 권리
신계 촌 대표 선거 참여 자격
문화
전통조상 숭배
씨족 중심 사회
전통 축제 및 의례
음식전통적인 광둥 요리 및 객가 요리
건축전통적인 중국식 가옥 및 사당
사회적 지위
인정홍콩 정부로부터 특별한 권리와 지위를 인정받음
논쟁소규모 주택 정책의 공정성 문제
현대 사회와의 갈등
정치적 참여
촌 대표 선거촌 대표를 선출하여 지역 사회를 대표
영향력신계 지역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
기타 정보
관련 단체신계 향의국
참고 자료香港新界原居民
香港原居民權益
新界鄉議局

2. 역사적 배경

신계 원주민의 향촌은 약 700개이며, 현재 신계 인구의 약 10%를 차지한다. 일반적인 홍콩 주민은 광저우시나 포산시 주변을 뿌리로 하는 광둥 사람이 대다수이지만, 원주민의 약 절반은 객가인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선전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번지"(광둥어: 분테이) 또는 "위터우인"(와이터우얀)이라고 불리는 사람이 많으며, 3할 이상을 차지한다. 이들은 광둥어의 하위 방언인 보안 방언, 속칭 "위터우화"를 사용한다. "위터우" 또는 "위"는, 집락 주변에 세워진 성벽과 같은 방어벽을 가리킨다. 객가인도 비슷한 성벽을 쌓고 살았지만, 출신지는 광둥성 동부가 많으며, 사용하는 언어도 객가어로 다르다. 그 외에는, 속칭 "학로|호크로우중국어"라고 불리는 조주인과, "단가"(탄카)라고 불리는 수상 주민 (단민) 계의 주민 중, 육상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소수 포함된다(당시, 선상에서 생활했던 대다수의 단민은 포함하지 않는다).

중국 본토로부터 이주해 온 사람들과 그 자손인 일반 홍콩 주민과는 달리, 신계 원주민에게는 식민지 시대부터 특수한 권리나 지위가 인정되고 있다. 원주민이 다른 지역이나 홍콩 밖으로 나가도, 홍콩에서의 그 지위는 잃지 않는다. 반환 후에도, 홍콩 특별 행정구 기본법 제40조에서, 그 특수한 지위와 제도가 보장되고 있다.[1]

3. 원주민의 정의와 구성

홍콩 특별 행정구 기본법 제40조에 따라 신계 원주민은 특별한 지위와 제도를 보장받는다. 이들은 식민지 시대부터 일반 홍콩 주민과는 다른 특수한 권리와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홍콩 밖으로 이주하더라도 그 지위를 잃지 않는다.[1]

신계 원주민의 향촌은 약 700개이며, 현재 신계 인구의 약 10%를 차지한다. 원주민의 이익은 향사국이 대표한다.[1] 남성 원주민은 '딩우크'라고 불리는 소형 주택을 신청할 수 있으며, 재산은 마을의 남성 구성원에게만 상속된다.[1]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의 갈등이 존재하는데, 이는 마을 관리가 원주민에게만 주어져 비원주민이 마을 일에 참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

3. 1. 주요 부족

신계에는 5대 씨족(鄧, 彭, 廖, 文, 侯) 외에도 여러 부족이 살고 있다. 신계 원주민의 약 절반은 객가인이며, 객가어를 사용한다. 그 다음으로는 선전 주변에 주로 거주하는 "번지"(광둥어: 분테이) 또는 "위터우인"(와이터우얀)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많으며, 이들은 광둥어의 하위 방언인 보안 방언, 속칭 "위터우화"를 사용한다. "위터우" 또는 "위"는 집락 주변에 세워진 성벽과 같은 방어벽을 가리킨다. 객가인도 비슷한 성벽을 쌓고 살았지만, 광둥성 동부 출신이 많다. 그 외에도 "학로"(호크로우)라고 불리는 조주인과, "단가"(탄카)라고 불리는 수상 주민 (단민) 계의 주민 중 육상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소수 포함된다.[1]

3. 2. 언어

홍콩 원주민들은 단가, 객가, 호클로 (일반적으로 "호클로"라고 불리는 민남어보다 조주어에 더 가깝다)를 사용하며, 신규 이주민들이 사용하는 현대 표준 광둥어와는 다른 위터우어를 사용했다.[1] 객가인들은 광둥성 동부 출신이 많으며, 객가어를 사용한다.[1] 선전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번지"(광둥어: 분테이) 또는 "위터우인" (와이터우얀)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광둥어의 하위 방언인 보안 방언, 속칭 "위터우화"를 사용한다.[1] 그 외, "학로"(호크로우)라고 불리는 조주인과, "단가"(탄카)라고 불리는 수상 주민 (단민) 계통의 주민 중 육상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소수 포함된다.[1]

4. 특별 권리

신계 원주민은 관습을 보존할 특별한 권리를 가지며, 1997년 주권이 영국으로부터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전되었을 때 이러한 특별 권리는 홍콩 기본법에 따라 보존되었다.

홍콩 기본법 제40조는 다음과 같다.[1]

> "신계" 원주민의 합법적인 전통 권리와 이익은 홍콩 특별 행정구에 의해 보호된다.

원주민에게는 전통적인 관습과 생활을 지키기 위해 특별한 권리와 대우가 인정된다. 남계 종족의 유지를 위해 유산 상속은 남자가 계승하게 되어 있으며, 향촌락의 토지 가옥에 홍콩 정부가 과세할 수 없고, 토지 이전을 요구할 때도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망자는 공공 묘지가 아닌 향촌 부근의 산림에 매장하는 것이 인정된다.[1]

원래 원주민을 포함한 중국계 주민에 대해서는 영국령 이후에도 관습법으로서 종래의 청국법(대청률례)이 그대로 적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사형 집행의 경우, 영국인 및 기타 외국인은 교수형이었던 반면, 중국계는 참수형이었다. 청나라1912년에 멸망하고 중국 본토의 법 제도는 중화민국법으로 대체되었지만, 홍콩에서는 대청률례가 효력을 지녀 약 60년 후인 1971년까지 존속되었다.[1]

1971년,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대청률례의 혼인 관계법이 성문화되었지만, 원주민은 특례로서 종래의 권리가 인정받게 되었다.[1]

4. 1. 딩우크 (소형 주택 정책)

특별 권리는 원주민이 출신인 마을에 제한된다. 마을의 전통을 보호하기 위해, 남성 원주민은 '딩우크'(丁屋|딩우크중국어)로 알려진 소형 주택을 신청할 권리가 있다. 재산은 마을의 남성 구성원에게만 상속된다. 원주민의 이익은 향사국(鄉議局|향의국중국어)에 의해 대표된다.

4. 2. 토지 소유 및 이용

신계 원거민은 자신이 출신인 마을에 한해 특별한 권리를 가진다. 마을의 전통을 보호하기 위해, 남성 원주민은 '딩욱'(丁屋|딩욱중국어)이라 불리는 소형 주택을 신청할 권리가 있다. 이 재산은 마을의 남성 구성원에게만 상속된다. 원주민의 이익은 향사국(鄉議局|향의국중국어)에 의해 대표된다.

2021년, 개방연구사(Liber Research Community)는 개발업자와 마을 주민 간의 불법적인 유착 혐의가 있는 부지를 발견했다. 또한, 정부가 해당 토지가 개발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한 것과는 달리, 홍콩의 주택 건설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을 주민 소유의 토지를 추가로 발견했다.[2]

4. 3. 전통적 권리

신계 원주민은 관습을 보존할 특별한 권리를 가지며, 1997년 주권이 영국으로부터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전되었을 때 이러한 특별 권리는 홍콩 기본법에 따라 보존되었다.

홍콩 기본법 제40조는 다음과 같다.[1]

> "신계" 원주민의 합법적인 전통 권리와 이익은 홍콩 특별 행정구에 의해 보호된다.

원주민에게는 전통적인 관습과 생활을 지키기 위해 특별한 권리와 대우가 인정된다. 남계 종족의 유지를 위해 유산 상속은 남자가 계승하게 되어 있다. 또한, 향촌락의 토지 가옥에 홍콩 정부가 과세할 수 없으며, 토지 이전을 요구할 때도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망자는 공공 묘지가 아닌 향촌 부근의 산림에 매장하는 것이 인정된다.[1]

원래 원주민을 포함한 중국계 주민에 대해서는 영국령 이후에도 관습법으로서 종래의 청국법(대청률례)이 그대로 적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사형 집행의 경우, 영국인 및 기타 외국인은 교수형이었던 반면, 중국계는 참수형이었다. 청나라1912년에 멸망하고 중국 본토의 법 제도는 중화민국법으로 대체되었지만, 홍콩에서는 대청률례가 효력을 지녀 약 60년 후인 1971년까지 존속되었다.[1]

1971년,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대청률례의 혼인 관계법이 성문화되었지만, 원주민은 특례로서 종래의 권리가 인정받게 되었다.[1]

5. 정치 조직

향촌락에서는 촌장 선거가 치러진다. 선거권은 남성 원주민에게만 인정되었으나, 2000년 성별 및 출신에 따른 차별이라는 이유로 위헌 판결을 받았다.[1] 그러나 제도가 완전히 폐지되지는 않았고, 2003년부터 원주민 대표 촌장과 일반 주민 대표 촌장이 병립하게 되었다.[1]

5. 1. 향의국 (Heung Yee Kuk)

향의국은 1926년에 설치되었으며, 1959년 '향의국 조례'가 시행되면서 홍콩 정부의 법정 기구가 되었다. 과거 존재했던 구역 시정국에서는 향의국 주석(1명) 및 부주석(2명)이 당연직(겸직) 의원 자격을 얻었다. 향의국은 입법회 선거에서 '기능별' 대표 중 하나로, 주석을 입법회 의원으로 보내고 있다.[1]

향사위원회(Rural committee)는 향의국의 하부 조직으로 홍콩 전역에 27개가 있다. 각 향사위원회 주석은 향의국 의원 및 소재 지역 구의회 당연직 의원을 겸임한다.[1]

2004년 제2기 입법회에는 원주민 정치 조직 소속 의원이 4명 있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보수파(일부 좌파)에 가까워 중국 정부와 관계가 양호하다. 홍콩 정계에서 원주민의 입지가 높아 원주민 출신 정치인은 향사파로 불린다.[1]

5. 2. 향사위원회 (Rural Committee)

향사위원회는 향의국의 하부 조직으로, 홍콩 전역에 27개가 있다. 향사위원회의 주석은 향의국 의원 및 소재 지역의 구의회 당연 의원을 겸임한다.[1]

2004년 제2기 입법회에는 원주민 정치 조직 소속 의원이 4명 있었다.[1] 이들은 대개 보수파(일부 좌파) 성향으로 중국 정부와 관계가 양호하다.[1] 홍콩 정계에서 원주민의 입지가 높아 원주민 출신 정치인은 향사파라고 불린다.[1]

6. 사회적 갈등

신계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의 갈등은 농촌 마을에 비원주민이 대거 유입되면서 나타났다. 마을 관리가 원주민에게만 한정되어 비원주민의 참여가 제한되었고, 단가, 객가, 호클로(조주어에 가까움) 등 원주민들과 위터우어나 현대 표준 광둥어를 사용하는 신규 이주민들 간의 언어 차이도 갈등을 유발했다.

마을 간 분쟁은 흔했으며, 소규모 전쟁처럼 수년간 지속되며 사망자와 재산 피해를 동반했다. 갈등의 원인은 주로 물, 나룻배, 시장 통제권 등 경제적 자산이나 풍수, 조상 묘지 문제와 관련이 있었고, 뛰어난 풍수지리 기술은 다른 마을의 풍수를 해치거나 이전 정착민을 몰아내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1]

6. 1.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 갈등

농촌 마을로 비원주민이 대거 유입되면서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 마을 관리가 오직 원주민의 손에만 있었기 때문에, 비원주민들은 마을 일에 참여할 수 없었다.[1]

홍콩 원주민들은 단가, 객가, 호클로 (일반적으로 "호클로"라고 불리는 민남어보다 조주어에 더 가깝다)를 사용했고, 신규 이주민들은 현대 표준 광둥어나 위터우어를 사용했다.[1]

6. 2. 마을 간 갈등

마을 간의 분쟁은 흔한 일이었다. 이러한 분쟁은 소규모 전쟁과 같았으며, 종종 수년간 지속되었고, 무력 투쟁으로 인한 사망자와 가옥 및 농작물의 파괴를 동반했다.[1] 갈등의 원인은 관개용수와 같은 귀중한 물의 접근성 또는 보호, 그리고 나룻배와 시장의 통제와 같은 기타 경제적 자산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았다.[1] 풍수 문제나 조상 묘지 문제에 대한 분쟁도 드물지 않았는데, 이는 입지가 번영과 역경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믿음 때문이었다.[1] 더 나아가 뛰어난 풍수지리 기술이 요구되었는데, 이는 다른 마을, 씨족, 분가, 또는 가문의 풍수를 해치거나 심지어 이전 정착민을 몰아내는 데 사용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1]

7. 현대적 과제

신계 원주민 관련 정책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개선이 필요하다. 사회 통합 문제와 지속 가능한 발전 문제는 주요 과제로 지적된다.

7. 1. 사회 통합 문제

농촌 마을로 비원주민이 대거 유입되면서,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 마을 관리가 오직 원주민의 손에만 있었기 때문에, 비원주민들은 마을 일에 참여할 수 없었다.[1]

홍콩 원주민들은 단가, 객가, 호클로 (일반적으로 "호클로"라고 불리는 민남어보다 조주어에 더 가깝다) 및 현대 표준 광둥어를 사용하는 신규 이주민들과 다른 위터우어를 사용했다.[1]

7. 2. 지속 가능한 발전

2021년, 개방연구사(Liber Research Community)는 개발업자와 마을 주민 간의 불법적인 유착 혐의가 있는 부지를 발견했으며, 정부가 해당 토지가 개발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한 것과는 달리, 홍콩의 주택 건설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을 주민 소유의 토지를 추가로 발견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ANNEX III of Sino-British Joint Declaration http://www.cmab.gov.[...] 2016-08-21
[2] 웹사이트 Is there more land in Hong Kong for housing than perceived? https://www.scmp.com[...] 2021-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