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무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무왕은 신라의 제45대 왕으로, 839년에 즉위하여 같은 해 181일 만에 사망했다. 흥덕왕 시대에 시중을 지냈으나 지진으로 면직되었고, 이후 민애왕을 토벌하는 과정에서 장보고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에는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고 지방 세력과의 결합을 도모했으며,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했으나, 곧 병으로 사망했다. 신무왕 사후에는 아들인 김경응이 문성왕으로 즉위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신호왕으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39년 사망 - 에그버트
    에그버트는 9세기 초 웨섹스 왕국의 왕으로, 즉위 후 머시아 왕국을 정복하고 험버 강 이남 지역을 지배하며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839년 사망 - 청량징관
    청량징관은 당나라 시대 승려이자 청량국사로, 화엄경 연구에 기여하고 다양한 불교 사상을 융합하려 했으며, 사법계라는 독창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화엄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장보고 - 장보고 수산물축제
  • 장보고 - 적산법화원
    적산법화원은 당나라 시대 장보고가 신라인들을 위해 건립한 사찰로, 엔닌의 기록으로 알려졌으며, 한중 우호의 상징으로 복원되어 기념관과 주요 불전들을 갖추고 불교 의례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신라의 시중 - 죽지
    신라의 장군이자 관료인 죽지는 김유신 휘하에서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진덕여왕 때 집사부의 중시를 지냈으며, 문무왕 때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각간의 관등을 받았고 효소왕 때 낭도 득오가 그를 기리는 노래를 지었다.
  • 신라의 시중 - 김헌창
    김헌창은 신라 하대에 아버지 김주원의 왕위 계승 실패에 불만을 품고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장안국을 세웠으나 진압군에 패배하여 자결한 인물로, 그의 난은 신라 하대 정치적 혼란의 대표적 사건이다.
신무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우징(金祐徵)
시호신무(神武)
왕조신라
대수제45대 신라 국왕
재위 기간839년 1월 또는 4월 ~ 839년 7월 23일 (음력)
생애
출생미상
사망839년 7월 23일 (음력)
가족 관계
부왕김균정
모후진교부인 박씨
왕비정계부인
자녀문성왕
김영광(金英光)
김흥광(金興光)
김익광(金益光)
광화부인(光和夫人)
김씨(金氏)
친인척경문왕
김위홍
김경주
김성해
즉위 전
이름김우징(金祐徵)
기타 정보
묘호미상
능묘미상

2. 생애

신무왕 김우징은 흥덕왕 재위기인 828년시중으로 발탁되었으나, 831년 수도 금성의 지진 발생으로 면직되었다가 834년 복귀했다. 이듬해 아버지 김균정상대등에 오르자 시중직을 사임했다.

흥덕왕 사후 아버지 김균정과 김제륭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벌어져 아버지가 사망하자, 김우징은 청해진장보고에게 의탁하여 피신했다. 이후 김명희강왕을 시해하고 838년 왕위에 오르자, 김우징은 김양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839년 1월 민애왕을 제거하고 왕위를 계승했다.[5]

즉위 후 조부와 부모를 추존하고 아들 김경응(훗날의 문성왕)을 태자로 삼았다.[6] 또한 왕위 등극에 결정적인 공을 세운 장보고를 감의군사로 임명하고 식읍 2천 호를 하사하며 그의 딸을 태자비로 맞이하기로 약속하는 등, 왕권 강화와 지방 세력과의 연대를 도모했다.[6][7] 839년 7월에는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외교 관계 복원을 시도하기도 했다.[8]

그러나 즉위한 지 불과 6개월 만인 839년 7월 23일에 병으로 승하하였다.[9] 시호는 신무(神武)이며, 경주시 동방동에 위치한 사적 제185호 고분이 신무왕릉으로 비정된다.

2. 1. 즉위 전

흥덕왕 3년(828년) 1월, 대아찬의 지위에 있던 김우징은 시중으로 발탁되었다. 그러나 831년 1월 수도 금성(경상북도 경주시)에 지진이 발생하자 이 일로 인해 시중에서 면직되었다. 834년 1월에 다시 시중으로 복귀했지만, 835년 2월 아버지 김균정상대등에 오르자 김우징은 상소를 올려 시중직을 사임했다. 이때 후임 시중은 김명(후의 민애왕)이었다.

흥덕왕 사후, 상대등 직에 있던 아버지 김균정과 그의 조카 김제륭(후의 희강왕) 사이에 왕위 계승을 둘러싼 다툼이 일어났다. 소란 중에 김균정이 죽고 김제륭이 희강왕으로 즉위하자, 김우징 등은 청해진(전라남도 완도군) 대사 장보고에게 의지하여 피신했다.

그 후, 희강왕을 옹립했던 김명이 반란을 일으켜 희강왕을 죽이고 838년 1월에 민애왕으로 즉위하자, 김우징 일파는 같은 해 3월부터 민애왕을 토벌하기 위한 군사 행동을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김우징의 장군 김양이 왕도에 육박하여, 839년 1월 23일[5] 민애왕을 살해했다. 김우징은 왕의 의례로 민애왕의 시신을 매장하고, 또한 고례에 따라 즉위식을 거행하여 왕위를 계승했다.

2. 2. 즉위 후

즉위 후 할아버지 원성왕, 아버지 김균정(추존 익성왕), 어머니 진교부인(추존 헌목태후)을 각각 추존 왕과 왕비로 추봉했다.[6] 아들 김경응(훗날의 문성왕)을 태자로 삼았다.[6] 또한, 민애왕을 몰아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장보고를 감의군사(感義軍使)로 임명하고 식읍 2천 호를 하사했으며, 그의 딸을 태자비로 맞이하겠다고 약속했다.[6] 이는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 동시에, 장보고와 같은 강력한 지방 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왕권을 안정시키려는 시도로 해석된다.[7]

839년 7월에는 희강왕 대부터 중단되었던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복원하여 사신을 파견하고, 치청(산둥성) 절도사에게 노비를 선물로 보냈다. 그러나 당 문종은 이 소식을 듣고 먼 곳에서 온 노비들을 가엾게 여겨 다시 신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8]

같은 해(839년) 7월, 신무왕은 갑자기 병을 얻어 23일에 승하하였다.[9] 즉위한 지 약 6개월(181일) 만으로, 이는 신라 역사상 가장 짧은 재위 기간이다. 다만, 삼국유사 왕력에는 같은 해 11월 23일에 사망했다는 다른 기록도 전해진다. 시호는 신무(神武)이며, 제형산(弟兄山) 서북쪽에 장사지냈다고 한다.[9] 현재 경주시 동방동에 위치한 사적 제185호 고분이 신무왕릉으로 비정되고 있다.

3. 가계


  • '''증조부''' : 원성왕(元聖王, ? ~ 798/799, 재위: 785~798)
  • '''증조모''' : 숙정왕후 김씨(淑貞王后 金氏) - 각간(角干) 신술(神述)의 딸
  • '''조부''' : 김예영(金禮英) - 혜강왕(惠康王)으로 추존됨
  • '''아버지''' : 김균정(金均貞) - 성덕왕(成德王)으로 추존됨
  • '''어머니''' : 정교부인 박씨(貞矯夫人 朴氏) - 헌목태후(憲穆太后)로 추존됨
  • '''왕비''' : 정계부인(貞繼夫人) - 정종태후(定宗太后)로 추존됨
  • '''자녀'''

구분이름비고
장남문성왕 경응(慶膺)839년 태자 책봉, 같은 해 문성왕 즉위
차남김영광(金英光)연안 김씨의 시조
삼남김흥광(金興光)광산 김씨의 시조
사남김익광(金益光)영산 김씨의 시조
광화부인(光和夫人)부마: 김계명(金啓明), 외손: 경문왕(景文王), 김위홍(金魏弘)
김씨(金氏)[10]부마: 김경주(金擎柱) (김유신의 5대손), 외손: 김성해(金成海)


  • '''이복동생''' : 헌안왕(憲安王, ? ~ 861, 재위: 857~861)

4. 평가 및 기타


  • 고려 시대에는 신무왕을 '''신호왕'''(神虎王)이라고 불렀다. 이유는 고려 혜종의 휘가 왕무(王武)였기 때문에 피휘를 하기 위해 무(武)를 뜻이 같은 호(虎)로 바꿨기 때문이었다.

5. 대중문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KBS2에서 방영된 드라마 해신에서 배우 길용우가 신무왕을 연기했다.

참조

[1] 뉴스 https://www.joongang[...] 2024-02-21
[2] 뉴스 https://www.joongang[...] 2024-02-21
[3] 뉴스 BTS, K-pop kings … and descendants of Korean royalty? Idols Jin and Suga are related to Joseon dynasty aristocrats, while V's ancestor is King Sinmu of Silla https://www.scmp.com[...] 2024-02-19
[4] 서적 삼국유사
[5] 서적 閔哀王石塔舍利盒記, 삼국사기
[6] 문서 족보
[7] 서적 삼국사기, 삼국유사
[8] 서적 삼국사기, 책부원귀
[9] 서적 삼국유사
[10] 문서 김해김씨 족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