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사 (역사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원사는 명나라 시기에 원나라의 역사를 다루기 위해 편찬된 역사서이다. 원나라 멸망 후, 졸속 편찬된 《원사》의 개정 시도 끝에 커샤오민에 의해 《원사》를 개정하는 형태로 편찬되었다. 총 25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 표, 지, 열전 등으로 구성되어 원나라 황제, 제도, 문화, 인물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하지만 《원사》의 오류를 완전히 개선하지 못했고, 몽골, 이슬람 문화에 치중하여 가톨릭 문화 관련 사료를 충분히 참조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문학 - 청사고
청사고는 중화민국 시대에 편찬되기 시작하여 누르하치 건국부터 신해혁명까지의 청나라 역사를 기록한 총 536권의 책으로, 미완성 상태로 출판되어 신해혁명 편향, 중화민국 달력 회피 등의 비판을 받으며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수정 및 재편찬 시도가 있었으나 완간되지 못했다. - 1910년대 책 - 타로 도해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가 타로 카드에 담긴 상징, 역사, 해석을 조사하여 쓴 타로 도해는 타로의 역사와 상징, 웨이트판 덱의 그림과 상징 해석, 켈트 십자식 타로 점술 배열법과 주의사항을 다루는 책이다. - 20세기 역사책 - 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은 18세기 이후 서구 사회에서 권력이 공개적 고문에서 은밀한 감시 체계로 전환되며 개인을 통제하는 방식과 사회 통제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분석한 저서이다. - 20세기 역사책 - 제국의 시대
《제국의 시대》는 에릭 홉스봄이 쓴 역사서로, 1880년대부터 1914년까지의 시기를 다루며, 경제 공황 이후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회복, 제국주의의 확산, 사회주의의 등장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19세기 후반의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조명한다.
신원사 (역사서) | |
---|---|
기본 정보 | |
![]() | |
저자 | 커샤오민(柯劭忞) 등 |
국가 | 중국 |
언어 | 한문 |
발표일 | 1920년 |
쪽수 | 257권 |
전작 | 원사 |
구성 | |
본기 | 10권 |
지 | 59권 |
표 | 5권 |
열전 | 188권 |
기타 | |
관련항목 | 이십오사 |
2. 편찬 배경 및 경과
명나라 건국 후, 홍무제는 몽골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원사 편찬을 서둘렀다. 이로 인해 《원사》는 매우 졸속으로 편찬되었고, 홍무제 사후 곧바로 개정 논의가 시작되었다. 청나라 시기 사오위안핑의 《원사유편》, 첸다신의 《원사씨족표》, 훙쥔의 《원사번역문증보》, 투지의 《몽오아사기》 등 여러 차례 개정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원나라 역사 연구를 위해서는 몽골 제국의 몽골 문화, 이슬람 문화, 가톨릭 문화 사료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었다.
《신원사》는 총 25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샤오민(柯劭忞)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원조비사》, 라시드 앗딘의 《집사》 등을 참조하여 《원사》를 개정하는 형태로 《신원사》를 편찬하였다. 그러나 《신원사》는 《원사》보다 조금 나아졌을 뿐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세부적인 오류와 미비점이 지적되었고, 기존 《원사》를 개정·증보한 부분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고, 원자료에서 잘못 인용한 부분도 많다는 비판이었다. 1930년, 커샤오민은 《신원사고증》(58권)을 저술하여 비판에 대한 해설을 시도했지만, 몽골 문화와 이슬람 문화만 참조하고 가톨릭 문화는 참조하지 않아 여전히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3. 구성
'''본기(本紀)'''
《신원사》의 본기(本紀)는 원나라 역대 황제들의 재위 기간과 주요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colspan="2"| 제목 군주 시기(음력) 비고 권1 본기1 서기(序紀) 권2 본기2 태조 上 칭기즈 칸(成吉思 汗) 1189년 ~ 1205년 권3 본기3 태조(太祖) 下 1206년 ~ 1227년 7월 권4 본기4 태종 우구데이 칸(窩闊台 汗) 1219년 ~ 1245년 권5 본기5 정종 귀위크 칸(貴由 汗) 1233년 ~ 1250년 권6 본기6 헌종 몽케 칸(夢哥 汗) 1251년 ~ 1259년 7월 권7 본기7 세조 1 세첸 칸(薛禪 汗) 1252년 ~ 1264년 12월 권8 본기8 세조(世祖) 2 1265년 1월 ~ 1272년 12월 권9 본기9 세조(世祖) 3 1273년 1월 ~ 1277년 12월 권10 본기10 세조(世祖) 4 1278년 1월 ~ 1281년 12월 권11 본기11 세조(世祖) 5 1282년 1월 ~ 1287년 12월 권12 본기12 세조(世祖) 6 1288년 1월 ~ 1294년 1월 권13 본기13 성종 上 올제이투 칸(完澤篤 汗) 1294년 1월 ~ 1298년 12월 권14 본기14 성종(成宗) 下 1299년 1월 ~ 1307년 1월 권15 본기15 무종 쿨룩 칸(曲律 汗) 1300년 8월 ~ 1311년 1월 권16 본기16 인종 上 부얀투 칸(普顔篤 汗) 1305년 10월 ~ 1313년 12월 권17 본기17 인종(仁宗) 下 1314년 1월 ~ 1320년 1월 권18 본기18 영종 게겐 칸(格堅 汗) 1316년 12월 ~ 1323년 8월 권19 본기19 태정제 예손테무르 칸(也孫鐵木兒 汗) 1323년 8월 ~ 1328년 10월 권20 본기20 명종 쿠툭투 칸(忽都篤 汗) 1315년 11월 ~ 1329년 8월 권21 본기21 문종 上 자아야투 칸(札牙篤 汗) 1324년 1월 ~ 1329년 12월 권22 본기22 문종(文宗) 下 린친발 칸(懿璘質班可汗) 권23 본기23 혜종 1 우카가투 칸(烏哈噶圖 汗) 1330년 4월 ~ 1340년 12월 권24 본기24 혜종(惠宗) 2 1341년 1월 ~ 1350년 12월 권25 본기25 혜종(惠宗) 3 1351년 1월 ~ 1358년 12월 권26 본기26 혜종(惠宗) 4 빌레그트 칸(必里克圖 汗)
본기는 총 26권으로, 태조부터 소종까지의 황제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각 권은 황제별로 재위 기간, 연호, 주요 사건 등을 연대순으로 기술한다.
'''표(表)'''권(卷) 권명(卷名) 절목(節目) 권27 표(表) 제1 종실세표(宗室世表) 권28 표(表) 제2 씨족표(氏族表) 상(上) 권29 표(表) 제3 씨족표(氏族表) 하(下) 권30 표(表) 제4 삼공표(三公表) 권31 표(表) 제5 재상연표(宰相年表) 권32 표(表) 제6 행성 재상 연표 상(行省宰相年表上) 권33 표(表) 제7 행성 재상 연표 하(行省宰相年表下)
'''지(志)'''
《신원사》의 〈지(志)〉는 원나라의 제도, 문화,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권 권명 절 권34 지(志) 제1 역(曆) 1 권35 지(志) 제2 역(曆) 2 권36 지(志) 제3 역(曆) 3 권37 지(志) 제4 역(曆) 4 권38 지(志) 제5 역(曆) 5 권39 지(志) 제6 역(曆) 6 권40 지(志) 제7 역(曆) 7 권41 지(志) 제8 천문(天文) 상(上) 권42 지(志) 제9 천문(天文) 하(下) 권43 지(志) 제10 오행(五行) 상(上) 권44 지(志) 제11 오행(五行) 중(中) 권45 지(志) 제12 오행(五行) 하(下) 권46 지(志) 제13 지리(地理) 1 권47 지(志) 제14 지리(地理) 2 권48 지(志) 제15 지리(地理) 3 권49 지(志) 제16 지리(地理) 4 권50 지(志) 제17 지리(地理) 5 권51 지(志) 제18 지리(地理) 6 권52 지(志) 제19 하거(河渠) 1 권53 지(志) 제20 하거(河渠) 2 권54 지(志) 제21 하거(河渠) 3 권55 지(志) 제22 백관(百官) 1 권56 지(志) 제23 백관(百官) 2 권57 지(志) 제24 백관(百官) 3 권58 지(志) 제25 백관(百官) 4 권59 지(志) 제26 백관(百官) 5 권60 지(志) 제27 백관(百官) 6 권61 지(志) 제28 백관(百官) 7 권62 지(志) 제29 백관(百官) 8 권63 지(志) 제30 백관(百官) 9 권64 지(志) 제31 선거(選擧) 1 권65 지(志) 제32 선거(選擧) 2 권66 지(志) 제33 선거(選擧) 3 권67 지(志) 제34 선거(選擧) 4 권68 지(志) 제35 식화(食貨) 1 권69 지(志) 제36 식화(食貨) 2 권70 지(志) 제37 식화(食貨) 3 권71 지(志) 제38 식화(食貨) 4 권72 지(志) 제39 식화(食貨) 5 권73 지(志) 제40 식화(食貨) 6 권74 지(志) 제41 식화(食貨) 7 권75 지(志) 제42 식화(食貨) 8 권76 지(志) 제43 식화(食貨) 9 권77 지(志) 제44 식화(食貨) 10 권78 지(志) 제45 식화(食貨) 11 권79 지(志) 제46 식화(食貨) 12 권80 지(志) 제47 식화(食貨) 13 권81 지(志) 제48 예(禮) 1 권82 지(志) 제49 예(禮) 2 권83 지(志) 제50 예(禮) 3 권84 지(志) 제51 예(禮) 4 권85 지(志) 제52 예(禮) 5 권86 지(志) 제53 예(禮) 6 권87 지(志) 제54 예(禮) 7 권88 지(志) 제55 예(禮) 8 권89 지(志) 제56 예(禮) 9 권90 지(志) 제57 예(禮) 10 권91 지(志) 제58 악(樂) 1 권92 지(志) 제59 악(樂) 2 권93 지(志) 제60 악(樂) 3 권94 지(志) 제61 악(樂) 4 권95 지(志) 제62 여복(輿服) 1 권96 지(志) 제63 여복(輿服) 2 권97 지(志) 제64 여복(輿服) 3 권98 지(志) 제65 병(兵) 1 권99 지(志) 제66 병(兵) 2 권100 지(志) 제67 병(兵) 3 권101 지(志) 제68 병(兵) 4 권102 지(志) 제69 형법(刑法) 상(上) 형률(刑律) 상(上) 권103 지(志) 제70 형법(刑法) 하(下) 형률(刑律) 하(下)
'''열전(列傳)'''
'''열전(列傳)'''은 원나라 시기 활동했던 다양한 인물들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 부분이다.
신원사의 열전은 총 15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황후와 비(妃)를 기록한 권104 후비(后妃)를 시작으로, 권257 외국(外國) 9까지 다양한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권 부제 내용 104 열전1 열조 선의황후, 태조 광헌익성황후를 비롯한 황후와 비, 제공주(諸公主) 105 열전2 열조의 자손인 합살아, 첩목가홀적근 등 106 ~ 110 열전3 ~ 7 태조의 자손들 (조치, 찰합대, 타뢰, 아리불가 등) 111 열전8 태종의 자손들 (해도, 활단 태자 등) 112 열전9 정종 및 헌종의 자손들 113 ~ 114 열전10 ~ 11 세조의 자손들 (황태자 진금, 망가랄 등) 115 ~ 118 열전12 ~ 15 특설선, 불독, 아랄오사적길홀리, 찰목합 등 119 ~ 120 열전16 ~ 17 목화려와 그 가문 121 열전18 박이술, 박이홀 122 열전19 속불태 123 열전20 자륵멸, 홀필래, 자별 124 열전21 술적대, 외답아 125 열전22 답아리대, 몽력극 등 126 열전23 홀도호 등 127 열전24 야율초재 128 ~ 158 열전25 ~ 55 다양한 부족 출신의 인물들, 관료, 학자 등 159 열전56 백안 160 ~ 221 열전57 ~ 118 군인, 관료, 학자, 충신 등 222 ~ 224 열전119 ~ 121 이단, 왕문통, 아합마 등 225 ~ 227 열전122 ~ 124 한산동, 장사성, 서수휘, 진우량 등 원나라에 반기를 든 인물들 228 열전125 파로랄사 첩목아 229 열전126 순리(循吏) - 청렴하고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들 230 ~ 233 열전127 ~ 130 충의(忠義) - 충성스럽고 절의를 지킨 인물들 234 ~ 236 열전131 ~ 133 유림(儒林) - 유학자들 237 ~ 238 열전134 ~ 135 문원(文苑) - 문학가들 239 ~ 240 열전136 ~ 137 독행(篤行) - 도덕적 행실이 뛰어난 인물들 241 열전138 은일(隱逸) - 세상을 피해 숨어 산 인물들 242 열전139 방기(方技) - 의술, 점술 등 특별한 기술을 가진 인물들 243 열전140 석로(釋老) - 불교 및 도교 승려 244 ~ 246 열전141 ~ 143 열녀(列女) - 절개와 덕행을 지킨 여성들 247 열전144 환자(宦者) - 환관 248 열전145 운남호광사천등처만이(雲南湖廣四川等處蠻夷) - 운남, 호광, 사천 등지의 소수민족 249 ~ 257 열전146 ~ 154 외국(外國) - 고려, 일본, 안남, 면국 등 외국
3. 1. 본기(本紀)
《신원사》의 본기(本紀)는 원나라 역대 황제들의 재위 기간과 주요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 | 제목 | 군주 | 시기(음력) | 비고 | |
---|---|---|---|---|---|
권1 | 본기1 | 서기(序紀) | |||
권2 | 본기2 | 태조(太祖) 上 | 칭기즈 칸(成吉思 汗) | 1189년 ~ 1205년 (기유년(己酉年) ~ 을축년(乙丑年)) | |
권3 | 본기3 | 태조(太祖) 下 | 1206년 ~ 1227년 7월 (칭기즈 칸 원년 ~ 칭기즈 칸 22년) | ||
권4 | 본기4 | 태종(太宗) | 우구데이 칸(窩闊台 汗) | 1219년 ~ 1245년 (칭기즈 칸 14년 ~ 퇴레게네 카툰 섭정 4년) | |
권5 | 본기5 | 정종(定宗) | 귀위크 칸(貴由 汗) | 1233년 ~ 1250년 (우구데이 칸 5년 ~ 오굴 카미시 카툰 섭정 2년) | |
권6 | 본기6 | 헌종(憲宗) | 몽케 칸(夢哥 汗) | 1251년 ~ 1259년 7월 (몽케 칸 원년 ~ 몽케 칸 9년) | |
권7 | 본기7 | 세조(世祖) 1 | 세첸 칸(薛禪 汗) | 1252년 ~ 1264년 12월 (몽케 칸 2년 ~ 중통(中統) 4년) | |
권8 | 본기8 | 세조(世祖) 2 | 1265년 1월 ~ 1272년 12월 (중통(中統) 5년 ~ 지원(至元) 9년) | ||
권9 | 본기9 | 세조(世祖) 3 | 1273년 1월 ~ 1277년 12월 (지원(至元) 10년 ~ 지원(至元) 14년) | ||
권10 | 본기10 | 세조(世祖) 4 | 1278년 1월 ~ 1281년 12월 (지원(至元) 15년 ~ 지원(至元) 18년) | ||
권11 | 본기11 | 세조(世祖) 5 | 1282년 1월 ~ 1287년 12월 (지원(至元) 19년 ~ 지원(至元) 24년) | ||
권12 | 본기12 | 세조(世祖) 6 | 1288년 1월 ~ 1294년 1월 (지원(至元) 25년 ~ 지원(至元) 31년) | ||
권13 | 본기13 | 성종(成宗) 上 | 올제이투 칸(完澤篤 汗) | 1294년 1월 ~ 1298년 12월 (지원(至元) 31년 ~ 대덕(大德) 2년) | |
권14 | 본기14 | 성종(成宗) 下 | 1299년 1월 ~ 1307년 1월 (대덕(大德) 3년 ~ 대덕(大德) 13년) | ||
권15 | 본기15 | 무종(武宗) | 쿨룩 칸(曲律 汗) | 1300년 8월 ~ 1311년 1월 (대덕(大德) 4년 ~ 지대(至大) 4년) | |
권16 | 본기16 | 인종(仁宗) 上 | 부얀투 칸(普顔篤 汗) | 1305년 10월 ~ 1313년 12월 (대덕(大德) 9년 ~ 황경(皇慶) 2년) | |
권17 | 본기17 | 인종(仁宗) 下 | 1314년 1월 ~ 1320년 1월 (연우(延祐) 원년 ~ 연우(延祐) 7년) | ||
권18 | 본기18 | 영종(英宗) | 게겐 칸(格堅 汗) | 1316년 12월 ~ 1323년 8월 (연우(延祐) 3년 ~ 지치(至治) 3년) | |
권19 | 본기19 | 태정제(泰定帝) | 예손테무르 칸(也孫鐵木兒 汗) | 1323년 8월 ~ 1328년 10월 (지치(至治) 3년 ~ 천순(天順) 원년) | |
권20 | 본기20 | 명종(明宗) | 쿠툭투 칸(忽都篤 汗) | 1315년 11월 ~ 1329년 8월 (연우(延祐) 2년 ~ 천력(天曆) 2년) | |
권21 | 본기21 | 문종(文宗) 上 | 자아야투 칸(札牙篤 汗) | 1324년 1월 ~ 1329년 12월 (태정(泰定) 원년 ~ 천력(天曆) 2년) | |
권22 | 본기22 | 문종(文宗) 下 영종(寧宗) | 1330년 1월 ~ 1332년 11월 (천력(天曆) 3년 ~ 지순(至順) 3년) | rowspan="2"| | |
린친발 칸(懿璘質班可汗) | |||||
권23 | 본기23 | 혜종(惠宗) 1 | 우카가투 칸(烏哈噶圖 汗) | 1330년 4월 ~ 1340년 12월 (천력(天曆) 3년 ~ 지원(至元) 6년) | |
권24 | 본기24 | 혜종(惠宗) 2 | 1341년 1월 ~ 1350년 12월 (지정(至正) 원년 ~ 지정(至正) 10년) | ||
권25 | 본기25 | 혜종(惠宗) 3 | 1351년 1월 ~ 1358년 12월 (지정(至正) 11년 ~ 지정(至正) 18년) | ||
권26 | 본기26 | 혜종(惠宗) 4 소종(昭宗) | 1359년 1월 ~ 1378년 4월 (지정(至正) 19년 ~ 선광(宣光) 8년) | rowspan="2"| | |
빌레그트 칸(必里克圖 汗) |
본기는 총 26권으로, 태조부터 소종까지의 황제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각 권은 황제별로 재위 기간, 연호, 주요 사건 등을 연대순으로 기술한다.
3. 2. 표(表)
wikitable권(卷) | 권명(卷名) | 절목(節目) |
---|---|---|
권27 | 표(表) 제1 | 종실세표(宗室世表) |
권28 | 표(表) 제2 | 씨족표(氏族表) 상(上) |
권29 | 표(表) 제3 | 씨족표(氏族表) 하(下) |
권30 | 표(表) 제4 | 삼공표(三公表) |
권31 | 표(表) 제5 | 재상연표(宰相年表) |
권32 | 표(表) 제6 | 행성 재상 연표 상(行省宰相年表上) |
권33 | 표(表) 제7 | 행성 재상 연표 하(行省宰相年表下) |
3. 3. 지(志)
《신원사》의 〈지(志)〉는 원나라의 제도, 문화,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권 | 권명 | 절 |
---|---|---|
권34 | 지(志) 제1 | 역(曆) 1 |
권35 | 지(志) 제2 | 역(曆) 2 |
권36 | 지(志) 제3 | 역(曆) 3 |
권37 | 지(志) 제4 | 역(曆) 4 |
권38 | 지(志) 제5 | 역(曆) 5 |
권39 | 지(志) 제6 | 역(曆) 6 |
권40 | 지(志) 제7 | 역(曆) 7 |
권41 | 지(志) 제8 | 천문(天文) 상(上) |
권42 | 지(志) 제9 | 천문(天文) 하(下) |
권43 | 지(志) 제10 | 오행(五行) 상(上) |
권44 | 지(志) 제11 | 오행(五行) 중(中) |
권45 | 지(志) 제12 | 오행(五行) 하(下) |
권46 | 지(志) 제13 | 지리(地理) 1 |
권47 | 지(志) 제14 | 지리(地理) 2 |
권48 | 지(志) 제15 | 지리(地理) 3 |
권49 | 지(志) 제16 | 지리(地理) 4 |
권50 | 지(志) 제17 | 지리(地理) 5 |
권51 | 지(志) 제18 | 지리(地理) 6 |
권52 | 지(志) 제19 | 하거(河渠) 1 |
권53 | 지(志) 제20 | 하거(河渠) 2 |
권54 | 지(志) 제21 | 하거(河渠) 3 |
권55 | 지(志) 제22 | 백관(百官) 1 |
권56 | 지(志) 제23 | 백관(百官) 2 |
권57 | 지(志) 제24 | 백관(百官) 3 |
권58 | 지(志) 제25 | 백관(百官) 4 |
권59 | 지(志) 제26 | 백관(百官) 5 |
권60 | 지(志) 제27 | 백관(百官) 6 |
권61 | 지(志) 제28 | 백관(百官) 7 |
권62 | 지(志) 제29 | 백관(百官) 8 |
권63 | 지(志) 제30 | 백관(百官) 9 |
권64 | 지(志) 제31 | 선거(選擧) 1 |
권65 | 지(志) 제32 | 선거(選擧) 2 |
권66 | 지(志) 제33 | 선거(選擧) 3 |
권67 | 지(志) 제34 | 선거(選擧) 4 |
권68 | 지(志) 제35 | 식화(食貨) 1 |
권69 | 지(志) 제36 | 식화(食貨) 2 |
권70 | 지(志) 제37 | 식화(食貨) 3 |
권71 | 지(志) 제38 | 식화(食貨) 4 |
권72 | 지(志) 제39 | 식화(食貨) 5 |
권73 | 지(志) 제40 | 식화(食貨) 6 |
권74 | 지(志) 제41 | 식화(食貨) 7 |
권75 | 지(志) 제42 | 식화(食貨) 8 |
권76 | 지(志) 제43 | 식화(食貨) 9 |
권77 | 지(志) 제44 | 식화(食貨) 10 |
권78 | 지(志) 제45 | 식화(食貨) 11 |
권79 | 지(志) 제46 | 식화(食貨) 12 |
권80 | 지(志) 제47 | 식화(食貨) 13 |
권81 | 지(志) 제48 | 예(禮) 1 |
권82 | 지(志) 제49 | 예(禮) 2 |
권83 | 지(志) 제50 | 예(禮) 3 |
권84 | 지(志) 제51 | 예(禮) 4 |
권85 | 지(志) 제52 | 예(禮) 5 |
권86 | 지(志) 제53 | 예(禮) 6 |
권87 | 지(志) 제54 | 예(禮) 7 |
권88 | 지(志) 제55 | 예(禮) 8 |
권89 | 지(志) 제56 | 예(禮) 9 |
권90 | 지(志) 제57 | 예(禮) 10 |
권91 | 지(志) 제58 | 악(樂) 1 |
권92 | 지(志) 제59 | 악(樂) 2 |
권93 | 지(志) 제60 | 악(樂) 3 |
권94 | 지(志) 제61 | 악(樂) 4 |
권95 | 지(志) 제62 | 여복(輿服) 1 |
권96 | 지(志) 제63 | 여복(輿服) 2 |
권97 | 지(志) 제64 | 여복(輿服) 3 |
권98 | 지(志) 제65 | 병(兵) 1 |
권99 | 지(志) 제66 | 병(兵) 2 |
권100 | 지(志) 제67 | 병(兵) 3 |
권101 | 지(志) 제68 | 병(兵) 4 |
권102 | 지(志) 제69 | 형법(刑法) 상(上) 형률(刑律) 상(上) |
권103 | 지(志) 제70 | 형법(刑法) 하(下) 형률(刑律) 하(下) |
3. 4. 열전(列傳)
'''열전(列傳)'''은 원나라 시기 활동했던 다양한 인물들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 부분이다.신원사의 열전은 총 15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황후와 비(妃)를 기록한 권104 후비(后妃)를 시작으로, 권257 외국(外國) 9까지 다양한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권 | 부제 | 내용 |
---|---|---|
104 | 열전1 | 열조 선의황후, 태조 광헌익성황후를 비롯한 황후와 비, 제공주(諸公主) |
105 | 열전2 | 열조의 자손인 합살아, 첩목가홀적근 등 |
106 ~ 110 | 열전3 ~ 7 | 태조의 자손들 (조치, 찰합대, 타뢰, 아리불가 등) |
111 | 열전8 | 태종의 자손들 (해도, 활단 태자 등) |
112 | 열전9 | 정종 및 헌종의 자손들 |
113 ~ 114 | 열전10 ~ 11 | 세조의 자손들 (황태자 진금, 망가랄 등) |
115 ~ 118 | 열전12 ~ 15 | 특설선, 불독, 아랄오사적길홀리, 찰목합 등 |
119 ~ 120 | 열전16 ~ 17 | 목화려와 그 가문 |
121 | 열전18 | 박이술, 박이홀 |
122 | 열전19 | 속불태 |
123 | 열전20 | 자륵멸, 홀필래, 자별 |
124 | 열전21 | 술적대, 외답아 |
125 | 열전22 | 답아리대, 몽력극 등 |
126 | 열전23 | 홀도호 등 |
127 | 열전24 | 야율초재 |
128 ~ 158 | 열전25 ~ 55 | 다양한 부족 출신의 인물들, 관료, 학자 등 |
159 | 열전56 | 백안 |
160 ~ 221 | 열전57 ~ 118 | 군인, 관료, 학자, 충신 등 |
222 ~ 224 | 열전119 ~ 121 | 이단, 왕문통, 아합마 등 |
225 ~ 227 | 열전122 ~ 124 | 한산동, 장사성, 서수휘, 진우량 등 원나라에 반기를 든 인물들 |
228 | 열전125 | 파로랄사 첩목아 |
229 | 열전126 | 순리(循吏) - 청렴하고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들 |
230 ~ 233 | 열전127 ~ 130 | 충의(忠義) - 충성스럽고 절의를 지킨 인물들 |
234 ~ 236 | 열전131 ~ 133 | 유림(儒林) - 유학자들 |
237 ~ 238 | 열전134 ~ 135 | 문원(文苑) - 문학가들 |
239 ~ 240 | 열전136 ~ 137 | 독행(篤行) - 도덕적 행실이 뛰어난 인물들 |
241 | 열전138 | 은일(隱逸) - 세상을 피해 숨어 산 인물들 |
242 | 열전139 | 방기(方技) - 의술, 점술 등 특별한 기술을 가진 인물들 |
243 | 열전140 | 석로(釋老) - 불교 및 도교 승려 |
244 ~ 246 | 열전141 ~ 143 | 열녀(列女) - 절개와 덕행을 지킨 여성들 |
247 | 열전144 | 환자(宦者) - 환관 |
248 | 열전145 | 운남호광사천등처만이(雲南湖廣四川等處蠻夷) - 운남, 호광, 사천 등지의 소수민족 |
249 ~ 257 | 열전146 ~ 154 | 외국(外國) - 고려, 일본, 안남, 면국 등 외국 |
4. 한국과의 관계
4. 1. 고려와의 관계
5. 비판 및 한계
《신원사》는 《원사》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했지만, 여전히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세부적인 오류나 결함, 근거가 불분명한 부분, 원자료를 잘못 인용한 사례 등이 지적되었다. 1930년에는 내용을 보완한 것이 간행되었고, 저자 커샤오민(柯劭忞)은 《신원사고증》(58권)을 통해 비판에 대해 해명했지만, 여전히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한다.
특히,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의 《집사》등을 참조하여 몽골, 이슬람 문화에 대한 사료는 참조했지만, 가톨릭 문화 관련 사료는 참조하지 않아 원나라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