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학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로 복무했으며,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군의관으로 참여한 인물이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을 졸업하고 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만주군에서 복무하며 군의 중교로 진급했고, 옌지 육군병원장을 지냈다. 광복 후에는 국군 군의관으로 참여하여 육군 특별부대 의무단장, 육군 제1병원 원장, 육군본부 의무감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당시 낙동강지구 위수사령관을 맡았으며, 육군 소장으로 예편 후 기업체를 운영하고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외과의사 - 백인제
일제강점기 의사이자 교육자, 사회사업가인 백인제는 경성의학전문학교 수석 졸업 후 도쿄제국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경성의학전문학교 외과 주임교수를 지냈으며, 해방 후 한국 최초의 민립공익법인인 재단법인 백병원을 설립했으나 6.25 전쟁 중 납북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외과의사 - 김명학 (1901년)
김명학은 일제강점기 함경남도에서 의사이자 지역 유지로 활동하며 도회의원을 지냈고 친일 행적으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에 수록 예정되었으며, 해방 후 월남하여 의원을 개원하고 대한축구협회 회장 및 대한승마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스포츠계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 이열희 (1924년)
이열희는 6.25 전쟁에 참전한 군의관 출신으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설립을 주도하고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구강악안면외과학 및 성형외과학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치과의사이자 의학자, 교육자, 대학 행정가이다. -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 박건원
박건원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 걸쳐 군인, 의사, 관료, 사회운동가로 활동하며, 해방 후 도지사를 역임했고 한국전쟁에 참전했으며, 의료계 발전에도 기여한 인물이다. - 인제대학교 교수 - 김규환 (1956년)
김규환은 품질관리 전문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며 국가품질명장으로 선정될 정도로 전문성을 인정받았고,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내며 정계에 입문하여 산업통상자원위원회 활동과 자유한국당 당직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인제대학교 교수 - 서상목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서상목은 세계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제13, 14, 15대 국회의원, 보건복지부 장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데일리경제 회장이다.
신학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족 | 평산(平山) |
출생일 | 1911년 11월 6일 |
사망일 | 1995년 1월 27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안동군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제1장군묘역 275호 |
배우자 | 김혜정 |
군 경력 | |
소속 | 만주국군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36년 ~ 1965년 |
최종 계급 | 중교(만주국군) 소장(대한민국 육군) |
주요 참전 |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
근무 | 육군본부 군의무감실 |
지휘 | 육군본부 군의무감 |
서훈 내역 | 알 수 없음 |
기타 이력 | 외과 군의관 출신 경북대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출신 경북대 의과대학 초빙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외래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겸임교수 |
기타 이력 | |
기타 이력 |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회장 |
친일 관련 |
2. 학력
- 경상북도 대구고등보통학교 졸업
- 경상북도 대구의학전문학교 졸업
- 대한민국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의학박사[6]
3. 생애 및 경력
신학진은 평산이며 경상북도 안동군 출신으로, 대구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의사가 되었다. 만주국군 군의관으로 복무하다가 옌지의 옌지육군병원장을 지냈으며, 태평양 전쟁 종전 시점에는 만주군 군의 중교였다.
광복 후 미군정 지역으로 내려와 대한민국 국군 군의관으로 참여했다. 한국 전쟁 때는 낙동강지구 위수사령관을 맡았다. 박동균과 함께 대한민국 군의 분야의 선구자로 꼽힌다.[12]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후에는 기업체를 운영하며 1989년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초대 회장을 맡기도 했다. 국민훈장 동백장을 비롯해 많은 훈장을 수여받았고,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1956년 3월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경북대학교 전체 13명 중 1인), 1958년 3월 29일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최초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0][11]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포함되었다.
3. 1. 초기 생애 및 만주군 복무
본관은 평산이며 경상북도 안동군 출신이다. 대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대구의학 강습소에 입학, 대구의학전문학교를 2회로 졸업했다.[2] 졸업 후 만주로 건너가 만주국군 특임군의에 임명되었고, 흥안 기병 제6단 등에서 근무했다.[1] 1936년 2월 20일에는 흥안 기병 제5단 부속으로 발령받았다.[1] 옌지의 옌지육군병원장을 지냈으며,[1] 1942년에는 옌지 치안부 병원 원장을 역임했다.[1] 태평양 전쟁 종전 시점에는 만주군 군의 중교였다.[1] 1940년, 평산 무웅으로 창씨개명했다.[1]3. 2. 대한민국 국군 복무
광복 이후 미군정 지역으로 내려와 대한민국 국군 군의관으로 참여했다. 만주군 군의 중교 경력을 바탕으로 창군 후 육군특별부대 의무단장과 육군 제1병원 원장을 역임했다.[9] 1948년 12월 15일 육군 대령으로 진급했다.[4] 한국 전쟁 당시 낙동강지구 위수사령관을 맡았고, 1953년 9월에는 육군본부 의무감에 임명되었다.[12] 박동균과 함께 대한민국 군의 분야의 선구자로 꼽힌다. 1957년 9월, 소장으로 예편했다.3. 3. 예편 후 활동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후에는 기업체를 운영하며 오양건업 회장, 대한중석 이사 등을 역임했다.[6] 1989년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가 출범했을 때 초대 회장을 맡기도 했다.[6] 국민훈장 동백장을 비롯해 많은 훈장을 수여받았다. 유해는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4. 평가
신학진은 대한민국 국군 군의 분야의 선구자로 꼽히며, 한국 전쟁에서 낙동강지구 위수사령관을 맡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12] 경북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학문적 업적도 남겼다.[10][11] 국민훈장 동백장을 비롯한 많은 훈장을 받았으며, 유해는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그러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인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포함되는 등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4. 1. 긍정적 평가
대한민국 국군 군의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있으며, 한국 전쟁 당시 낙동강지구 위수사령관을 맡았다.[12]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최초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아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10][11]4. 2. 부정적 평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포함되는 등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이 있다.[6]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옌지 육군병원장을 지냈고, 태평양 전쟁 종전 시에는 만주군 군의 중교였다.1989년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초대 회장을 맡았는데, 이 단체는 5.16 군사 쿠데타를 정당화하고 국민을 통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6]
5. 수상
- 국민훈장 동백장
- 을지무공훈장
- 레지옹 도뇌르 (1955년 12월 29일)[7]
- 훈6위 경운장 (1937년 5월)
참조
[1]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朝鮮総督府官報「조선총독부 관보 제1011호 入學許可-慶尙北道立大邱醫學講習所」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21-05-24
[2]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朝鮮総督府官報「조선총독부 관보 제2172호 卒業生-大邱醫學專門學校」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21-05-24
[3]
웹사이트
호국전몰용사공훈록 제5권(창군기)
http://www.imhc.mil.[...]
한국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21-05-24
[4]
웹사이트
編年資料 資料大韓民国史「国防部、陸軍中領8人を大領に進級決定」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21-05-24
[5]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馬山日報「醫務基地司令官 申鶴鎭准將 着任」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6-12-27
[6]
뉴스
[명단]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
http://www.ohmynews.[...]
2021-05-05
[7]
웹사이트
Shin Hak Chin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2021-05-24
[8]
웹인용
신학진
http://people.empas.[...]
엠파스 인물정보
2008-07-26
[9]
뉴스
陸軍八中領昇進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48-12-31
[10]
문서
경북대학교 대학원 Internet site 대학원 연혁
[11]
뉴스
국방부, 육군중령 8명을 대령으로 진급 결정
국제신문
1948-12-22
[12]
뉴스
<462>군복입은 하얀 천사들-7-간호장교 제도 탄생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08-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