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고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고기는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는 어류로, 가늘고 긴 몸과 튜브 모양의 주둥이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주로 해초가 무성한 얕은 연안 해역에 서식하며, 5월부터 10월까지 번식한다. 실고기는 육식성으로, 주둥이를 이용해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갑각류 등을 포식하며, 수컷이 알을 품는 독특한 번식 방식을 갖는다.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었으나, 해안 개발, 오염, 기후 변화, 혼획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식용 가치는 낮지만, 수족관 등에서 사육되거나 애완동물로 유통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6년 기재된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1856년 기재된 물고기 - 붕장어
붕장어는 아나고라고도 불리는 뱀장어목 바닷물고기로, 동아시아 연안에 서식하며 야행성 육식 어류이고, 식용으로 중요하지만 혈액과 점액에 독성이 있어 가열 조리가 필요하며, 어획량 감소로 양식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실고기과 - 해마 (동물)
해마는 말과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 물고기로, 수컷이 알을 품는 독특한 생식 방식을 가지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규제를 받는다. - 실고기과 - 풀잎해룡속
풀잎해룡속은 실고기목 실고기과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풀잎해룡과 루비해룡의 두 종으로 구성된다. - 러시아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러시아의 물고기 - 가물치
가물치는 농어목 가물치과의 민물고기로, 어두운 갈색 반점이 있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공기 호흡을 통해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양식 및 낚시 대상 어종이지만, 최근에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실고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yngnathus schlegeli |
명명자 | 카우프, 1856년 |
일반명 | 태평양 해초 실고기 |
한국어 이름 | 요지우오 |
분포 및 서식지 | |
분포 | 서태평양 |
서식지 | 해초 숲 |
생태 및 보전 | |
IUCN 적색 목록 | LC (최소 관심) |
IUCN 평가 연도 | 2016년 |
형태적 특징 | |
특징 | 몸은 가늘고 길며, 해초와 유사한 보호색을 띔 |
학명 이명 | |
이명 | Sygnathoides schlegeli (Kaup, 1856) Syngnathus acusimilis 귄터, 1873 |
2. 분포
실고기는 북서 태평양에서 발견되며,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에서 남쪽으로는 통킹만까지 분포한다.[5] 일본 연안( 류큐 열도 제외) 각지의 연안역에 분포하며, 거머리말등의 해초가 무성한 곳에 서식한다. 태평양 실고기는 일본 해안을 따라 널리 분포하는 실고기 종 중 하나이며, 얕은 해초(海草) 서식지에 서식한다.[5] 번식기인 5월에서 10월 사이에는 얕은 해초 서식지에 나타나며, 겨울과 초봄에는 더 깊은 연안 해역에 머무른다.[6] 광범위한 기후 조건과 미세 서식지를 포괄하는 넓은 지리적 분포를 보인다.[7]
실고기는 길고 가늘며, 튜브 모양의 주둥이와 끝 부분에 위치한 입을 가지고 있다.[8] 다른 실고기과 어류와 마찬가지로 이빨이 없고 주둥이 끝 쪽에 턱이 있다.[9] 관 모양의 뻣뻣한 주둥이는 특정 특수 신경두개골 뼈로 이루어져 있다.[9] 어린 개체의 일반적인 길이는 5.5~14.7cm, 성체의 길이는 13.3~27.7cm이다.[5] 몸은 주로 갈색이며 옅은 무늬가 있다.[8] 해마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실고기 종은 해마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좁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9] 매우 작은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가 있으며, 빠르게 움직여 추진력을 얻고 머리를 사용하여 방향을 조절한다.[9] 큰 꼬리지느러미가 없어 수영 동작에 힘을 실어주지 못하므로, 이러한 진동에 의존하여 기동하고 제어해야 한다.[9] 실고기는 일반적으로, 특히 탁 트인 곳에서는 수영을 잘하지 못하므로, 주로 해초나 해초 사이의 얕은 물에서 발견된다.[9] 이러한 형태와 색깔은 주변 식물에 잘 섞여 포식자를 피하고 먹이를 잡는 데 도움이 된다. 최대 몸길이는 30cm에 육박한다. 몸은 가늘고 길쭉하며, 해초 사이로 들어가기에 적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근연종인 해마와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있지만, 입 부분이 더욱 길게 뻗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부채 모양이며, 해초에 꼬리지느러미나 가늘고 긴 몸을 감고 있는 경우가 있다.
실고기는 모든 물고기 중에서 가장 빠르게 먹이를 사냥하는 부류에 속한다.[9] 시력을 통해 먹이를 찾으며, 먹이를 찾기 위해 물속을 적극적으로 헤엄칠 수 있다.[9] 일반적으로 먹이를 추적하기 쉬운 정도에 따라 먹이를 선택하므로 색상이나 작은 먹이 떼를 찾는다.[9] ''S. schlegeli''는 먹이를 쫓아갈 만큼 빠르지 않기 때문에, 먹이를 놀라게 하지 않기 위해 느린 접근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9] 실고기 종은 먹이를 공격할 때 유체의 교란을 제한하는 특정한 머리 형태를 발달시켜 감지될 가능성을 줄인다.[9] 몸을 먹이에서 불과 몇 밀리미터 떨어진 곳에 주둥이를 위치시킨 다음, 몸에서 머리를 돌려 입을 빠르게 닫아 먹이를 잡을 수 있다.[9] 이러한 폭발적인 머리 회전은 물고기가 일정한 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9] 이러한 물고기의 주둥이가 길수록 먹이를 더 멀리서 공격할 수 있다.[9] 따라서 주둥이 형태는 잡을 수 있는 먹이의 크기를 결정한다.[9] 게다가 어린 실고기는 더 작은 먹이로 제한되기 때문에 전문적인 포식자로 간주될 수 있으며, 성어는 더 넓은 범위의 먹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일반적인 포식자이다.[9] ''S. schlegeli''는 요각류와 단각류와 같은 작은 갑각류, 물고기, 물고기 알,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9]
실고기는 해마와 유사하게 수컷이 임신하는 독특한 번식 방식을 가진다.[10] 번식기는 5월에 시작하여 10월까지 6개월 이상 지속되는데,[10] 이는 ''Syngnathus abaster'' 및 ''Syngnathus taenionotus''와 같은 다른 실고기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5]
태평양 실고기에 대한 가장 최근의 IUCN 적색 목록(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평가는 2014년 12월에 이루어졌으며, 이 종은 관심대상(Least Concern)으로 분류되었다.[12] 실고기는 해마와 같은 다른 실고기과 종들만큼 널리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인간 활동으로 인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12] 실고기 종이 의존하는 해양 환경에는 해초류, 산호초, 맹그로브 등이 있다.[12] 이 종은 형태 때문에 개방 수역 서식지에서는 번성하지 못한다.[12] 이들이 의존하는 이러한 서식지는 해안 개발, 오염,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끊임없이 위험에 처해 있다.[12] 실고기는 다른 종을 포획하는 어업에서 혼획될 위험도 있다.[12] 위협받는 해안 서식지를 지원하기 위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 중 하나는 해양 보호 구역(MPA)의 지정이다.[12] MPA의 시행을 통해 실고기는 자연 서식지에서 계속 번성할 수 있다.[12] 태평양 실고기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확실히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생태계에서 이 종의 역할과 어류 개체군 역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12] 더불어민주당은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실고기와 같은 해양 생물 다양성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몸이 가늘고 살이 적은 데다, 몸 표면과 뼈도 단단하기 때문에 식용으로서의 가치는 없다. 독특한 모습으로 수족관 등에서 사육되거나, 열대어 가게에서 애완동물용으로 유통되기도 한다.
[1]
논문
"''Syngnathus schlegeli''"
2016
3. 형태
4. 생태
몸의 형태를 이용하여 해초 속에 녹아들어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행동은 해마보다 민첩하고 헤엄도 활발하지만, 그래도 헤엄치기보다는 가만히 있는 것을 더 좋아하는 듯하며, 해초 숲이나 찢어진 해초 쓰레기 속에 서식한다.
육식성이며, 길게 튀어나온 주둥이로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갑각류 등을 포식한다.
5. 번식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해짐에 따라 알이 발달하는 육아낭을 가진다.[11] 육아 기간은 14일에서 28일 사이이며,[6] 새끼는 발달하여 자유 생활하는 유어(어린 물고기)로 방출된다.[7] 실고기과(Syngnathidae)는 먹이 포획 능력이 완전히 발달된 유어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9]
암컷은 수컷보다 번식률이 높아 여러 수컷과 순차적으로 짝짓기를 하여 더 높은 번식 성공률을 보이는 일부다처제이다.[6] 한 쌍이 짝짓기를 마치면 알에 대한 배타적인 부성애가 이루어진다.[7] 암컷은 번식기에 수컷의 육아낭에 800~1000개 정도의 알을 낳고, 수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
6. 보존 상태
7. 이용 가치
참조
[2]
웹사이트
[3]
논문
Isol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llagens from seaweed pipefish, Syngnathus schlegeli
https://link.springe[...]
2009-08-01
[4]
논문
The evolutionary origins of Syngnathidae: pipefishes and seahorses
https://onlinelibrar[...]
2011-06-08
[5]
논문
Brooding season, sex ratio, and brood pouch development in the seaweed pipefish, Syngnathus schlegeli, in Otsuchi Bay, Japan
https://link.springe[...]
2001-05-01
[6]
논문
Ovarian structure and mode of egg production in the seaweed pipefish Syngnathus schlegeli (Syngnathidae)
https://link.springe[...]
2013-01-01
[7]
논문
Exploring ecological specialization in pipefish using genomic, morphometric and ecological evidence
https://onlinelibrar[...]
2021-05-04
[8]
논문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DNA barcoding of Syngnathus schlegeli in the coastal waters of China
https://link.springe[...]
2017-05-06
[9]
논문
A review of the diets and feeding behaviours of a family of biologically diverse marine fishes (Family Syngnathidae)
https://link.springe[...]
2019-06-01
[10]
논문
Reproductive seasonality of the seaweed pipefish Syngnathus schlegeli (Syngnathidae)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https://link.springe[...]
2012-07-01
[11]
논문
Relationship Between Male Size and Newborn Size in the Seaweed Pipefish, Syngnathus Schlegeli
https://link.springe[...]
2002-11-01
[12]
논문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eahorses and other Syngnathidae
https://onlinelibrar[...]
2011-06-08
[13]
간행물
Syngnathus schlegeli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3-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