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사정은 조선 후기의 화가로, 정선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워 중국 남화와 북화를 종합한 새로운 화풍을 이룩했다. 그는 김홍도와 함께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화가로 평가받으며, 화훼, 초충, 영모, 산수화 등 다양한 분야에 능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강상야박도>, <파교심매도>, <맹호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9년 사망 - 교황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3세는 1693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758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예수회 옹호와 유럽 군주들의 교황 권위 약화, 예수회 추방 운동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 급사했다. - 1769년 사망 - 니와 다카히로
니와 다카히로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며, 니와 히데노부의 양자로서 무쓰국 다테군과 시노부군의 막령 5만 석을 맡았으나 반환하고, 노신 니와 다다아키와 함께 강기 숙정과 문무 장려에 힘썼으며, 장남 니와 다카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캇뇨라고 호하며 은거했다. - 1707년 출생 - 윤동도
윤동도는 파평 윤씨 출신의 조선 영조 때 문신으로, 1745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했으며, 사도세자의 신임을 받고 영중추부사로 죽은 후 정문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707년 출생 - 카를로 골도니
카를로 골도니는 이탈리아의 극작가로, 코메디아 델라르테 형식을 탈피하고 현실적인 성격 희극을 완성하여 150편이 넘는 작품을 남겼으며, 대표작으로 《골동품상 일가》, 《거짓말쟁이》, 《여관집 여주인》 등이 있다. - 18세기 화가 - 조슈아 레이놀즈
18세기 잉글랜드의 초상화가이자 미술 이론가인 조슈아 레이놀즈는 왕립예술아카데미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고상한 양식'을 추구하며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고, 당대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영국 화가의 직업적 지위 확립에 기여했다. - 18세기 화가 -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는 베네치아 출신의 로코코 화가로, 밝고 화려한 색채와 환상적인 구성을 통해 우디네 대성당, 뷔르츠부르크 레지덴츠, 마드리드 왕궁 등 유럽 각지의 궁전과 교회를 장식하며 18세기 유럽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사정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심사정 |
호 | 현재(玄齋) |
자 | 이숙(以叔) |
생애 | |
출생 | 1707년 |
사망 | 1769년 |
가족 | |
아버지 | 심정주(沈廷胄) |
할아버지 | 심익창(沈益昌) |
증조할아버지 | 심택현(沈宅賢) |
외증조할아버지 | 윤순거(尹舜擧) |
기타 정보 | |
직업 | 조선의 화가 |
활동 시기 | 영조 시대 |
화풍 | 남종화풍 |
2. 가계
심지원의 증손이며, 성천부사 심익창(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의 동생)의 손자이고, 묵포도의 대가 심정주(沈廷胄)의 차남이다. 또한, 사간원 사간을 지낸 명화가 정유점(하동 정씨)의 외손자이다.
2. 1. 증조부
심지원은 영의정을 지냈다.[1]2. 2. 조부
심익창(沈益昌)은 성천부사를 지냈으며, 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沈益顯)의 동생이다.[1]2. 3. 부모
심지원의 증손이며, 성천부사 심익창(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의 동생)의 손자이고, 묵포도의 대가 심정주(沈廷胄)의 차남이다. 또한, 사간원 사간을 지낸 명화가 정유점(하동 정씨)의 외손자이다.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심지원(沈之源) | 영의정 |
조부 | 심익창(沈益昌) | 성천부사, 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沈益顯)의 동생 |
부 | 심정주(沈廷胄) | 묵포도의 대가 |
모 | 하동 정씨 | 사간 정유점(鄭維漸)의 딸 |
형 | 심사순(沈師淳) | |
형수 | 전주 이씨 | |
부인 | 백천 조씨 |
2. 4. 형제자매
심사정의 형제 자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구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심지원 | 영의정 |
조부 | 심익창(沈益昌) | 성천부사, 효종의 부마 청평도위 심익현의 동생 |
부 | 심정주(沈廷胄) | 묵포도의 대가 |
모 | 하동 정씨 | 사간 정유점(鄭維漸)의 딸 |
형 | 심사순(沈師淳) | |
형수 | 전주 이씨 | |
부인 | 백천 조씨 |
2. 5. 배우자
심사정의 부인은 백천 조씨이다.3. 생애
심사정은 일찍부터 정선의 문하에서 그림을 공부하여 중국의 남화와 북화를 종합한 새로운 화풍을 이루었으며, 김홍도와 함께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로 손꼽힌다. 1748년(영조 24년) 왕의 어진을 그리는 모사중수도감(摸寫重修都監)의 감동(監董)으로 임명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박탈되었다.[1] 심사정은 특히 화훼(花卉), 초충(草蟲)을 비롯하여 영모(翎毛)와 산수화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의 작품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강상야박도(江上夜泊圖)>, <파교심매도 灞橋尋梅圖>, <맹호도(猛虎圖)>, <화수초충도(花樹草蟲圖)>, <선인도해도>(仙人渡海圖)와 덕수궁 미술관 소장의 <추포도(秋圃圖)>, <화항관어도(花港觀漁圖)>, <계산고거도(溪山高居圖)>, <운룡도(雲龍圖)>, 간송미술관 소장의 <촉잔도(蜀棧圖)>, <하마선인도>(蝦蟆仙人圖), 그리고 개인 소장의 <전가악사도(田家樂士圖)>,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시문월색도(柴門月色圖)> 외 다수가 있다.
4. 작품
일찍부터 정선의 문하에서 그림을 공부하여 중국의 남화와 북화를 종합한 새로운 화풍을 이루어 김홍도와 함께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가 되었다. 1748년 왕의 어진을 그리는 모사중수도감(摸寫重修都監)의 감동(監董)이 되었으나 얼마 안되어 박탈되었다.[1] 특히 화훼(花卉), 초충(草蟲)을 비롯하여 영모(翎毛)와 산수화에 뛰어났다.
대표적인 화적으로는 다음이 있다.
5. 평가
표암 강세황의 화평(畵評)에 의하면, 심사정은 화훼, 초충을 가장 잘 그렸고, 영모, 산수 순으로 잘 그렸다고 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