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지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지원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광해군 때 정시문과에 급제했으나 대북파의 등용을 거부하고 은거했다. 인조 때 병자호란을 겪으며 벼슬길이 막혔으나, 이후 홍주목사, 대사간, 이조판서 등을 거쳐 효종의 사돈이 되어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했다. 효종 사후 원상과 총호사를 겸임했으며, 현종 재위 중 사망했다. 일처리가 미온적이라는 비판도 있었으나 청렴함을 인정받았으며, 파평 윤씨와의 묘지 분쟁으로 오랜 갈등을 겪었다. 저서로는 만사고 등이 있으며, 경상북도 영천의 송곡서원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평안도관찰사 - 심상규
    심상규는 정조의 총애를 받아 초계문신으로 발탁되어 순조 시대에 영의정을 역임했으며, 규장각 직각, 승지 등 요직을 거쳐 순조 사후 헌종을 보필하고 남한산성 광주유수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조선의 평안도관찰사 - 기건
    기건은 조선 세종 때 포의로 발탁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선정과 백성 교화에 힘썼고, 대사헌으로 강맹경 등을 탄핵했으나 계유정난 이후 은둔하며 절개를 지킨 인물이다.
  • 조선 현종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조선 현종 - 명성왕후
    명성왕후는 조선 현종의 계비이자 숙종의 생모로, 왕대비로서 조정 정치에 적극 개입하여 남인 세력을 견제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무속 신앙에 심취하다 사망하여 그녀의 행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1593년 출생 - 야코프 요르단스
    야코프 요르단스는 플랑드르 바로크 시대의 화가, 드로잉 작가, 태피스트리 및 판화 디자이너로서, 루벤스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인 묘사와 민중적 요소를 결합한 독자적인 화풍으로 종교화, 신화화,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로 활동했다.
  • 1593년 출생 - 조지 허버트
    조지 허버트는 17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성직자로, 종교 시집 『성전』을 통해 깊은 신앙과 영적 갈등을 독창적인 형식과 메타포로 표현했으며, 영국 문학과 종교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심지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심지원
한자 표기沈之源
출생일1593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662년
사망지조선
국가조선
국적조선
종교유교(성리학)
학력
학력1620년(광해군 12년) 정시문과에 급제
경력 및 직책
주요 직책영의정, 원상, 총호사
직업문신
가족 관계
아버지증 영의정 심설(沈偰)
어머니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배우자안동 권씨, 정경부인 해평 윤씨
자녀심익선(장남)
심익상(차남)
심익현
심익창
심익성
친척심종도(종조부)
청원도정 이간(외조부)
권득기(장인)
윤종지(장인)
조선 효종(사돈)
인선왕후(사돈)
홍익한(사돈)
김만균(사돈)
숙명공주(며느리)
이광하(사위)
이집(외손자)
심정보(손자)
심정협(손자)
심정주(손자)
심정채(손자)
심정최(손자)
조태채(손서)
조태기(손서)
조관빈 (외증손자)
심사하(증손자)
심사정(증손자)
김원택(증손서)
김이복(증손서)
한정유(증손서)
김상복(외고손자)
민두호(6세손서)
이재원(6세손서)
민영휘(외7세손)
이기용(외7세손)
심영구(10세손)
심명구(10세손)
심병구(10세손)
심정구(10세손)
심헌구(10세손)
심찬구(10세손)
심장식(11세손)
심충식(11세손)
심의식(11세손)

2. 생애

1620년(광해군 12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당시 집권 세력이던 대북파의 권유를 거절하고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하였다.[1] 인조반정 이후 관직에 진출하여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암행어사[2][3][4], 사헌부 지평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1636년 병자호란 발발 시에는 남한산성으로 인조를 호종하려 했으나 길이 막혀 합류하지 못했고, 이후 의병을 일으키려다 실패하였다. 이 일로 탄핵받아 7년간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1643년 복귀하였다.

효종 대에는 아들 심익현(沈益顯)이 숙명공주와 혼인하여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게 되었다.[5] 이를 계기로 형조판서,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58년 영의정에 올랐다.[6] 1659년 효종이 승하하자 원상(院相)으로서 국정을 살폈다.[8] 현종 즉위 후에도 좌의정으로 재임하다 1662년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은거 (광해군조)

1620년(광해군 12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다. 그러나 당시 대북파의 핵심 인물이었던 이이첨의 측근인 종조부 심종도(沈宗道)로부터 대북파에 합류하라는 권유를 받았으나, 이를 따르지 않고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 생활을 하였다.[1]

2. 2. 관직 진출과 병자호란 (인조조)

세자시강원 설서,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충청도 암행어사[2], 사헌부 지평, 사간원 헌납, 홍문관 교리, 강원도 암행어사[3], 함경도 안찰어사[4], 사헌부 집의, 홍문관 응교, 사간원 사간, 영천군수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다시 사헌부 집의로 재직하던 1636년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노모를 모셔야 했기에 뒤늦게 인조가 피신한 남한산성으로 향했으나 이미 길이 막혀 합류하지 못했다. 이후 조익(趙翼), 윤계(尹啓)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려 했으나, 윤계가 사망하면서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강화도로 들어가 항전하려 했으나, 강화도마저 함락되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 일로 인해 대간의 탄핵을 받아 7년 동안 관직에 나아가지 못했다. 1643년 홍주목사로 다시 기용된 후, 이조참의, 동부승지, 대사간, 대사성, 좌부승지, 호조참의 등을 역임했다.

2. 3. 왕실과의 인연과 영의정 (효종조)

우승지, 좌승지, 도승지, 대사간, 평안도 관찰사, 대사헌, 동지의금부사,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를 거쳐 이조참판 겸 동지경연관사로 재직하던 1652년(효종 3년), 아들 심익현(沈益顯)이 효종의 둘째 딸 숙명공주와 혼인하여 청평도위(靑平都尉)가 되었다.[5] 이로써 효종과 사돈 관계를 맺게 되자, 곧바로 형조판서에 제수되었고, 이어 이조판서 겸 지경연관사 겸 세자시강원 좌빈객을 역임하였다.

1653년에는 정조사(正朝使)로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654년 귀국 후 형조판서, 행 대사간, 겸 지경연관사, 행 대사헌, 이조판서를 차례로 거쳐 우의정에 올랐다. 1656년에는 좌의정으로 승진하였고, 1657년에는 영중추부사가 되어 동지 겸 사은사(冬至兼謝恩使)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인 1658년 마침내 영의정의 자리에 올랐다.[6] 영의정으로 재임하며 훈련도감 도제조를 겸임하였다.[7] 1659년 다시 좌의정이 되었으며, 그 해 5월 효종이 승하하자 원상(院相)으로서 국정을 살폈고,[8] 총호사(摠護使)도 겸하였다.[9]

2. 4. 현종조와 사망

효종이 승하하자, 좌의정으로서 원상(院相)과 총호사(摠護使)를 겸하였다. 1662년(현종 3년) 1월 28일 서거할 때까지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3. 평가 및 비판

현종실록에 따르면, 심지원은 일찍 과거에 합격하여 청요직을 두루 거쳤다. 그러나 병자호란 때 어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에는 지방관직을 전전했다. 그의 아들 심익현이 효종의 딸 숙명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면서 다시 중앙 정계에서 영향력을 회복하여 정승의 지위에 올랐다.[1] 일 처리가 분명하지 못하고 소극적이라는 비판도 있었지만, 경솔한 논의를 멀리하고 이조판서나 병조판서 등 인사권을 행사하는 자리(전형, 銓衡)에 있으면서도 뇌물과 관련된 소문이 없어 깨끗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

자의대비 복제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서인의 영수로서 송시열의 입장을 따르면서도, 예송 논쟁에서 남인 측 인물이었던 조경의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해 노력하기도 하였다.[2]

그러나 전반적으로 정치적 입장은 다소 소극적이었다는 평가가 있다. 김홍욱이 억울하게 죽음을 당할 때 그의 무고함을 알면서도 적극적으로 나서서 구제하지 못했고, 국방 강화를 위한 강화도진(鎭) 설치(강화설진)를 반대했으며, 양역의 폐단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사족에게 군포를 부과하는 개혁안(수포)에는 반대하는 등 기득권층의 입장을 대변하는 한계를 보였다.[2]

4. 논란

파평 윤씨 가문과 오랜 기간 묘지 문제로 갈등을 빚었다.

4. 1. 파평 윤씨와의 묘지 분쟁

심지원이 1614년 윤관 장군의 묘를 파헤치고 그 자리에 자신의 조상 묘를 이장한 사건은 파평 윤씨와의 오랜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이 묘지 분쟁은 무려 392년 동안 이어졌으며, 2006년에 이르러서야 해결되었다.

5. 저서 및 유물


  • 《만사고(晩沙稿)》
  • 《정창연비(鄭昌衍碑)》
  • 《심지원 시》: 1625년에 작성된 시로,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함평 현감(咸平縣監)으로 부임하는 박정(朴炡)을 송별하기 위해 지었다.

6. 배향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송곡서원에 배향되었다.

7. 가족 관계


  • 10대조 : 심덕부 - 문하시중, 영삼사사, 문하부 좌정승, 청성백
  • 9대조 : 심징 - 세종의 국구 청천부원군 심온(沈溫) · 태조 이성계의 부마 청원군 심종(沈淙)의 형, 경창부윤
  • 8대조 : 심석준 - 군자감 판관, 증 호조판서, 양혜공(良惠公)
  • 7대조 : 심선 - 경기도 관찰사 증 영돈녕부사
  • 6대조 : 심안인 - 세종의 부마 청성위 심안의(沈安義)의 형,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증 병조참판
  • 5대조 : 심빈 - 안성군수, 증 이조판서
  • 고조부 : 심광언 - 형조판서, 우참찬, 호안공(胡安公)
  • 증조부 : 심금 - 과천현감, 사헌부 감찰, 증 이조판서
  • 증조모 : 민전향(閔荃香, 1530 ~ ?) - 군수 민희열(閔希悅)의 장녀, 정숙옹주의 손녀
  • * 종조부 : 심종도(沈宗道, 1549 ~ ?) - 심종침의 형, 호조참의, 대북(大北)의 중심인물 이이첨(李爾瞻)의 심복
  • * 조부 : 심종침 - 숙천부사, 증 좌찬성
  • * 조모 : 단양 우씨 - 우인수(禹仁秀)의 딸
  • ** 아버지 : 심설(沈偰) - 사산감역, 증 영의정
  • ** 어머니 : 전주 이씨 - 청원도정 이간(靑原都正 李侃)의 딸

여동생 : 심예정(沈禮靜, 1596 ~ ?)
여동생 : 심경정(沈敬靜, 1599 ~ ?)
남동생 : 심지홍(沈之泓, 1603 ~ ?)
여동생 : 심말정(沈末正, 1606 ~ ?)
정부인 : 안동 권씨 - 좌랑 권득기(權得己)의 딸, 판서 권극례(權克禮)의 손녀
두 번째 부인 : 해평 윤씨 - 부사 윤종지(尹宗之)의 딸, 좌찬성 윤근수(尹根壽)의 증손녀
* 장남 : 심익선 - 풍덕부사
* 며느리 : 남양 홍씨 - 병자호란 삼학사 충정공 홍익한(洪翼漢)의 딸
** 손자 : 심정기 - 삭녕군수
** 손자며느리 : 전주 이씨 - 선조의 왕자 인성군(仁城君)의 삼남 해원군(海原君)의 딸
** 손자 : 심정로 - 고성군수
** 손자며느리 : 창원 황씨
** 손자 : 심정구 - 통천군수
** 손자며느리 : 청주 한씨
** 손녀 : 청송 심씨
** 손녀사위 : 양주 조씨 조태채(趙泰采) - 노론 4대신, 좌의정, 한진그룹 창업주 조중훈의 8대조, 한진그룹 회장 조양호의 9대조
*** 외증손자 : 조관빈(趙觀彬) - 형조판서 · 문형(대제학)
* 차남 : 심익상 - 해주목사
* 며느리 : 한산 이씨 - 참찬 이홍연(李弘淵)의 딸
** 손자 : 심정규
** 손자며느리 : 광산 김씨 - 대사헌 김익경(金益炅)의 딸, 이조판서 대제학 김익희(金益熙)의 조카, 형조참판 사계 김장생(金長生)의 증손녀
** 손녀 : 청송 심씨
** 손녀사위 : 양주 조씨 조태기(趙泰耆) - 소론의 거두 좌의정 조사석(趙師錫)의 아들, 소론의 영수 영의정 조태구(趙泰耉)의 동생, 노론 4대신 좌의정 조태채의 사촌, 목사
* 삼남 : 심익현 - 효종의 부마도위(駙馬), 청평도위(靑平都尉)
* 며느리 : 숙명공주 - 효종과 인선왕후의 딸
** 손자 : 심정보 - 한성부 우윤
** 손자며느리 : 온양 정씨 - 이조판서 정유악(鄭維岳)의 딸
** 손자며느리 : 전주 이씨 - 판돈녕부사 이정영(李正英)의 딸
*** 증손자 : 심협 - 사헌부 집의
*** 증손자며느리 : 백천 조씨 · 광산 김씨
고손자 : 심도진 - 진사
* 5세손 : 심우영
** 6세손녀 : 청송 심씨
** 6세손녀사위 : 여흥 민씨 민두호(閔斗鎬) - 내무독판
*** 외7세손 : 민영휘(閔泳徽) - 내무독판 · 일제 강점기 자작
** 6세손녀 : 청송 심씨
** 6세손녀사위 : 전주 이씨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 내무독판 · 종정경 · 판돈녕부사
*** 외7세손 : 이기용(李埼鎔) - 일제 강점기 자작 · 일본 제국의회 귀족원 의원
*** 외7세손녀 : 전주 이씨
*** 외7세손녀사위 : 청송 심씨 심상만(沈相萬) - 대제학 · 영의정 심상규(沈象奎)의 증손자, 이조참의 · 대사성 · 비서승 · 경효전 제조 · 영희전 제조 · 종묘서 제조 · 봉상사 제조 · 장례원 소경 · 홍릉 제조 · 기로소 비서장
*** 증손자 : 심사맹
*** 증손자며느리 : 전주 이씨
*** 증손자 : 심사하 - 문인화가, 진사
*** 증손자며느리 : 청주 이씨
*** 증손자 : 심사유
*** 증손자며느리 : 연일 정씨 - 영의정 정호(鄭澔)의 딸
*** 증손녀 : 청송 심씨
*** 증손녀사위 : 광산 김씨 김원택(金元澤) - 한성부 판윤
외고손 : 김상복(金相福) - 영의정
** 손자 : 심정협 - 상의원 첨정
** 손자며느리 : 풍양 조씨 - 진사 조상정(趙相鼎)의 딸, 예조판서 조형(趙珩)의 손녀
*** 증손자 : 심사주 - 전주부사
*** 증손자며느리 : 연안 이씨 - 군수 이주신(李舟臣)의 딸, 숙종의 국구 광성부원군 김만기(金萬基)의 외손녀
* 사남 : 심익창 - 성천부사, 경종조의 왕세제였던 연잉군(영조) 시해 미수사건에 연루되어 영조 때 처형됨.
* 며느리 : 성주 이씨 · 사천 목씨
** 손자 : 심정옥
** 손자며느리 : 부여 서씨 · 문화 류씨
** 손자 : 심정주 - 문인화가, 묵포도도의 대가
** 손자며느리 : 하동 정씨 - 문인화가 사간 정유점(鄭維漸)의 딸
*** 증손자 :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 문인화가, 겸재 정선(鄭敾), 관아재 조영석(趙榮祏) 또는 공재 윤두서(尹斗緖)와 더불어 삼재(三齋)로 불림.
*** 증손자며느리 : 백천 조씨
고손자 : 심욱진
* 5대손 : 심배영
** 6대손 : 심낙우
*** 7대손 : 심노혁
8대손 : 심원희
* 9대손 : 심종필
** 10대손 : 심영구 - 용인정보고등학교 창립 · 초대 교장 · 덕영학원 초대 이사장, 교육부 교육위원, 수필가, 서예가, 백미문학회 창립 · 초대 회장
** 손자 : 심정석
** 손자며느리 : 한산 이씨
** 손자 : 심정신
** 손자며느리 : 평산 신씨 - 돈녕부 도정 평운군(平雲君) 신성하(申聖夏)의 딸, 소론의 영수 반남 박씨 좌의정 문묘배향공신 박세채(朴世采)의 외손녀, 영의정 신완(申琓)의 손녀
** 손자며느리 : 평산 신씨 - 진사 신익돈(申益惇)의 딸, 수군절도사 신명전(申命全)의 손녀
** 손자 : 심정악
** 손자며느리 : 능성 구씨
* 오남 : 심익성 - 태인현감, 증 이조판서
* 며느리 : 광산 김씨 - 좌승지 김만균(金萬均)의 딸, 이조판서 대제학 김익희(金益熙)의 손녀, 이조참판 김반(金槃)의 증손녀, 형조참판 사계 김장생(金長生)의 고손녀
** 손자 : 심정채 - 지중추부사
** 손자며느리 : 덕수 이씨
*** 증손녀 : 청송 심씨
*** 증손녀사위 : 안동 김씨 김이복(金履福) - 노론 벽파의 영수 청송 심씨 영의정 심환지(沈煥之)의 장인, 부사
** 손자 : 심정기 - 동지돈녕부사
** 손자며느리 : 한산 이씨 · 전주 이씨 · 밀양 박씨
** 손자 : 심정서 - 증 사복시정
** 손자며느리 : 전주 이씨
** 손자 : 심정최 - 지중추부사
** 손자며느리 : 남양 홍씨 · 파평 윤씨
*** 증손자 : 심사민 - 정릉직장, 증 이조참의
고손자 : 심의진 - 의령현감, 증 이조참판
* 5대손 : 심돈영 - 승지, 대사성, 이조참판
** 6대손 : 심낙성 - 통덕랑
*** 7대손 : 심노철
8대손 : 심원목 - 궁내부 주사
* 9대손 : 심종익
** 10대손 : 심봉구 - (주)선광/선명그룹 회장
** 10대손 : 심명구 - (주)선광/선명그룹 창립 · 초대 회장, 경인일보 사장, 한국관세사회 회장
*** 11대손 : 심장식 - (주)선광/선명그룹 사장, 화인파트너스 창립 · 초대 사장, 한국개발금융 사장, (주)선광/선명그룹 회장
*** 11대손 : 심충식 - 선광문화재단 창립 · 초대 이사장, 인천항만물류협회 회장, (주)선광/선명그룹 사장 · 부회장
** 10대손 : 심영구 - 서울본부세관장
** 10대손 : 심병구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소장, 한국 경영학회 · 증권학회 · 재무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서울대학교 증권금융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10대손 : 심정구 - (주)선광/선명그룹 사장, 제12·13·14·15대 국회의원, 국회재무위원장 ·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장, 한국관세사회 회장, (주)선광/선명그룹 부회장, 선광문화재단 이사장, (주)선광/선명그룹 명예회장
* 9대손 : 심종성 - 세무공무원
** 10대손 : 심준구 - (주)선광/선명그룹 이사
** 10대손 : 심윤구 - (주)선광/선명그룹 이사
** 10대손 : 심범구 - (주)선광/선명그룹 이사
*** 증손녀 : 청송 심씨
*** 증손녀사위 : 청주 한씨 한정유(韓鼎裕) - 영의정 한익모(韓翼謩)의 아들, 승지
** 손자 : 심정수
** 손자며느리 : 안동 김씨
*** 증손자 : 심사중
고손자 : 심상진
* 5대손 : 심춘영
** 6대손 : 심낙서
*** 7대손 : 심노광
8대손 : 심원규
* 9대손 : 심종완 - 3·1 운동 독립유공자
** 10대손 : 심헌구 - 제5·6·7대 춘천시장
** 10대손 : 심찬구 - 감사원 국장(관리관), 시설안전기술공단 부이사장, (주)성호철관 회장, 세광종합기술단 회장
*** 11대손 : 심의식 - 아이스하키 선수 · 아이스하키 감독
* 딸 : 청송 심씨
* 사위 : 덕수 이씨 이광하(李光夏) - 한성부 판윤
** 외손자 : 이집(李㙫) - 좌의정
사돈 : 조선 제17대 효종
사돈 : 인선왕후 덕수 장씨(仁宣王后 德水 張氏) - 우의정 신풍부원군 문충공 장유(張維)의 딸
사돈 : 홍익한(洪翼漢) - 병자호란 삼학사
사돈 : 김만균(金萬均) - 이조판서 대제학 김익희(金益熙)의 아들, 이조참판 김반(金槃)의 손자, 형조참판 사계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

8. 심지원 묘 및 신도비

심지원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에 있다. 봉분 앞에는 묘비·상석·향로석이 있으며, 상석 전방으로 좌우에 망주석과 문인석이 1쌍씩 배열되어 있다. 묘역 좌측 아래에 신도비가 있는데 전체 높이가 295cm, 비 높이 208cm, 너비 100cm, 두께 35.5cm이다. 비문은 김수항이 글을 짓고 신익상이 글과 전액(篆額)을 써서 숙종 12년(1686년)에 건립하였다. 1992년 12월 31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37호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역사기록 인조실록 5권, 인조 2년 3월 7일 신유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역사기록 인조실록 15권, 인조 5년 1월 6일 갑술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역사기록 인조실록 20권, 인조 7년 2월 30일 병진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역사기록 인조실록 23권, 인조 8년 8월 21일 무진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역사기록 효종실록 8권, 효종 3년 5월 3일 계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역사기록 효종실록 20권, 효종 9년 7월 8일 계묘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역사기록 효종실록 20권, 효종 9년 11월 19일 임자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역사기록 효종실록 21권, 효종 10년 5월 4일 갑자 8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역사기록 현종실록 1권, 현종 즉위년 5월 4일 갑자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