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동 정씨는 본관을 같이 하지만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의 성씨이다. 밀직공 국룡파는 정도정을 시조로 하며, 정석숭을 1세로 한다. 정승공 응파는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한 정응을 시조로 한다. 지부사공 손위파는 고려 숙종부터 명종까지 5왕조에 걸쳐 벼슬한 정손위를 시조로 한다. 주요 인물로는 정몽주의 제자 정희, 조선의 문신 정초, 계유정난에 참여한 정인지, 현대그룹 회장 정주영 등이 있다. 또한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동 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중시조 | |
순위 | |
인물 | |
주요 인물 | 정인지 정초 정현조 정숭조 정여창 정세호 하동부대부인 정운 정대민 정봉수 정홍덕 정주현 정충신 정상기 정성태 정주영 정인영 정세영 정상영 정몽필 정몽구 정몽근 정몽우 정몽헌 정몽준 정몽원 정몽규 정갑주 정동채 정명훈 정두언 |
2. 역사
하동 정씨는 본관은 같지만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이 있다.
- '''밀직공 국룡파'''(密直公 國龍派) : 시조는 정도정이다.
- '''정승공 응파'''(政丞公 膺派) : 시조는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도첨의 좌정승(都僉議左政丞)등을 지낸 '''정응'''(鄭膺)이다.
- '''지부사공 손위파'''(知部事公 遜位派) : 시조 '''정손위'''(鄭遜位)는 고려 숙종 때부터 명종 등 5왕조에 걸쳐 벼슬을 하였다.
2. 1. 밀직공 국룡파(密直公 國龍派)
평장사를 지낸 정도정을 시조로 한다. 후손의 기록이 없어 고려 때 문하시중을 지낸 정석숭을 1세조로 하고, 10세 정인지, 12세 정여창으로 이어져 왔다.[1]2. 2. 정승공 응파(政丞公 膺派)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도첨의 좌정승(都僉議左政丞) 등을 지낸 '''정응'''(鄭膺)을 시조로 한다. 6세 정희(鄭熙), 7세 정초, 8세 정수충(鄭守忠), 9세 정세(鄭稅)로 이어져 왔다.2. 3. 지부사공 손위파(知部事公 遜位派)
시조 '''정손위'''(鄭遜位)는 고려 숙종 때부터 명종 등 5왕조에 걸쳐 벼슬을 하여 정헌대부(正憲大夫), 지례부사(知禮部事), 응양대장군(膺揚大將軍),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하동백에 봉해졌다.3. 분파
하동 정씨는 본관은 같지만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이 있다.
- '''밀직공 국룡파'''(密直公 國龍派) : 시조는 평장사에 오른 '''정도정'''(鄭道正)이다. 그 후 후손의 기록이 없어 고려 때 문하시중을 지낸 후손 정석숭(鄭碩崇)을 1세조로 하고, 10세 정인지(鄭麟趾), 12세 정여창(鄭汝昌)으로 이어져 왔다.
- '''정승공 응파'''(政丞公 膺派) : 시조는 고려 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도첨의 좌정승(都僉議左政丞)등을 지낸 '''정응'''(鄭膺)이다. 6세 정희(鄭熙), 7세 정초(鄭招), 8세 정수충(鄭守忠), 9세 정세(鄭稅)로 이어져왔다.
- '''지부사공 손위파'''(知部事公 遜位派) : 시조 '''정손위'''(鄭遜位)는 고려 숙종 때부터 명종 등 5왕조에 걸쳐 벼슬을 하여 정헌대부(正憲大夫), 지례부사(知禮部事), 응양대장군(膺揚大將軍),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하동백에 봉해졌다.
4. 인물
- 정희 : 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였다. 두문동 72현 중 한 명이다.
- 정초 :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농사직설 편찬에 참여하는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 정인지 :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정난공신에 책록되었다.
- 정수충 :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영응대군의 사부를 지냈다.
- 정현조 : 정인지의 아들로, 세조의 딸 의숙공주와 혼인하였다.
- 정여창 :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무오사화와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화를 입었다.
- 정적 :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 정세 : 조선 전기의 인물로, 팔공신 회맹제에 참여했다.
- 정길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 정회 : 정유재란 때 순절하였다.
- 정겸 :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 정운 : 임진왜란 때 이순신 휘하에서 활약한 무신이다.
- 정오도 : 송시열의 문인으로, 인현왕후 복위에 힘썼다.
- 정덕필 :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정봉수 : 정묘호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무신이다.
- 정상기 :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다.
- 정주영 : 현대그룹 창업주로,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아들 정몽구, 손자 정의선으로 이어지는 범현대가는 한국의 대표적인 재벌 가문이다.
4. 1. 고려
- 정희 : 호는 묵은(默隱). 정몽주의 제자이다. 고려 우왕 때 진사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진현관 직제학을 지냈다. 두문동 72현 중 9정신(鄭臣)의 한 사람으로, 광주 화담사, 장성 경현사, 화순 예산사에 배향되었다.[1]
4. 2. 조선
- 정희 : 호는 묵은(默隱). 정몽주의 제자이다. 고려 우왕 때 진사시에 합격하고, 동년 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진현관 직제학을 지냈다. 두문동 72현 중 9정신(鄭臣)의 한 명으로, 광주 화담사, 장성 경현사, 화순 예산사에 배향되었다.[1]
- 정초 (? ~ 1434년) : 1405년(태종 5) 문과에 급제하고, 1407년 중시에 합격하여 이조판서, 공조판서, 함길도관찰사, 예문관 집현전 대제학을 지냈다. 농사직설 찬진, 역법, 회례문무악장, 삼강행실도 편찬에 참여했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며, 광주 화담사, 괴산 문경사에 배향되었다.
- 정인지 (1396년 ~ 1478년) : 1453년 수양대군이 주도한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좌의정에 발탁되고, 정난공신(靖難功臣) 2등에 책록되면서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 정수충 (1401년 ~ 1469년) : 경사(經史)에 박통하여 영응대군의 사부를 지냈다. 1450년(문종 1) 문과에 급제하고, 성균 사예, 하원군을 거쳐 조선 최초의 14인 봉조하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의정부 좌찬성을 지냈다. 시호는 문절(文節)이며, 황해도 금천 영당, 청주 옥산 문절영당, 영동 청절사, 광주 화담사, 화순 예산사에 배향되었다.
- 정현조 (1440년 ~ 1504년) : 정인지의 아들이다. 1455년(세조 1) 세조의 딸 의숙공주와 혼인하여 하성위(河城尉)에 봉해졌다. 1458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1468년 익대공신(翊戴功臣) 2등에 책록되고 수록대부 하성군에 봉해졌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에 책록되고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에 진봉되었다. 시호는 편정(褊玎)이다.
- 정여창 (1450년 ~ 1504년) : 145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495년(연산군 1) 안음현감(安陰縣監)에 임명되었다. 1498년 무오사화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되었고, 1504년 죽은 뒤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 정적 (1447년 ~) : 성종 을미 친시에 급제하여 첨정, 사헌부 장령을 역임하였다.
- 정세 (1450년 ~) : 문절공의 8남으로 성종 을유년에 팔공신 회맹제에 참여했으며, 진위장군 충순위 호군 배명을 받았다. 눌재 박상의 장인이다.
- 정길 (1566년 ~) : 호는 난곡(蘭谷). 명종 병오중 생원시에 합격했고, 죽천 박광전의 수제자였다. 임진왜란 때 창의하였으며, 산양 오현으로 불렸다. 유고 및 난곡일기가 전해지며, 전남 보성 출생이다.
- 정회 (1538년 ~ ) : 정유재란 때 부옹 병사 선거이를 따라 창의한 후 보성 정자천에서 순절하였다. 광해군 때 증 참의, 고종 때 증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정겸 (1619년 ~ ) : 호는 송암(松菴). 인조 때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전남 화순 출생이다.
- 정운 (1543년 ~ 1592년) : 1570년(선조 3)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 휘하에서 공을 세우고, 부산포 해전에서 우부장(右部將)으로 선봉에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 정오도 (1647년 ~ ) : 호는 약포(藥圃). 송시열의 문인이다. 숙묘 만언소를 올렸고, 인현왕후 복위 및 우율 양현 복설을 주청하였다. 철종 때 증 이조판서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추증되었으며, 약포집이 전해진다. 남공철이 찬행장을 지었고, 광주 화담사에 배향되었다.
- 정덕필 (1725년 ~ ) : 호는 취은(醉隱). 병자 사마 일등, 임오 문과에 급제하였다. 성균 직강, 이조 좌랑, 사헌부 장령, 경기도사, 돈녕부 도정을 역임하였으며, 취은 유고가 전해진다. 남주헌이 찬행장을 지었다.
- 정봉수 (1572년 ~ 1645년) :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1634년 전라도병마절도사를 거쳐 부총관 겸 훈련도정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양무(襄武)이다.
- 정상기 (1678년 ~ 1752년) : 영조 때 지리학자로 임진왜란 때 공헌하였다.
4. 3. 현대
정주영(1915년 ~ 2001년): 현대그룹 창업주이자 회장, 제14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정주영은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과 경제를 이끌었으며, 국가 경제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 아들 정몽구를 이어, 손자 정의선 등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자동차 산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범현대家로 불리는 거대 재벌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아들 정몽구 회장, 정몽헌 회장, 정몽준 회장, 정의선 회장 등 자손과 친인척들 대부분이 대기업 집단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정몽준 회장은 김동조 제16대 외무부 장관의 영애와 결혼하였으며, 정의선 회장의 영애 정진희는 김덕중 제39대 교육부 장관의 영애와 결혼하였다.5. 항렬자
하동 정씨는 각 파마다 항렬자가 다르다. 항렬자는 이름의 한 글자를 공통된 글자로 하여 같은 세대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 지예부사공파 (손위계)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柱|주중국어 | 煥|환중국어 | 在|재중국어 | 金변 외자 | 淳|순중국어, 永|영중국어, 海|해중국어 | 相|상중국어, 采|채중국어, 文|문중국어, 林|림중국어 | 燦|찬중국어, 兢|긍중국어, 燮|섭중국어 | 基|기중국어, 善|선중국어, 圭|규중국어 | 會|회중국어, 雨|우중국어, 鍾|종중국어 | 泳|영중국어, 相|상중국어 | 來|래중국어, 薰|훈중국어 | 烈|열중국어 | 敎|교중국어 | 鎬|호중국어 | 洪|홍중국어 | 根|근중국어 | 熙|희중국어 | 培|배중국어 | 錫|석중국어 | 洙|수중국어 | 桓|환중국어 |
- 좌정승공파 (응계)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
默|묵중국어, 烈|열중국어 | 在|재중국어, 志|지중국어 | 鉉|현중국어, 鍾|종중국어, 鎭|진중국어 | 海|해중국어, 淳|순중국어, 溥|부중국어 | 植|식중국어, 來|래중국어, 模|모중국어 | 煥|환중국어, 炳|병중국어, 顯|현중국어 | 基|기중국어, 培|배중국어, 圭|규중국어 | 鎭|진중국어, 會|회중국어, 錫|석중국어 | 淳|순중국어, 漢|한중국어, 洙|수중국어 | 相|상중국어, 權|권중국어, 秉|병중국어 | 燮|섭중국어, 爀|혁중국어, 燁|엽중국어 | 致|치중국어, 載|재중국어, 均|균중국어 | 鎬|호중국어, 鍊|연중국어, 銓|전중국어 | 濟|제중국어, 浩|호중국어, 源|원중국어 | 柱|주중국어, 集|집중국어, 東|동중국어 | 斗|두중국어, 箕|기중국어, 熙|희중국어 | 敎|교중국어, 信|신중국어, 坤|곤중국어 | 鍾|종중국어, 鎰|일중국어, 銀|은중국어 |
5. 1. 밀직공파 (도정계, 정석숭을 1세로 한다)
밀직공파(密直公派)는 도정계(都正系)라고도 하며, 정석숭(鄭石崇)을 1세(一世)로 한다.[1]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
烈|열중국어, 煥|환중국어 | 在|재중국어 | 鉉|현중국어 | 淳|순중국어 | 采|채중국어, 相|상중국어 | 燦|찬중국어, 炳|병중국어, 炅|경중국어 | 基|기중국어, 均|균중국어 | 會|회중국어, 鎭|진중국어, 錫|석중국어 | 永|영중국어, 澈|철중국어, 湜|식중국어 | 集|집중국어, 柱|주중국어, 根|근중국어, 榮|영중국어 | 燮|섭중국어, 光|광중국어, 容|용중국어 | 敎|교중국어, 圭|규중국어 | 鎬|호중국어, 錫|석중국어, 鏞|용중국어 | 泰|태중국어 | 權|권중국어 | 炯|형중국어 | 坤|곤중국어 | 鍾|종중국어 | 洙|수중국어 | 槿|근중국어 | 熏|훈중국어 | 埈|준중국어 | 錫|석중국어 | 漢|한중국어 | 桓|환중국어 | 熙|희중국어 | 增|증중국어 | 銀|은중국어 |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 회원군 (세종의 적손자 귀성군의 양자) 비: 하동현부인 하동 정씨
- 덕흥대원군 (중종의 서자) 정비 하동부대부인 (선조의 생모)
- 도평군 (정종의 서자) 사위: 정여창
- 근녕군 (태종의 서자) 사위: 정석년
- 정의공주 (세종의 차녀) 사위: 정광조
- 의숙공주 (세조의 장녀) 부마: 정현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