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싱가포르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강은 싱가포르를 가로지르는 주요 수로로, 싱가포르 항구의 일부를 형성하며 무역, 상업, 금융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19세기 싱가포르의 도시화와 무역 확대로 인해 강은 심각한 수질 오염에 시달렸으나, 1977년 리콴유 정부의 정화 사업을 통해 깨끗한 환경으로 탈바꿈했다. 현재 싱가포르강은 관광 및 상업 지구의 미적 기능을 담당하며, 주변에는 보트 키, 클락 키, 로버트슨 키와 같은 주요 지역이 있다. 강을 따라 다수의 조각상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여러 다리와 터널이 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현재 싱가포르강은 마리나 저수지의 일부가 되었으며, 마리나 배러지로 막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강 - 클라크키
    클라크 키는 싱가포르 강을 따라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과거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재개발을 거쳐 현재는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싱가포르강
개요
싱가포르 중심 업무 지구를 흐르는 싱가포르 강
싱가포르 중심 업무 지구를 흐르는 싱가포르 강
다른 이름

어원알 수 없음
19세기 초 싱가포르 강 유역 지도
19세기 초 싱가포르 강 유역 지도
지리
국가싱가포르
발원지알렉산드라 운하
하구마리나 해협
길이3.2 km
유역 면적알 수 없음
흐름알 수 없음
좌안 지류알 수 없음
우안 지류알 수 없음
호수알 수 없음
폭포알 수 없음
다리알 수 없음
항구알 수 없음
행정 구역
지역중부 지역
CDC중부 싱가포르 CDC
타운 의회탄종 파가 타운 의회
잘란 베사르 타운 의회
선거구탄종 파가 GRC
잘란 베사르 GRC
우편 번호01, 03, 06, 09, 10
인구 통계
면적0.96 km2
순위52위
총 인구3,070명 (2018년 기준)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순위32위
인구 밀도 순위31위
정치 및 정부
국회의원
앨빈 탄

데니스 푸아
시장데니스 푸아
기타 정보
개발 가이드 플랜 (DGP) 발표1994년
기획 구역 (PA) 통합1999년 1월 22일

2. 역사

싱가포르강 하구는 자연적으로 남쪽 섬들에 의해 보호받는 싱가포르 항구였다. 역사적으로 싱가포르 시는 항구 주변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강 하구가 무역, 상업 및 금융의 중심지가 되었다.

강의 옛 지도에는 포트 캐닝 언덕에서 발원한다고 나와 있다.

1900년대의 콜리어 키(현재 머라이언)


1900년대의 보트 키


싱가포르강은 해운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주변 각국의 선박이 많이 드나들었다.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하류의 보트 키에서 상류의 클락 키, 로버트슨 키의 개발로 이어졌다.[13] 현재는 관광지화되어, 동쪽의 마리나 지역에서는 마리나 바라지라는 댐으로 연결되어 있다.

2. 1. 초기 역사와 무역 중심지

싱가포르강 하구는 자연적으로 남쪽 섬들에 의해 보호받는 싱가포르 항구였다. 역사적으로 싱가포르 시는 처음에는 항구 주변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강 하구가 무역, 상업 및 금융의 중심지가 되었다.[13]

싱가포르강은 원래 해운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주변 각국의 선박이 많이 드나들었다. 싱가포르의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하류의 보트 키에서 상류의 클락 키, 더 나아가 로버트슨 키의 개발로 이어졌다.[13]

19세기 중반에 늪지였던 지역을 매립하여 로버트슨 키가 조성되었고, 1880년 이후 동양과 서양의 건축 양식을 도입한 다양한 창고와 상점 주택이 세워졌다. 지명은 당시 지역 의원이었던 J. 머레이 로버트슨(J. Murray Robertson) 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860년대에는 이미 동쪽의 보트 키가 비좁아졌기 때문에 당시 화교 상인과 유럽 회사들은 더 상류 지역인 클락 키에 창고와 공장을 건설해야 했다. 클락 키의 이름은 1873년부터 1875년까지 싱가포르 총독을 역임한 앤드루 클라크 경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822년에 싱가포르강을 따라 매립되어 개발된 보트 키는 이 지역에서 최초로 개발되었다. 과거에는 퍼블릭 키(Public Quay)라고 불리며 무역과 상업의 중심지로서 번성했다. 싱가포르강이 굽이치는 지점에 위치하여 화교들 사이에서는 "잉어의 배"(The belly of the carp), 즉 행운이 깃드는 곳으로 여겨졌다.

1989년에 보트 키 지역은 환경 보호 지구로 지정되었으며, 동양과 서양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건축 양식의 상점 주택(Shop House)은 보존되었다.

2. 2. 도시화와 환경 문제

1819년부터 싱가포르강은 급속한 도시화무역 확대로 인해 교통량이 많아졌다.[4] 강변에 위치한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하수 및 기타 부산물 투기로 인해 수질 오염이 발생했다. 싱가포르강과 칼랑강의 수질 오염원은 돼지오리 농장, 하수 시설이 없는 건물, 노점상 및 채소 도매상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이었다. 강변에서는 운송, 선박 건조 및 수리 작업이 이루어졌다.

많은 배가 정박해 있고 그 너머로 도시 스카이라인이 보이는 강
1960년대 초의 싱가포르강


1977년에는 약 750척의 바지선(Lighter)이 싱가포르강과 칼랑강을 따라 운항했다. 이러한 배와 바지선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유류 유출 및 폐수는 강의 오염을 더욱 심화시켰다. 같은 해, 리콴유 총리는 싱가포르 강과 칼랑강 정화를 촉구했다. 정화 작업에는 당시 정부 예산 3억달러가 투입되었으며, 강으로 매일 폐기물을 버리던 약 4,000명의 불법 거주자, 노점상, 채소 판매상의 이주가 포함되었다. 불법 거주자들에게는 공공 주택이 제공되었고, 노점상들은 기존의 호커 센터로 이주하도록 설득했다. 정부는 이후 강둑과 강바닥에서 악취가 나는 진흙을 완전히 준설하여 잔해와 기타 쓰레기를 제거했다.[5]

2. 3. 리콴유 정부의 정화 노력

1977년, 리콴유 총리는 싱가포르 강과 칼랑강 정화를 촉구했다. 정화 작업에는 당시 정부 예산 3억달러가 투입되었으며, 강에 매일 폐기물을 버리던 약 4,000명의 불법 거주자, 노점상, 채소 판매상의 이주가 포함되었다. 불법 거주자들에게는 공공 주택이 제공되었고, 노점상들은 기존의 호커 센터로 이주하도록 설득했다. 정부는 이후 강둑과 강바닥에서 악취가 나는 진흙을 완전히 준설하여 잔해와 기타 쓰레기를 제거했다.[5]

싱가포르강은 이러한 정화 노력 덕분에, 한때 매우 분주하고 오염되었던 모습에서 해양 동물에게 깨끗한 환경으로 크게 변화했다. 왕도마뱀과 수달이 싱가포르강에 다시 나타난 것은 강 정화의 성공 덕분으로 여겨진다.[6][7]

3. 지리

리버 밸리에서 바라본 싱가포르 강. 남쪽을 향해 바라본 모습.


싱가포르 강은 킴 셍 다리에서 마리나 베이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까지 약 3.2km이며, 알렉산드라 운하를 통해 킴 셍 다리에서 시작하는 원래 발원지에서 2km 이상 뻗어 코먼웰스 애비뉴와 만나는 지점까지 이어진다.[2][3]

과거 싱가포르 강의 원래 입구는 대규모 매립이 이루어지기 전 싱가포르 해협과 그 남쪽 섬들로 흘러 들어갔지만, 현재는 매립 공사로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수역인 마리나 베이로 흘러 들어간다.

4. 현재

마리나 배러지 건설로 마리나 저수지가 조성되면서 싱가포르 강은 이 저수지의 일부가 되었다.[9] 싱가포르 항은 섬 서쪽으로 이전했고, 싱가포르 강은 현재 주로 관광 및 레저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8] 강을 따라 수상 택시를 이용해 이동할 수 있다.[8]

강변에는 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조각상들이 설치되어 있다.[10] 대표적인 조각상들은 다음과 같다:[11]


  • 청 파 청 제작, ''퍼스트 제너레이션''
  • 천 리안 샨 제작, ''싱가포르강에서의 낚시''
  • 오 티 홍 제작, ''강의 상인들(The River Merchants)''
  • 말콤 코 제작, ''거대한 상업 중심지''
  • 천 리안 샨 제작, ''체티아르에서 금융가로''
  • 여러 예술가 제작, ''싱가푸라 고양이''


과거 심하게 오염되었던 싱가포르 강은 정화 노력을 통해 깨끗한 환경으로 바뀌었다. 왕도마뱀과 수달이 다시 나타난 것은 이러한 노력의 성과를 보여준다.[6][7]

4. 1. 주요 지역

19세기 중반에 늪지였던 지역을 매립하여, 1880년 이후 동양과 서양의 건축 양식을 도입한 다양한 창고와 상점 주택이 세워졌다.[13] 싱가포르강은 원래 해운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주변 각국의 선박이 많이 드나들었다. 싱가포르의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하류의 보트 키에서 상류의 클라크 키, 더 나아가 로버트슨 키의 개발로 이어졌다.

  • '''보트 키'''


1822년에 매립되어 개발된 보트 키는 이 지역에서 최초로 개발되었다. 과거에는 퍼블릭 키(Public Quay)라고 불리며 무역과 상업의 중심지로서 번성했다. 지금도 화물을 싣고 내리던 선착장에서 강변으로 이어지는 계단이 남아 있다. 싱가포르강이 굽이치는 지점에 위치하여 화교들 사이에서는 "잉어의 배"(The belly of the carp), 즉 행운이 깃드는 곳으로 여겨졌다.

1989년에 보트 키 지역은 환경 보호 지구로 지정되었으며, 동양과 서양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건축 양식의 상점 주택(Shop House)은 보존되었다. 이 건물들은 펍이나 레스토랑으로 바뀌어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으며, 지금도 당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보트 키의 동쪽은 더 풀러턴 호텔과 접하고 있으며, 남쪽은 고층 빌딩이 밀집한 래플스 플레이스 역 주변에 면해 있다.

  • '''클라크 키'''


1873년부터 1875년까지 싱가포르 총독을 역임한 앤드루 클라크 경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860년대에는 이미 동쪽의 보트 키가 비좁아졌기 때문에 당시 화교 상인과 유럽 회사들은 더 상류 지역인 클라크 키에 창고와 공장을 건설해야 했다. 19세기 중반 이전에는 영국 식민지 정부의 화약 및 석탄 창고 등이 있었으며, 근처에 우물이 있어 선박에 물을 공급하는 곳이기도 했다.

2000년대 초부터 레스토랑, 펍, 쇼핑 센터 등이 즐비한 유흥가로 변모했다. 거꾸로 번지 점프 등 유원지 시설과 스트립 클럽 등 다양한 상업 시설이 들어서 있으며, 10월 말에는 할로윈 분장 등 이벤트도 열린다. 중앙에는 보행자 겸용 분수가 있으며, 남동쪽에는 클라크 키 역이 위치해 있다.

  • '''로버트슨 키'''


지명은 당시 지역 의원이었던 J. 머레이 로버트슨(J. Murray Robertson) 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현재는 강을 따라 고급 콘도미니엄, 레스토랑, 호텔 등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레스토랑은 칠리 크랩으로 유명한 레드 하우스, 이탈리안, 일식, 오스트레일리아 요리, 바, 카페 등 다양하다.

5. 다리와 터널

1819년 싱가포르에 싱가포르 강을 가로지르는 첫 번째 나무 부두와 첫 번째 다리가 건설된 이후 2015년까지 이 강을 가로지르는 14개의 다리가 건설되었다(또는 17개, 현재 하구가 위치한 마리나 저수지를 싱가포르 강으로 간주할 경우).[12] 1819년까지는 배와 나룻배로만 강을 건널 수 있었다. 일부 다리는 철거되어 재건되었거나 용도가 변경되었다.

싱가포르 최초의 다리는 1819년에 건설된 엘긴 다리이다. 최초의 철제 엘긴 다리는 1862년에 건설되었으며 엘긴 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후 철거되어 1926년에 현재의 엘긴 다리로 대체되었다.[12] 강을 따라 건설된 다른 다리로는 콜먼 다리(1840), 김셍 다리(1862), 카베나 다리(1869), 리드 다리(1889) 등이 있다. 가장 최근에 건설된 다리로는 헬릭스 다리(2010), 베이프론트 다리(2010), 그리고 주빌리 다리(2015)가 있다.

건설/재건 연도이름비고
1840/1985콜먼 다리
1862김셍 다리
1862/1926엘긴 다리
1870카베나 다리
1886오드 다리
1889리드 다리
1890풀라우 사이공 다리
1910앤더슨 다리
1940클레멘소 다리
1981벤자민 시어스 다리
1987/1989동서 MRT 노선 및 노스 사우스 MRT 노선시청과 래플스 플레이스 사이
1991친 스위 터널센트럴 고속도로
1997에스플러네이드 다리
1998로버트슨 다리
1999지아 킴 다리
1999알카프 다리
2003노스 이스트 MRT 노선클라크 키와 도비 고트 사이
2010헬릭스 다리
2010베이프론트 다리
2012다운타운 MRT 노선 및 서클 MRT 노선프로메나드와 베이프론트 사이
2015주빌리 다리
2017다운타운 MRT 노선포트 캐닝과 차이나타운 사이
2022톰슨-이스트 코스트 MRT 노선그레이트 월드와 하벨록 사이


6. 갤러리

밤에 활기찬 클락 키 주변


로버트슨 키의 저녁 노을

참조

[1] 웹사이트 Singapore Infopedia – Development guide plan http://eresources.nl[...] National Library Board
[2]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Urban Regener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30
[3] 웹사이트 Singapore River Cruise https://www.singapor[...] 2023-09-22
[4] 뉴스 Singapore River http://heritagetrail[...] 2010-04-01
[5] 뉴스 5 interesting facts about the Singapore River clean-up http://www.straitsti[...] 2016-07-09
[6] 웹사이트 Cheeky otters are thriving in Singapore—and adapting quickly to big city life https://www.national[...] 2020-03-10
[7] 웹사이트 TGIF: Monitor lizards have a family feast along Kallang River https://stomp.strait[...] 2022-03-18
[8] 웹사이트 Singapore River https://www.ura.gov.[...] 2022-06-11
[9] 웹사이트 PUB annual report: Birth of the barrage http://www.pub.gov.s[...] PUB 2016-09-29
[10] 뉴스 Sir Stamford Raffles statue and other sculptures along Singapore River to be cleaned next week http://www.straitsti[...] 2015-11-23
[11] 웹사이트 Sculptures by the Singapore River get a spruce up http://www.straitsti[...] 2016-09-19
[12] 웹사이트 Singapore Slider: Then & Now {{!}} The Straits Times http://www.straitsti[...] 2022-12-21
[13] 문서 https://www.asiax.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