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바사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바사군은 1940년 일본 야구 연맹 소속의 프로 야구팀으로, 도쿄 세네터스에서 개명되었다. 아리마 요리야스가 세이부 철도의 후원을 받아 도쿄 세네터스로 창단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워싱턴 세네터스를 본떠 명칭을 정했다. 1940년 전쟁의 영향으로 쓰바사군으로 개명되었으며, 1941년 나고야 긴코군과 합병하여 다이요군이 되었다. 이후 니시테쓰군으로 변경되었으나, 1943년 전시 상황으로 해산되었다. 1946년 세네터스로 재결성되었지만, 이듬해 도큐 플라이어스로 바뀌면서 명칭이 소멸되었다. 2013년에는 세이부 라이온스가 세네터스 유니폼을 복각하여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시테쓰군 - 아리마 요리야스
아리마 요리야스는 일본의 정치인, 사회 운동가, 스포츠 진흥가로, 농림수산대신, 대정익찬회 사무국장을 역임하고 프로 야구팀 창단에 기여했으며 아리마 기념 경마 대회를 창설했다. - 니시테쓰군 - 나고야 긴코군
나고야 긴코군은 나고야 신문이 모기업이었으며 나고야성의 상징인 긴샤치를 닉네임으로 사용했던 1936년부터 1940년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프로 야구 구단으로,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쓰바사군과 합병하여 다이요군이 되었고 이후 주니치 드래건스의 모태가 되었다. - 1940년 해체된 야구단 - 나고야 긴코군
나고야 긴코군은 나고야 신문이 모기업이었으며 나고야성의 상징인 긴샤치를 닉네임으로 사용했던 1936년부터 1940년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프로 야구 구단으로,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쓰바사군과 합병하여 다이요군이 되었고 이후 주니치 드래건스의 모태가 되었다. - 1940년 해체된 야구단 - 경성의학전문학교 야구단
일제강점기 1927년에 창단된 경성의학전문학교 야구단은 전조선중학교야구대회와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하여 1923년 전국체육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고, 1935년과 1936년 경성 야구 리그에 참가했으나 우승 기록은 없다. - 1936년 설립된 야구팀 - 오릭스 버펄로스
오릭스 버펄로스는 1936년 창단된 일본 프로야구팀으로, 한큐 브레이브스 시절 퍼시픽 리그 최강팀으로 군림하며 여러 차례 우승했고, 오릭스 블루웨이브 시절에는 이치로를 중심으로 1996년 우승, 2004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 합병 후 2022년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나 2023년 패배 후 팀 개편을 진행 중이다. - 1936년 설립된 야구팀 - 쇼치쿠 로빈스
쇼치쿠 로빈스는 1949년 센트럴 리그에 가입하여 1953년 다이요 웨일스와 합병될 때까지 존재했던 일본 프로 야구팀이며, 1950년 센트럴 리그에서 우승했고, 현재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쓰바사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팀 이름 | 쓰바사군 |
영문 팀 이름 | Tsubasa Baseball Club |
회사명 | 불명 (해체 당시) |
가맹 단체 | 일본 야구 연맹 |
창단 연도 | 1936년 |
해체 연도 | 1940년 |
연고지 | 도쿄부도쿄시스기나미구(해체 당시) |
홈구장 | 가미니구사 구장 |
수용 인원 | 29,500명 (가미니구사 구장) |
영구 결번 | 없음 |
구단주 | 아리마 요리치카(해체 당시) |
스폰서 | 구 세이부 철도(해체 당시) |
감독 | 가리타 히사노리(해체 당시) |
타이틀 | |
리그 우승 횟수 | 0 |
리그 우승 | 없음 |
플레이오프 | 0 |
시리즈 | 일본 시리즈 |
시리즈 우승 횟수 | 0 |
시리즈 우승 | 없음 |
시리즈 출장 횟수 | 0 |
시리즈 출장 | 없음 |
이전 정보 | |
이전 구단명 | 도쿄 세네터스 (1936년 1월 15일 ~ 1940년 10월 16일) 쓰바사군 (1940년 10월 17일 ~ 1941년 2월 3일) |
구단명 변경 내역 | 쓰바사군 (1940년 10월 17일 ~ 1941년 2월 3일) 나고야 긴코군과 대등 합병, 다이요군을 결성 (1941년 2월 3일) |
이전 홈구장 | 가미니구사 구장(도쿄부도쿄시스기나미구) (해체 당시) |
기타 | |
로마자 표기 | Tsubasa Baseball Club |
페이지 이름 (해체 당시) | 쓰바사군 |
2. 구단의 역사
1936년 일본 야구 연맹 결성의 중심이었던 쇼리키 마쓰타로는 도쿄 자이언츠의 라이벌 구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아리마 요리야스에게 구단 설립을 요청,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을 운영하던 구제 세이부 철도의 후원으로 '''도쿄 세네터스'''를 설립했다. '세네터'는 미국의 상원 의원을 가리키는 말로, 귀족원 의원이었던 아리마와 그의 동생 안도 노부아키를 고려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워싱턴 세네터스(현재의 미네소타 트윈스)를 본떠 붙인 이름이다.
1940년 10월 17일, 전쟁으로 인해 구단 이름을 모두 일본어로 바꾸라는 지시에 따라 '''쓰바사군'''(翼軍)으로 변경하였다.
1941년 나고야 긴코군(현재의 주니치 드래곤스와는 무관)과 대등 합병하여 '''다이요군'''(大洋軍)을 결성했다. 1943년 니시닛폰 철도에 경영권이 넘어가면서 '''니시테쓰군'''으로 명칭을 바꾸었으나, 그 해를 마지막으로 해산했다.
1946년 프로 야구가 재개되자, 전쟁 이전 도쿄 세네터스의 주축이었던 요코자와 형제가 중심이 되어 다시 '''세네터스'''를 결성했으나, 경제적인 문제로 이듬해 '''도큐 플라이어스'''로 바뀌며 세네터스라는 명칭은 소멸되었다.
2013년 7월 26일부터 7월 28일까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주최 경기에서 열린 "라이온스 클래식 2013" 이벤트에서, 세이부 선수들은 복각된 세네터스 유니폼을 착용했다.
2. 1. 창단 배경 (1936년)
1936년 일본 야구 연맹 결성의 중심이었던 쇼리키 마쓰타로는 도쿄 자이언츠의 라이벌 구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정치인 아리마 요리야스에게 구단 설립을 요청했고, 아리마는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을 운영하던 구제 세이부 철도의 후원을 받아 '''도쿄 세네터스'''(東京セネタース, Tokio Senators)를 설립했다.[7] '세네터(Senator)'는 미국의 상원 의원을 가리키는 말로, 귀족원 의원이었던 아리마를 고려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워싱턴 세네터스(현재의 미네소타 트윈스)를 본떠 명칭이 붙었다.[7]2. 2. 초기 활동 (1936년 ~ 1940년)
1936년 일본 야구 연맹 결성의 중심이었던 쇼리키 마쓰타로는 도쿄 자이언츠의 라이벌 구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정치인 아리마 요리야스에게 이 역할을 부탁했고, 아리마는 이를 수락하여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을 운영하던 구제 세이부 철도의 후원으로 '''도쿄 세네터스'''(東京セネタース, Tokio Senators영어, 회사명 '''도쿄야구협회'''(TOKIO BASEBALL ASSOCIATION영어))를 설립했다.[7]'세네터(Senator)'는 미국의 상원 의원을 뜻하는데, 당시 구단주였던 아리마가 귀족원 의원이었고, 그의 동생 안도 노부아키도 구단주를 맡았기 때문이다. 이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워싱턴 세네터스(현재의 미네소타 트윈스)를 본뜬 것이었다.[7] 연고지는 도쿄부 도쿄시 스기나미구[8]의 가미니구사 구장이었다.
창단 당시 멤버는 요코자와 사부로, 요코자와 시로, 요코자와 시치로 형제, 가리타 히사노리, 노구치 아키라 등이었다.
1940년 10월 17일, 전쟁으로 인해 구단 이름을 모두 일본어로 바꾸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이에 따라 구단 이름을 '''쓰바사군'''(翼軍)으로 변경했다. 이 명칭은 아리마가 대정익찬회 이사였던 것과 관련이 있다.[9]
2. 3. 합병과 해산 (1941년 ~ 1943년)
1941년 나고야 긴코군(현재의 주니치 드래곤스와는 무관)과 대등 합병하여 '''다이요군'''(大洋軍)을 결성했다.[5][10] 다이요군은 현재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전신인 다이요 웨일스와는 무관하다. 1943년 니시닛폰 철도에 경영권이 넘어가면서 '''니시테쓰군'''으로 명칭을 바꾸었으나, 그 해를 마지막으로 해산했다. 니시테쓰군은 현재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전신에 해당하는 니시테쓰 클리퍼스와는 무관하다.2. 4. 전후 재결성과 소멸 (1946년)
1946년 프로 야구가 재개되자, 전쟁 이전 도쿄 세네터스의 주축이었던 요코자와 사부로, 시로, 시치로 형제가 중심이 되어 다시 '''세네터스'''를 결성했다. 그러나 경제적인 문제로 이듬해 '''도큐 플라이어스'''로 바뀌며 세네터스라는 명칭은 소멸되었다. 그 후 몇 차례의 매각, 명칭 변경, 연고지 이전을 거쳐 현재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로 이어지고 있다.[2]2. 5. 세이부 라이온스의 복각 유니폼 (2013년)
2013년 7월 26일부터 7월 28일까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주최 경기에서 열린 "라이온스 클래식 2013" 이벤트에서, 세이부 선수들은 복각된 세네터스 유니폼을 착용했다.[11] 이는 세이부 철도 연선[11]을 본거지로 했고, 원류 기업 중 하나가 경영에 관여한 팀이라는 점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상대는 오릭스 버팔로스였다.3. 팀의 특징
6대학 야구의 스타였던 가리타 히사노리와 메이지 대학의 에이스 노구치 아키라 등 유력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1936년 내야진은 '세네터스 100만달러의 내야진'으로 평가받았다. 1939년 노구치 지로의 입단으로 투수력이 강화되었다.
4. 유니폼과 구단기
세네터스 시대 유니폼은 회색 바탕에 빨간색과 남색을 조합한 라켓 라인이 들어갔고, 왼쪽 가슴에는 빨간색 글씨와 야구공을 배경으로 한 검은 사자 일러스트가 있었다. 翼軍|쓰바사 군일본어 시대 모자는 파란색이고 유니폼은 녹색이었으며, 모자에는 쓰바사라고 쓰여 있었다. 구단기는 붉은색 바탕에 왼쪽을 향하는 검은 사자가 그려져 있었고, 그 아래 흰 글씨로 "도쿄 세네터스"라고 쓰여 있었다.
4. 1. 유니폼 변천
세네터스 시대의 유니폼은 복각판을 기준으로, 모자에 블랙 레터로 "T"자가 새겨져 있었다. 유니폼은 회색 바탕에 빨간색과 남색을 조합한 라켓 라인이 들어갔고, 왼쪽 가슴에는 빨간색 글씨로 상단 "SENATORS", 하단 "TOKIO(TOKYO가 아님)"의 테두리에 야구공을 배경으로 한 검은 사자 일러스트가 있었다. 벨트와 바지의 벨트 고리 부분은 모두 짙은 남색으로, 착용 시 시각적인 일체감을 주었다. 스타킹은 남색 바탕에 "흰색·빨간색·흰색"의 3선 라인이었다.[1]翼軍|쓰바사 군일본어 시대의 모자는 파란색이고 유니폼은 녹색이었다.[2] 모자에는 쓰바사라고 쓰여 있었다.[3]
4. 2. 구단기 변천
붉은색 바탕에 왼쪽을 향하는 검은 사자가 그려져 있었고, 그 아래에는 흰 글씨로 "도쿄 세네터스"라고 쓰여 있었다. 이는 현재와 같은 좌횡서였다.[1]5. 역대 감독
감독 | 재임 기간 |
---|---|
요코자와 사부로 | 1936년 ~ 1937년 추계 |
가리타 히사노리 | 1938년 춘계 ~ 1940년 |
6. 팀 성적 및 기록
쓰바사 군의 역대 팀 성적 및 기록은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서 상세 기록들이 중복으로 나오기 때문에 여기서는 요약된 표를 제시한다.
구분 | 내용 |
---|---|
A클래스 | 3회 |
B클래스 | 3회 |
연속 A클래스 진입 최장 기록 | 2년 |
연속 B클래스 최장 기록 | 3분기 |
최다 승리 | 56승 |
최다 패배 | 39패 |
최다 무승부 | 10무 |
최고 승률 | .589 |
최저 승률 | .382 |
최소 경기 차이 | 11경기 |
최대 경기 차이 | 18.5경기 |
최다 홈런 | 17개 |
최소 홈런 | 2개 |
최고 타율 | .222 |
최저 타율 | .185 |
최고 평균 자책점 | 2.00 |
최저 방어율 | 3.99 |
6. 1. 통산 성적
항목 | 내용 |
---|---|
A클래스 | 3회(1937년 춘계, 1939년 ~ 1940년) |
B클래스 | 3회(1937년 추계 ~ 1938년 추계) |
연속 A클래스 진입 최장 기록 | 2년 연속(1939년 ~ 1940년) |
연속 B클래스 최장 기록 | 3분기 연속(1937년 추계 ~ 1938년 추계) |
최다 승리 | 56승(1940년) |
최다 패배 | 39패(1940년) |
최다 무승부 | 10무(1940년) |
최고 승률 | .589(1940년) |
최저 승률 | .382(1938년 춘계) |
6. 2. 기타 기록
구분 | 내용 |
---|---|
A클래스 | 3회(1937년 춘계, 1939년~1940년) |
B클래스 | 3회(1937년 추계~1938년 추계) |
연속 A클래스 진입 최장 기록 | 2년 연속(1939년~1940년) |
연속 B클래스 최장 기록 | 3분기 연속(1937년 추계~1938년 추계) |
최다 승리 | 56승(1940년) |
최다 패배 | 39패(1940년) |
최다 무승부 | 10무(1940년) |
최고 승률 | .589(1940년) |
최저 승률 | .382(1938년 춘계) |
최소 경기 차이 | 11경기(1938년 추계) |
최대 경기 차이 | 18.5경기(1937년 추계) |
최다 홈런 | 17개(1940년) |
최소 홈런 | 2개(1936년 추계) |
최고 타율 | .222(1938년 추계) |
최저 타율 | .185(1936년 추계) |
최고 평균 자책점 | 2.00(1940년) |
최저 방어율 | 3.99(1938년 추계) |
6. 3. 역대 홈구장
가미니구사 구장(1936년 ~ 1940년)카미이구사 구장(1936년 ~ 1940년)
6. 4. 연도별 성적
연도 | 감독 | 순위 | 경기 | 승 | 패 | 무 | 승률 | 게임차 | 득점 | 실점 | 홈런 | 도루 | 타율 | 실책 | 방어율 |
---|---|---|---|---|---|---|---|---|---|---|---|---|---|---|---|
1936년 | 요코자와 사부로 | * | 46 | 26 | 20 | 0 | .565 | * | 224 | 201 | 5 | 85 | .206 | 111 | 3.23 |
1937년 춘계 | 요코자와 사부로 | 3 | 56 | 30 | 26 | 0 | .536 | 12 | 206 | 192 | 4 | 73 | .206 | 125 | 2.55 |
1937년 추계 | 요코자와 사부로 | 5 | 48 | 20 | 27 | 1 | .426 | 18.5 | 175 | 228 | 13 | 70 | .200 | 98 | 3.61 |
1938년 춘계 | 가리타 히사노리 | 5 | 35 | 13 | 21 | 1 | .382 | 15.5 | 135 | 174 | 7 | 27 | .217 | 71 | 3.58 |
1938년 추계 | 가리타 히사노리 | 5 | 40 | 19 | 20 | 1 | .487 | 11 | 166 | 149 | 16 | 40 | .222 | 74 | 3.99 |
1939년 | 가리타 히사노리 | 4 | 96 | 49 | 38 | 9 | .563 | 14.5 | 290 | 287 | 12 | 87 | .203 | 158 | 2.21 |
1940년 | 가리타 히사노리 | 4 | 105 | 56 | 39 | 10 | .589 | 15.5 | 344 | 298 | 17 | 109 | .206 | 183 | 2.00 |
7. 비고
- 이 구단을 후원했던 세이부 철도는 현재의 세이부 철도와는 법인으로서 별개의 회사이며, 현재의 세이부 신주쿠선 계통을 경영했다. 현재의 세이부 철도는 1945년까지 무사시노 철도라고 칭하며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계통을 경영했고, 세이부 철도(구 회사)와는 경쟁 관계에 있었다. 1932년 이후 무사시노 철도를 경영했던 쓰쓰미 야스지로가 1943년에 세이부 철도(구 회사)의 주식을 사들여 산하에 두고, 1945년에 식량 증산(쓰쓰미 계열 기업)과 함께 무사시노 철도에 합병했다. 이때 무사시노 철도가 세이부 농업 철도로 개칭했다. 이듬해 1946년에 세이부 철도로 다시 개칭했다. 따라서 세이부 철도(구 회사)는 세이부 철도의 근원 기업이지만, 현재의 세이부 철도가 법인으로서 과거에 직접 프로 야구에 관여했던 것은 아니다.[4]
- 도쿄 세네터스의 펫 마크는 흑사자였다. 당시 라이온 군(이후의 쇼치쿠 로빈스로 이어지는 구단)이 있어, 라이온을 사용했던 구단이 두 구단이 있게 되었다.[4]
- 도쿄 세네터스의 후신 구단은 1943년 2월 니시닛폰 철도에 매수되어 니시테쓰 군으로 개칭했지만, 전황 악화로 인해 12월에는 해산을 강요받았다. 니시닛폰 철도는 전후 구단의 복귀를 시도했지만, 일단 해산한 구단이었기 때문에 일본 야구 연맹에 거절당했다. 즉, 도쿄 세네터스의 역사는 1943년에 끊어졌다.[4]
- 도쿄 세네터스의 홈 구장은 그 후 태평양 전쟁을 거쳐 인근 주민에 의해 농지로 전용되었다.[4]
- 도쿄 세네터스의 오너였던 쓰쓰미 야스지로는 경영 실패에 질려 앞으로 구단 경영은 하지 않겠다는 의향이었다.[4]
- 니시닛폰 철도는 1950년에 신설이라는 형태로 니시테쓰 클리퍼스를 결성하여 퍼시픽 리그에 가맹했다. 이 구단은 이듬해 1951년에 센트럴 리그에 가맹했던 니시닛폰 파이리츠를 합병하여 니시테쓰 라이온즈로 개칭했다. 라이온을 펫 마크로 한 구단이 부활했다. 이 구단이 1978년에 쓰쓰미 야스지로의 삼남인 쓰쓰미 요시아키의 국토계획에 매수되어 본거지를 사이타마현도코로자와시로 이전했다. 현재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세이부(근원 기업 포함)와 니시테쓰 양쪽이 전전과 전후에 동일 구단과 관계하는 형태가 되었다. 쓰쓰미 야스지로의 실패 체험을 후계자인 쓰쓰미 요시아키가 극복한 셈이 되었다.[4]
참조
[1]
문서
현재는[[東京都]][[杉並区]]
[2]
간행물
日本野球聯盟『日本野球競技記録』
https://dl.ndl.go.jp[...]
博文館
1942-09-03
[3]
웹사이트
라이온즈・클래식2013
http://www.seibulion[...]
[4]
웹사이트
ニックネームAtoZ
https://web.archive.[...]
2013-09-21
[5]
간행물
日本野球聯盟『日本野球競技記録』
https://dl.ndl.go.jp[...]
博文館
1942-09-03
[6]
서적
日本プロ野球記録大鑑
講談社
[7]
웹사이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공식 사이트
http://www.seibulion[...]
2013-07-24
[8]
문서
현재의 [[도쿄도]] [[스기나미구]]
[9]
웹사이트
ニックネームAtoZ
http://www.ritomo.jp[...]
2013-09-21
[10]
문서
주니치 드래곤스의 전신은 신 아이치를 전신으로 하는 나고야군이었다. 그러나 나고야 긴코군의 경영 모체였던 나고야 신문이 신 아이치와 합병하여 주부 닛폰 신문사(현재의 주니치 신문사)가 되었기 때문에 주니치 구단은 신 아이치 계와 나고야 신문 계의 임원이 교대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었다.
[11]
문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 세이부 철도는 현재의 세이부 신주쿠 선에 해당한다. 이것은 전시 통합에서 세이부 철도, 식량 증산, 무사시노 철도(현재의 세이부 이케부쿠로 선에 해당)이 합병해 세이부 농업 철도를 거쳐 세이부가 되면서 무사시노 철도가 존속 회사가 되었기 때문이다.
[12]
서적
일본 프로 야구 기록 대감
고단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