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조나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조나스주는 브라질 북부에 위치한 주로, 브라질에서 가장 면적이 넓다. 아마존강 유역을 포함하며, 열대우림 기후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다. 16세기부터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1850년 아마조나스 주로 공식 설립되었다. 19세기 말 고무 호황으로 번영을 누렸으나,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는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를 통해 산업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에코투어리즘이 발달했다. 주도인 마나우스를 비롯해 파린틴스, 타바팅가 등의 도시가 있으며, 2022년 기준 약 394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조나스주 - 아마존 고무 붐
    아마존 고무 붐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마존 지역에서 고무 산업이 급성장한 시기로,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쳤으나 원주민 착취, 환경 파괴를 야기했고, 헨리 위컴의 고무나무 씨앗 밀반출 후 동남아시아 고무 재배 확산으로 쇠퇴했다.
  • 아마조나스주 - 마나우스
    마나우스는 아마존강과 네그루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브라질 아마존 주의 도시로, 고무 붐 시대에 번성하여 아마조나스 극장과 같은 건축물을 남겼으나, 자유 무역 지대 설립 후 재성장하며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브라질의 주 - 세아라주
    세아라주는 브라질 북동부에 위치하며 대서양과 접하고 주기적인 가뭄에 시달리는 카아팅가 관목 숲이 특징인 주로, 서비스업, 산업,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카르나우바 왁스 생산으로 유명하고 풍부한 해변 관광자원과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 브라질의 주 - 고이아스주
    브라질 중서부에 위치한 고이아스주는 브라질 고원의 광대한 고원 지대를 차지하며, 농업과 광물자원이 풍부하고, 주요 관광지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고이아스 시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인구는 약 706만 명이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아마조나스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아마조나스주 깃발
깃발
아마조나스주 문장
문장
공식 명칭아마조나스주
슬로건Iustitia et Aequalitas (정의와 평등)
국가브라질
주도마나우스
최대 도시마나우스
면적1,570,745.7km²
면적 순위1위
인구 (2022년)3,941,613명
인구 순위13위
인구 밀도 (2022년)2.53명/km²
인구 밀도 순위26위
인구 통계아마존 사람
별칭''
국가브라질
모토정의와 평등
국가브라질
국가브라질
설립''
설립자''
차량 등록 번호판JWF ~ JXY, NOI ~ NPB, OAA ~ OAO, OXM, PHA ~ PHZ, QZA ~ QZZ, TAA ~ TAH
시간대BRT–2 (UTC−05:00) 및 BRT–1 (UTC−04:00)
우편번호69000-000 ~ 69290-000, 69400-000 ~ 69890-000
ISO 코드BR-AM
웹사이트amazonas.am.gov.br
정부
주지사윌슨 리마 (UNIÃO)
부지사타데우 데 소자 (Avante)
상원의원에두아르두 브라가 (MDB)
오마르 아지즈 (PSD)
플리니우 발레리우 (PSDB)
경제
GDP (총액)1315억 3100만 R$ (244억 US$)
인간 개발 지수 (HDI)0.700 (높음) (2021년)
기타
로마자 표기Amazonas
공식 명칭 (포르투갈어)Estado do Amazonas
면적1,559,255.881km²
자치 단체 수62

2. 역사

아마조나스 주의 역사는 크게 식민지 이전 시대,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식민지 시대, 독립 이후 고무 붐 시대, 그리고 현대의 자유무역지대 시대로 나눌 수 있다.

16세기 이전에는 반유목 민족들이 농업, 어업, 수렵 채집 생활을 하며 거주했다. 16세기에 수백만 명의 원주민이 있었으나, 질병과 브라질 문화 동화로 인해 20세기 말에는 크게 감소했다.

1541년, 스페인 탐험가 프란시스코 데 오렐라나는 아마존강을 탐험하면서 원주민 여전사들과 전투를 벌인 후 이 강을 "아마존 강"이라고 명명했다.[5][6][7] 17세기 초부터 포르투갈은 벨렝을 거점으로 아마존 지역을 탐험하고 식민지화를 시작했다. 1669년, 포르투갈은 리우네그루와 솔리몽이스 강 합류 지점에 상주 지우두리우네그루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곳이 현재의 마나우스이다.

브라질 독립(1822년) 이후, 아마존 지역은 파라 주로부터 분리되어 자치를 요구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카바나젬(1835~1840년) 동안 아마존은 제국 정부에 충성을 유지했고 반란에 가담하지 않았다. 이러한 충성에 대한 보상으로, 1850년 페드루 2세 황제는 아마조나스 주를 공식적으로 설립했다.[8]

19세기 중반부터 천연 고무 호황으로 마나우스를 비롯한 주요 도시들이 번영했다. 그러나 1910년부터 아시아의 고무 농장에서 재배된 천연 고무가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더 나은 조건으로 강력한 경쟁을 펼치면서 아마존 경제는 파산하게 되었다.[10][11][13]

브라질 군정 시기인 1967년,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가 설치되었다. 이는 마나우스 시를 중심으로 산업, 상업, 농업 중심지를 구축하고 세금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현재 마나우스에는 플렉스트로닉스, LG, 삼성전자 등 여러 다국적 기업들의 제조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2. 1. 식민지 이전 시대

콜럼버스 이전 아마존에는 반유목 민족들이 살았는데, 이들은 농업, 어업, 수렵 채집 생활을 했다. 16세기에는 약 2,000개의 부족, 수백만 명의 원주민이 거주했으나, 질병과 브라질 문화 동화로 인해 20세기 말에는 200개 부족, 약 30만 명으로 감소했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일부 접촉되지 않은 부족들이 존재한다.[8] 주요 원주민 부족으로는 아라와크족, :en:Tucano people, :en:Tupí people, :en:Gê peoples, 야노마미족, 히바로족 등이 있다.

2. 2.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식민지 시대

1541년, 스페인 탐험가 프란시스코 데 오렐라나는 아마존강을 탐험하면서 원주민 여전사들과 전투를 벌인 후 이 강을 "아마존 강"이라고 명명했다.[5][6][7] 16세기 스페인 정복자들은 엘도라도(황금의 잃어버린 도시)를 찾아 탐험했으나, 이 지역의 식민지화는 포기했다.

탐험가 프란시스코 데 오렐라나의 흉상, 아마존강을 탐험했다


17세기 초부터 포르투갈은 벨렝을 거점으로 아마존 지역을 탐험하고 식민지화를 시작했다. 1669년, 포르투갈은 리우네그루와 솔리몽이스 강 합류 지점에 상주 지우두리우네그루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곳이 현재의 마나우스이다. 1755년, 포르투갈은 상주 지우두리우네그루 주를 설립하고, 마리우아(현재 바르셀루스)를 주도로 삼았다.

바르셀루스(Barcelos)는 과거 상주 지우두리우네그루(São José do Rio Negro) 주의 최초 행정 중심지였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토르데시야스 조약(1494)과 1750년 마드리드 조약 등을 통해 아마존 지역의 영유권을 두고 경쟁했다. 18세기 중반까지,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실질적인 경계는 아마존 상류의 네그루 강과 아마존 강의 합류 지점 부근이었다.

2. 3. 독립 이후와 고무 붐 시대

1822년 브라질의 독립 이후, 아마조나스 주의 현재 국경은 대콜롬비아와의 갈등으로 인해 불분명했다. 당시 이웃 국가 내부의 갈등으로 콜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파나마가 등장했다. 브라질은 바스케스 코보-마르틴스 조약(1908년)을 통해 이들 국가와 협정을 체결하여 마침내 북쪽 영토를 브라질에 귀속시켰다. 이 중 한 지역은 아포포리스-타바팅가 지오데식선으로 표시되며, 다른 지역은 브라질-콜롬비아 국경에 있는 상가브리엘다카쇼에이라 시립 지역이다.[8]

1832년, 아마존 지역은 파라 주로부터 분리되어 자치를 요구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그러나 아마존 지역은 제국 법정에 대표로 호세 두스 산투스 이노센테스 수도사를 보낼 수 있었고, 그는 아마존 상류 지구의 창설을 이끌어냈다. 카바나젬(1835~1840년) 동안 아마존은 제국 정부에 충성을 유지했고 반란에 가담하지 않았다.

이러한 충성에 대한 보상으로, 1850년 페드루 2세 황제는 아마조나스 주를 공식적으로 설립했다.[8]

1904년 마나우스 중심부의 고무 시장


1906년 7월 16일 발행된 아마조나스 주 채권


19세기 중반부터 아마조나스 주는 더 나은 삶을 찾아온 북동부 출신 이주민들을 받아들였다. 이들은 천연 고무 호황에 이끌려 마나우스, 타바팅가, 파린틴스, 이타코아티아라, 바르셀루스와 같은 주요 아마존 도시들에 정착했다.

1890년대 고무 호황의 절정기에 아마조나스 주는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이익은 엄청난 인간의 고통을 수반했는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고무 채취자(세링게이루스)들이 질병과 과로로 사망했다.

1906년 마나우스의 11월 15일 광장


당시 아마조나스 주의 주도였던 마나우스는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을 경험했다. 이는 당시까지 아마존 지역에서만 독점적으로 생산되던 천연 고무(''Hevea brasiliensis'')의 생산 및 수출로 인한 부에서 비롯되었다. 마나우스는 마나우스 항구, 아마존 극장, 사법궁전, 모코 저수지,[9] 최초의 전력망, 트램과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 등 대규모 공사를 진행했다. 마나우스는 아마조나스 주의 번영과 문명의 상징이자 중요한 예술 및 문화 행사의 중심지로 여겨졌다. 전 세계의 사람들이 "검은 황금"이라 불리는 천연 고무를 구입하여 유럽미국의 주요 도시에서 큰 이익을 남기고 되팔기 위해 마나우스의 거리와 대로를 활보하며 사치품 무역이 번성했다.

그러나 1910년부터[10] 아시아의 고무 농장에서 재배된 천연 고무가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더 나은 조건으로 강력한 경쟁을 펼치면서 아마존 경제는 파산하게 되었다.[11][13] 19세기 후반, 영국과 네덜란드의 동남아시아 농장이 더 저렴하고 우수한 품질의 고무를 생산했고, 1900년까지 아마조나스 주는 심각한 경제 침체에 빠졌다.

2. 4. 현대: 자유무역지대와 발전

브라질 군정 시기인 1967년 2월 28일, 제288호 법령에 의해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가 설치되었다.[15] 이는 1957년 6월 3일 제3173호 법률에 의해 이미 구상되었던 프로젝트였다.[14]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는 마나우스 시를 중심으로 10,000km² 면적에 산업, 상업, 농업 중심지를 구축하고 세금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초기에는 아마조나스 주, 아크리 주, 론도니아주, 로라이마주에 혜택이 주어졌으며, 2008년 8월 20일에는 아마파주도 포함되었다.[16] 설립 목적은 지역 인구 정착 촉진, 지역 안전 강화 및 영토 보존, 삼림 벌채 억제, 생물다양성 보존 및 지속가능성 회복이었다.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는 브라질 경제 정책 변화에 따라 여러 단계를 거쳤다.[17] 1990년대 이후 브라질 경제 개방과 함께 수입세 감소, 품질 및 생산성 향상 정책이 시행되었다. 1996년부터는 세계화에 발맞춰 민영화 및 규제 완화 등의 변화가 있었다. 현재 마나우스에는 플렉스트로닉스, LG, 삼성전자 등 여러 다국적 기업들의 제조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3. 지리

아마조나스주는 브라질 북부 지역에 위치하며, 브라질에서 가장 큰 주이다. 면적은 이며, 대부분의 땅이 산림 보호 구역과 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으로의 접근은 주로 수로 또는 항공편을 통해 이루어진다. 아마조나스주는 세계에서 수량이 가장 많은 강인 아마존강에 의해 나뉘어져 있으며,[18] 네그루강, 마데이라강, 푸루스강 등 많은 지류가 있다. 대부분의 강은 대형 선박이 항해할 수 있다.

아마조나스주의 쾨펜 기후 구분


주의 대부분은 광대한 아마존 우림으로 덮여 있으며, 전형적인 열대 우림 기후로 연중 고온 다습하다. 평균 기온은 계절에 따라 사이로 거의 변하지 않으며, 강우량은 월 50~250mm로 연평균 2100mm이다. 주 대부분은 열대 우림 기후대에 속하며, 이는 건기가 없는 열대 기후의 한 유형으로 모든 달의 평균 강수량이 60mm 이상이다.

이 주의 지형은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편이며, 지역의 85%가 100m를 넘지 않는다.[19] 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피쿠 다 네블리나로 높이가 약 2994m이며, 그 다음으로 베네수엘라와 브라질 국경에 위치한 피쿠 31 데 마르소(Pico Phelps)가 2973m이다.

아마조나스주는 98%가 아마존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으며,[19] 세 가지 서식지 유형으로 나뉜다.

  • ''이가포스'' – 영구적으로 홍수가 나는 땅, 식물의 뿌리는 항상 물에 잠겨 있다.
  • ''바르제아스'' – ''이가포스''보다 높은 지역, 우기 동안 강이 가장 높을 때만 물에 잠긴다.
  • 저지대 고원 – 더 높은 지역으로, 절대 물에 잠기지 않는다.


아마존은 지구상에 남아 있는 열대우림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세계에서 가장 크고 종이 가장 풍부한 열대우림 지역이다.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림은 아프리카아시아의 습윤림보다 일관되게 종이 더 풍부하다.[20] 전 세계 종의 3분의 1 이상이 아마존 열대우림에 서식하며,[21] 거의 매일 새로운 종이 발견되고 있다.

아마존의 존재로 도로망이 열악하기 때문에 이동 수단은 주로 배와 항공기가 된다. 특히 항공기는 중소규모의 공항이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아마조나스주를 기반으로 하는 중소 항공사도 있다.

3. 1. 행정 구역

아마조나스 주는 62개의 자치구로 나뉘며, 13개의 마이크로 영역과 4개의 메소레온으로 분류된다. 주도는 마나우스이다.

마나우스(Manaus)


순위도시명인구 (명)
1마나우스(Manaus)2,145,444
2파린틴스(Parintins)113,168
3이타코아치아라(Itacoatiara)99,955
4마나카푸르(Manacapuru)96,236
5코아리(Coari)84,272
6타바친가(Tabatinga)64,488
7마우에스(Maués)62,755
8테페(Tefé)60,154
9마니코레(Manicoré)54,907
10우마이타(Humaitá)54,001
11주타이(Jutaí)17,964


3. 2. 인접 지역

북쪽으로는 로라이마주, 베네수엘라, 콜롬비아와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페루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아크리주, 론도니아주, 마투그로수주와 접한다. 동쪽으로는 파라주와 접하고 있다.

4. 인구

2022년 기준 아마조나스주의 인구는 약 394만 명으로, 브라질 전체 인구의 1.9%를 차지한다.[22] 인종 구성은 혼혈이 68.80%로 가장 많고, 백인 18.40%, 원주민 7.70%, 흑인 4.90% 순이다.[27] 아마조나스주는 브라질에서 원주민 인구가 가장 많은 주이며, 53개의 원주민 언어가 사용된다.[28]

아마조나스주는 20세기 초 고무 호황기와 1960년대 마나우스 산업 단지 조성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겪었다. 1991년부터 2000년 사이 아마조나스주의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3.3%로, 전국 평균 1.6%를 크게 상회했다.[26]

2022년 아마조나스주의 인종 구성[23]
인종비율
혼혈68.80%
백인18.40%
원주민7.70%
흑인4.90%



주도인 마나우스는 북부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로, 약 214만 명이 거주하며 주 인구의 52%를 차지한다.[24] 2013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마나우스 주민들의 조상은 유럽인 45.9%, 아메리카 원주민 37.8%, 아프리카인 16.3%로 구성되어 있다.[29]

주요 도시로는 마나우스 외에 파린틴스, 이타코아티아라, 마나카푸루, 코아리 등이 있다.[24]

아마조나스주 주요 도시 (2016년 브라질 지리통계원 추산)[31]
순위도시인구
1마나우스2,094,391
2파린틴스112,716
3이타코아티아라98,503
4마나카푸루95,330
5코아리83,929



2006년 기준 도시화율은 77.6%이다.[26]

4. 1. 언어

포르투갈어는 아마조나스주의 공식 언어이며, 학교에서 주로 가르치는 언어이다. 하지만 영어스페인어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상가브리엘다카쇼이라 시에서는 원주민 투피어족 언어인 네엥가투어가 공식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지역에 수천 명의 화자가 있다.[1]

4. 2. 종교

2010년 브라질 지리통계원(IBGE) 조사에 따르면, 아마조나스주의 종교는 가톨릭 59.46%, 개신교 31.16%, 무종교 6.0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30]

종교비율인구
가톨릭교회59.46%2,071,453
개신교31.16%1,085,480
무종교6.03%209,952
카르데시즘 영매술0.42%14,800
움반다 및 칸돔블레0.05%1,677
유대교0.05%1,696
출처: IBGE 2010.[30]



아마조나스 주의 가톨릭교회는 마나우스 대교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부터 레오나르도 울리히 슈타이너 대주교가 관할하는 마나우스 대교구는 92개의 본당으로 구성되며, 다음 5개의 속주교구를 관할한다.


  • 알투 솔리몽이스 교구(1910년): 아돌포 존 페헤이라 주교(2015년) 휘하 8개 본당
  • 보르바 교구(1963년): 제닐두 루이스 페헤이라 다 실바 주교(2017년) 휘하 8개 본당
  • 코아리 교구(1963년): 마렉 마리안 피아텍 주교(2011년) 휘하 10개 본당
  • 파린틴스 교구(1955년): 조제 알부케르케 지 아라우주 주교(2022년) 휘하 9개 본당
  • 상 가브리엘 다 카쇼에이라 교구(1925년, 리우 네그루로 설립): 에드손 타셰토 다미앙 주교(2009년) 휘하 11개 본당


그리고 다음 2개의 교구장좌구가 있다.

  • 이타코아티아라 교구장좌구(1963년): 조제 이오닐톤 리스보아 지 올리베이라 주교(2017년) 휘하 13개 본당
  • 테페 교구장좌구(1910년): 조제 알테비르 다 실바 주교(2022년) 휘하 31개 본당


또한, 론도니아 주 포르투벨류의 2개 속주교구가 있다.

  • 우마이타 교구(1961년): 안토니우 폰티넬레 지 멜루 주교(2020년) 휘하 8개 본당
  • 라브레아 교구장좌구(1925년): 산티아고 산체스 세바스티안 주교(2016년) 휘하 5개 본당

5. 경제

아마조나스주의 경제는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를 중심으로 한 산업이 가장 큰 비중(69.9%)을 차지한다.[14][15][16][17] 서비스업(23.93%)과 농업(3.6%)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7] 주요 수출품은 휴대전화(48.7%), 기타 전자제품(19.5%), 오토바이(7.7%) 등이다.[17]

19세기 중반부터 북동부 출신 이주민들이 더 나은 삶을 찾아 아마조나스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마나우스, 타바팅가, 파린틴스, 이타코아티아라, 바르셀루스와 같은 주요 도시에 정착하여 고무 호황을 이끌었다. 1890년대 고무 호황의 절정기에 아마조나스 주는 번영을 누렸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원주민들이 질병과 과로로 사망하는 고통을 겪었다.[9][10][11][12][13]

천연 고무(''Hevea brasiliensis'') 생산과 수출로 인해 마나우스는 아마존 극장, 사법궁전, 모코 저수지 등 대규모 공사를 진행하며 문화 중심지로 성장했다. 그러나 1910년부터 아시아 지역의 고무 농장과의 경쟁으로 아마존 경제는 파산했다.[10][11][13]

1957년, 브라질 군정은 마나우스 자유무역지대 프로젝트를 시행하여 이 지역의 인구 정착, 안전 강화, 생물다양성 보존을 목표로 했다. 이 프로젝트는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했으며, 현재 산업 부문이 주 경제를 이끌고 있다.[14][15][16][17] 플렉스트로닉스, LG, 소니, 삼성전자, 혼다, 야마하 등 주요 전자 및 오토바이 제조업체들이 마나우스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고무 산업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카사바, 오렌지 등 다양한 농산물 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5. 1. 관광 산업

아마조나스 주의 관광 산업은 에코투어리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바르셀루스, 마나우스, 파린틴스, 프레지덴치 피게이레두, 상가브리엘다카쇼이라와 같은 도시들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1]

아마존주 상가브리엘다카쇼이라의 6개 호수 언덕의 일몰


주요 관광 자원으로는 아마존 열대우림,[2] 아마존강,[3] 물의 만남(네그루강과 솔리몽이스강의 합류 지점),[4] 네그루강,[5] 세계 최대의 담수 강섬 군도인 아나빌하나스 군도 등이 있다.[6]

마나우스와 노부아이라웅 사이에 위치한 아나빌하나스 국립공원


이 외에도 자나우아리 호수 생태공원,[7] 피쿠다네블리나 국립공원,[8] 피쿠 31 데 마르소,[9] 아카라 산맥 주립 생태공원,[10] 냐문다 주립 생태 보호구역,[11] 아마존 정글 하이킹 & 캐노피 투어,[12] 아돌포 듀케 숲 보호구역,[13] 마미라우아 지속 가능한 개발 보호구역,[14] 자우 국립공원,[15] 아부파리 생물 보호구역[16] 등이 있다.

물의 만남은 어두운 검은 물(blackwater)의 네그루강과 밝은 모래빛의 흰 물(whitewater) 아마존강 또는 이 합류점 상류의 브라질에서 알려진 솔리몽이스강의 합류 지점이다.


또한, 폼파두어 물고기,[17] 카디널 테트라,[18] 프테로필룸 스칼라레 (민물 앵글피시)[19]와 같은 다양한 생물종과 아수투바 해변,[20] 투페 해변[21]도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브라질 아마존주 마나우스의 아돌포 리스보아 시장


6. 교통

아마조나스주는 아마존강의 존재로 인해 도로망이 열악하여, 주요 이동 수단은 배와 항공기이다. 특히 항공기는 중소규모의 공항이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아마조나스 주를 기반으로 하는 중소 항공사도 있다.[32]

마나우스에는 에두아르두 고메스 국제공항이 있으며, 브라질에서 세 번째로 큰 화물 운송 공항이다. 이 공항에는 3개의 화물 터미널이 있으며, 터미널 I은 1976년, 터미널 II는 1980년, 터미널 III는 2004년에 개장했다.

주 내에는 타바팅가 국제공항, 테페 공항(리코 리냐스 아에레아스의 마나우스 정기편), 파린틴스 공항(줄리오 벨렘), 코아리 공항, 라브레아 공항, 마니코레 공항, 노보 아리푸아나 공항, 보르바 공항, 이타코아티아라 공항, 프레지덴치 피게이레두 공항, 상 가브리엘 다 카쇼에이라 공항, 쿠쿠이 공항, 이아구아레테 공항, 벤자민 콘스탄트 공항, 에이루네페 공항, 보카 두 아크레 공항 등 31곳의 국내 공항이 있다.[32]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BR-174: 마나우스에서 로라이마주 보아비스타까지 연결.
  • BR-230 (트랜스아마조니카 고속도로): 파라주 이타이투바에서 라브레아까지 이어지지만, 대부분 포장되지 않아 우기에는 통행이 불가능.
  • BR-319: 론도니아주 포르투벨류까지 이어지지만, 대부분 포장되지 않아 우기에는 통행이 불가능.
  • BR-307
  • BR-317
  • BR-411
  • BR-413


로라이마주로 가는 도로는 BR-174, 파라주로 가는 도로는 BR-230, 론도니아주로 가는 도로는 BR-319가 유일하다. 아크리주로 가는 도로는 BR-317과 BR-364 (아마조나스 주 8.6km 구간 통과)가 있다.

7. 문화

아마조나스 주에서는 매년 6월 파린틴스 민속 축제가 열리는데, 이는 브라질에서 가장 큰 민속 축제 중 하나이다. 이 축제는 음악, 무용, 그리고 주의 모든 문화적 뿌리를 결합한 것이다. 마나우스에는 아마존 극장이 있으며, 이곳에서 아마조나스 오페라 축제가 개최된다.

주요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박물관 이름
아마조니아 박물관
인디언 박물관
고무 박물관



주요 쇼핑몰은 다음과 같다:

쇼핑몰 이름
마나우아라 쇼핑몰
아마조나스 쇼핑몰
폰타네그라 쇼핑몰


8. 교육

아마조나스주에는 다음과 같은 대학교와 연구 기관들이 있다.


  • 아마조나스 연방대학교(UFAM)
  • 아마조나스 주립대학교(UEA)
  • 아마조나스 연방연구소(IFAM)
  • 아마존 열대우림 연구 국립연구소(INPA)
  • 파울리스타대학교(Unip-AM)
  • 닐톤 린스 대학교
  • 브라질 루터 대학교(ULBRA)
  • 아마조나스 고등교육 대학교 센터(CIESA)
  • 마테르데이 고등교육원
  • 리테라투스 대학교(Uni-Cel)
  • 메트로폴리탄 대학교(FAMETRO)
  • 아마조나스 침례신학대학교(ESBAM)
  • 로리엣 국제대학교 유닌노르테
  • 데브리 마르타 팔까오
  • 유닐라살레
  • 아마조나스대학교

9. 스포츠

마나우스2014년 FIFA 월드컵 개최 도시 중 하나였다. 아마조니아 경기장은 2014년 FIFA 월드컵 경기와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를 위해 건설된 아마조나스 주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다.[33][34]

2014년 FIFA 월드컵 경기가 개최되었던 아마존 경기장


아마조나스 주에는 다음과 같은 소규모 축구 경기장들도 있다.

경기장 이름
카를로스 자미스
로베르토 시몬센
콜리나
질베르투 메스트리뉴
투피 칸타헤데
플로로 드 멘돈사
프란시스코 가르시아
아마조나스의 다른 경기장들


참조

[1] 웹사이트 2022 Census Overview https://censo2022.ib[...]
[2] 웹사이트 PIB por Unidade da Federação, 2021 https://www.ibge.gov[...]
[3] 웹사이트 Atlas do Desenvolvimento Humano no Brasil. Pnud Brasil, Ipea e FJP, 2022. http://www.atlasbras[...] 2023-06-11
[4] 웹사이트 Amazonas {{!}} History, Map, Population,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2-01
[5] 웹사이트 Delle nauigationi et viaggi https://archive.org/[...] In Venetia, : MDCVI. Appresso i Giunti.
[6] 웹사이트 Historia general de los hechos de los castellanos en las Islas i Tierra firme del Mar Océano - Memoria Chilena http://www.memoriach[...]
[7] 웹사이트 Real Academia Hispano Americana de Ciencias, Artes y Letras https://archive.org/[...]
[8] 서적 Dicionário do Folclore Brasileiro: 10a ed. Ediouro
[9] 서적 Manaus:Referências Históricas Norma
[10] 뉴스 Brazilian State Fails to Recov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29-09-15
[11] 웹사이트 Ciclo da Borracha http://www.portalsao[...] 2015-12-21
[12] 서적 Pará E Amazonas: Questão De Limites (reproduction) Nabu Press 2010-02-22
[13] 서적 The State of Amazonas
[14] 웹사이트 Law of creation of the free trade zone https://www.planalto[...]
[15] 웹사이트 Law of implementation of free trade zone http://www.planalto.[...] 1967-02-28
[16] 웹사이트 SUFRAMA assists Amapá State to disclose opportunities https://web.archive.[...] SUFRAMA 2016-03-18
[17] 논문 The Manaus free trade Zone: evolution and Results https://web.archive.[...] Federal University of Rio de Janeiro State; Institute of Economy
[18] 서적 Interactions Between Biosphere, Atmosphere and Human Land Use in the Amazon Basin Springer
[19] 뉴스 The New York Times article on 2005 drought in Amazonas https://www.nytimes.[...]
[20] 서적 The Ecology of Trees in the Tropical Rain For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Amazon Rainforest, Amazon Plants, Amazon River Animals http://www.worldwild[...]
[22] 웹사이트 2022 Census Overview https://censo2022.ib[...]
[23] 웹사이트 Tabela 2094: População residente por cor ou raça e religião https://sidra.ibge.g[...] 2021-04-25
[24] 웹사이트 SEPLAN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Regional Electoral Court - Amazonas https://web.archive.[...]
[26] 기타
[27] 웹사이트 Síntese de Indicadores Sociais 2007 ftp://ftp.ibge.gov.b[...] IBGE
[28] 뉴스 Brasil abre una tímida puerta al reconocimiento institucional de las lenguas indígenas https://elpais.com/c[...] 2023-09-04
[29] 학술지 Revisiting the Genetic Ancestry of Brazilians Using Autosomal AIM-Indels
[30] 웹사이트 Sistema IBGE de Recuperação Automática — SIDRA http://www.sidra.ibg[...] Sidra.ibge.gov.br
[31] 웹사이트 Censo Populacional 2016 ftp://ftp.ibge.gov.b[...] IBGE 2016-07-01
[32] 기타
[33] 뉴스 In the Brazilian Rain Forest, 'a White Elephant, a Big One' https://www.nytimes.[...]
[34] 뉴스 U.S. Women's Soccer Team Slips Before Even Getting to Rio https://www.wsj.com/[...] 2016-08-12
[35] 웹사이트 Amazonas | Cidades e Estados | IBGE https://www.ibge.gov[...]
[36] 웹인용 2022 Census Overview https://censo2022.i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