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AH1)은 일본 도쿄에서 시작하여 튀르키예-불가리아 국경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약 20,557km의 국제 간선 도로이다.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튀르키예 등 14개국을 경유하며, 각 국가의 국도, 고속도로 등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대한민국 구간은 부산항에서 시작하여 판문점까지 약 500km 구간이며, 경부고속도로를 포함한다. AH1은 북한 핵 문제, 정치적 불안정, 국가 간 협력 부족, 재정 부족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할이 필요한 문서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에 대한 지지율을 조사 의뢰 기관, 조사 기간, 정당별 후보 지지율 등을 포함하여 전국 및 각 지역구별로 정리한 결과를 제공한다.
  • 분할이 필요한 문서 - 메디아셋
    메디아셋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설립한 이탈리아 주요 미디어 그룹으로, 전국 지상파 채널 운영, 디지털 채널 및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국제적 사업 확장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정치적 영향력, 법적 분쟁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 방글라데시의 도로 - 그랜드 트렁크 로드
    그랜드 트렁크 로드는 기원전 3세기부터 존재했던 인도 동부와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도로로, 여러 제국을 거치며 개축 및 확충되었고, 현재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주요 도로로 남아 있으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방글라데시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2호선은 싱가포르에서 이라크 국경까지 아시아 대륙을 동서로 횡단하는 총 길이 약 13,177km의 주요 간선 도로망으로, 국제 무역 활성화와 경제 협력 증진에 기여하며 대한민국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베트남의 도로 - 베트남의 고속도로
    베트남의 고속도로는 경제 성장과 지역 연결성 강화를 목표로 정부와 민간의 투자를 통해 건설 및 확장되고 있으며, 남북고속도로 동부 구간 건설 사업이 핵심이지만, 자금 부족, 토지 보상, 환경 문제, 부패 문제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베트남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4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4호선은 베트남, 중화인민공화국, 미얀마를 연결하는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으로, 베트남 하이퐁에서 라오까이까지 446km, 중국 허커우에서 루이리 국경 검문소까지 1,178km, 미얀마 무세에서 만달레이까지 453km 구간을 포함한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종류아시아 하이웨이
노선 번호1호선
총 길이20,557 km
제정 연도1959년
기점일본 도쿄도 주오구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 에도바시 JCT (니혼바시 부근)
종점튀르키예 에디르네주 카피쿨레 (튀르키예/불가리아 국경)
주요 경유국일본
한국
북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튀르키예
노선 정보
방향동쪽에서 서쪽
다음 노선 종류아시아 하이웨이
다음 노선 번호2호선
기타 정보
관련 문서아시아 하이웨이 네트워크

2. 노선

AH1은 일본 도쿄에서 시작하여 튀르키예-불가리아 국경까지 이어진다.

국경 통과 지점
통과국 1통과국 2위치
일본 대한민국해상 (쓰시마 해협 서수도)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판문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베트남 캄보디아
캄보디아 태국
태국 미얀마
미얀마 인도
인도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 파키스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이란 터키
터키()


2. 1. 일본

일본 구간은 총 연장 1,108km[7][11]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1,200km[1])이며, 2003년 11월에 AH1에 편입되었다.[6][10]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을 시작으로, 수도고속도로 3호선 시부야 선, 도메이 고속도로, 메이신 고속도로, 주고쿠 자동차도, 산요 자동차도, 히로시마이와쿠니 도로, 간몬 자동차도, 규슈 자동차도, 후쿠오카 고속 4호 가스야 선, 후쿠오카 고속 1호 가시이 선을 경유한다.[8][12][3]

30px
수도고속도로 도심 환상선(에도바시 JCT - 다니마치 JCT(다케바시 JCT 경유))[12]

30px
수도고속도로 3호선 시부야 선(다니마치 JCT - 요가 램프)[12]

E1
30px
도메이 고속도로(도쿄 IC - 고마키 JCT - 고마키 IC)[12]

메이신 고속도로(고마키 IC - 스이타 JCT)[12]

E2A
30px
주고쿠 자동차도(스이타 JCT - 고베 JCT)[12]

E2
30px
산요 자동차도(고베 JCT - 하스카이치 JCT)[12]

히로시마이와쿠니 도로(하스카이치 JCT - 오오타케 JCT)[12]

산요 자동차도(오오타케 JCT - 야마구치 JCT)[12]

주고쿠 자동차도(야마구치 JCT - 시모노세키 IC)[12]

간몬 자동차도(시모노세키 IC - 모지 IC)[12]

E3
30px
규슈 자동차도(모지 IC - 후쿠오카 IC)[12]

|30px|링크=|alt=]] 후쿠오카 고속 4호 가스야 선(후쿠오카 IC - 가이즈카 JCT)[12]

|30px|링크=|alt=]] 후쿠오카 고속 1호 가시이 선(가이즈카 JCT - 하카타 항 국제 터미널)[12]

후쿠오카현에서는 하카타 항 국제 터미널에서 카페리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로 연결된다.[13]

30px
카멜리아 라인 연락선으로 부산, 대한민국까지.

한일해저터널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업을 백지화하였다.[13]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시점, 도쿄 주오구, 일본. 도쿄까지의 고속도로 거리 측정을 위한 "영마일 표지"인 니혼바시


관문해협에 걸린 관문교(야마구치현시모노세키시・후쿠오카현기타큐슈시)

2. 2. 대한민국

대한민국 구간은 총 연장 약 500km이다.[6]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시작하여 충장대로, 번영로, 경부고속도로, 한남대로, 남산제1호터널, 퇴계로, 통일로를 거쳐 판문점까지 이어진다.

대한민국의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표지판


대한민국의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표지판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광역시 동구 구간은 충장대로를 경유한다.[14]
  • 부산광역시 동구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간은 번영로를 경유한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구간은 경부고속도로를 따른다. 경부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 양산시 - 울산광역시 - 경주시 - 영천시 - 경산시 - 대구광역시 - 칠곡군 - 구미시 - 김천시 - 영동군 - 옥천군 - 대전광역시 - 청주시 - 천안시 - 안성시 - 평택시 - 안성시 - 용인시 - 평택시 - 오산시 - 화성시 - 용인시 - 성남시 -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지난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 강남구구간은 구 경부고속도로이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 용산구 구간은 한남대교와 한남대로를 지난다.
  • 서울특별시 용산구 - 중구 구간은 남산제1호터널을 지난다.
  • 서울특별시 중구 - 서울역 구간은 퇴계로를 경유한다.
  • 서울역 - 종로구 - 서대문구 - 은평구 구간은 통일로를 지난다.
  • 서울특별시 은평구 - 고양시 - 파주시 - 통일대교 - 판문점 구간은 통일로를 경유한다.


경부고속도로는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AH1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통일대교 이북은 민간인통제선 내에 포함되어 있어 허가받은 자 외에는 통행할 수 없다. 판문점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연결되지만,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자유로운 통행은 어려운 상황이다.

2.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은 총 연장 405km이다.[10][6] 판문점에서 시작하여 평양개성고속도로평양희천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신의주시까지 이어진다. 평양개성고속도로의 개성특별시에서 평양직할시 구간과, 평양희천고속도로의 평양직할시에서 안주시 구간을 거친다. 이후 안주시에서 신의주시까지는 운전군, 정주시, 곽산군, 선천군, 동림군, 염주군, 용천군을 경유한다. 신의주에서는 중조우의교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과 연결된다.

판문점 - 평양개성고속도로

30px
평양개성고속도로: 개성특별시 - 평양직할시

평양희천고속도로: 평양직할시 - 평원군 - 숙천군 - 문덕군 - 안주시

안주시 - 운전군 - 정주시 - 곽산군 - 선천군 - 동림군 - 염주군 - 용천군 - 신의주시

2. 4. 중국

중국 구간은 총 연장 4,283km이다.[10][6] 조중우의교를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신의주시와 연결되며, 랴오닝성 단둥 시에서 시작한다. 이후 일반 국도와 고속 국도로 나뉘어 선양시, 베이징시를 거쳐 광둥성 광저우시까지 이어진다.

일반 국도 경로는 다음과 같다.

  • 40px
    G304 국도: 단둥 시 ~ 선양시
  • 40px
    G102 국도: 선양시 ~ 베이징시
  • |40px]] G107 국도: 베이징시 ~ 허베이성 스자좡 시 ~ 허난성 정저우 시 ~ 신양 시 ~ 후베이성 우한시 ~ 후난성 창사 시 ~ 샹탄 시 ~ 광둥성 광저우시
  • '''
    |40px]] G310 :''' 정저우 ~ 쉬창 ~ 신양 ~ 우한
  • ''' G107 :''' 우한 ~ 창사 ~ 샹탄
  • |40px]] G322 국도: 샹탄 시 ~ 광저우 시 ~ 난닝 시


고속 국도 경로는 다음과 같다.

  • |40px]] 단푸 고속공로: 단둥 시 단둥 IC ~ 선양시 베이리관 JCT
  • |40px]] 징하 고속공로: 선양시 베이리관 분기점 - 베이징시 사방차오 분기점
  • 베이징 4환선 사방차오 분기점 - 웨거장 분기점
  • |40px]] 경항오 고속공로: 베이징시 웨거장 분기점 - 스자좡 시 위화루IC - 정저우 시 신정IC - 신양 시 신양IC - 우한 시 양루쓰 요금소 - 창사 시 리자탕 분기점 - 광저우 시 타이허 분기점


베이징 근교에 있는 징강아오 고속공로의 모습


|섬네일|200px|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에 편입된 고속공로의 모습]]

광저우에서는 광저우 환상 고속도로를 거쳐 광쿤 고속도로를 통해 난닝 시로 이어진다.

  • |40px]] 광저우 환상 고속도로: 광저우시 타이허 분기점 - 마오산 분기점 - 룽산 분기점 - 포산시헝장 분기점
  • |40px]] (G80) : 포산시 헝장 분기점 - 난닝시싼안 분기점


난닝에서는 난유 고속도로를 통해 우의관에서 베트남과 연결된다.

  • |40px]] 난유 고속도로: 난닝 시 싼안 분기점 - 충저우시우이관IC


광저우에서 선전시를 거쳐 홍콩으로 이어지는 지선도 존재한다.

  • : 광저우 - 선전 (선전만 항구(Shenzhen Bay Port))

2. 5. 홍콩 (중국 특별행정구)

홍콩 10호 간선도로
홍콩 10호 간선도로/香港10號幹線중국어 : 선전만 검문소 - 선전-홍콩 서부 통로 - 람테이

홍콩 구간은 총 연장 10.9km이다. 전 구간이 광저우에서 분기하는 지선의 일부이다.

2. 6. 베트남

베트남 구간은 총 연장 2,063km이다.[6] 후우응이 관문에서 시작하여 하노이, , 동허이, 동하, 후에, 다낭, 호찌민 등을 경유한다.[6] 이 도로는 국도 제1호선국도 제22호선을 따라 이어지며, 호찌민에서 목바이를 통해 캄보디아와 연결된다.

박닌 근교에 있는 남북고속도로 (베트남)의 모습


25px
국도 제1호선: 난닝-하노이 - - 동허이 - 동하 - 후에 - 다낭 - 호이안 - 냐짱 - 비엔호아 - 호찌민

25px
국도 제22호선: 호찌민 - 목바이

Long Thanh Bridge


1A국도 후에 교외

2. 7. 캄보디아

캄보디아 구간은 총 연장 575km이다.[6] 1번 국도는 바벳에서 프놈펜까지 이어지며, 5번 국도는 프놈펜에서 포이펫까지 이어진다. 이 도로는 프놈펜의 모니봉 다리(Monivong Bridge)를 거친다.

2. 8. 태국

태국 구간의 총 연장은 701km이다.[6] 아란야프라텟에서 시작하여 방콕, 나콘사완, , 메솟 등을 경유한다.

경로를 보면, 아란야프라텟에서 카빈부리를 거쳐 힌콩까지 33번 도로를 따라간다. 이후 힌콩에서 방파인까지는 1번 도로를 이용하며, 방파인에서 차이나트까지는 32번 도로를 이용한다. 차이나트에서 딱까지는 다시 1번 도로를 이용하고, 딱에서 메솟까지는 12번 도로를 따라간다.

방파인에서 방콕까지 이어지는 1번 도로는 지선이다.

태국-미얀마 친선 다리


메솟에서는 태국-미얀마 친선 다리를 통해 미얀마와 연결된다.[6]

아유타야의 AH1, AH2 및 32호선

2. 9. 미얀마

미얀마 구간은 총 연장 1,650km이다.[6] 미야와디에서 시작하여 파야기, 메이크틸라, 만달레이, 타무 등을 경유한다. 미야와디에서 파야기 구간은 8번 국도를, 파야기에서 메이키틀라, 만달레이를 거쳐 타무까지는 7호선(AH2와 동시 구간)과 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를 따라 이어진다.[6] 파야기에서는 양곤으로 이어지는 지선이 분기된다.[6] 타무에서 인도와 연결된다.

2. 10. 인도

인도 구간은 총 연장 2,648km이다.[6] 2011년에 국도 번호가 변경되었다.[9] 인도의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동부와 서부로 나뉘며, 동부 구간은 마니푸르주 모레에서 시작하여 임팔, 코히마, 디마푸르, 도보카, 나가온, 조라바트, 실롱을 거쳐 다우키에서 방글라데시와 연결된다.

아세안 인도 자동차 랠리가 누말리가르에서 AH1을 통과하는 모습


동부 구간은 다음의 국도들을 경유한다.

  • 30px
    국도 102호선: 모레 - 임팔
  • 30px
    국도 2호선: 임팔 - 코히마
  • 30px
    국도 29호선: 코히마 - 디마푸르 - 도보카
  • 국도 129호선 (인도): 디마푸르 - 누말리가르
  • 30px
    국도 27호선: 도보카 - 나가온 - 조라바트
  • 30px
    국도 6호선: 조라바트 - 실롱
  • 30px
    국도 206호선: 실롱 - 다우키


두르가푸르 부근의 국도 19호선


서부 구간은 페트라폴에서 시작하여 바라사트, 콜카타, 두르가푸르, 바르히, 바라나시, 칸푸르, 아그라, 뉴델리, 잘란다르, 암리트사르를 거쳐 아타리에서 파키스탄과 연결된다.

서부 구간은 다음의 국도들을 경유한다.

  • 30px
    국도 112호선: 페트라폴 - 바라사트
  • 30px
    국도 12호선: 바라사트 - 콜카타
  • 30px
    국도 19호선: 콜카타 - 두르가푸르 - 바르히 - 바라나시 - 칸푸르 - 아그라 - 뉴델리
  • 30px
    국도 44호선: 뉴델리 - 잘란다르
  • 30px
    국도 3호선: 잘란다르 - 암리트사르 - 아타리 (인도-파키스탄 국경)

2. 11.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구간은 총 연장 508km이다.[6] 타마빌에서 시작하여 실렛, 다카 등을 거쳐 제소르, 베나폴에서 인도와 연결된다.[5]

경로는 다음과 같다.

  • 타마빌, 실렛 - 실렛 - 칸치푸르 - 다카 (N2)
  • 다카-마와-반가 고속도로 (N8)
  • 반가, 파리드푸르 - 알리푸르, 파리드푸르 (N804)
  • 알리푸르, 파리드푸르 - 골차못, 파리드푸르 (N803)
  • 파리드푸르 - 제소르 (N7)
  • 제소르 - 베나폴 (N706)

2. 12. 파키스탄

파키스탄 구간은 총 연장 607km이다.[6] 와가에서 시작하여 라호르, 이스라마바드, 페샤와르, 토르캄 등을 경유한다. 그랜드 트렁크 로드(Grand Trunk Road)를 거쳐, M2 고속도로, M1 고속도로, N-5 국도를 따라 이어진다.

카이버 고개(Khyber Pass)


M2 고속도로, 라호르-이스라마바드


경로는 펀자브주 와가에서 라호르까지 이어지고, M2 고속도로를 통해 이스라마바드로 연결된다. 이후 M1 고속도로를 통해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 페샤와르를 거쳐 N-5 국도를 따라 토르함을 지나 카이베르 고개를 통해 아프가니스탄과 연결된다.

2. 13.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구간은 총 연장 1,400km이다.[6] 잘랄라바드, 카불, 칸다하르, 델라람, 헤라트, 이슬람 칼라 등을 경유한다. 이 도로는 아프가니스탄 순환 고속도로를 따라 이어지며, 이슬람 칼라에서 이란과 연결된다.

2. 14. 이란

이란 구간은 총 연장 2,103km이다.[6] 도카룬에서 시작하여 마슈하드, 테헤란, 타브리즈, 바자르간 등을 경유한다.

  • 18px
    : 이슬람 칼라 - 타이바드
  • 18px
    : 타이바드 - 상 바스트
  • 18px
    : 상 바스트 - 니샤푸르 - 사브제바르 - 샤흐루드 - 담간 - 세므난 - 테헤란
  • 13px
    : 테헤란 - 가즈빈 - 잔잔 - 타브리즈

2번 고속도로, 이란 내 AH1의 연장선


가즈빈-라슈트 고속도로 교차로 다리는 이란 내 잔잔-가즈빈 고속도로에 있다.


바자르간에서 튀르키예와 연결된다.

2. 15. 튀르키예

튀르키예 구간은 총 연장 1,915km이다.[6] 이란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귀르불락에서 시작하여, 도우베야짓, 아슈칼레, 레파히예, 시바스를 거쳐 앙카라, 이스탄불, 에디르네, 카피쿨레 등을 경유한다.[6]

튀르키예 구간은 유럽 고속도로 E80호선과 대부분 겹친다. D100번 국도는 귀르불락에서 도우바야즈이트, 아슈칼레, 레파히예를 거쳐 시바스까지 이어진다. 시바스에서 앙카라까지는 D200번 국도가 연결된다. 앙카라에서 게레데를 거쳐 이스탄불까지는 오토욜 4호선이 이어진다. 이스탄불에서는 파티흐 술탄 메흐메트 다리를 통해 오토욜 2호선과 연결되고, 오토욜 3호선을 통해 에디르네까지 이어진다. 에디르네에서 카피쿨레까지는 다시 D100번 국도가 이어지며, 카피쿨레에서 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마리차 고속도로와 연결된다.[6]

3. 주요 문제점 및 과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AH1)은 여러 국가를 통과하는 만큼, 다양한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다.
북한 핵 문제: 북한 핵 문제는 AH1의 핵심 구간인 한반도 구간의 활용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다. 북한의 핵 개발과 이에 따른 국제 사회의 제재는 남북 관계 경색으로 이어져 도로 연결 및 이용에 제약을 가하고 있다.
정치적 불안정: 일부 국가의 정치적 불안정은 도로 건설 및 유지 보수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정권 교체나 내전 등으로 인해 도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통행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발생한다.
국가 간 협력 부족: AH1은 여러 국가를 통과하는 만큼, 국가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경 통과 절차, 통관 문제, 표준 규격 상이 등에서 협력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물류 이동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재정 부족: AH1 건설 및 유지 보수에는 막대한 재정이 필요하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재정 부족으로 인해 도로 건설이 지연되거나 유지 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도로의 질 저하로 이어져 안전 문제를 야기하고, 통행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4. 한국의 역할과 기대 효과

5. 더불어민주당의 관점 (참고)

참조

[1] 간행물 2003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03
[2] 간행물 2003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03
[3] 웹사이트 アジアハイウェイ標識の設置場所 http://www.mlit.go.j[...] MLIT 2011-12-05
[4] 간행물 2003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03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1-26
[6] 웹사이트 Asian Highway Handbook https://web.archive.[...] UNESCAP 2012-05-11
[7] 웹사이트 国別AH概要 > 日本 (Japan) - アジアハイウェイ路線とその現状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総合政策局 2012-05-11
[8] 웹사이트 アジアハイウェイ標識の設置場所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道路局 2012-05-11
[9] 보고서 Rationalisation of Numbering Systems of National Highways(ヒンディー語、英語) http://dorth.gov.in/[...] 인도 도로교통부 2010-04-28
[10] 웹인용 Asian Highway Handbook https://web.archive.[...] UNESCAP 2012-05-11
[11] 웹인용 国別AH概要 > 日本 (Japan) - アジアハイウェイ路線とその現状 https://web.archive.[...] 일본 국토교통성 총합정책국 2012-05-11
[12] 웹인용 アジアハイウェイ標識の設置場所 http://www.mlit.go.j[...] 일본 국토교통성 도로국 2012-05-11
[13] 뉴스 국토부, 한중ㆍ한일 해저터널 기술적 검토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0-09-21
[14] 문서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서는 해제된 구간이다.
[15]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3-26
[16]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17]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8]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19]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