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오바급 중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오바급 중순양함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제한 내에서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중순양함으로, 후루타카급의 개량형이다. 20cm 연장포 3기를 장착하여 공격력을 강화하고, 수상기 사출기를 탑재하여 수색 능력을 향상시켰다.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조약 이후 근대화 개장을 통해 주포, 어뢰, 대공포, 기관총 등을 개량했다. 아오바와 키누가사 두 척이 건조되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두 함선 모두 태평양 전쟁에서 격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중순양함 함급 - 후루타카급 중순양함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최초의 중순양함인 후루타카급은 A급 순양함으로도 불리며, 20.3cm 주포와 어뢰 발사관을 장비하고 현대화 개수를 거쳐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나 모두 침몰했다.
아오바급 중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함급 명칭아오바급 중순양함
원어 명칭nihongo: 아오바형 순양함
후리가나: あおばがたじゅんようかん
로마자 표기: Aoba-gata jun'yōkan
함급 정보
건조1924년 - 1927년
취역1927년 - 1945년
건조 회사미쓰비시 조선소, 나가사키
가와사키 조선소, 고베
계획 척수2척
완공 척수2척
손실 척수2척
퇴역 척수1척
명명 기준산의 이름
이미지
취역 직후의 아오바
취역 직후의 아오바
일반 특성 (화이트리 기준)
함종중순양함
기준 배수량7,100톤
만재 배수량8,900톤
추진 동력4축 파슨스 기어 터빈
12개의 간폰 보일러
항속 거리(에서)
승무원625명
무장 (초기)
주포6 × /50구경 3년식 해군포 (3 × 2)
부포4 × /45구경 (4 × 1)
어뢰12 × 어뢰 발사관 (6 × 2)
무장 (최종)
주포6 × /50구경 Mark II (3 × 2)
부포4 × /45구경 (4 × 1)
대공포8 × 25 mm (4 × 2) 기관총
어뢰8 × 93식 어뢰 발사관 (2 × 4)
장갑
항공기
탑재기(초기) 1대, (최종) 2대
항공기 시설1 × 사출기
성능 (아오바 기준)
기준 배수량8,300톤 → 9,000톤
전체 폭15.83m → 17.558m
흘수5.71m → 5.66m
주 보일러로호 함본식 중유 전소 보일러 10기, 동 혼소 보일러 2기 → 로호 함본식 중유 전소 보일러 12기
주 엔진올 기어 터빈 4기 4축 추진
출력102,000마력 → 104,200마력
최대 속도공시: 36노트 → 33.43노트 (아오바 공시 성적)
항속 거리14노트/7,000해리 → 14노트/8,223해리
연료중유: 1,400톤, 석탄: 400톤 → 중유: 2,040톤
승무원643명 → 657명
주포50구경 20cm 연장포 3기 6문
고각포45구경 12cm 단장 고각포 4문
기총류식 7.7mm 기관총 2정
어뢰 발사관61cm 연장 어뢰 발사관 6기
어뢰8년식 2호 어뢰 24본
주포 (개장 후)50구경 20.3cm 연장포 3기 6문
고각포 (개장 후)45구경 12cm 단장 고각포 4문
기총 (개장 후)25mm 연장 기관총 4기, 13mm 연장 기관총 2기
어뢰 발사관 (개장 후)61cm 4연장 어뢰 발사관 2기
어뢰 (개장 후)93식 어뢰 16본
갑판 장갑32~35mm
주포탑 장갑25mm
탑재기 (개장 후)수상기 2기
사출기 (개장 후)1기

2. 건조 배경 및 설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보조 함정은 배수량 1만 톤, 주포 최대 20.3cm로 제한되었다. 이에 일본 제국 해군은 후루타카급 중순양함의 단점을 보완하고 화력을 강화하고자 개량 설계를 진행, 아오바급 중순양함을 건조했다. 아오바급은 아오바와 키누가사 두 척으로, 1924년에 기공되었다.[3]

1924년, 일본 해군 참모 본부는 후지모토 기쿠오에게 신형 "C형" 쌍포탑(20cm/50 3rd Year Type naval gun)을 아오바급에 적용할 것을 지시했다. 다만, 1922년 기공된 후루타카와 카코에는 적용이 늦어졌다.[3]

아오바급은 6개의 단장포탑 대신 3개의 쌍포탑(전방 2개, 후방 1개)을 장착했고, 주 상부 구조도 변경되었다.[4] 12cm/45 구경 대공포를 채택하고, 3번 쌍포탑 앞에 수상기 사출기를 설치하면서 굴뚝 뒤 상부 구조가 크게 바뀌었다.[5]

아오바는 설계 중량보다 900톤 초과하여, 후루타카급과 비슷한 성능 저하를 겪었다.[8]

2. 1. 후루타카급과의 차이점

후루타카급 중순양함은 20cm 단장포 6문을 장비하여 타국 순양함을 압도했지만, 주포탄 장전이 반 수동식이라 장전 속도가 느렸다.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보조 함정은 배수량 1만 톤, 주포 최대 20.3cm 이내로 규정되었고, 일본 해군은 이 범위 내에서 화력 강화를 위해 후루타카급을 개량하여 아오바급 중순양함을 건조했다.

아오바급은 후루타카급과 기본 설계를 공유하지만, 성능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

  • 주포: 후루타카급은 20cm 단장포 6문이었으나, 아오바급은 기계식 장전 방식의 20cm 연장포 3기(6문)를 채택하여 장전 속도를 개선하고 공격력을 강화했다. 다만, 주포 산포계가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발사 타이밍을 0.3초 늦추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이 방식은 이후 일본 해군의 연장포 이상 포탑을 가진 함선에 채용되었다. 후루타카급도 후에 연장 포탑으로 교체되었다.[3]
  • 수상기 사출기: 아오바급은 준공 당시부터 수상기용 사출기를 장비하여 수색 능력을 강화했다. 키누가사는 1928년 3월에 압축 공기 장치를, 아오바는 1929년 3월에 화약 추진 모델을 장착했다.[6]
  • 주포탑: 20cm 연장포탑("C형")을 장착하여 분당 발사 속도를 향상시켰다.[3]


그 외에 아오바급은 후루타카급과 동일한 선체를 기반으로 건조되었으며, 동일한 기계 장치와 장갑을 갖추었다.[7]

3. 개장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일본 해군은 중순양함 전력에 제한을 받게 되자, "A급" 중순양함에 대한 대대적인 현대화 개장을 계획했다. 이 개량에는 최신 무기, 방호, 사격 통제 시스템 및 통신 장비가 포함되었다.[9]

1930년 봄, 두 척의 함정은 수동 작동식 12cm 대공포를 전기 유압식으로 교체했다. 키누가사는 1년 후 화약 추진식 사출기를 장착했다.[10]

1937년 10월경부터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아오바급 2척에 대한 근대화 개장이 시작되어 1940년 10월에 완료되었다. 주요 개장 내용은 다음과 같다.[11]


  • 주포를 200mm에서 203mm로 교체하여 91식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93식 어뢰(산소 어뢰)를 사용하는 2개의 4연장 어뢰 발사관을 설치했다.
  • 25mm 연장 기총 4기와 13mm 연장 기총 2기를 추가하여 대공 방어를 강화했다.
  • 함교 구조를 재건하여 최신 거리 측정기 및 사격 통제 장비를 수용했다.
  • 보일러 일부를 개조하여 혼소 보일러 2기를 중유 전소 보일러로 교체했다.
  • 사출기를 오식 2호 5형으로 교체했다.
  • 벌지를 추가하여 대어뢰 방호와 안정성을 강화했다. 그 결과 함폭은 1.56m 증가하여 17.56m이 되었다.


250px이 제작한 아오바급 중순양함의 2면도]]

3. 1. 주포

20cm/50 3rd Year Type naval gun Mark I에서 20cm/50 3rd Year Type naval gun Mark II로 주포가 교체되었다. 포탑과 포좌는 변경되지 않았지만, 더 큰 포탄에 맞게 화약과 탄약 인양기가 개조되었고 포탑에서 탄약고로 역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했다.[11]

원래 200mm 구경에서 3mm를 깎아낸 203mm 구경으로 변경되어 91식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 2. 어뢰

준공 당시에는 중갑판 내에 고정식 12식 현측 수상 발사관 12문을 장비했다. 이는 당시 어뢰가 아직 상갑판에서의 발사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함내에 어뢰를 배치하는 위험성은 당시부터 인식되었으며, 근대화 개장 시 상갑판에 선회식 92식 4연장 발사관 1형 2기를 장비했다. 어뢰는 16발의 93식 어뢰(산소 어뢰)로 변경되었고, 차발 장전 장치도 탑재되었다. 개장 전에는 8년식 2호 어뢰 24발을 탑재했다.[11]

3. 3. 대공포

건조 초기에는 12cm 단장 고사포 4문을 탑재했다. 근대화 개장에서도 고사포는 변경되지 않아 두 함 모두 마지막까지 12cm 단장 고사포 4문을 탑재했다.[11]

3. 4. 기관총

유식 7.7mm 기총 2문뿐이던 아오바급 중순양함의 기총은 근대화 개장 시 대폭 증강되어, 2번 연돌 주변에 25mm 연장 기총 4기, 함교 앞에 보식 13mm 연장 기총 2기가 장비되었다.[11] 1942년(쇼와 17년)에 전몰한 키누가사는 이 상태 그대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오바는 다른 함과 마찬가지로 대전 후반에 기총 증비가 이루어졌는데, 정확한 장비 수는 불분명하지만 1944년(쇼와 19년) 12월 시점에서 25mm 3연장 기총 9기, 동 연장 기총 6기로 추정된다. 그 외, 25mm 단장 기총도 다수 장비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 5. 기관

근대화 개장에서는 혼소(混焼) 보일러 2기를 중유 전소(専焼) 보일러로 개조하였다.[11]

주기(主機) 형식은 아오바는 미쓰비시 파슨스식 터빈을, 키누가사는 브라운·커티스식 터빈을 마지막까지 탑재했다.[11]

3. 6. 사출기

키누가사는 1928년(쇼와 3년)에 오식 1호 1형(공기식)을 장비하여 일본 해군 최초의 실용 장비로 채택되었다.[6] 아오바는 이듬해 4월에 오식 2호 1형(화약식)을 장비했다.[6] 키누가사는 이후 오식 2호 1형으로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두 함 모두 근대화 개장을 통해 오식 2호 5형으로 교체되었다.

3. 7. 레이더

아오바는 종전 후 사진에서 21호 전탐 1기, 22호 전탐 2기를 전루에 장비한 것이 확인된다. 13호 전탐은 1944년 10월 23일 마닐라 만에서 뇌격을 받았을 때 안테나가 낙하하여 파괴[13]되었고, 종전 후 사진에서 안테나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그대로 수리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4. 함생

아오바는 대공포를 증설하여 구레 군항에 배치되었다. 구레항 공습에서 거의 유일하게 움직이는 일본군 함정으로 대공포를 쏴서 분전했지만, 결국 대파 착저되었다. 이후 인양되어 해체되는 것으로 함생을 마쳤다.[14]

4. 1. 중일전쟁

두 함은 모두 취역하자 중일전쟁에 참가했다.[14]

4. 2. 태평양 전쟁

중일전쟁에 참전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에는 괌 전투, 웨이크 섬 전투 등에 투입되었다. 이 즈음 고토 아리토모 제독 휘하의 제6전대에 편성되었다. 산호해 해전에서는 제6전대의 중순양함들과 함께 경항공모함 쇼호를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쇼호는 격침되었다. 이때 아오바는 정찰기를 발진시켜 미군 항모(렉싱턴, 요크타운)를 발견했으나, 정규항모 쇼카쿠의 정찰기가 급유함 네오쇼를 발견한 것을 잘못 보고해 선제 공격에 실패했다. 미드웨이 해전에는 참가하지 못했으나, 과달카날 전역에 제8함대에 배속되어 배치된다. 이 때 치른 첫 전투가 사보섬 해전이었다. 사보섬 해전에서는 기함은 아니었으나(기함 쵸카이) 정찰기를 발진시켜 미군 함대를 찾아내었고, 중순양함 4척을 공동 격침하는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후루타카급 중순양함 카코를 잃었다. 동부 솔로몬 해전에서는 수송함대를 호위했으나 공습으로 호위에 실패했다.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는 미군의 기습을 받아 고토 아리토모 소장이 전사하고 아오바는 대파, 후루타카는 격침, 키누가사는 소파당했다. 아오바는 수리를 위해 키누가사가 제6전대의 기함이 되었다. 이후 과달카날 해전에서 엔터프라이즈의 공습으로 키누가사가 격침된다. 한편 아오바는 혼 작전(수송 작전)에 참가하고, 1944년 레이테 만 해전 당시 벌어진 다호 작전에 증원부대를 보내려 노력하지만 공습을 받고 전대 함정들 대부분이 침몰한다. 다만 작전 자체는 성공이었다. 이후 중순양함 토네와 함께 일본에 돌아온 두 중순양함이 된다.[14]

5. 함선 목록

아오바급 중순양함 목록
함명건조진수준공취역최후
아오바 (靑葉)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1924년 2월 4일1926년 9월 25일1927년 9월 20일1945년 구레 공습에서 격침.
키누가사 (衣笠)가와사키 중공업 고베 조선소1924년 1월 23일1926년 10월 24일1927년 9월 30일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격침.


참조

[1] 서적 Cruisers of WWII
[2] 서적 Japanese Cruisers
[3] 서적 Japanese Cruisers
[4] 서적 Japanese Cruisers
[5] 서적 Japanese Cruisers
[6] 서적 Japanese Cruisers
[7] 서적 Japanese Cruisers
[8] 서적 Japanese Cruisers
[9] 서적 Japanese Cruisers
[10] 서적 Japanese Cruisers
[11] 서적 Japanese Cruisers
[12] 문서 性能諸元は青葉の値。
[1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9年10月23日 軍艦青葉戦闘詳報
[14] 웹인용 Aoba class heavy cruisers (1926) https://web.archive.[...] 2020-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