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토스트라다 A3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토스트라다 A30은 이탈리아의 고속도로로, 아우토스트라다 A3의 나폴리-살레르노 구간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75년 카세르타에서 노라까지의 첫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듬해 살레르노까지 연장되었다. 이 도로는 비교적 평탄한 지형을 지나며, 카세르타와 살레르노를 연결하며, A1, A16, A2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파니아주의 교통 - 아우토스트라다 A1
아우토스트라다 A1은 이탈리아의 주요 고속도로인 "아우토스트라다 델 솔레"의 일부로 밀라노에서 나폴리까지 이어지며, 1950년대 후반에 착공하여 1964년에 완공되어 이탈리아 경제 발전에 기여했고, 특히 발리코 우회 도로는 볼로냐와 피렌체 사이의 아펜니노 산맥을 통과하는 구간을 우회한다. - 캄파니아주의 교통 - 아우토스트라다 A2
아우토스트라다 A2는 이탈리아 남부를 잇는 고속도로로, 건설 후 여러 현대화 공사를 거쳐 현재는 이탈리아 국립 도로 공사(ANAS)의 관리하에 전 구간 무료로 운영되며, 살레르노에서 레조 디 칼라브리아까지 190개의 터널과 480개의 교량을 지난다. - 1976년 완공된 건축물 - CN 타워
CN 타워는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553.33m 높이의 통신탑이자 관광 명소로, 4개의 전망대와 엣지워크 등의 시설을 갖춘 토론토의 랜드마크이며 다양한 방송사의 송신탑으로 활용된다. - 1976년 완공된 건축물 - 안동댐
안동댐은 낙동강 본류에 건설된 사력댐으로, 홍수 조절 기능과 수력발전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주변 지역 수몰과 환경 변화, 그리고 취수원 이전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아우토스트라다 - 아우토스트라다 A2 (1962년)
1956년부터 1964년까지 건설되어 1988년 A1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완공된 아우토스트라다 A2는 로마 환상 고속도로의 우회로 역할을 했으나, 2017년 A3 고속도로 일부와 통합되어 "지중해 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아우토스트라다 - 모란디 교
모란디 교는 이탈리아 제노바에 위치한 1967년 개통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사장교로, 2018년 붕괴 사고로 43명이 사망하고 이탈리아 사회 기반 시설 문제를 드러냈다.
아우토스트라다 A30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이름 | 아우토스트라다 A30 |
별칭 | 카세르타-살레르노 |
노선 종류 | 아우토스트라다 |
![]() | |
총 길이 | 55.3 km |
지역 | 캄파니아주 |
개통 연도 | 1976년 |
노선 정보 | |
북쪽 종점 | 카세르타 |
남쪽 종점 | 살레르노 |
주요 접속 도로 | A1 (카세르타) A16 (놀라) RA 2 (아벨리노) A2 (살레르노) |
노선 번호 | |
이전 노선 | A29 |
다음 노선 | A31 |
2. 역사
이 도로는 카세르타 - 살레르노 간 아우토스트라다로, 지형적인 큰 문제 없이 평지를 통과하여, 특히 첫 번째 구간에서는 매우 직선적인 구조를 보인다. 남쪽으로 가면 살레르노-메르카토 산 세베리노 요금소 앞의 카스텔 산 조르지오 이후 마지막 구간에 두 개의 터널이 있다.[1]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개통
이 아우토스트라다는 평행하게 뻗어 있는 아우토스트라다 A3의 나폴리 - 살레르노 구간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A1의 마지막 휴게소에서 약간 남쪽으로 분기하여 건설하기로 결정되었다. 카세르타에서 노라까지의 첫 20km 구간은 1975년 7월 1일에 개통되었다.[1]1976년 5월 5일에는 살레르노까지 35.4km 구간이 개통되었다. 살레르노 고가도로는 처음에는 상하행선이 분리되지 않은 형태로 개통되었으며, 좌측 차선은 1977년 7월에 개통되었다.[1]
이 도로는 비교적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을 지나가며, 처음부터 3차로 및 긴급 차선으로 구성되어 건설되었다. 노라 근처에서는 A16과 교차한다.[1]
2. 2. 추가 개통 및 확장
A1의 마지막 서비스 구역에서 약간 남쪽으로 분기하여, 카세르타에서 노라까지의 첫 20km 구간은 1975년 7월 1일에 개통되었다.다음 해 5월 5일에는 살레르노까지 35.4km가 추가로 개통되었다. 살르노 고가교는 처음에는 상하선 비분리 형태로 개통되었으며, 좌측 차선은 1977년 7월에 개통되었다.[1]
이 도로는 비교적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을 통과하며, 처음부터 3차선 및 긴급 차선으로 구성되어 건설되었다. 노라 근처에서 A16과 교차한다.[1]
팔마 캄파니아 출구에서는 국도 268호선과 연결로를 통해 연결되며, 베수비오산 산기슭 지역을 지나 살르노 계곡으로 내려간다. 피시아노의 살레르노 대학교 근처에서 아벨리노 연결로와 연결되어 길을 따라 A2로 이어진다.[1]
현재 이 아우토스트라다는 여기서 끝나지만, 원래는 프라테까지 연장되어 A3와 A2에 직접 연결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ANAS는 이 마지막 15km를 승인하지 않고 피시아노와 살레르노 사이의 당시 수페르스트라다를 개량하는 것을 우선시했다. 상하선 분리 2차선 및 긴급 차선으로의 확장이 진행되었고, 2001년에는 라코르도 아우토스트라다레 2가 되었으며, 2017년 6월에는 아우토스트라다 A2의 일부가 되었다.[1]
노라의 공업 지대가 번창함에 따라 출입구가 A16에서 공업 지대에 더 가까운 '''A30'''으로 이전되었다.[1]
최근 새로운 팔마 캄파니아 출입구가 완공되었다. 이 출입구는 베수비오산을 둘러싼 국도 268호선과 연결되어 있어 베수비오산 산기슭의 많은 마을을 A30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마달로니 근교에 새로운 출입구 건설이 승인 단계에 있다.[1]
3. 경로
이 도로는 편도 3차선 및 긴급 차선을 갖춘 상하선 분리 도로이며, 총 연장은 55km이다. 경로는 직선으로 평탄하다. A1 고속도로를 아벨리노 연결로와 A2 고속도로에 연결함으로써 나폴리 중심부를 우회하여 바실리카타 주 및 칼라브리아 주와의 왕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놀라 부근에서 풀리아 주와의 왕래에 사용되는 A16 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살레르노 방면의 노라 17.2km 지점과 카스텔 산 조르조 42.8km 지점 사이, 그리고 카세르타 방면의 노체라-파가니 41km 지점과 A30/A1과의 분기점 1.3km 지점 사이에서는 속도 측정 시스템(세이프티 튜터)에 의해 주행 속도가 감시되고 있다.
아우토스트라데 이탈리아 주식회사가 이 도로를 관리하고 있다.
3. 1. 주요 분기점 및 교차로
카세르타 - 마르차니세 - 로마-- 국도 7bis호 테라 디 라보로
-- 베수비오
산 제나로 베수비아노 - 산 주세페 베수비아노
-- 국도 268호 베수비오
-- 카세르타 방면 폐쇄
스트리아노 - 포조마리노
피시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