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마흔아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직은 마흔아홉'은 1989년 방영된 MBC의 드라마로, 50세를 앞둔 두 여고 동창생의 삶을 통해 중년 여성의 상실감과 노년에 대한 불안감을 그린다. 10.1 사건, 4.3 사건 등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을 배경으로, 두 주부 가족을 중심으로 고부 갈등, 가족 문제, 사회 가치관 등을 다루며 진실한 사랑의 의미를 탐구한다. 김혜자, 정혜선 등이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금림 시나리오 작품 - 복희 누나
1960-70년대를 배경으로 탄광 사고로 아버지를 잃은 한복희가 양조장에서 어머니를 찾으며 겪는 고난과 사랑,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그린 장미인애 주연의 KBS 드라마 《복희 누나》는 이금림 작가의 복귀작이며 총 130부작으로 종영되었다. - 이금림 시나리오 작품 - 당신 때문에
《당신 때문에》는 MBC에서 2000년에 방영된 드라마로, 30년 우정을 간직한 세 여고 동창생과 그 자녀들의 삶, 사랑, 결혼 이야기를 다루며 평범한 사람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199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아스팔트 내 고향
김영애, 신구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고 임기주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아스팔트 내 고향》은 이병헌을 비롯한 다수의 조연과 김혜선, 박주아, 양택조 등 여러 세대의 배우들이 출연하는 한국 드라마이다. - 199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쇼 비디오 자키
《쇼 비디오 자키》는 1987년부터 1991년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코미디 프로그램으로, 시사 풍자와 서울의 물질만능주의를 풍자하는 등 다양한 코너를 선보였다. - 199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199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여명의 그날
《여명의 그날》은 1990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이승만, 김구, 김일성, 박정희, 여운형 등 한국 근현대사 주요 인물들의 삶을 통해 해방 전후 한국 사회의 격동기를 다룬 작품이며, 독립운동, 대한민국 정부 수립, 한국 전쟁 등의 역사적 사건들을 재조명하면서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아직은 마흔아홉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아직은 마흔아홉 |
장르 | 드라마 |
방송 시간 | 월~토 오전 9시 20분 ~ 9시 45분 |
방송 분량 | 25분 |
방송 기간 | 1990년 10월 15일 ~ 1991년 2월 16일 |
방송 횟수 | 106부작 |
방송 채널 | MBC |
제작진 | |
기획 | 최종수 |
연출 | 장두익 |
각본 | 이금림 |
출연진 | |
출연자 | 김혜자, 정혜선, 정욱, 김무생 외 |
음향 |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
2. 기획 의도
각기 다른 삶을 살아온 두 여성의 체험을 통해 고부간의 갈등, 가족 문제, 사회의 가치관을 소재로 했다.[2] 두 주부 가족을 중심으로 구성원 간의 세대차, 갈등, 가치관을 통해 진실한 사랑의 의미를 생각해보는 드라마다.[3] 10.1, 4.3, 6.25, 2.28, 3.8 민주의거, 3.15, 4.19, 5.16, 6.3, 10.26, 12.12, 5.17, 5.18, 86 아시안 게임, 6월 민주 항쟁, 88 서울올림픽 등을 겪으면서 어느덧 50세를 앞두고 있는 두 여고 동창생의 인생관을 통해 중년 여성의 상실감, 노년에 대한 불안감을 그린다.[1]
3. 등장 인물
3. 1. 주요 인물
3. 2. 박인자 가족
이름 | 역할 |
---|---|
김혜자 | 이 과장 부인, 만호의 처형, 박인숙의 언니. 20년간 시어머니를 모시고 남편과 자식을 뒷바라지한 공무원 아내. 시집살이에서 벗어나 자기 시간을 즐기려 하지만, 다른 사고방식의 며느리 때문에 당혹해하는 주부. 다소 신경질적이고 자기 감정에 솔직함. |
정욱 | 박인자 여사 남편, 인숙의 형부 |
양희경 | 박인자 여동생, 명준·명우 이모, 만호 부인, 이 과장 처제 |
박광남 | 인숙 남편, 인자 제부 |
박성미 | 박인자 여사 장녀 |
박찬환 | 명우 남편 |
이재룡 | 박인자 여사 아들 |
3. 3. 황혜경 가족
배우 | 역할 | 상세 |
---|---|---|
정혜선 | 황혜경 | 서 교수의 부인, 서민재의 어머니. 산부인과 전문의로 적극적인 삶을 살지만, 불행한 결혼 생활로 남편과 별거 중이며 미혼모가 된 딸 때문에 고민한다. 당당하고 활기차지만 내면으로는 고독하다. |
김무생 | 서 교수 | 황혜경의 남편, 서민재의 아버지. 대학 교수이다. |
하희라 | 서민재 | 황혜경과 서 교수의 딸.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했다. |
강석우 | 범세준 | 서민재의 남자친구. 의사이다. |
오미희 | 정서 | 서 교수의 연인. |
3. 4. 그 외 인물
- '''김혜자'''(박인자 역): 이 과장 부인, 만호의 처형, 박인숙 언니. 공무원 아내로 20년간 시어머니를 모시고 남편과 자식을 뒷바라지했다. 시집살이에서 벗어나 모처럼 자기 시간을 즐기려 하지만 전혀 다른 사고방식의 며느리를 맞게 돼 당혹해하는 주부. 다소 신경질적이고 자기 감정에 솔직한 어머니.[1]
- '''정혜선'''(황혜경 역): 서 교수 부인, 서민재 어머니. 산부인과 전문의로 적극적인 삶을 사나 불행한 결혼생활을 한다. 남편과 별거 중이며 미혼모가 되어 돌아온 딸 때문에 고민한다. 당당하고 활기차지만 내면으로는 고독한 어머니.[1]
- '''정욱'''(이 과장 역): 박인자 여사 남편, 인숙 형부[1]
- '''김무생'''(서 교수 역): 황 여사 남편, 서민재 아버지, 대학 교수[1]
- '''양희경'''(박인숙 역): 박인자 여동생, 명준·명우 이모, 만호 부인, 이 과장 처제[1]
- '''박광남'''(만호 역): 인숙 남편, 인자 제부[1]
- '''하희라'''(서민재 역): 황혜경, 서 교수 부부의 딸.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1]
- '''강석우'''(범세준 역): 민재 남자친구, 의사[1]
- '''박성미'''(이명우 역): 박인자 여사 장녀[1]
- '''박찬환'''(명우 남편 역)[1]
- '''최유라'''(신영 역): 명준 여자친구[1]
- '''이재룡'''(이명준 역): 박인자 여사 아들[1]
- '''최은숙'''(신영 모 역)[1]
- '''오미희'''(정서 역): 서 교수 연인[1]
- '''김정하'''[1]
- '''한영숙''': 인자 친구 역[1]
- '''변소정'''[1]
- '''이승엽(지훈)''': 명우 아들[1]
4. 참고 사항
- 이금림 작가는 1984년 물보라, 1988년 도시의 흉년 이후 MBC에서 세 번째로 연속극을 집필했다.
- 1961년 KBS 공채 1기 탤런트 동기인 정혜선과 김혜자는 이 작품을 통해 1974~75년에 방영된 MBC 일일연속극 갈대 이후 15년 만에 공동으로 주연을 맡았고, 주조연의 비중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1983년에 방영된 MBC 일일연속극 간난이 이후 7년 만에 재회했으며 이 드라마가 방영될 당시 두 사람은 실제 나이까지 공교롭게 마흔아홉 살이었다.[4]
- 정혜경(정혜선 분)의 주변 인물과 내용이 종전의 멜로드라마가 보여주던 것 같은 도식적인 내용으로 채워진 점, 일하는 여성의 갈등이 제대로 묘사되지 않은 점 등으로 아쉬움을 남겼다.[1]
- 이금림 작가는 이 작품을 끝으로 MBC를 떠났다가 2000년 당신 때문에로 MBC 복귀를 했다.
- 하희라는 해당 드라마 이후 계속 MBC 드라마 작품에 출연해 오다가 1993년 1월 종영된 미니시리즈 억새 바람 이후 MBC를 떠났다. 1994년 특집극 생의 한가운데[5] 외엔 타방송사에서 활동해 왔으며 2006년 아침드라마 있을 때 잘해!![6]로 MBC에 복귀했다.
참조
[1]
뉴스
金(김)혜자·鄭(정)혜선 연기 맞대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10-05
[2]
뉴스
차분하게 그려지는 중년여성세계 MBC-TV'아직은 마흔아홉'
http://newslibrary.n[...]
한겨례
1990-12-06
[3]
뉴스
中年(중년)탤런트 정겨운"맞수演技(연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10-17
[4]
뉴스
김혜자·정혜선 드라마主役(주역)으로 첫共演(공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0-10-05
[5]
뉴스
특집드라마「생의 한가운데」(MBC·오후10:55)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7-01-10
[6]
뉴스
14년만에 MBC 드라마 복귀 하희라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6-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