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5·16 군사정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16 군사정변은 1961년 5월 16일,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군사 세력이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정치적 혼란, 경제적 어려움, 군 내부의 불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장면 내각의 무능과 민주당 내 파벌 싸움이 배경이 되었다. 쿠데타 세력은 6개 항의 혁명 공약을 발표하고, 군사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하여 입법, 사법, 행정 권력을 장악했다. 이로 인해 민주적으로 선출된 장면 내각이 붕괴되고 약 3년간의 군정 통치가 시작되었으며, 중앙정보부 설치, 민주공화당 창당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5·16 군사정변은 경제 성장과 국가 안보 강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민주주의 훼손, 인권 탄압을 초래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역사적 재평가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대한민국 - 민족일보
    민족일보는 1961년 창간된 진보 성향의 일간 신문으로, 조총련 자금 지원 의혹과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폐간되었으나, 이후 명예를 회복하고 무죄를 선고받았다.
  • 1961년 분쟁 - 피그스만 침공
    피그스만 침공은 1961년 4월 미국 CIA의 지원을 받은 쿠바 망명자 부대가 피델 카스트로 정권 전복을 위해 쿠바 남서부 피그스 만에 상륙을 시도한 군사 작전으로, 미국의 실패로 끝나고 쿠바-미국 관계를 악화시킨 사건이다.
  • 1961년 분쟁 - 1961년 고아 병합
    1961년 고아 병합은 인도가 1961년 12월 '비제이 작전'을 통해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고아, 다망, 디우를 무력으로 합병한 사건으로, 외교적 협상 실패 후 발생했으며 국제 사회의 엇갈린 반응을 일으켰다.
5·16 군사정변 - [전쟁]에 관한 문서
5·16 군사 정변
박정희 소장 (가운데 앞)과 쿠데타 수행 군인들
쿠데타 후 서울로 진군하는 대한민국 해병대
군사 쿠데타를 지지하는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의 시위
명칭
다른 이름5.16 군사 혁명
5.16 쿠데타
한글5·16 군사정변
한자五一六軍事政變
로마자 표기O-illyuk gunsa jeongbyeo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O-illyuk kunsa chŏngbyŏn
주요 참여자
군사혁명위원회박정희, 육군 작전국장
김종필 중령
이주일, 제2군 참모장
김동하,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
기타 군부장도영, 육군참모총장
정부윤보선 대통령
장면 총리
위치 및 기간
장소서울, 대한민국
날짜1961년 5월 16일
결과제2공화국 종결
국가재건최고회의 설치
박정희 권력 장악
사건 개요
목적군사정권에 의한 반공 체제 강화, 부패 일소 및 합헌적 정부 재수립
성격내란
영향제2공화국 붕괴, 군사정권 구축
관련 정보
관련 단체군사혁명위원회
관련 사건5.16 군사정변

2. 배경 및 원인

5·16 군사정변은 이승만 정권 말기부터 제2공화국 장면 내각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사회, 군 내부의 복합적인 문제가 원인이 되어 발생했다.

김종필을 비롯한 5·16 주체 세력은 1960년 9월 10일 '충무장 결의'를 통해 민주당 세력을 제거하고 군정을 수립할 계획을 세웠다.[17] 이들은 군 장성, 제30사단, 제33사단, 6군단 포병단, 공수특전단 등을 포섭했다.[17] 거사 과정에서 육군참모총장 장도영이 연루되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장면 총리와 장도영은 관련 증거를 찾지 못했다.[20][21][22]

일부 역사학자들은 5·16 군사정변의 원인을 단순히 제2공화국의 불안정으로만 보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하다고 주장한다.[35]

5·16 군사정변은 쿠데타의 중심 세력이 정권을 잡은 후 6월 항쟁 이전까지는 '''5·16 군사혁명'''으로 불렸으나, 민주화 이후에는 '''5·16 군사정변'''이 공식 명칭으로 사용된다.

윤치영. 이승만의 최측근이었던 그는 장면 내각에 큰 불만을 품고 있었다.

2. 1. 정치적 요인

4·19 혁명


5·16 군사정변은 제2공화국 장면 내각의 정치적 무능과 혼란, 민주당 내부의 파벌 싸움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승만 정권의 장기 독재와 4·19 혁명으로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은 높아졌지만, 제2공화국은 이러한 열망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7][18][19][20][21][22]

제2공화국은 출범부터 집권 민주당 내부의 심각한 파벌 싸움과 끊임없는 민중의 불만이라는 문제에 시달렸다. 한국 경제는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로 악화되었고, 범죄율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1960년 12월부터 1961년 4월까지 쌀값은 60%나 상승했고, 실업률은 23%를 웃돌았다. 광범위한 식량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 한편, 민주당의 "신파"를 대표했던 장면은 3표 차이로 국무총리에 당선되었다. 이승만 정권 인사들의 숙청은 장면이 부유한 사업가와 권력 있는 장성들에게 유리하도록 명단을 조작하면서 여론의 비판을 받았다. 이승만이 제거되고 민주적인 헌법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방 귀족"들은 여전히 권력을 유지했고, 한국이 직면한 악화되는 문제들은 신정부에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로 드러났다.

쿠데타가 발생한 사회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 자유당 정권을 이어받은 민주당 정권의 정치적 무능과 당내 항쟁

# 민주적 개혁에 대한 민주당의 소극적인 태도, 경제 상황 악화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 고조

# 북한에 대해 온건하거나 동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생과 혁신 정당을 중심으로 한 민주화 운동과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를 슬로건으로 한 통일 운동의 고조에 대해 군부가 위기감을 느낀 것, 그리고 직접적인 배경으로 군 내부 문제가 지적된다.

# 분단의 고착화와 한국전쟁으로 인해 비대해진 한국군에서는 군 인사가 정체되었고, 그로 인해 진급하지 못한 하급 장교들의 불만이 누적되었다.

# 부정부패를 저지른 고급 장교들을 축출하기 위해 하급 장교들에 의해 추진된 “정군 운동”이 실패하고, 운동의 주모자가 축출될 위기에 처했던 것.

이러한 배경 하에, 김종필 예비역 중령을 비롯한 육사 8기생 소령급 장교 9명에 의해 쿠데타 계획이 수립되었고, 그들이 쿠데타를 주도했다.

2. 2. 경제적 요인

제2공화국 당시 한국 경제는 극심한 인플레이션, 높은 실업률, 만성적인 식량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예를 들어, 1960년 12월부터 1961년 4월까지 쌀값은 60%나 상승했고, 실업률은 23%를 웃돌았다.[45] 이러한 경제난은 국민들의 불만을 고조시켰고, 군사정변 세력에게 쿠데타의 명분을 제공했다. 당시 한국의 1인당 GNP는 약 80달러에 불과했고, 북한이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2. 3. 사회적 요인

4·19 혁명 이후, 제2공화국은 출범 초기부터 집권 민주당 내부의 심각한 파벌 싸움과 끊임없는 민중의 불만이라는 문제에 직면했다. 한국 경제는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로 악화되었고, 범죄율은 급증했다. 예를 들어, 1960년 12월부터 1961년 4월까지 쌀값은 60%나 상승했고, 실업률은 23%를 넘었다.[45] 광범위한 식량 부족 사태도 발생했다.

장면 국무총리는 민주당 "신파"를 대표하여 3표 차이로 당선되었으나, 이승만 정권 인사 숙청 과정에서 부유한 사업가와 권력 있는 장성들에게 유리하도록 명단을 조작했다는 비판을 받았다.[46]

이러한 상황은 사회 전반에 불안감을 조성했고, 군부 쿠데타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 민주당 정권의 문제점:

문제점내용
정치적 무능과 당내 항쟁자유당 정권을 이어받은 민주당은 신파(구 자유당 정권 관료 출신)와 구파(한국민주당 계보의 민주국민당 출신)로 나뉘어 격렬하게 대립했다.
민주적 개혁에 대한 애매한 태도민주당은 민주적 개혁 요구에 미온적으로 대응했다.
경제 상황 악화당시 한국의 1인당 GNP는 약 80USD에 불과했고, 북한이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 군부의 위기감:
  • 북한에 대해 온건하거나 동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생과 혁신 정당 중심의 민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 슬로건)에 대해 군부는 위기감을 느꼈다.
  • 분단 고착화와 한국전쟁으로 비대해진 한국군 내 인사 정체로 하급 장교들의 불만이 누적되었다.[3]
  • 부정부패를 저지른 고급 장교들을 축출하기 위한 하급 장교들의 "정군 운동" 실패와 주모자 축출 위기는 쿠데타의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김종필 예비역 중령을 비롯한 육사 8기생 소령급 장교 9명(김형욱, 길재호, 옥창호, 신윤창, 최준명, 석창희, 오상균)이 쿠데타 계획을 수립하고 주도했다.

2. 4. 군 내부적 요인

한국 전쟁 이후 한국군은 규모가 급격히 커지면서 인사 적체, 진급 불만, 부정부패 등의 문제가 심각했다.[3] 특히, 하급 장교들을 중심으로 "정군 운동"이 추진되었으나 실패했고, 운동 주모자들이 축출될 위기에 처하면서 군 내부 불만이 고조되었다.[3]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신징의 만주 장교 학교 출신 장교들 사이에 파벌이 존재했고, 해방 이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졸업 기수에 따라서도 파벌이 나뉘었다.[39] 박정희는 여러 기관을 거치며 육군 고위 지휘관과 젊은 파벌 모두와 폭넓은 관계를 맺어 쿠데타 연합을 이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39]

육사 출신 개혁파는 1960년과 1956년 대통령 선거 부정에 대한 책임을 고위 지휘관들에게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3] 1961년 5월 2일, 박정희는 개혁파를 지지하며 육군참모총장 송요찬의 사퇴를 요구했다.[44][68] 1961년 9월 24일, 김종필이 이끄는 16명의 대령들이 합참의장 최용희의 사퇴를 요구하는 "하극상 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이미 진행 중이던 쿠데타 계획을 가속화했다.[62]

김종필 예비역 중령을 비롯한 육사 8기생 소령급 장교 9명(김형욱, 길재호, 옥창호, 신윤창, 최준명, 석창희, 오상균)이 쿠데타 계획을 수립하고 주도했다.

2. 5. 미국의 역할

4·19 혁명 이후 미국의 존 F. 케네디 행정부는 한국의 정치적 불안정을 우려하고 있었다.[13][14] 일부 학자들은 미국의 묵인 또는 방조 하에 쿠데타가 발생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쿠데타 직후인 1961년 5월 16일 오전 11시, 주한미군 사령관은 장면 정권을 지지하고 쿠데타에 반대하는 성명을 미군 방송을 통해 발표했다. 그리고 주한 미국 대리대사와 함께 청와대를 방문하여 윤보선 대통령에게 쿠데타 군을 진압하기 위한 동원령을 한국군에 내릴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국군끼리 충돌하면 서울은 화염에 휩싸이고, 그 틈을 타 북한이 남침할 우려가 있다”며 요청을 거절했다.[12]

한편, 미국 본국의 케네디 정권은 쿠데타에 대해 신중하게 관망하는 태도를 취했지만, 쿠데타 사흘째인 5월 19일, 미국 국무부는 군사 정권에 대한 지지를 발표했다. 그리고 군사 정권의 반공 체제 강화와 부정부패 일소 및 합헌적 정부의 재건을 표방하는 혁명 공약에 큰 기대를 표명했다.[13][14]

쿠데타 지도부는 새 정부에 대한 미국의 승인을 확보하고자 했다. 1961년 5월 20일, 케네디 대통령은 국가재건최고회의에 두 국가 간의 우정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유엔군 사령관 카터 B. 매그루더는 모든 작전 지휘권이 한국 육군으로 반환됨을 발표했다.[70] 5월 27일, 쿠데타 지도부는 미국의 지원을 확신하고 계엄령을 해제했다.[54] 6월 24일, 미국 대사가 박정희에게 미국이 그의 정부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데 관심이 있지만 "숙청과 보복"의 중단을 요구한다고 알렸다.[71] 1961년 7월 27일, 국무장관은 기자 회견에서 미국이 국가재건최고회의 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박정희와 악수하는 주한미군사령부 사령관 (5·16 군사 쿠데타 이후). 1961년 8월 21일.

3. 전개 과정

1960년 4·19 혁명으로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집권 민주당의 내분과 경제난, 사회 혼란은 계속되었다. 대통령에는 윤보선이, 국무총리에는 장면이 선출되었으나, 이들은 심각한 파벌 싸움과 민중의 불만을 해결하지 못했다.[45] 1960년 12월부터 1961년 4월까지 쌀값은 60%나 상승했고, 실업률은 23%를 웃돌았으며,[45] 광범위한 식량 부족과 범죄율 증가가 나타났다.

한국 정치의 붕괴와 군부 내 숙청은 군사보안사령부의 사기를 저하시켰고, 제2공화국의 문제들은 쿠데타의 배경이 되었다.[45][46] 4·19 혁명 1주년인 1961년 4월 19일로 예정되었던 쿠데타 계획은 실행되지 못하고 연기되었다가, 5월 12일로 다시 연기되었으나, 이마저도 계획 누설로 인해 1961년 5월 16일로 최종 결정되었다.

5월 16일 오전 3시, 박정희 소장을 중심으로 한 쿠데타군은 한강대교 부근에서 헌병들과 총격전을 벌였으나, 큰 저항 없이 서울 시내 주요 지역을 제압했다. 오전 5시, 쿠데타군은 중앙방송국을 통해 군사혁명이 일어났음을 전 국민에게 선포했다.[9]

쿠데타에 참여한 주요 인물 및 병력은 다음과 같다.[4][5]

지휘관부대병력비고
박정희 소장제2군 부사령관-참모장 이주일 소장, 이낙선 소령
이백일 중령제30예비사단 작전참모1,000명
이병엽 대령, 오학진 중령제33예비사단1,000명
박치옥 대령, 최소만 중령, 김점민 중령[6]제1공수특전여단500명
김동하 (군인) 해병 예비역 소장, 김윤근 해병 준장, 조남철 해병 중령[7], 오정근 해병 중령, 최용관 소령제2해병사단 (대한민국)500명전 제1해병사단 (대한민국) 사단장
문재준 대령, 홍종철 대령제6군단 포병대1,000명
신윤창 중령제636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구자춘 중령제993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백태하 중령제933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정오경 중령제1중포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김인화 중령제911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김재춘 대령, 박원빈 중령제6관구 참모장-
남궁진 소령통신대50명제6관구 예하
오치성 대령, 옥창호 중령, 김형욱 중령, 이석제 중령, 류승원 대령, 박종규 소령특수임무-정권 수뇌부 및 진압군 지휘관 구속
서상린 대령제5관구 공병시설대 예하 1개 대대-대구시 제압
박기석 대령제1205공병여단 예하 3개 대대-2군 사령부 공병부장 겸 참모
김진국 중령제133공병대-제1205공병여단 예하
장동운 중령제208공병대-제1205공병여단 예하
임광섭 중령제1건설공병대-제1205공병여단 예하
채명신 (제5사단장), 이철희 (육군 방첩부대장), 강성원 소령 (육군 정보참모본부 기획관), 송찬호 (군인) 준장 (고사포여단장), 윤태일기타 참여자-
박태원 대령, 정봉욱 대령, 허순오 대령, 조창대, 이종근, 박용기, 심의섭, 엄병길 중령1군 사령부 참모-혁명에 호응하여 이한림 사령관 구속[8]


3. 1. 쿠데타 계획 및 준비

1960년 9월부터 김종필 등 육사 8기생을 중심으로 쿠데타 세력이 쿠데타를 계획하고, 군 내부 인사들을 포섭해 나갔다.[3] 초기에는 4·19 혁명 1주년인 1961년 4월 19일에 쿠데타를 일으키려 했으나, 이날에는 예상했던 민중봉기나 학생 시위가 발생하지 않아 실행하지 못했다.[4] 이후 5월 12일로 연기하였으나, 계획이 누설되면서[4] 최종적으로 1961년 5월 16일로 연기되었다.[5]

쿠데타의 사회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 자유당 정권에 이은 민주당 정권의 정치적 무능과 당내 항쟁

# 민주적 개혁에 대한 민주당의 소극적인 태도, 경제 상황 악화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 고조

# 북한에 대해 온건하거나 동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생과 혁신 정당을 중심으로 한 민주화 운동과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를 슬로건으로 한 통일 운동의 고조에 대해 군부가 위기감을 느낀 것, 그리고 직접적인 배경으로 군 내부 문제가 지적된다.

# 분단의 고착화와 한국전쟁으로 인해 비대해진 한국군에서는 군 인사가 정체되었고, 그로 인해 진급이 되지 않은 하급 장교들의 불만이 누적되었다.

# 부정부패를 저지른 고급 장교들을 축출하기 위해 하급 장교들에 의해 추진된 “정군 운동”이 실패하고, 운동의 주모자가 축출될 위기에 처했던 것.

이러한 배경 하에, 김종필 예비역 중령을 비롯한 육사 8기생 소령급 장교 9명에 의해 쿠데타 계획이 수립되었고, 그들이 쿠데타를 주도했다.

쿠데타에 참여한 주요 인물 및 병력은 다음과 같다.[4][5]

지휘관부대병력비고
박정희 소장제2군 부사령관-참모장 이주일 소장, 이낙선 소령
이백일 중령제30예비사단 작전참모1,000명
이병엽 대령, 오학진 중령제33예비사단1,000명
박치옥 대령, 최소만 중령, 김점민 중령[6]제1공수특전여단500명
김동하 (군인) 해병 예비역 소장, 김윤근 해병 준장, 조남철 해병 중령[7], 오정근 해병 중령, 최용관 소령제2해병사단 (대한민국)500명전 제1해병사단 (대한민국) 사단장
문재준 대령, 홍종철 대령제6군단 포병대1,000명
신윤창 중령제636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구자춘 중령제993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백태하 중령제933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정오경 중령제1중포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김인화 중령제911대대-제6군단 포병대 예하
김재춘 대령, 박원빈 중령제6관구 참모장-
남궁진 소령통신대50명제6관구 예하
오치성 대령, 옥창호 중령, 김형욱 중령, 이석제 중령, 류승원 대령, 박종규 소령특수임무-정권 수뇌부 및 진압군 지휘관 구속
서상린 대령제5관구 공병시설대 예하 1개 대대-대구시 제압
박기석 대령제1205공병여단 예하 3개 대대-2군 사령부 공병부장 겸 참모
김진국 중령제133공병대-제1205공병여단 예하
장동운 중령제208공병대-제1205공병여단 예하
임광섭 중령제1건설공병대-제1205공병여단 예하
채명신 (제5사단장), 이철희 (육군 방첩부대장), 강성원 소령 (육군 정보참모본부 기획관), 송찬호 (군인) 준장 (고사포여단장), 윤태일기타 참여자-
박태원 대령, 정봉욱 대령, 허순오 대령, 조창대, 이종근, 박용기, 심의섭, 엄병길 중령1군 사령부 참모-혁명에 호응하여 이한림 사령관 구속[8]


3. 2. 쿠데타 실행

1961년 5월 16일 새벽, 박정희 소장을 중심으로 한 쿠데타군은 군사혁명위원회를 구성하여 국무총리 장면에게 있던 헌법상의 국정 및 국군 통솔권을 장악하고, 혁명의 성공과 6개항의 '혁명공약'을 라디오를 통해 발표하였다.[24]

5월 16일 새벽 3시, 쿠데타군은 한강대교 부근에서 헌병 제7중대 50여 명과 총격전을 벌였으나, 큰 저항 없이 중앙청과 국회의사당 등 서울 시내 주요 지역을 제압했다.[9] 쿠데타군은 오전 5시, 중앙방송국 방송을 통해 군사혁명이 일어났음을 전 국민에게 선포했다.[9]

쿠데타 초기, 미8군 사령관 C. B. 매그루더와 이한림 등의 반대로 난관에 부딪히기도 하였으나, 미국 정부의 신속한 지지 의사 표명, 장면 내각의 총사퇴, 윤보선 대통령의 묵인 등으로 성공했다. 5월 18일 박정희유원식을 데리고 청와대로 찾아갔으나, 윤보선 대통령은 '올 것이 왔다.'며 체념하는 태도를 취했다. 5월 20일에는 군사혁명위원회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되고 장도영을 헌법에는 없는 "내각수반"으로 임명하였다.

쿠데타에 참여한 주요 인물 및 병력은 다음과 같다.[4][5]

부대지휘관비고
제2군사령부부사령관 박정희 소장, 참모장 이주일 소장, 이낙선 소령
제30예비사단작전참모 이백일 중령병력 1,000명
제33예비사단이병엽 대령, 작전참모 오학진 중령병력 1,000명
제1공수특전여단단장 박치옥 대령, 최소만 중령, 제1대대장 김점민 중령[6]병력 500명
제2해병사단김동하 해병 예비역 소장, 여단장 김윤근 해병 준장, 제2부연대장 조남철 해병 중령,[7] 제1대대장 오정근 해병 중령, 인사참모 최용관 소령병력 500명
제6군단 포병대사령관 문재준 대령, 작전참모 홍종철 대령5개 대대, 병력 1,000명
제636대대신윤창 중령
제993대대구자춘 중령
제933대대백태하 중령
제1중포대대정오경 중령
제911대대김인화 중령
제6관구사령부참모장 김재춘 대령, 작전참모 박원빈 중령
통신대남궁진 소령병력 50명
특수임무오치성 대령, 옥창호 중령, 김형욱 중령, 이석제 중령, 류승원 대령, 박종규 소령정권 수뇌부 및 진압군 지휘관 구속
대구 제압 부대
제5관구 공병시설대 예하 1개 대대서상린 대령
제1205공병여단 예하 3개 대대2군 사령부 공병부장 겸 참모 박기석 대령
제133공병대김진국 중령
제208공병대장동운 중령
제1건설공병대임광섭 중령



기타 참여자로는 채명신(제5사단장), 이철희(육군 방첩부대장), 강성원 소령(육군 정보참모본부 기획관), 송찬호 (군인) 준장(고사포여단장), 윤태일, 박태원 대령(헌병 참모), 정봉욱 대령(포병 참모), 허순오 대령(심리전 참모), 조창대, 이종근, 박용기, 심의섭, 엄병길 중령(이상 1군 사령부 참모, 혁명에 호응하여 이한림 사령관을 구속[8]) 등이 있다.

3. 3. 장면 내각의 대응과 붕괴

1961년 5월 16일 새벽, 박정희 소장을 의장으로 추대된 군사혁명위원회는 혁명 성공을 알리는 선언문과 6개항의 '혁명공약'을 라디오를 통해 발표했다.[24] 당시 헌법상 국정 및 국군 통솔권은 장면 국무총리에게 있었다. 장면 총리는 장도영의 전화를 받고 새벽 4시경 미국 대사관으로 피신하려 했으나 직원이 없어 실패하고, 카르멜 수도원으로 피신하여 미국에 사태 진압을 요청했다.[24]

5월 18일, 박정희유원식을 데리고 청와대를 방문했다. 그러나 윤보선 대통령은 쿠데타군 진압 대신 "올 것이 왔다"며 체념하는 태도를 보였다. 5월 20일, 군사혁명위원회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되었고, 장도영은 헌법에 없는 "내각수반"으로 임명되었다.

대통령 윤보선


윤보선 대통령은 국군 통수권자이자 국가원수임에도 불구하고 합법 정부를 수호하지 않았다.[25] 윤보선은 쿠데타 주모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올 것이 왔구나"라는 말로 입을 열었다.[26]

국방부 장관 현석호를 비롯한 각 부처 장관, 차관 등이 청와대로 연행되었다. 민주당 신파 각료인 정일형, 현석호 등은 윤보선의 발언에 경악했다. 현석호는 회고록에서 윤보선이 "나라를 구하는 길은 이 길밖에 없었다"며 장면 정부를 비난하고 박정희의 거사를 칭찬했다고 기록했다.[26] 현석호윤보선의 이 발언을 '평생 잊지 못할 말'이라고 회고했다.[27]

5월 19일 밤, 박정희장도영윤보선을 찾아가 사임을 만류했으나, 이는 형식적인 것이었다.[30] 5월 20일 상오, 외무부 차관 김용식윤보선에게 대통령 하야가 국제법상 새 정부 승인 문제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30] 김용식박정희에게도 같은 내용을 설명했다. 5월 20일 오후 2시, 윤보선, 박정희, 장도영, 김용식 4자 회담이 열렸다. 김용식은 이 자리에서 "만일 각하가 사임한 뒤 이북이 남침하면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호소할 기관이 없다"며 사임 재고를 요청했다.[30] 박정희, 장도영, 미국도 사임 재고를 요청했다.[30][31][32]

결국 윤보선은 당일 오후 6시 예정된 고별회견 대신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하야하겠다는 나의 결정이 국제적, 국내적으로 영향이 크다 하므로 [...] 번의해야 할 것 같다"며 하야를 번복했다.[30][31][32] 이후 민주당 신파 계열은 윤보선이 군사정권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3. 4. 군사혁명위원회와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16일 쿠데타 성공 직후, 혁명군은 군사혁명위원회를 설치했다. 장도영 육군참모총장을 설득하여 위원장에 앉히고, 쿠데타를 주도한 박정희는 부위원장에 취임했다. 군사혁명위원회는 6개 항목으로 구성된 혁명공약을 발표했다.[10] 군사혁명위원회 포고 제1호에 따라 전국에 계엄령이 선포되어 모든 실내 집회가 금지되고, 출판 및 보도에 대한 사전 검열이 실시되었으며, 포고 제4호에서는 장면 정권의 해임과 국회 및 지방의회 해산, 정당 및 사회단체 활동 금지, 장면 정권의 전 각료와 정무위원 체포, 국가기구의 모든 기능을 군사혁명위원회가 대행한다는 것이 선포되었다.

장면 총리는 쿠데타 직후 은신했다가 5월 18일 임시각의를 열어 군사혁명위원회에 정권을 이양하기로 결정했다. 윤보선 대통령도 비상계엄령을 추인하고 군사혁명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로써 제2공화국은 무너지고 군정이 시작되었다.

군사혁명위원회는 발족 3일째인 5월 19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이름을 바꾸고, 치안 향상과 경제 개선 등을 명분으로 국민의 사상과 언론을 억압했다. 6월 10일에는 비밀 첩보 기관인 한국중앙정보부(KCIA)가 발족되었다.

4. 결과 및 영향

5·16 군사정변 직후, 계엄령이 즉시 발효되었고 군사혁명위원회는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되었다. 장도영 위원장은 국무총리와 국방부 장관직을 겸임하며 행정부의 수장이 되었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법률 공포, 내각 임명, 행정 감독 등 광범위한 권한을 가졌다.[41]

그러나, 새로운 내각 구성을 두고 내부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 박정희는 권력을 장악해 나갔다. 6월 6일, 국가재건비상조치법이 공포되어 장도영의 국방부 장관직과 육군참모총장직이 박탈되었다. 6월 10일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법이 제정되어 박정희에게 추가적인 권한이 부여되었다. 7월 3일, 장도영은 반쿠데타 음모 혐의로 체포되었고, 박정희가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을 모두 맡게 되었다.[41]

한편, 진압군 30사단 4개 소대는 육군본부로 향했으나, 반란군 공수단에 의해 저지당했다. 이 과정에서 육군참모총장은 연락이 두절되었다.[41] 새벽 4시 25분경에는 반도 호텔에서 장면 총리를 체포하려던 공수단 체포조에 의해 발포가 일어나기도 했다.[49]

쿠데타 4일 후인 5월 20일에 촬영된 군사혁명위원회 지도자들: 위원장 장도영(왼쪽)과 부위원장 박정희(오른쪽)

4. 1. 정치적 영향

5·16 군사정변으로 제2공화국이 무너지고 장기간의 군사 독재 시대가 시작되었다. 박정희는 1963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된 후 18년간 장기 집권했다.[33] 군정 기간 동안 정치적 반대 세력과 군부 내 반대파가 제거되었으며,[33] 중앙정보부(현 국가정보원)가 설립되어 정보 정치가 강화되었다.[39]

5월 16일 혁명위원회 포고 제4호로써 민의원, 참의원 및 지방의원 등 대의원 헌법기관은 해산되었고, 5월 22일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 제6호[33]로 정당 및 사회단체는 해산되어 정치활동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군정은 특수범죄처벌법, 정치활동정화법 등의 법적 조치를 통하여 정치적 반대세력과 군부 내의 반대파까지 제거하였다. 5월 20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산하에 중앙정보부를 설립하고 김종필이 정보부장에 취임한다.[39]

국가재건최고회의는 5·16 군사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군사혁명위원회를 개편해 만든 통치기구이다. 입법·사법·행정 3권을 장악한 최고통치기구였으며 1963년 12월 17일 제3공화국이 수립되면서 해체되었다.

정변 당시 장준하는 《사상계》 6월호에서 "과거의 방종, 무질서, 타성, 편의주의의 낡은 껍질에서 탈피하여, 일체의 구악을 뿌리 뽑고 새로운 민족적 활로를 개척할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라며 군사정변을 지지하였고, 언론인 송건호제3공화국을 민족적이라고 평가하여 박정희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56]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는 1961년 6월 14일 《코리언 리퍼블릭》지에 기고한 '5·16 군사혁명에 대한 나의 견해'라는 글에서 '5·16 군사혁명은 필요하고도 불가피한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민주당 정권의 부정과 무능을 폭로하며 '한국에는 아직 진정한 민주주의가 시험된 적이 없다.'고 주장하였다.[57]

박정희는 정변 직후 독립운동가 김학규를 사면·복권시켰다.[58] 또한 1962년 3월 1일8월 15일 독립운동가 2천여 명에 대한 포상을 단행했다.

군사정변에 반대한 군부 인사들은 숙청되었다.

이름직책처벌 내용
장도영육군참모총장1961년 8월 22일 예편, 무기징역 선고 후 1963년 5월 형집행정지로 석방[59]
이한림1야전군 사령관2개월 복역 후 불기소 처분[41]
강영훈육사교장4개월 복역 후 불기소 처분[41]
김웅수6군단장징역 10년 선고 후 11개월 복역[41]
정강8사단징역 12년 선고 후 2년 3개월 복역[41]
이상국30사단장징역 10년 선고 후 1년 복역[41]


4. 2. 경제적 영향

5·16 군사정변 이후 군사정부는 경제 개발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군사정부는 중앙정보부의 지원을 받아 공무원 비리 감찰위원회를 설치하고, 대규모 공무원 숙청을 단행했다.[1] 1961년 7월 20일에는 약 4만 1천 명의 공무원을 강제 퇴직시키고, 공무원 수를 20만 명 감축하는 정책을 발표했다.[1] 이러한 조치들은 1963년 민간 대통령으로 선출된 박정희 대통령의 개발 독재 체제를 강화하는 기반이 되었다.[2]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경유착, 부정부패 등의 문제도 발생하였고, 노동자와 농민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희생이 강요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4. 3. 사회적 영향

5·16 군사정변 이후 군사정부는 사회 전반을 강력하게 통제했다.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 제6호[33]에 따라 정당 및 사회단체는 해산되었고 정치활동은 완전히 금지되었다. 이로 인해 민주적으로 선출된 장면 내각은 붕괴되었고,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한 약 3년간의 군정통치가 이루어졌다.[33] 군정 기간 동안 정변 세력은 특수범죄처벌법, 정치활동정화법 등으로 정치적 반대 세력과 군부 내 반대파를 제거했다.

5월 20일 장도영이 내각수반이 되면서 박정희군사혁명위원회 의장에 취임하여 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하였다. 핵심 권력 기구로 중앙정보부를 설치하고 김종필이 정보부장에 취임했다.[39] 중앙정보연구위원회는 폐지되었다.[39]

5·16 군사 정변 이후 이정재를 포함한 폭력조직원들이 육군 공수특전단 대원들에 의해 조리돌림 당하는 모습


군사정부는 '구악일소'를 명분으로 폭력조직원들을 조리돌림 시키는 등 사회 기강 확립에 나섰다. 또한, 장준하와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 등은 군사정변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56][57] 박정희는 독립운동가 김학규를 사면·복권시키고,[58] 1962년에는 독립운동가 2천여 명에게 포상을 했다.

중앙정보부(KCIA)는 박정희의 주요 권력 기반이 되었으며, 공무원 비리 감찰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39] 약 4만 1천 명의 "초과" 관료가 강제 퇴직되고 공무원 수가 20만 명 감축되는 등 국가 기관 숙청이 이루어졌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국민의 사상과 언론을 탄압했고, 1961년 6월 10일 비밀 첩보 기관인 한국중앙정보부(KCIA)를 발족시켰다.

4. 4. 국제 관계

미국은 쿠데타 직후 군사정권을 승인했으며, 이후 한미 관계는 더욱 강화되었다. 5월 20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최고회의에 두 국가 간의 우정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보냈다.[12] 유엔군 사령관 매그루더는 모든 작전 지휘권이 한국군으로 반환됨을 발표했다.[12] 5월 27일, 쿠데타 지도부는 미국의 지원을 확신하고 계엄령을 해제했다. 6월 24일, 버거 미국 대사는 박정희에게 미국의 지지를 알리며 "숙청과 보복" 중단을 요구했다. 7월 27일, 러스크 국무장관은 기자 회견에서 미국이 군사정부를 공식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쿠데타 직후, 카터 B. 매그루더 주한미군 사령관은 장면 정권을 지지하고 쿠데타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는 마셜 그린 주한 미국 대리대사와 함께 윤보선 대통령에게 쿠데타 군 진압을 위한 동원령을 요청했으나, 윤 대통령은 국군 간 충돌과 북한의 남침 가능성을 우려하여 거절했다.[12]

미국 케네디 정부는 쿠데타에 대해 신중하게 관망하는 태도를 취했지만, 쿠데타 사흘째인 5월 19일, 미국 국무부는 군사 정권에 대한 지지를 발표했다. 미국은 군사 정권의 반공 체제 강화와 부정부패 일소 및 합헌적 정부 재건을 표방하는 혁명 공약에 큰 기대를 표명했다.[13][14]

5. 평가 및 논란

5·16 군사정변은 1993년까지 지속된 군사 정권의 시작이었으며, 12·12 군사반란과 5·17 군사반란의 선례가 되었다는 점에서 논란이 많다. 김대중 등 군사 정권 반대자들은 이 쿠데타를 민주 정부를 전복시킨 정당화할 수 없는 반란으로 보았지만,[11] 쿠데타 이후의 급속한 산업화와 박정희 정권의 "청렴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존재한다.[11]

1993년 이전 공식적으로는 "5·16 혁명"(5·16 혁명|五一六革命|O-illyuk hyeongmyeong한국어)이라 불렀으나, 김영삼 정부 하에서 '군사 정변'(군사 정변|軍事政變|gunsa jeongbyeon한국어)으로 재지정되었다. 박정희는 "5월 혁명"을 "한국 국민에 의한, 한국 국민을 위한 자위 행위"라고 묘사했고, 군사 정권은 이 혁명이 온 국민의 의지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영삼 정부는 이러한 주장을 거부하고 1960년 4월 시위를 "4월 혁명"으로 인정했으며, 이는 1994년~1995년 교육과정 개편과 역사 교과서 발행으로 확고해졌다.

과거에는 이 사건을 '군사혁명'(보수 측), '군사반란'(진보 측), '군사정변', '군사쿠데타'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렀다. 6월 항쟁 이전까지 공식 명칭은 '5·16 군사혁명'이었으나, 민주화 이후 '5·16 군사정변'이 공식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5·16”은 한자 “五一六한국어”, 한국어 “오일륙한국어”으로도 표기한다.

5. 1. 긍정적 평가

5·16 군사정변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주로 경제 성장과 국가 안보 강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일부에서는 박정희 정권의 강력한 리더십과 경제 개발 정책이 한국의 근대화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5·16 군사정변 이후 한국이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었으며, 이는 박정희 정권의 "청렴성" 덕분이라고 평가한다.[11]

또한, 5·16 군사정변은 4·19 혁명 이후 혼란스러웠던 사회를 안정시키고, 국가 안보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주장도 있다. 장준하는 《사상계》 6월호에서 "과거의 방종, 무질서, 타성, 편의주의의 낡은 껍질에서 탈피하여, 일체의 구악을 뿌리 뽑고 새로운 민족적 활로를 개척할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라며 군사정변을 지지하였다.[56] 언론인 송건호제3공화국을 민족적이라고 평가하며 박정희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56]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는 1961년 6월 14일 《코리언 리퍼블릭》지에 '5·16 군사혁명에 대한 나의 견해'라는 글에서 민주당 정권의 부정과 무능을 폭로하며 '한국에는 아직 진정한 민주주의가 시험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57]

윤치영은 이승만에게 나폴레옹, 무솔리니, 케말 파샤 등에 비견되는 권력과 지위를 권한 바 있으며,[67] 5.16 군사 정변에 대해서는 본인이 2개월가량 굳혀가던 혁명 거사가 드디어 봉기되었다며 다행이라고 생각하였다.[66]

이진순은 『한겨레』에 기고한 글에서 “민주당의 장면 내각은 혁명을 실행하기보다는 수습에 몰두했고, 미온적인 개혁과 잇따른 실정으로 민중의 지지를 잃었다. 실망하고 분노한 국민은 파격적인 ‘박정희 쿠데타 세력’을 새로운 구원투수로 환영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라고 주장하며 당시 언론과 서울대학교 학생회조차 박정희 일파를 지지한 점을 들어 “4·19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11]

한편, 박정희가 4·19 혁명으로 하야한 이승만의 귀국을 막았다는 통설과 달리,[36][37] 1962년 11월 박정희 대통령 권한 대행은 중앙정보부 김종필 부장이 이승만에게 20000USD를 직접 전달토록 했다는 주장도 있다.[38]

5. 2. 부정적 평가

5·16 군사정변은 민주적으로 선출된 장면 내각을 무너뜨리고 군사 독재 시대를 열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33]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쿠데타를 민주주의를 훼손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박정희 정권의 인권 탄압과 독재를 비판한다.

정변 당시 장준하, 언론인 송건호 등 많은 인사들의 지지 성명이 있었고,[56] 제암리 학살사건을 폭로한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는 민주당 정권의 부정과 무능을 폭로하며 '한국에는 아직 진정한 민주주의가 시험된 적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57]

12·12 군사반란과 5·17 군사반란의 선례를 제공했다는 평가도 있다. 김대중과 같은 군사 정권의 많은 반대자들은 이 쿠데타를 한국 최초의 진정한 민주 정부를 전복시킨 정당화할 수 없는 반란 행위로 간주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이 사건을 쿠데타 또는 군사 정변(軍事政變|군사 정변한국어)으로 재지정하였다. 이는 1960년 4월 시위를 4월 혁명으로 인정하는 것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1994년~1995년 교육과정 개편과 새로운 명칭을 적용한 역사 교과서 발행으로 확고해졌다.

쿠데타 과정에서 민간 정부와 군 내부의 진압 시도가 있었으나, 윤보선 대통령의 소극적인 태도와 일부 군 지휘관들의 방조로 인해 실패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 장도영 전 육군참모총장은 방첩대의 거짓 보고로 사전에 대비하지 못해서, 쿠데타 사건 하루 전에야 쿠데타 세력의 음모를 파악하였다고 회고했다.[59]
  • 이철희 전 방첩부대장은 육군참모총장에게 쿠데타 음모를 보고한 이후 방첩부대장도 쿠데타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았다고 증언하였다.[52]
  • 방자명 전 15범죄수사대장은 한강 방어 진압군이 조금만 더 버텼다면 충분히 반란군의 진입을 막을 수 있었다고 회고하였다.[41]
  • 백선엽 전 육군참모총장은 박정희 등 이른바 혁명주체세력이 공산당과 연결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들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 미국이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2]
  • 언론인 함석헌은 "여러분은 아무 혁명이론이 없었습니다. 단지 손에 든 칼만을 믿고 나섰습니다. 그러나 민중은 무력만으로 얻지 못합니다."라고 하며 쿠데타를 비판했다.
  • 서중석 역사문제연구소 이사장은 장도영은 박정희를 잘 몰라서, 필요하다면 장도영도 바로 걷어찰 수 있는 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 아니겠느냐고 한다.[63]


2022년, 이진순은 한겨레 기고에서 장면 내각이 미온적인 개혁과 잇따른 실정으로 민중의 지지를 잃었고, 실망하고 분노한 국민은 파격적인 ‘박정희 쿠데타 세력’을 새로운 구원투수로 환영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11]

5. 3. 역사적 재평가

5·16 군사정변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재평가되기도 한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5월 16일 새벽의 쿠데타 상황을 '군부의 무혈 혁명'이라고 기록했다.[64] 쿠데타 직후 윤보선 대통령은 "올 것이 왔다"는 모호한 반응을 보였다.[47] 그는 전두환 정부에서 국정자문위원회 위원 등을 맡으며 5공화국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고, 제13대 대선에서는 노태우 후보를 지지하여 민주화 세력의 비판을 받았다.[65] 윤치영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혁명 거사가 봉기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66]

반란 직후, 언론인 장준하를 비롯한 지식인들은 이를 '민족주의적 군사 정변'으로 평가하고 지지했다. 그러나 김대중 등 군사 정권 반대자들은 쿠데타를 정당화할 수 없는 반란 행위로 규정했다. 반면, 쿠데타 이후의 급속한 산업화와 박정희 정권의 "청렴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있었다.

1993년 이전에는 이 사건을 "5·16 혁명"이라고 불렀으나, 김영삼 정부 하에서 '군사 정변'으로 재지정되었다. 김영삼 정부는 1960년 4월 시위를 "4월 혁명"으로 인정하고, 역사 교과서에 새로운 명칭을 적용했다.

과거에는 이 사건을 '군사혁명'(보수 측 명칭), '군사반란'(진보 측 명칭), '군사정변', '군사쿠데타'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렀다. 6월 항쟁 이전까지 공식 명칭은 '5·16 군사혁명'이었으나, 민주화 이후 '5·16 군사정변'이 공식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6. 관련 인물

5·16 군사정변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연관되어 있다.


  • 쿠데타 주도 세력: 박정희는 쿠데타의 핵심 인물로,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과 대통령을 역임했다. 김종필은 쿠데타 계획 및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중앙정보부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다. 장도영은 초기 군사혁명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나, 이후 박정희에 의해 제거되었다.
  • 제2공화국 주요 인물: 장면제2공화국의 국무총리였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권력을 잃었다.[68] 윤보선은 제2공화국의 대통령이었으나, 쿠데타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비판을 받았다.[68] 허정은 당시 내각 수반이었으며, 쿠데타 성공 후 장면 내각의 총사퇴와 함께 혁명정부가 정권을 인수했다고 주장했다.[68]
  • 기타 인물: 4.19 혁명으로 하야한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하와이에서 측근 윤치영을 통해 쿠데타를 지원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승만은 한국 전쟁을 이용하여 정치 권력을 독점하였으며, 소위 "해방 귀족"이라 불리는 보수적인 지배 계급의 이익을 대변했다.[68]

6. 1. 쿠데타 주도 세력

5·16 군사정변의 주도 세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박정희''': 쿠데타의 핵심 주도 인물로,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대통령을 역임했다.
  • '''김종필''': 쿠데타 계획 및 실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후 중앙정보부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다.
  • '''장도영''': 초기 군사혁명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나, 이후 박정희에 의해 제거되었다.


최초의 군사 쿠데타 계획은 1960년 5월 8일에 쿠데타를 일으키려는 "5·8 계획"이었다. 이 계획은 박정희를 포함한 개혁적인 장교들이 이승만을 대통령직에서 축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4·19 혁명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1960년 5월부터 10월까지 박정희는 만주군관학교 동문 관계를 중심으로 다수의 장교들을 모아 새로운 쿠데타 계획을 수립했다. 그는 부산일보 편집장의 충성을 확보하여 쿠데타를 위한 선전 기반을 마련하려 했다. 박정희는 핵심 인물 9명을 모았고, 그의 측근인 김종필에게 사무총장 역할을 맡겼다.

1960년 11월, 박정희는 서울로 전근을 갔고, 군 내부의 반부패 운동을 이용하여 목표를 지지하도록 조작하기로 결정했다. 박정희는 다른 장성들 사이에서 쿠데타에 대한 지지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다른 핵심 구성원들은 젊은 장교들을 모집하고 서울 안팎에 혁명 세포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1961년 1월 12일 박정희가 예비군으로 이동될 예정인 153명의 장교 명단에 포함되었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쿠데타 계획은 앞당겨졌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쿠데타 계획은 군 내부의 공공연한 비밀이 되었다. 박정희는 육군방첩부대와 제9사단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했지만, 어느 조직도 상부에 계획을 보고하지 않아 계획은 방해받지 않고 진행될 수 있었다. 박정희는 이주일 소장과 쿠데타가 일어나면 장도영을 혁명위원회 수장으로 임명하여 전군의 지지를 얻기로 합의했다. 1961년 3월, 핵심 그룹은 4월 19일을 쿠데타 날짜로 정했다. 박정희는 유력 사업가들의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여 총 750만을 모았다.[71]

1961년 4월 10일, 박정희는 장도영에게 직접 계획의 세부 사항을 밝혔다. 장도영은 제안받은 지도자 자리를 거절했지만, 민간 정부에 계획을 알리지도 않았고, 음모자들을 체포하라는 명령도 내리지 않았다. 이로써 박정희는 장도영을 쿠데타 조직을 이끄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4월 19일에는 예상되는 혼란이 없었고, 계획자들은 쿠데타를 5월 12일로 연기했다.

5월 16일 새벽, 쿠데타 계획이 유출되었고, 반정보국은 쿠데타가 진행 중이라는 경고를 발령했다. 박정희는 6관구 사령부 (현재 무교공원)로 이동하여 쿠데타 작전을 직접 통제하고 계획을 구제하기 위해 나섰다. 박정희는 군인들에게 연설을 통해 쿠데타의 정당성을 주장했고, 군사경찰조차도 그들의 대의에 합류했다.

특수전사령부는 한강을 건너 청와대를 점령했고, 포병 여단은 중앙군 사령부를 점령하고 한강 북쪽 서울 시내 지역을 확보했다. 새벽 4시 15분, 박정희의 부대는 정부 3개 부처의 행정 건물을 점령하고 KBS를 장악하여 군사혁명위원회의 권력 장악을 선포했다.

방송은 반공주의, 미국과의 관계 강화, 정치 부패 척결, 자주적인 국가 경제 건설, 한국 통일, 현세대 정치인 제거 등 쿠데타의 정책 목표를 개괄적으로 설명했다. 이 선언은 장도영의 이름으로 발표되었지만, 이는 그의 사전 승인 없이 이루어졌다.

장면 총리는 쿠데타 소식을 듣고 도망쳤고, 윤보선 대통령은 쿠데타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였다. 이한림은 쿠데타를 진압하기 위해 예비군을 동원할 준비를 했지만, 북한의 공격 기회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물러섰다. 그는 이틀 후 체포되었다. 서울에서는 20개의 중무장 사단이 쿠데타를 지지하여 쿠데타를 진압할 현실적인 가능성은 없었다. 3일간 숨어 지낸 장면은 전 내각의 사퇴를 발표하고 새로운 군사정권에 권력을 넘겼다. 장도영은 위원회 위원장 임명을 수락하여 5·16 쿠데타는 완료되었다.

쿠데타 직후, 군사혁명위원회는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명되었고, 장도영은 국무총리와 국방부 장관직을 겸임하여 행정부의 공식 수장이 되었다. 그러나 박정희는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장도영을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1961년 7월 3일, 장도영은 반쿠데타 음모 혐의로 체포되었고, 박정희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직을 맡게 되었다.

쿠데타 직후, 김종필의 지휘 아래 중앙정보부(KCIA)가 설립되었다. KCIA는 박정희의 권력 기반이 되었으며, 김종필과 박정희가 장면을 위원회에서 제거하고 민간 기관에 대한 광범위한 숙청을 시작할 수 있도록 했다.

6. 2. 제2공화국 주요 인물

장면제2공화국의 국무총리였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실각했다.[68] 윤보선은 제2공화국의 대통령이었으나, 쿠데타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비판받았다.[68] 당시 내각 수반이었던 허정은 국제연합군 사령관의 원대 복귀 호소에도 불구하고 쿠데타가 성공했으며, 장면 내각의 총사퇴와 함께 혁명정부가 정권을 정식으로 인수했다고 주장했다.[68]

6. 3. 기타 인물

4.19 혁명으로 하야한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하와이에서 측근 윤치영을 통해 쿠데타를 지원했다는 뉴스 보도가 있었다. 이승만은 한국 전쟁을 이용하여 정치 권력을 독점하였으며, 소위 "해방 귀족"이라 불리는 보수적인 지배 계급의 이익을 대변했다. 이 "해방 귀족"들은 미국 점령 하에서 영향력 있는 지위에 오른 인물들이었다. 이승만 시대에 대한민국은 일제 강점기 동안 집중적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발전에 대한 노력이 거의 없었고, 침체되고 빈곤하며 대부분 농업에 의존하는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발전 부족은 사회의 급진적인 개혁과 철저한 정치·경제적 재편을 요구하는 민족주의적인 지식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68]

참조

[1] 웹사이트 철공소 골목의 변신! 문래근린공원·문래창작촌 https://mediahub.seo[...] 2024-01-09
[2] 뉴스 Heroic general Lee passes away at age of 91 https://www.koreatim[...] 2012-04-30
[3] 서적 한국대통령열전
[4] 서적 분단후의 한국정치 목鐸社
[5] 서적 한국군사혁명사 (一)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6] 웹사이트 朴致玉空輸団長 http://www.chogabje.[...] 2018-02-08
[7] 뉴스 5・16軍事革命と今日の韓国12 http://jangro.treem.[...] 2010-06-05
[8] 뉴스 軍事革命40周年5・16の主体勢力グループインタビュー「私たちは軍事革命により、反共自由民主体制を守護した」(蔡命新当時5師団長) http://monthly.chosu[...] 2001-05-10
[9] 뉴스 16日새벽、軍「쿠데타」發生 軍事革命委員會를組織(16日明け方、軍「クーデター」発生 軍事革命委員会を組織) http://gonews.kinds.[...] 1961-05-16
[10] 서적 분단후의 한국정치
[11] 뉴스 [寄稿]台湾にはあって韓国にはないもの http://japan.hani.co[...] 2022-07-09
[12] 서적 한국대통령열전
[13] 서적 분단후의 한국정치
[14] 간행물 American Foreign Policy;Current Document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s 1965
[15] 서적 혁명과 우상
[16] 영상인용 역사 속 그날들 5.16 쿠데타 성공의 미스터리 https://vod.kbs.co.k[...] KBS 2020-07-21
[17] 서적 혁명과 우상
[18] 서적 혁명과 우상
[19] 서적 혁명과 우상 & 망향
[20] 웹사이트 http://www.newdaily.[...] 1961-04-24
[21] 서적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22] 서적 망향
[23] 서적 장면은 왜 수녀원에 숨어 있었나 동아일보사 1997-09-05
[24] 뉴스 [美국무부 보고서] “장면총리, 5·16 진압하려 했다”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02-04-18
[25] 서적 김대중 자서전 1 (주)도서출판 삼인
[26] 서적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27] 서적 장면은 왜 수녀원에 숨어 있었나 동아일보사 1997
[28] 서적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29] 서적 곡필로 본 해방 50년 한울 1995
[30] 서적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31] 서적 한국의 군부정치 대왕사 1993
[32] 서적 한국정치 100년을 말한다:우리들이 꼭 알아야 할 한국 정치의 실상 두산동아 1999
[33] 법령 국가재건최고회의포고제6호 1961-05-22
[34] 웹인용 법무/법제 > 행정관련 법제도 > 출입국관리 법제 > 출입국관리법 제개정 > 출입국관리사무소 https://www.archives[...] 국가기록원 2007-12-01
[35] 뉴스 권력은 둘로 나눌 수 없는 것 http://www.futurekor[...] 미래한국 2016-06-07
[36] 뉴스 박정희의 친일, JP는 한 마디도 안 했다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6-01-17
[37] 뉴스 Opinion : 박보균 칼럼 권력의 역사의식 https://www.joongang[...] 조선일보 2015-07-23
[38] 뉴스 박정희 “건국 대통령 모셔라” 이승만 박사 환국 특명 … 하와이 간 JP, 프란체스카 파란 눈에서 굵은 눈물을 봤다 https://www.joongang[...] 조선일보 2022-09-19
[39] 저널 배진영의 기무사(機務司) 비록 〈3〉 5·16과 방첩부대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6-07
[40] 웹사이트 『군사혁명 40주년 5·16 주체세력들 그룹 인터뷰 - 우리가 군사혁명으로써 反共 자유 민주체제를 수호했다』(蔡命新 당시 5사단장) http://monthly.chosu[...] (주)조선뉴스프레스 2001-05
[41] 영상 KBS 다큐멘터리극장 - 5.16에 항거한 장군들 KBS 1993-05-16
[42] 뉴스 박정희, 만취상태서 반란군 지휘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12-09-05
[43] 뉴스 월간조선 5·16의 현장들 http://monthly.chosu[...] (주)조선뉴스익스프레스 2018-05
[44] 뉴스 (3687)제79화 육사졸업생들(140)-6관구 사령부의 혼란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3-04-15
[45] 웹사이트 서울 역사 地圖 http://monthly.chosu[...] (주)조선뉴스프레스 2001-03
[46] 웹인용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5.16 군사쿠데타 발생 https://archives.kd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3-06-18
[47] 웹사이트 5·16(五一六)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4-18
[48] 웹사이트 5.16군사정변과 한강인도교 http://www.grandcult[...]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4-20
[49] 뉴스 JP "비밀누설, 불길한 출발" … 박정희 "가자, 나를 따르라" … 새벽 4시 한강 건넌 박 소장 "장도영이 나를 쐈어"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2-09-20
[50] 웹사이트 현대 > 5·16 군사정변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4-18
[51] 뉴스 청와대·참모총장의 위험한 선택…헌법은 죽었다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14-06-14
[52] 웹사이트 전국 국가폭력 고문피해 실태조사 2차 보고서 https://www.kdemo.or[...]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1-11
[53] 뉴스 육사교장 권총위협과 육사생도의 가두행진 [김문 작가 칼럼] http://www.mediafine[...] 미디어파인 2018-06-20
[54] 웹사이트 두 번의 5·18과 ‘29만원의 그 사람’ https://www.sisain.c[...] 시사IN 2015-05-20
[55] 저널 한반도 군비경쟁과 평화정착 https://www.kinu.or.[...] 통일연구원 2021-12-30
[56] 서적 송건호 전집:20 역사에서 배운다 한길사 1996
[57] 웹사이트 http://www.dailian.c[...]
[58] 뉴스 김희선 의원, 의성김씨 본관 찾다 실패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08-17
[59] 뉴스 5·16 세력 ‘얼굴마담’ 장도영씨 영욕의 삶 마치다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12-08-06
[60] 뉴스 장도영 전 육군참모총장과의 11년 전 전화인터뷰 http://www.chogabje.[...] 조갑제닷컴 2012-08-05
[61] 영상 역사저널 그날 - 272회 5.16 쿠데타, 성공의 미스터리 KBS 2020-07-21
[62] 뉴스 <美국무부 비밀문서 단독입수> 백선엽, 516직후 박정희 ‘빨갱이’ … https://sundayjourna[...] 선데이저널USA 2014-11-30
[63] 뉴스 청와대·참모총장의 위험한 선택…헌법은 죽었다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14-06-14
[64] 뉴스 “삼청교육대 전모 밝힐 수 있다” 전체기록 찾아내 https://www.hani.co.[...] 한겨레신문 2006-02-21
[65] 웹사이트 윤보선 (尹潽善)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4-18
[66] 웹사이트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5.16 혁명과 정계복귀 http://waks.aks.ac.k[...] 한국학중앙연구원
[67] 뉴스 臨政 대통령에서 탄핵된 이승만에게 조소앙이 '쿠데타' 건의 http://archive.chosu[...] 조선일보 2023-08-19
[68]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69] 뉴스 북한, 5·16군사정변 예측…당일 지지성명 준비했었다 http://news.donga.co[...] 동아닷컴 2009-10-16
[70] 뉴스 북한, 5·16 쿠데타 '지지성명' 준비했었다…중국 외교문서 http://www.ytn.co.kr[...] YTN 2009-10-16
[71] 뉴스 '5·16 둘러싼 北의 잇단 오판'이 불량국가 불씨됐다 http://nbiz.heraldco[...] 헤럴드 2010-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