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핀 공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핀 공간은 벡터 공간의 일반화된 개념으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외에 점과 벡터의 덧셈 연산을 포함한다. 체 K 위의 아핀 공간은 집합 A, 벡터 공간 V(A), 그리고 A와 V(A) 사이의 정추이적 작용으로 구성된다. 아핀 공간은 아핀 부분 공간, 아핀 사상, 아핀 기저, 아핀 좌표계 등의 개념을 가지며, 유클리드 기하학, 물리적 공간, 대수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대수기하학에서는 아핀 대수다양체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영 공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간 (수학) - 사영 공간
    사영 공간은 공면선 교차점 공식화, 원근법 연구, 벡터 공간의 벡터 선 집합 등으로 정의되며,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대수적 개념이다.
  • 공간 (수학) - 표본 공간
    표본 공간은 통계학에서 실험이나 관찰의 가능한 모든 결과의 집합을 의미하며, 크기에 따라 유한, 가산, 비가산으로 분류되고, 통계적 추론을 위해 단순 무작위 표본을 사용하기도 한다.
  • 아핀기하학 - 아핀 변환
    아핀 변환은 아핀 공간에서 직선의 형태와 평행성을 유지하는 변환으로, 선형 변환과 평행 이동의 결합으로 표현되며, 컴퓨터 그래픽스와 이미지 처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확대 행렬을 이용해 행렬 곱셈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아핀기하학 - 아핀 기하학
    아핀 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을 일반화한 것으로, 평행선 관계, 공선성과 같은 기하학적 성질을 연구하며, 평행선 공준을 만족하고 사영 기하학에서 무한대 초평면의 여집합으로 볼 수 있다.
  • 선형대수학 -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은 체 위의 가군으로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연산을 가지며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고, 기저, 차원, 선형 사상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선형대수학 - 선형 결합
    선형 결합은 벡터 공간에서 벡터들의 스칼라 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식으로, 벡터 집합의 선형 독립성 판단 및 부분 공간 생성과 관련되며, 계수 제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결합을 정의할 수 있고, 위상 벡터 공간이나 가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아핀 공간
개요
유형기하학적 구조
분야기하학
관련 개념벡터 공간, 유클리드 공간, 사영 공간, 볼록 집합
정의
정의벡터 공간의 "원점"을 잊은 것
다른 정의점과 벡터의 작용을 갖는 집합
공리적 정의선형 구조와 평행성의 개념을 갖는 집합
성질
변환아핀 변환
불변량공선성, 평행성, 면적비, 부피비
특수한 경우벡터 공간, 유클리드 공간, 사영 공간
좌표
아핀 좌표아핀 공간의 점을 나타내는 좌표
바일 좌표아핀 공간의 방향을 나타내는 좌표
예시
아핀 평면아핀 평면
유클리드 공간유클리드 공간은 아핀 공간의 예시이다.
벡터 공간벡터 공간은 자연스럽게 아핀 공간의 구조를 가진다.
역사
창시자레온하르트 오일러
발전아서 케일리, 펠릭스 클라인
응용
컴퓨터 그래픽스컴퓨터 그래픽스에서 아핀 공간은 3차원 객체를 모델링하고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로봇 공학로봇 공학에서 아핀 공간은 로봇의 움직임을 계획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영상 처리영상 처리에서 아핀 공간은 이미지를 변환하고 정렬하는 데 사용된다.

2. 정의

아핀 공간은 벡터 공간의 주동차 공간이다. 즉, 벡터 공간이 정추이적으로 작용하는 집합이다. (벡터 공간은 벡터 덧셈에 대하여 아벨 군을 이루므로, 이는 충실한 추이적 작용과 동치이다.)

구체적으로, K 위의 '''아핀 공간''' (A,V(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 대수 구조이다.


  • 집합 A
  • K 위의 벡터 공간 V(A). 그 원소를 '''평행 이동'''이라고 한다.
  • A 위의 V(A)의 정추이적 작용 +\colon A\times V(A)\to A.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 * 임의의 a\in A에 대하여, a+0_{V(A)}=a. 여기서 0_{V(A)}\in V(A)영벡터이다.
  • * 임의의 a\in Au,v\in V(A)에 대하여, (a+u)+v=a+(u+v)
  •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v=b를 만족시키는 유일한 v\in V(A)가 존재한다.


다음과 같은 정의는 위 정의와 동치이다. 체 K 위의 '''아핀 공간''' (A,V(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 대수 구조이다.

  • 집합 A
  • K 위의 벡터 공간 V(A)
  • 함수 -\colon A\times A\to V(A).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 * 임의의 a\in A에 대하여, A\to V(A), b\mapsto b-a전단사 함수이다.
  • * (샬 관계, Chasles' relationeng) 임의의 a,b,c\in A에 대하여, (a-b)+(b-c)=a-c


두 정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a+(b-a)=b\qquad(a,b\in A)

즉, 두 점의 차는 빼는 점을 빼지는 점으로 옮기는 평행 이동 벡터와 같다.

아핀 공간 A의 '''차원'''(dimensioneng)은 평행 이동 벡터들의 공간인 V(A)의 차원이다. 1차원 아핀 공간을 '''아핀 직선'''(affine lineeng)이라고 하며, 2차원 아핀 공간을 '''아핀 평면'''(affine planeeng)이라고 한다.

앨리스와 밥의 관점에서 본 원점. 앨리스의 관점에서 벡터 계산은 빨간색이고, 밥의 관점에서는 파란색이다.


아핀 공간은 직관적으로 원점의 위치를 특정하지 않은 벡터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다. 프랑스 수학자 마르셀 베르제는 "아핀 공간은 원점을 잊어버린 벡터 공간이다"(An affine space is a vector space that's forgotten its origineng)라고 표현하기도 했다.[2][10] 예를 들어, 어떤 점 O를 원점으로 생각하는 사람(앨리스)과 다른 점 P를 원점으로 생각하는 사람(밥)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두 벡터 \mathbf{a} = \overrightarrow{OA}\mathbf{b} = \overrightarrow{OB}를 더할 때, 밥은 P를 기준으로 \mathbf{a}\mathbf{b}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그려 평행사변형법으로 합벡터 \mathbf{a} + \mathbf{b}를 구하려 할 것이다. 하지만 앨리스의 관점에서 보면, 밥이 실제로 계산한 것은 P + \overrightarrow{PA} + \overrightarrow{PB} 이다.

일반적으로 두 사람은 벡터의 선형 결합을 계산할 때 서로 다른 결과를 얻게 된다. 하지만 선형 결합의 계수 합이 1인 경우, 즉 아핀 결합의 경우에는 원점을 어디로 잡든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예를 들어, 앨리스가 \lambda\mathbf{a} + (1 - \lambda)\mathbf{b}를 계산할 때, 밥은 P + \lambda(\overrightarrow{OA} - \overrightarrow{OP}) + (1 - \lambda)(\overrightarrow{OB} - \overrightarrow{OP}) 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 식을 정리하면 P + \lambda\overrightarrow{PA} + (1-\lambda)\overrightarrow{PB} = \lambda A + (1-\lambda)B 와 같이 표현되어 앨리스와 같은 점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아핀 공간의 중요한 특징으로, 원점의 선택과 무관하게 아핀 결합은 일정하게 정의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핀 구조를 가진 집합이 바로 아핀 공간이다.

아핀 공간은 위에서 설명한 방식 외에도 여러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의 집합 A와 벡터 공간 \overrightarrow{A}, 그리고 \overrightarrow{A}의 덧셈군이 A 위에 추이적이고 자유롭게 작용하는 구조로 정의할 수도 있다.[3] 이 작용은 보통 덧셈 기호 +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한다.[4][5][6]

# 오른쪽 항등원: 모든 a \in A에 대해 a+0 = a (여기서 0\overrightarrow{A}의 영벡터).

# 결합 법칙: 모든 v,w \in \overrightarrow{A}와 모든 a \in A에 대해 (a + v) + w = a + (v + w).

# 자유 및 추이적 작용: 모든 a \in A에 대해, 사상 \overrightarrow A \to A \colon v \mapsto a + v전단사이다.

이 정의로부터 임의의 두 점 a, b \in A에 대해, a + v = b를 만족하는 유일한 벡터 v \in \overrightarrow{A}가 존재하며, 이를 v = b - a 또는 v = \overrightarrow{ab}로 표기하는 '뺄셈' 연산을 정의할 수 있다. 이 뺄셈은 다음과 같은 바일의 공리를 만족시킨다.[7]

# 모든 a \in Av\in \overrightarrow{A}에 대해, b - a = v를 만족하는 유일한 점 b \in A가 존재한다.

# 모든 a,b,c \in A에 대해, (c - b) + (b - a) = c - a.

바일의 공리를 만족하는 뺄셈 연산을 통해 아핀 공간을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평행사변형 성질, 즉 네 점 a,b,c,d에 대해 b-a = d-cc-a=d-b 가 동치라는 성질도 아핀 공간에서 성립한다.

집합 A와 가환체 K 위의 n차원 벡터 공간 V의 쌍 (A, V)K 위의 n차원 '''아핀 공간'''이 되기 위한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도 있다.

# 임의의 점 P \in A와 벡터 \mathbf{a} \in V에 대해, \overrightarrow{PQ} = \mathbf{a}를 만족하는 점 Q \in A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 점 QQ = P + \mathbf{a}로 표기하며, \mathbf{a}에 의해 결정되는 사상 T_{\mathbf{a}} : A \to A\mathbf{a}가 결정하는 평행 이동이라고 한다.

# 임의의 벡터 \mathbf{a}, \mathbf{b} \in V에 대해, 평행 이동의 합성은 T_{\mathbf b} \circ T_{\mathbf a} = T_{\mathbf{a} + \mathbf{b}}를 만족한다. 즉, 임의의 점 P \in A에 대해 (P + \mathbf{a}) + \mathbf{b} = P + (\mathbf{a} + \mathbf{b})가 성립한다.

# 임의의 두 점 P, Q \in A에 대해, Q = P + \mathbf{a}를 만족하는 벡터 \mathbf{a} \in V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 벡터 \mathbf{a}\mathbf{a} = \overrightarrow{PQ} 또는 \mathbf{a} = Q - P로 나타낸다.

이때, 집합 A를 아핀 공간 (A, V)의 '''대집합'''(underlying set)이라 하고, 벡터 공간 V를 아핀 공간에 '''수반'''(associated) 또는 '''딸린''' 벡터 공간이라고 부르며, V = V(A) 또는 V = \mathrm{Vect}(A) 등으로 표기한다. V의 원소는 A의 또는 A 위의 기하 벡터라고도 한다. 혼동의 여지가 없을 경우, 아핀 공간 (A, V)를 단순히 A로 나타내기도 한다.

3. 아핀 부분 공간과 평행성

'''아핀 부분 공간'''은 아핀 공간 A의 부분 집합 B로서, 점 a \in B가 주어졌을 때 벡터 집합 \overrightarrow{B} = \{b - a \mid b \in B\}\overrightarrow{A}의 선형 부분 공간을 이루는 집합이다. 이 속성은 점 a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으며, B 자체가 \overrightarrow{B}를 관련 벡터 공간으로 갖는 아핀 공간임을 의미한다. 아핀 부분 공간은 일부 문맥에서 ''선형 다양체'', 평면, 또는 실수 위에서는 ''선형 매니폴드''라고도 불린다.

A의 아핀 부분 공간은 A의 점 a\overrightarrow{A}의 선형 부분 공간 V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 a + V = \{a + w \mid w \in V\}

혹은 임의의 한 점 p를 고정하여, p의 부분 공간 S 상의 벡터 W에 의한 평행 이동으로 얻어지는 점 전체로서 S = p + W 와 같이 쓸 수도 있다.

이때 선형 부분 공간 V(또는 W)를 아핀 부분 공간의 '''방향'''이라고 부른다. 1차원 아핀 부분 공간은 직선, 2차원 아핀 부분 공간은 평면이라고 하며, 여차원이 1인 부분 공간은 초평면이라고 한다. 이들을 통칭하여 '''선형 다양체'''라고도 부른다.

두 개의 아핀 부분 공간 S_1, S_2가 주어졌을 때, 그들의 방향 벡터 공간 V(S_1)V(S_2) 사이에 V(S_1) \subseteq V(S_2) 관계가 성립하면, S_1S_2평행하다고 하며, S_1 \parallel S_2와 같이 표기한다. 동일한 방향을 공유하는 두 부분 공간, 즉 V(S_1) = V(S_2)인 경우에도 평행하다고 한다. 평행 관계는 추이율(S_1 \parallel S_2이고 S_2 \parallel S_3이면 S_1 \parallel S_3)을 만족한다. 그러나 대칭율(S_1 \parallel S_2이면 S_2 \parallel S_1)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간 내의 한 점에서 어떤 평면에 평행하도록 직선을 그을 수는 있지만, 어떤 직선에 평행하도록 평면을 그릴 수는 없다 (그려진 평면이 원래 직선과 평행하더라도, 그러한 평면은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모든 평행 이동 A \to A: a \mapsto a + v는 모든 아핀 부분 공간을 자신과 평행한 부분 공간으로 변환시킨다.

이는 플레이페어의 공리를 다음과 같이 일반화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주어진 방향 V에 대해, 아핀 공간 A의 임의의 점 a를 지나면서 방향 V를 갖는 아핀 부분 공간은 a + V로서 유일하게 존재한다.

4. 아핀 사상

두 아핀 공간 AB가 주어지고, 그와 연관된 벡터 공간이 각각 \overrightarrow{A}\overrightarrow{B}일 때, A에서 B로 가는 아핀 사상(affine mapeng) 또는 아핀 준동형사상은 함수 f: A \to B로, 이 함수에 대응하여 벡터들 사이에 정의되는 사상



\begin{align}

\overrightarrow{f}: \overrightarrow{A} &\to \overrightarrow{B}\\

b - a &\mapsto f(b) - f(a)

\end{align}



잘 정의된 선형 사상이 되는 함수이다. 여기서 f가 잘 정의되었다는 것은 b - a = d - c 이면 f(b) - f(a) = f(d) - f(c) 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이 정의로부터 점 a \in A와 벡터 v \in \overrightarrow{A}에 대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f(a + v) = f(a) + \overrightarrow{f}(v).

따라서 A의 임의의 점 b는 기준점 a \in A와 유일한 벡터 v \in \overrightarrow{A}를 통해 b = a + v로 표현 가능하므로, 아핀 사상 f는 한 점 a에서의 상 f(a)와 연관 선형 사상 \overrightarrow{f}만으로 완전히 결정된다.

아핀 사상은 점들의 아핀 결합을 보존한다. 즉, 계수의 합이 1인 선형 결합 \sum_{i} \lambda_i a_i (단, \sum_{i} \lambda_i = 1)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f\left(\sum_{i} \lambda_i a_i\right) = \sum_{i} \lambda_i f(a_i)
아핀 변환(affine transformationeng)은 아핀 공간 A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아핀 사상, 즉 자기 사상(endomorphismeng)이다. 아핀 변환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평행 이동: 주어진 벡터 \overrightarrow{v} \in \overrightarrow{A}에 대해, 모든 점 a \in Aa + \overrightarrow{v}로 옮기는 사상 T_{\overrightarrow{v}}: A \to A.
  • 한 점을 중심으로 하는 선형 변환: 기준점 b \in A와 선형 사상 M: \overrightarrow{A} \to \overrightarrow{A}에 대해, 모든 점 a \in Ab + M(a-b)로 옮기는 사상 L_{M,b}: A \to A.


임의의 기준점 b를 고정하면, 모든 아핀 변환은 b를 고정점으로 하는 선형 변환과 평행 이동의 합성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아핀 변환은 아핀 공간의 구조적 특징, 특히 점들의 볼록 포 구조를 보존한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아핀 성질이란 아핀 공간에서 증명될 수 있는 성질, 즉 내적과 관련된 이차 형식을 사용하지 않고 증명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이는 길이와 각도 개념을 포함하지 않는 성질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평행과 접선의 정의가 있으며, 반대로 법선의 정의는 아핀 성질이 아니다. 동등하게, 아핀 성질은 유클리드 공간의 아핀 변환에 대해 불변하는 성질이다.

아핀 사상 f \colon E \to F와 연관된 선형 사상 \overrightarrow{f} \colon \overrightarrow{E} \to \overrightarrow{F}가 주어졌을 때, f(imageeng)은 F의 아핀 부분 공간 f(E) = \{ f(a) \mid a \in E\}이며, 이 부분 공간의 연관 벡터 공간은 \overrightarrow{f}(\overrightarrow{E})이다. 아핀 공간에는 특별히 지정된 원점(영벡터)이 없으므로, 아핀 사상 자체에 대한 커널은 일반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그러나 연관된 선형 사상 \overrightarrow{f}는 커널 K = \{v \in \overrightarrow{E} \mid \overrightarrow{f}(v) = 0\}를 가진다. 상 f(E)의 임의의 점 x에 대해, x역상(preimageeng) f^{-1}(x)E의 아핀 부분 공간이며, 그 방향은 선형 사상의 커널 K이다. 이 아핀 부분 공간을 x(fibereng)이라고 한다.

아핀 공간에서는 커널이 정의되지 않지만, 몫 공간은 정의할 수 있다. 아핀 공간 E와 연관 벡터 공간 \overrightarrow{E}의 선형 부분 공간 D가 주어졌을 때, ED에 대한 몫 E/D는 동치 관계 x \sim y \iff x - y \in D에 의한 E의 몫집합이다. 이 몫 E/D는 아핀 공간이며, 연관 벡터 공간은 \overrightarrow{E}/D이다. 모든 아핀 준동형사상 f: E \to F에 대해, 그 상 f(E)E를 연관 선형 사상 \overrightarrow{f}의 커널 \ker(\overrightarrow{f})로 나눈 몫 공간 E/\ker(\overrightarrow{f})와 동형이다. 이는 아핀 공간에 대한 제1 동형 정리에 해당한다.

아핀 공간 내의 두 도형이 가역적인 아핀 변환에 의해 서로 변환될 수 있을 때, 그 두 도형은 서로 아핀 합동이라고 한다. 유클리드 공간에서 두 도형이 아핀 합동이면서 각도를 보존하면 닮음이고, 아핀 합동이면서 각도와 선분의 길이 모두를 보존하면 합동이다.

5. 아핀 기저와 좌표계



아핀 공간의 점들의 집합 X가 그 공간을 생성한다는 것은 X의 점들의 아핀 결합으로 공간의 모든 점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만약 X의 어떤 진부분집합도 X와 동일한 아핀 span을 가지지 않는다면, 즉 X의 어떤 점도 나머지 점들의 아핀 결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면, X는 '''아핀 독립'''이라고 한다.[2]

아핀 공간의 '''아핀 기저'''는 공간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아핀 독립인 점들의 집합이다. 이는 최소 생성 집합과 같은 의미이다. 만약 아핀 공간의 차원이 n이라면, 아핀 기저는 정확히 n+1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의 아핀 기저는 4개의 점으로 구성된다.[2]

점들의 집합 \{x_0, \dots, x_n\}이 아핀 공간 A의 아핀 기저가 될 필요충분조건은, 벡터들의 집합 \{x_1 - x_0, \dots, x_n - x_0\}A와 연관된 벡터 공간 \overrightarrow{A}의 선형 기저가 되는 것이다.[2]

아핀 공간에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두 가지 종류의 좌표계가 정의될 수 있다.

=== 바리 중심 좌표계 ===

k 위의 n차원 아핀 공간을 A라 하고, \{x_0, \dots, x_n\}A의 아핀 기저라고 하자. 아핀 기저의 중요한 성질은 A 안의 모든 점 x에 대해,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n+1)-튜플 (\lambda_0, \dots, \lambda_n)이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것이다.[2]


  • \lambda_0 + \dots + \lambda_n = 1
  • x = \lambda_0 x_0 + \dots + \lambda_n x_n.


이때 계수 \lambda_i들을 아핀 기저 \{x_0, \dots, x_n\}에 대한 점 x의 '''바리 중심 좌표'''(barycentric coordinates)라고 부른다. 만약 각 점 x_i가 질량 \lambda_i를 가진 물체라고 생각한다면, 점 x는 이 물체들의 무게중심에 해당한다. 이것이 "바리 중심"이라는 이름의 유래이다.[2] 바리 중심 좌표는 아핀 공간 A와, 벡터 공간 k^{n+1} 내에서 방정식 \lambda_0 + \dots + \lambda_n = 1을 만족하는 아핀 부분 공간 사이의 아핀 동형 사상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평면 위의 삼각형의 세 꼭짓점은 평면의 아핀 기저를 이룬다. 이 꼭짓점들을 기저로 사용하면, 삼각형 내부의 점, 변 위의 점, 중선, 무게중심 등을 바리 중심 좌표를 이용해 각도나 거리 계산 없이 쉽게 표현할 수 있다. 꼭짓점은 각각 (1, 0, 0), (0, 1, 0), (0, 0, 1)의 좌표를 가지며, 삼각형 내부는 모든 좌표가 양수인 점들의 집합이다.[2]

=== 아핀 좌표계 ===

'''아핀 좌표계'''(affine coordinate system)는 아핀 공간의 한 점인 '''원점''' o와, 그 공간에 연관된 벡터 공간 \overrightarrow{A}의 선형 기저 (v_1, \dots, v_n)로 구성된다.[2]

아핀 공간 A의 모든 점 p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기초 체의 스칼라 수열 \lambda_1, \dots, \lambda_n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 p = o + \lambda_1 v_1 + \dots + \lambda_n v_n

이는 벡터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overrightarrow{op} = \lambda_1 v_1 + \dots + \lambda_n v_n.

이때 스칼라 \lambda_i들을 아핀 좌표계 (o, v_1, \dots, v_n)에 대한 점 p의 '''아핀 좌표'''라고 부른다.[2]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사용하는 데카르트 좌표계는 아핀 좌표계의 특별한 경우이다. 데카르트 좌표계는 원점 o정규 직교 기저 (v_1, \dots, v_n)로 이루어진 아핀 좌표계, 즉 '''정규 직교 좌표계'''에 해당한다.[2]

아핀 좌표계는 '''사교 좌표계'''(oblique coordinate system)라고도 불린다. 원점 O와 벡터 기저 \mathbf{B} = (\mathbf{a}_1, \dots, \mathbf{a}_n)가 주어지면, 임의의 점 P의 위치 벡터 \overrightarrow{OP} = \mathbf{p}는 기저 \mathbf{B}를 이용해 \mathbf{p} = p_1\mathbf{a}_1 + \dots + p_n\mathbf{a}_n와 같이 유일하게 표현된다. 이때 (p_1, \dots, p_n)를 점 P의 아핀 좌표 (또는 사교 좌표)라고 한다.[2]

=== 두 좌표계의 관계 ===

바리 중심 좌표와 아핀 좌표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사실상 동등한 정보를 제공한다.[2]

아핀 기저(바리 중심 틀) (x_0, x_1, \dots, x_n)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해 원점을 x_0로 하고 기저 벡터를 (\overrightarrow{x_0 x_1}, \dots, \overrightarrow{x_0 x_n}), 즉 (x_1 - x_0, \dots, x_n - x_0)로 하는 아핀 틀을 즉시 만들 수 있다. 어떤 점의 바리 중심 좌표가 (\lambda_0, \lambda_1, \dots, \lambda_n)이라면, 이 점의 해당 아핀 좌표는 (\lambda_1, \dots, \lambda_n)이다.[2]

반대로, 아핀 틀 (o, v_1, \dots, v_n)이 주어지면, 이를 이용해 아핀 기저 (o, o + v_1, \dots, o + v_n)를 만들 수 있다. 어떤 점의 아핀 좌표가 (\lambda_1, \dots, \lambda_n)이라면, 이 점의 해당 바리 중심 좌표는 (1 - \sum_{i=1}^n \lambda_i, \lambda_1, \dots, \lambda_n)이다.[2]

대부분의 경우 아핀 좌표는 사용하는 좌표의 개수가 더 적기 때문에 선호되지만, 문제에서 다루는 점들이 아핀 독립적인 경우에는 바리 중심 좌표가 계산을 더 간결하게 만들 수 있다.[2] 두 좌표계 모두 한 기저에서 다른 기저로 좌표를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2]

6. 예시


  • 모든 벡터 공간 ''V''는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아핀 공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벡터 공간의 원소는 점 또는 벡터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아핀 공간은 때때로 (''V'', ''V'')로 표기된다. 점으로 간주될 때, 영 벡터는 보통 원점 ''o'' (또는 ''O'')라고 부른다.
  • 유클리드 공간은 아핀 공간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1차원 직선, 2차원 평면, 3차원 공간 및 더 높은 차원의 유사 공간들이 모두 유클리드 공간에 해당하며, 이는 아핀 공간의 구조를 가진다. 현대적인 정의에 따르면, 유클리드 공간은 관련된 벡터 공간이 유한 차원의 실수 내적 공간인 아핀 공간이다.
  • 수직선 위에서 수를 더하거나 뺄 때, 예를 들어 4 + 3이나 4 - 2를 계산하기 위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눈금을 세는 것은 수직선을 1차원 아핀 공간으로 다루는 것과 같다.
  • 시간은 1차원 아핀 공간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특정한 시점(예: 특정 날짜)은 아핀 공간의 점에 해당하고, 시간의 간격(예: '3일 동안')은 변위 벡터에 해당한다.
  • 에너지 공간은 실수 '''R'''을 벡터 공간으로 하는 아핀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물리학에서는 절대적인 에너지 값보다는 에너지의 차이가 중요하게 다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진공 에너지를 정의하는 것은 특정한 기준점(원점)을 선택하는 것에 해당한다.
  • 물리적 공간은 종종 아핀 공간으로 모델링된다. 비상대론적 환경에서는 3차원 유클리드 공간 '''R'''3에 대한 아핀 공간으로, 상대론적 환경에서는 민코프스키 공간 '''R'''1,3에 대한 아핀 공간으로 다룬다. 이를 벡터 공간과 구별하기 위해 E(3) 또는 E(1,3)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 어떤 벡터 공간의 부분 공간 ''V''가 주어졌을 때, ''V''의 잉여류들의 집합은 ''V''를 벡터 공간으로 하는 아핀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R'''2에서 원점을 지나지 않는 직선은 그 자체로는 벡터 공간이 아니지만, 직선 위의 한 점을 원점으로 간주하면 아핀 공간 구조를 가진다.
  • 선형 방정식의 해 집합은 아핀 공간을 이룬다.

행렬 ''T''와 벡터 b (단, b는 ''T''의 열 공간에 속함)에 대해, 선형 방정식 ''T''x = b의 해 집합은 동차 방정식 ''T''x** = 0의 해 공간(이는 벡터 부분 공간임)에 대한 아핀 공간이다.

  • * 비동차 선형 미분 방정식의 해 집합은, 대응하는 동차 선형 미분 방정식의 해 공간(이는 벡터 공간임)에 대한 아핀 공간을 형성한다.
  • 더 일반적으로, 선형 사상 ''T'': ''V'' → ''W''와 ''T''의 에 속하는 벡터 y에 대해, 방정식 ''T''x = y를 만족하는 해 x ∈ ''V''의 집합은 ''T''의 핵(Ker ''T'')의 잉여류이며, 따라서 Ker ''T''를 벡터 공간으로 하는 아핀 공간이다.
  • 벡터 공간 ''W'' 안의 부분 공간 ''V''에 대한 보완 부분 공간들의 공간은 Hom(''W''/''V'', ''V'')에 대한 아핀 공간이다.
  • 미분기하학에서 벡터 다발이나 주 다발 위의 접속들의 공간은 특정 벡터 공간에 대한 아핀 공간이다.

7. 대수기하학에서의 아핀 공간

대수기하학에서 아핀 대수다양체 (또는, 더 일반적으로 아핀 대수적 집합)는 아핀 공간의 부분집합으로, 소위 "아핀 공간 위의 다항식 함수"의 공통 영점 집합으로 정의된다. "아핀 공간 위의 다항식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아핀 틀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면, 다항식 함수는 임의의 점의 상이 그 점의 좌표에 대한 일부 다변수 다항식 함수의 값인 함수이다. 아핀 좌표의 변환은 좌표의 선형 함수 (더 정확하게는 아핀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이 정의는 특정 좌표 선택과 무관하다.

''k'' 위의 차원 ''n''인 아핀 공간 \mathbb{A}_k^n에 대한 아핀 좌표계 선택은 \mathbb{A}_k^n과 아핀 좌표 공간 ''k''''n'' 사이의 아핀 동형 사상을 유도한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교과서에서 \mathbb{A}_k^n = k^n으로 쓰고, 아핀 대수다양체를 ''k''''n'' 위의 다항식 함수의 공통 영점으로 소개한다.[9]

전체 아핀 공간은 영 다항식의 공통 영점 집합이므로, 아핀 공간은 아핀 대수다양체이다.

위의 정의에 따르면, 아핀 공간 \mathbb{A}_k^n의 아핀 프레임을 선택하면 \mathbb{A}_k^n의 다항식 함수를 ''n''개의 변수에 대한 다항식과 동일시할 수 있으며, 이때 ''i''번째 변수는 점을 해당 점의 ''i''번째 좌표에 매핑하는 함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mathbb{A}_k^n에 대한 다항식 함수의 집합은 ''k''-대수이며, k\left[\mathbb{A}_k^n\right]으로 표시되고, 이는 다항식환 k\left[X_1, \dots, X_n\right]과 동형이다.

좌표를 변경하면 k\left[\mathbb{A}_k^n\right]k[X_1, \dots, X_n] 사이의 동형사상도 그에 따라 변경되며, 이는 각 부정원소를 1차 다항식에 매핑하는 k\left[X_1, \dots, X_n\right]의 자기 동형 사상을 유도한다. 따라서 전체 차수는 k\left[\mathbb A_k^n\right]여과를 정의하며, 이는 좌표 선택과 무관하다. 전체 차수는 또한 등급을 정의하지만, 아핀 좌표의 변경이 부정원소를 비-동차 다항식에 매핑할 수 있으므로 좌표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실수복소수와 같은 위상체 위의 아핀 공간은 자연스러운 위상을 갖는다. 임의의 체 위의 아핀 공간에 대해 정의되는 자리스키 위상은 모든 경우에 위상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자리스키 위상은 아핀 공간에서 닫힌 집합이 아핀 대수적 집합(즉, 아핀 집합에 대한 다항식 함수의 공통 영점 집합)인 유일한 위상이다. 위상체에서 다항식 함수는 연속이므로 모든 자리스키 닫힌 집합은 일반적인 위상에 대해 닫혀 있다(있는 경우). 즉, 위상체 위에서 자리스키 위상은 자연스러운 위상보다 느슨한 위상이다.

아핀 공간에서 다항식 함수의 환의 소 아이디얼 집합(즉, 환의 스펙트럼)으로의 자연스러운 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아핀 좌표가 선택되면 이 함수는 좌표 \left(a_1, \dots, a_n\right)의 점을 극대 아이디얼 \left\langle X_1 - a_1, \dots, X_n - a_n\right\rangle로 매핑한다. 이 함수는 아핀 공간과 다항식 함수 환의 스펙트럼의 자리스키 위상에 대한 위상 동형 사상이며, 함수의 이미지 위로의 위상 동형 사상이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경우는 대수 기하학에서 특히 중요한데, 이 경우 위상 동형 사상은 아핀 공간과 함수의 환의 모든 극대 아이디얼 집합 간의 사상이기 때문이다(이것이 힐베르트 영점 정리이다).

이것이 그로텐디크의 스키마 이론의 시작 아이디어이며, 이는 대수적 다양체를 연구하기 위해 아핀 공간의 점뿐만 아니라 스펙트럼의 모든 소 아이디얼을 "점"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다양체의 경우 차트가 다양체를 구성하기 위해 함께 붙이기가 가능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대수적 다양체를 붙이기가 가능하다.

모든 아핀 대수다양체와 마찬가지로 아핀 공간에 대한 국소 데이터는 항상 전역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즉, 아핀 공간의 코호몰로지는 자명하다. 더 정확히 말하면, 모든 연접층 '''F'''와 정수 i > 0에 대해 H^i\left(\mathbb{A}_k^n,\mathbf{F}\right) = 0이다. 이러한 성질은 다른 모든 아핀 대수다양체도 갖는다. 또한 아핀 공간의 모든 에탈 코호몰로지 군도 자명하다. 특히 모든 선형 다발은 자명하다. 더 일반적으로, 퀼렌-서슬린 정리에 따르면 아핀 공간 위의 ''모든'' 대수적 벡터 다발은 자명하다.

8. 사영 공간과의 관계

아핀 공간은 사영 공간의 부분 공간이며, 이는 다시 벡터 공간을 동치 관계(선형 부분 공간이 아님)로 나눈 몫이다.


아핀 공간은 사영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핀 평면은 임의의 사영 평면에서 하나의 선(무한원 직선)과 그 위에 있는 모든 점을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모든 아핀 평면은 무한원 직선을 추가하여 폐포로서 사영 평면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무한원 직선 위의 점들은 평행선들의 동치 클래스에 해당한다. 유사한 구조가 더 높은 차원에서도 적용된다.[1][2]

또한, 아핀 공간을 보존하는 사영 공간의 변환, 즉 무한원 초평면을 집합으로서 불변하게 유지하는 사영 변환은 아핀 공간의 아핀 변환을 유도한다. 반대로, 모든 아핀 선형 변환은 사영 선형 변환으로 유일하게 확장될 수 있으므로, 아핀 군은 사영 군의 부분군이다.[3][4] 예를 들어, 뫼비우스 변환(복소 사영 직선 또는 리만 구의 변환)은 무한원 점을 고정시킬 때에만 복소 평면의 아핀 변환이 된다.[5]

임의의 벡터 공간은 그 자체로 아핀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벡터 공간의 임의의 부분 공간에 대한 몫 공간 역시 아핀 공간이 된다. 특히, 벡터 공간 내 1차원 부분 공간들의 집합인 사영 공간은 아핀 공간의 구조를 가진다.[6] 동차 선형 방정식의 해집합은 벡터 공간을 이루지만, 비동차 선형 방정식의 해집합은 일반적으로 동차 방정식 해 공간을 특정 해만큼 평행 이동한 것이므로 아핀 공간을 이룬다.[7]

그러나 아핀 공간과 사영 공간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점도 존재한다. 사영 공간은 '주어진 특정 점(원점)을 통과하는 직선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아핀 공간에는 구조적으로 내재된 특별한 점(원점)이 없다. 따라서 벡터 공간을 사영 공간으로 만드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아핀 공간 자체를 직접 사영 공간으로 만드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아핀 공간에서 임의의 점을 원점으로 선택하면 벡터 공간이 되므로 사영화를 수행할 수는 있지만, 이 원점 선택은 임의적이기 때문에 범주론적인 의미에서 자연스러운 과정은 아니다.[8]

참조

[1] 문서 The word translation is generally preferred to displacement vector, which may be confusing, as displacements include also rotations.
[2] 서적 1987
[3] 서적 Problems in Geometry Springer 1984
[4] 서적 1987
[5] 서적 Metric Affine Geometry 1989
[6] 서적 Affine Maps, Euclidean Motions and Quadr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
[7] 서적 1994
[8] 서적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Wellesley-Cambridge Press 2009
[9] 서적 1977
[10] 서적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