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네 홀츠마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네 홀츠마크는 노르웨이의 고대 노르드어 학자이자 번역가이다. 그녀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노르드 고전어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고대 노르드어 연구에 기여했다. 홀츠마크는 헤임스크링글라를 비롯한 여러 고대 노르드 문헌을 노르웨이어로 번역했고, 노르드 신화에 관한 저서를 출판했다. 1941년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성 올라프 훈장과 아이슬란드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번역가 - 한스 에게데
    한스 에게데는 노르웨이 출신의 루터교 선교사로, 그린란드 선교를 위해 덴마크-노르웨이의 지원을 받아 그린란드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이누이트의 언어를 연구했으며, 그린란드 주교로 임명되어 선교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노르웨이의 번역가 - 시그리드 운세트
    노르웨이 소설가 시그리드 운세트는 중세 노르웨이 배경의 대하소설 『크리스틴 라브란스다테르』로 192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사실주의 소설로 등단하여 여성 문제를 다루다 가톨릭 개종 후 종교적 주제를 탐구했고, 나치 독일 침공을 피해 미국 망명 후 귀국하여 생을 마감했다.
  • 문헌학자 - 하워드 카터
    영국의 고고학자이자 이집트학 학자인 하워드 카터는 1922년 투탕카멘의 무덤 발굴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발굴 과정에서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지만 과학적인 고고학 연구를 강조했다.
  • 문헌학자 - 툰젤 쿠르티즈
    튀르키예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툰젤 쿠르티즈는 이스탄불 대학교에서 영어 문헌학을 전공하고 극장 배우로 연기 경력을 시작하여 일마즈 귈레이 감독과의 협업으로 영화계에 진출, 영화 《괴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으나 77세에 이스탄불 자택에서 낙상 사고로 사망했다.
  • 다발성 경화증 환자 - 오자와 지사부로
    오자와 지사부로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으로, 구축함 함장, 참모 등을 거쳐 해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며, 항공모함 운용 전술의 선구자로 평가받지만 마리아나 해전과 레이테 만 해전에서의 패배로 비판받고, 종전 후 연합함대 사령장관을 역임했다.
  • 다발성 경화증 환자 - 마르셀 그로스만
    마르셀 그로스만은 스위스의 수학자로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의 협력을 통해 일반 상대성 이론의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회의와 상이 제정되었다.
안네 홀츠마크

2. 생애

안네 홀츠마크는 크리스티아니아에서 태어나 그곳과 오스에서 성장했다. 오슬로 대학교에서 고대 노르드어를 전공한 최초의 여성 교수가 되었으며, 다발성 경화증으로 은퇴할 때까지 학문적 업적을 쌓았다.[1][3]

2. 1. 초기 생애

안네 홀츠마크는 크리스티아니아에서 가브리엘 가브리엘센 홀츠마크(1867–1954)와 마그레테 바이스(1871–1933) 사이의 다섯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으며, 크리스티아니아와 오스에서 성장했다. 요한 페테르 바이스의 외손녀이자, 벤트 홀츠마크의 손녀이며, 베른트와 토르제르 홀츠마크의 조카였고, 요한과 카렌 홀츠마크의 여동생이었다. 그녀는 결혼하지 않았다.[1]

2. 2. 학업 및 경력

홀츠마크는 경영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13년부터 1915년까지 크리스티아니아 스파레방크에서 근무했다. 이후 1917년 오슬로 대성당 학교에서 examen artium을 취득했고, 1927년에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1924년 cand.philol. 학위를 취득했다.[1] 그녀는 노르웨이어를 전공하고 프랑스어와 역사를 부전공했으며, 오슬로 상업학교에서 가정교사이자 회계 담당자로 파트타임으로 일했다.[1]

1930년까지 오슬로 대학교 도서관에서 근무했으며, 1925~26년에는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노르웨이어 강사로 1년 동안 근무했다. 1931년에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노르드 고전어학 강사로 채용되었으며, 1936년 논문 'En islandsk scholasticus fra det 12. århundre'로 dr.philos. 학위를 취득했다. 오슬로 대학교에서 고대 노르드어를 전공한 최초의 여성 교수[3]로, 1949년 마그누스 올센의 뒤를 이어 교수로 승진했다.[1]

1950년대부터 휠체어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다발성 경화증이 심해져 1960년에 은퇴했으며, 1974년 5월 오슬로에서 사망했다.[1]

3. 연구 업적

홀츠마크는 디드리크 아루프 세이프와 함께 ''헤임스크링글라''(1934, 2권)를 노르웨이어로 번역했고, 산문 에다(1950), ''헬기사가 올라프스 코눙스 하랄드소나르''(1956), ''스베르리스 사가''(1961), ''하코나르 사가 하코나르소나르''(1964), ''오르크네이가 사가''(1970)를 번역 출판했다. 석사 논문으로 ''글림드라파''를 썼으며, ''호스트롱''에 대한 논문도 발표했다.[1] 1938년부터 1949년까지 고대 노르드어 사전 프로젝트인 ''Gammelnorsk ordboksverk''를 이끌었다.[4]

''북유럽 중세 문화사 사전(Kulturhistorisk leksikon for nordisk middelalder)''에 많은 기고를 하는 등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다.[1] 노르드 신화에 관한 저서인 ''노르드 신화: 바이킹 시대의 신앙과 신화(Norrøn mytologi: Tru og mytar i vikingtida)''(1970)는 여러 차례 재출판되고 번역되었다.[5]

3. 1. 고대 노르드어 번역

홀츠마크는 여러 고대 노르드어를 노르웨이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 디드리크 아루프 세이프와 함께 번역한 ''헤임스크링글라''(1934, 2권), ''산문 에다''(1950), ''헬기사가 올라프스 코눙스 하랄드소나르''(1956), ''스베르리스 사가''(1961), ''하코나르 사가 하코나르소나르''(1964), ''오르크네이가 사가''(1970)가 있다.[1] 그녀는 석사 논문을 ''글림드라파''에 관해 썼으며, ''호스트롱''에 대한 논문도 발표했다.[1] 1938년부터 1949년까지 고대 노르드어 사전 프로젝트인 ''Gammelnorsk ordboksverk''를 이끌었다.[4]

3. 2. 논문 및 저서

홀츠마크는 여러 고대 노르드어를 노르웨이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 디드리크 아루프 세이프와 함께 헤임스크링글라(1934, 전2권)를 번역했고, 산문 에다(1950), ''헬기사가 올라프스 코눙스 하랄드소나르''(1956), ''스베르리스 사가''(1961), ''하코나르 사가 하코나르소나르''(1964), ''오르크네이가 사가''(1970)를 번역했다.[1] 석사 논문으로 ''글림드라파''를 썼고, ''호스트롱''에 대한 논문도 발표했다.[1] 1938년부터 1949년까지 고대 노르드어 사전 프로젝트인 ''Gammelnorsk ordboksverk''를 이끌었다.[4]

''북유럽 중세 문화사 사전(Kulturhistorisk leksikon for nordisk middelalder)''에 많은 기고를 하는 등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다.[1] 노르드 신화에 관한 저서인 ''노르드 신화: 바이킹 시대의 신앙과 신화(Norrøn mytologi: Tru og mytar i vikingtida)''(1970)는 여러 차례 재출판되고 번역되었다.[5]

제목출판 연도비고
12세기 아이슬란드 학자1936년
노르드 신화. 바이킹 시대의 신앙과 신화1970년
스노리 스투를루손, 에다1950년요운 헬가손 공저, 제2판이 《에다 고대 북유럽 가요집》(V.G. 넥켈 외 편, 타니구치 유키오 역, 신초샤)의 《스노리의 에다》의 저본으로 사용됨.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41년~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1]
1958년성 올라프 훈장 (1등급 기사)[2]
1961년아이슬란드 대학교 명예 박사[3]


참조

[1] 백과사전 Anne Holtsmark http://www.snl.no/.n[...] Kunnskapsforlaget 2010-04-15
[2] 웹사이트 Holtsmark http://www.lier.komm[...] Lier municipality 2009-05-07
[3] 웹사이트 Anne Holtsmark http://www.almamater[...] 2011-10-02
[4] 백과사전 Anne Holtsmark http://www.snl.no/An[...] Kunnskapsforlaget 2010-04-15
[5] 웹사이트 Holtsmark, Anne 1896-1974 http://www.worldcat.[...]
[6] 뉴스 "Æresdoktor ved Islands universitet" http://eavis.aftenpo[...] Aftenposten 1961-10-13
[7] 서적 『古代北欧の宗教と神話』にみられる表記
[8] 서적 北欧神話・宇宙論の基礎構造 白鳳社
[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