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병무는 대한민국의 신학자이자 민중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1922년 평안북도 안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중앙신학교, 연세대학교, 한신대학교 등에서 가르치며 한국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민중신학 연구에 몰두했다. 향린교회 설립, 한국디아코니아 자매회 설립,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투옥되는 등 사회 참여와 실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1972년부터 "예수와 민중"을 주제로 강연하며 민중의 고통을 집단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예수의 사역이 소외된 군중과 함께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주장했다. 1996년 7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남대학교 교수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강남대학교 교수 - 김행숙
김행숙은 1970년 서울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1999년 등단하여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시집 《사춘기》를 출간하고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강남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신학자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신학자 - 박용길
박용길은 '봄길'이라는 호를 사용한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이자 통일운동가로, 목사이자 통일운동가인 문익환의 배우자로서 민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에 헌신하며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공동의장, 통일맞이 칠천만겨레모임 이사장 등을 역임했고, 김일성 주석 1주기 추모 방북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안병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글) | 안병무 |
이름 (한자) | 安炳茂 |
로마자 표기 | An Byeong-mu |
출생일 | 1922년 6월 23일 |
사망일 | 1996년 10월 19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신학자 |
학력 | |
학력 | 미상 |
가족 | |
부모 | 미상 |
배우자 | 미상 |
자녀 | 미상 |
경력 | |
분야 | 민중신학 |
주요 관심사 | 미상 |
소속 | 미상 |
영향 | 미상 |
주요 저서 | |
주요 저서 | 미상 |
수상 | |
수상 | 미상 |
2. 생애
1967년 여성운동가 박영숙과 결혼했고, 박영숙과의 사이에 아들을 두었다.[4] 1953년 5월 17일 한국기독교장로회 향린교회를 홍창의 등 12명의 형제들과 함께 ① 생활공동체 ② 입체적 선교공동체 ③ 평신도교회 ④ 독립교회라는 네 가지 창립정신을 가지고 설립하였다.[5] 1973년 한국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의 민중신학 연구에 몰두했다. 현재도 한국신학연구소는 계간지 《신학사상》(神學思想)와 신학 서적들을 간행하고 있으며, 진보적인 기독교 출판사 중 한 곳으로 평가받는다.[4] 저서로는 성서연구서 《역사와 해석》(1981년作, 대한 기독교 출판사 刊),《갈릴래아의 예수》 등이 있다.
안병무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혐의로 한국신학대학과 한신대학교 두 곳에서 해고되었고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1][2]
안병무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75년 6월 | 교수직 강제 해직(제1차) |
1976년 3월 ~ 1977년 2월 |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옥고를 치름 |
1980년 | 개신교 수녀회인 <한국디아코니아 자매회> 설립 |
1980년 2월 ~ 1980년 5월 | 한국신학대학 교수(제1차 복직) |
1980년 8월 | 교수직 강제 해직(제2차) |
1984년 7월 ~ 1987년 8월 | 한신대학교 교수(제2차 복직), 대학원장, 평화연구소 소장 |
1987년 8월 | 한신대학교 정년 퇴임 |
1988년 ~ 1996년 10월 | 한신대학교 명예 교수 |
1990년 | 한국기독교장로회 통일연구위원회 위원장 |
1994년 6월 10일 ~ 1996년 7월 10일 | 재단법인 <천원>(현 재단법인 <아우내>) 이사장 |
1996년 7월 10일 ~ 1996년 10월 | 재단법인 <아우내> 명예 이사장 |
1996년 10월 19일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중앙병원에서 심근경색으로 별세. 향년 74세. |
2. 1. 유년기와 학창 시절
1922년 평안북도 안주에서 태어나, 간도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4]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고,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귄터 보른캄의 지도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4]안병무의 학창 시절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40년 12월 15일 | (간도 용정) 은진중학교 졸업 |
1943년 8월 10일 | (일본) 대정대학 문학부 예과 3년 수료 |
1950년 5월 5일 |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사회학과에서 문학사 학위 받음 |
1965년 7월 5일 |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박사 학위 받음 |
평안남도 한의사의 장남으로 태어난 안병무는 한 살 때 가족과 함께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만주로 피난했다. 초등학교에서 기독교를 접했고, 캐나다 장로교 선교부가 운영하는 중학교에 입학했다. 1941년 대정대학과 와세다 대학에서 사회학 및 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일본으로 갔다. 학업은 중단되었지만,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종교를 부전공하며 학업을 계속했다(1946–1950).[1]
중앙신학교에서 강사로 일하며 사회학과 고대 그리스어를 가르쳤고, 루돌프 불트만의 저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귄터 보른캄의 지도를 받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공자와 예수의 사랑에 대한 이해"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de)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1956–1965)를 받았다.[1]
2. 2. 독일 유학과 귀국
1922년 평안북도 안주에서 태어나, 간도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고,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불트만 학파의 귄터 보른캄의 지도하에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7년 여성운동가 박영숙과 결혼했고, 박영숙과의 사이에 아들을 두었다. [4]1941년 대정대학과 와세다 대학에서 사회학 및 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일본으로 갔으나 학업이 중단되었고,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종교를 부전공하며 학업을 계속했다(1946–1950). 중앙신학교에서 강사로 일하며 사회학과 고대 그리스어를 가르쳤고, 루돌프 불트만의 저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불트만의 제자인 Günther Bornkamm의 지도를 받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1956–1965)를 받으며 "공자와 예수의 사랑에 대한 이해"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de)에 대한 논문을 완성했다.[1]
1965년 한국으로 돌아와 중앙신학교, 연세대학교, 한국신학대학에서 가르쳤다.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혐의로 한신대학교에서 해고되었고 1976년 투옥되었다.[1][2]
연도 | 내용 |
---|---|
1922. 6. 23 | 평안남도 안주군 신안주면 운송리에서 아버지 안봉식, 어머니 정원숙의 맏아들로 출생 |
1940.12.15 | 간도 용정 은진중학교 졸업 |
1943. 8.10 | 일본 대정대학 문학부 예과 3년 수료 |
1950. 5. 5 |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사회학과에서 문학사 학위 취득 |
1965. 7. 5 |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박사 학위 취득 |
1950.5-1970.4 |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 교수 |
1951 | 월간지 『야성』 창간, 발행인 |
1953.5 | 평신도 교회 설립(현 향린교회의 모체) |
1965.9-1966.3 | 대전 감리교 신학대학(현 목원대학) 강사 |
1965.9-1969.2 | 중앙신학교 교장 |
1966.9-1969.9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 대학원 강사 |
1968.9-1970.4 | 한국신학대학 및 대학원 강사 |
1969.3-1971.3 | 숭실대학교 강사 |
1969.7-1980.8 | 월간 『현존』 창간, 발행인 |
1970.5-1975.6 | 한국신학대학 교수 |
1973.5-1991.6 | <한국신학연구소> 설립. 소장으로 봉직 |
2. 3. 민주화 운동과 투옥
안병무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한국신학대학과 한신대학교에서 해직되었고, 1976년에는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1977년까지 옥고를 치렀다.[1][2]2. 4. 한국신학연구소 설립과 민중신학 정립
1973년 한국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의 민중신학 연구에 몰두했다. 현재도 한국신학연구소는 계간지 《신학사상》(神學思想)와 신학 서적들을 간행하고 있으며, 진보적인 기독교 출판사 중 한 곳으로 평가받는다.[4]민중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안병무는 1972년부터 "예수와 민중(''오클로스'')"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 논문에서 안병무는 민중의 고통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집단적인 고통이라고 주장했다.[3] 안병무는 마가 복음에서 예수는 항상 소외되고 인간성을 잃은 "군중"인 ''오클로스''의 편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안병무는 독일의 역사-비평적 성서 해석이 ''오클로스''의 위치를 간과했지만, 예수의 사역은 이 소외된 군중과 함께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믿었다.[1]
연도 | 내용 |
---|---|
1973년 5월 ~ 1991년 6월 | <한국신학연구소> 설립. 소장으로 봉직 |
2. 5. 한신대학교 교수와 말년
1984년 7월부터 1987년 8월까지 한신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대학원장과 평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1] 1987년 한신대학교에서 정년 퇴임한 후,[1] 1988년부터 1996년 10월까지 한신대학교 명예 교수로 있었다.[1]1990년 한국기독교장로회 통일연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1] 1994년 6월 10일부터 1996년 7월 10일까지 재단법인 천원(현 재단법인 아우내) 이사장을 지냈으며,[1] 이후 같은 해 10월까지 재단법인 아우내 명예 이사장을 역임했다.[1]
1996년 10월 19일 오전 1시, 서울 풍납동 중앙병원에서 심장질환(심근경색)으로 별세했다. 향년 74세였다.[1]
3. 사상과 신학
안병무는 민중신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서, 마가 복음에 나타난 예수와 민중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했다. 그는 예수가 항상 소외되고 인간성을 잃은 "군중"인 όχλος|오클로스grc의 편에 있었다고 보았다. 독일의 역사-비평적 성서 해석이 ''오클로스''의 중요성을 간과했지만, 예수의 사역은 이 소외된 군중과 함께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주장했다.[1][3]
3. 1. 민중신학
민중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안병무는 1972년부터 "예수와 민중(''오클로스'')"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 논문에서 안병무는 민중의 고통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집단적인 고통이라고 주장했다.[3] 안병무는 마가 복음에서 예수는 항상 소외되고 인간성을 잃은 "군중"인 ''오클로스''의 편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안병무는 독일의 역사-비평적 성서 해석이 ''오클로스''의 위치를 간과했지만, 예수의 사역은 이 소외된 군중과 함께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믿었다.[1]3. 1. 1. 오클로스(ὄχλος)와 민중
안병무는 1972년부터 "예수와 민중(''오클로스'')"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 논문에서 안병무는 민중의 고통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집단적인 고통이라고 주장했다.[3] 안병무는 마가 복음에서 예수는 항상 소외되고 인간성을 잃은 "군중"인 ὄχλος|오클로스grc의 편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안병무는 독일의 역사-비평적 성서 해석이 ὄχλος|오클로스grc의 위치를 간과했지만, 예수의 사역은 이 소외된 군중과 함께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믿었다.[1]3. 1. 2. 민중의 주체성
안병무는 1972년부터 "예수와 민중(''오클로스'')"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 논문에서 안병무는 민중의 고통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집단적인 고통이라고 주장했다.[3] 그는 마가 복음에서 예수는 항상 소외되고 인간성을 잃은 "군중"인 όχλος|오클로스grc의 편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안병무는 독일의 역사-비평적 성서 해석이 όχλος|오클로스grc의 위치를 간과했지만, 예수의 사역은 이 소외된 군중과 함께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믿었다.[1]4. 주요 활동
안병무는 1953년 5월 17일 향린교회를 설립하고,[5] 1973년 한국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민중신학 연구에 몰두했다.[4] 1980년에는 한국디아코니아 자매회를 설립하였다.[3]
4. 1. 향린교회 설립
1953년 5월 17일 안병무는 홍창의 등 12명의 형제들과 함께 한국기독교장로회 향린교회를 설립하였다. 이들은 ① 생활공동체 ② 입체적 선교공동체 ③ 평신도교회 ④ 독립교회라는 네 가지 창립정신을 내세웠다.[5]4. 2. 한국신학연구소 설립
1973년 한국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의 민중신학 연구에 몰두했다. 현재도 한국신학연구소는 계간지 《신학사상》(神學思想)와 신학 서적들을 간행하고 있으며, 진보적인 기독교 출판사 중 한 곳으로 평가받는다.[4] 안병무는 1973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신학연구소 소장으로 봉직했다.4. 3. 한국디아코니아 자매회 설립
1980년, 안병무는 개신교 수녀회인 한국디아코니아 자매회를 설립하였다.[3]5.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언어 | 비고 |
---|---|---|---|---|
공자와 예수의 사랑 이해 | 1965년 | 출판사 미상 | Deutsch|독일어de | |
문 밖에서: 한국의 교회와 민중: 신학적 기여와 성찰 | 1986년 | Vandenhoeck & Ruprecht | Deutsch|독일어de | |
21세기 민중신학 읽기: 안병무의 선별된 저작과 현대 비평적 반응 | 2013년 | Wipf and Stock Publishers | English|영어영어 | 김영석, 김진호 편집 |
민중신학 이야기: 안병무의 신학적 여정, 그의 말로 | 2019년 | SBL Press | English|영어영어 |
참조
[1]
서적
A Protestant Theology of Passion: Korean Minjung Theology Revisited
https://books.google[...]
Brill
2010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10-06
[3]
서적
Stories of Minjung Theology: The Theological Journey of Ahn Byung-Mu in His Own Words
https://www.sbl-site[...]
SBL Press
2019
[4]
웹사이트
한국 기독교 신앙에 대한 개괄적 이해.
http://freeview.org/[...]
[5]
웹사이트
향린교회 홈페이지의 교회연혁 소개페이지.
http://www.rorobra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