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정군은 기원전 114년 전한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북지군을 분할하여 설치되었다. 고평현에 치소를 두었으며, 양주자사부에 속했다. 전한 시대에는 21개 현을 관할했으며, 이후 시대별로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었다. 수나라 때는 경주로 개칭되었다가, 당나라 시대에는 다시 안정군으로 개명되기도 했다. 안정군은 지리적으로 다양한 산과 하천을 포함하며, 다민족, 다문화 사회의 특징을 지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닝샤의 군 - 북지군
북지군은 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의거족의 영토를 병합하여 설치한 군으로 현재의 간쑤성 칭양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관할 지역에 변화가 있었고 당나라 대에 빈주로 불리다 군제가 폐지되어 사라졌다. - 닝샤의 군 - 평량군
평량군은 중국과 한반도 역사 속에서 여러 시기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중국에서는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일대에 설치, 폐지, 개명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한반도에서는 조선시대 묵정현이 속했다. - 간쑤성의 군 - 북지군
북지군은 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의거족의 영토를 병합하여 설치한 군으로 현재의 간쑤성 칭양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관할 지역에 변화가 있었고 당나라 대에 빈주로 불리다 군제가 폐지되어 사라졌다. - 간쑤성의 군 - 농서군
농서군은 기원전 3세기에 진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치소가 적도에 있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명칭이 변화했고, 양무현이 행정 중심지가 되면서 현대 룽시 현의 전신이 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안정군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군 (郡) |
존속 기간 | 기원전 114년 ~ 556년 |
위치 | 현재의 간쑤성 동부 지역 |
수도 | 가오핑 (高平, 현재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 구위안시 가오야오진) |
역사적 맥락 | 서한(西漢) 무제(武帝) 시기에 설치, 여러 왕조를 거침 |
역사 | |
설치 | 기원전 114년, 서한 무제 시기 |
관할 지역 | 초기에 12현을 관할 |
주요 사건 | 후한 말기, 군웅 할거 시기에 여러 세력의 점령 대상 조위(曹魏) 시대, 량주(涼州)에 속함 서진(西晉) 시대, 영가의 난 이후 쇠퇴 북위(北魏) 시대, 하주(夏州)로 개칭 서위(西魏) 시대, 안정군 재설치 북주(北周) 시대, 총관부 설치 수나라 시대, 군 폐지, 현으로 변경 |
행정 구역 | |
서한 시대 | 가오핑 (高平) 푸핑 (撫夷) 시두 (氏都) 안딩 (安定) 량메이 (梁mei) 차오나 (朝那) 산단 (桑丹) 링우 (靈武) 뤄 (鹵) 펑푸 (彭陽) 쒀양 (磲陽) 셴양 (弦陽) |
후한 시대 | 8현 |
주요 인물 | |
역대 태수 | 냉방(廉范) 양후(楊厚) |
기타 인물 | 호반(胡班): 삼국지연의 등장 인물 조앙(曹昂): 조조의 아들, 안민교위 역임 조표(曹豹): 미방의 아버지 |
기타 정보 | |
관련 유적 | 안딩 고성 (安定古城) 유적 |
2. 역사적 배경
안정군은 기원전 114년에 북지군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으며, 수도는 고평(高平, 현재의 구위안, 닝샤)이었다.[1] 서한 말기에는 고평, 복루, 안비, 무이, 조나, 경양, 린징, 노, 오씨, 음밀, 안정, 참독, 삼수, 음반, 안무, 조려, 원득, 현권, 팽양, 순음, 월지도 등 21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서기 2년의 총 인구는 143,294명(42,725 가구)이었다.[2]
동한 시대인 서기 140년에는 인구가 29,060명(6,094 가구)으로 줄었고, 현은 8개로 감소했다.[3] 강족의 공격으로 111년부터 129년까지 안정군의 행정은 우부풍으로 이전되었으며, 141년 강족의 재공격 이후 영구적으로 우부풍으로 이전되었고, 원래 영토는 버려졌다.[4]
진나라 때 안정군은 7개 현, 5,500 가구를 관할했다.[5]
2. 1. 전한 시대
安定郡중국어은 기원전 114년 (전한 무제 원정 3년)에 북지군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다.[10] 양주자사부에 속했으며,[12]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42,765호, 143,294명이 안정군에 속해 있었다.[11]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 안정군은 총 20현(19현 1도)을 관할했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고평현 | 高平縣 | 구위안시 | |
복루현 | 復累縣 | ? | |
안비현 | 安俾縣 | ? | |
무이현 | 撫夷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북 |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시 펑양 현 동 | 단순사(端旬祠) 열다섯 곳이 있어 호인 무당이 빈다. 또 추연사(秋淵祠)가 있다. 상군 부시현과 함께 초한전쟁 시기 남하한 흉노의 남방한계선이 되었다. |
경양현 | 涇陽縣 | 핑량시 북서 | 개두산(開頭山)이 서쪽에 있어 《우공》의 경수(涇水)가 나와 남동으로 양릉(陽陵)에 이르러 위수로 들어가니, 안정·우부풍·좌풍익 3군을 지나 1060리를 지나고, 옹주천(雍州川)이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남동 | |
노현 | 鹵縣 | ? | 구수(灈水)가 서쪽에서 나온다. |
오지현 | 烏氏縣 | 구위안시 남동 | 오수{烏水, 지금의 청수하(淸水河)}가 서쪽에서 나와 북쪽으로 하수로 들어간다. 도로산(都盧山)이 서쪽에 있다. |
음밀현 | 陰密縣 | 핑량시 링타이 현 | 《시경》의 밀인국(密人國)이다. 효안정(囂安亭)이 있다.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시 징촨 현 | |
삼련현 | 參䜌縣 | 칭양시 환 현 남부 | 주기도위(主騎都尉)의 치소가 있다. |
삼수현 | 三水縣 | 우중시 퉁신 현 동 | 속국도위의 치소가 있다. 염관이 있다. |
음반현 | 陰槃縣 | 셴양시 창우 현 북서 | |
치뢰현 | 祖厲縣 | 바이인시 후이닝 현 북서 | |
원득현 | 爰得縣 | 핑량시 징촨 현 남 | |
순권현 | 眴卷縣 | 중웨이시 중닝 현 북동 일대 | 하수의 지류가 갈려나와 하구(河沟)라 하고, 동으로 부평(富平)에 이르러 북으로 하수로 들어간다. |
팽양현 | 彭陽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동 | |
순음현 | 鶉陰縣 | 바이인시 징위안 현·징타이 현·란저우시 가오타이 현 교차 일대 | |
월지도 | 月氏道 | 구위안시 남·룽더 현·시지 현 교차 일대 |
[11][12]
안정군은 북지군에서 분할되었으며, 수도는 고평(高平, 현재의 구위안, 닝샤)이었다.[1]
아래 표는 한나라 시대 안정군의 행정 구역 변천을 나타낸다.
한나라의 행정 구역 변천 | |
---|---|
『한서』지리지 | 『후한서』지리지 |
고평현 | |
조나현 | |
린징현 | |
펑양현 | |
삼수이현 | |
음반현 | |
푸레이현 | - |
안비현 | - |
무이현 | - |
경양현 | - |
로현 | - |
우즈현 | 우즈현 |
음밀현 | - |
안정현 | - |
안우현 | - |
참만현 | - |
주리현 | - |
위안더현 | - |
쉬안쥐안현 | - |
순인현 | - |
월지 도 | - |
없음 | 순고현 |
2. 2. 신나라 시대
전한 | 신 |
---|---|
고평 | 포목(鋪睦) |
무이 | 무녕(撫寧) |
임경 | 감경(監涇) |
오지 | 오정(烏亭) |
삼수 | 광연정(廣延亭) |
안무 | 안환(安桓) |
치뢰 | 향례(鄕禮) |
월지 | 월순(月順) |
2. 3. 후한 시대
후한 말 선비족과 강족의 침입으로 허타오 지방에 대한 한나라의 행정력이 약화되자 일부 현이 남쪽으로 교치되었다.[1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남동 | |
고평현 | 高平縣 | 구위안 시 동남 | 제일성(第一城)이 있다.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시 펑양 현 동 | |
오지현 | 烏枝縣 | 구위안 시 징위안 현 호점향(蒿店乡) | 와정(瓦亭), 박락곡(薄落谷)이 나온다. 조위-서진교체기에 폐지되었다. |
삼수현 | 三水縣 | 우중 시 퉁신 현 전로장향 동 | 후한말 쉰이 현 서쪽의 서천현으로 교치되었다. |
음반현 | 陰盤縣 | 칭양 시 닝 현 장경교진일대 | |
팽양현 | 彭陽縣 | 구위안 시 펑양 현 팽양향 | |
순고현 | 鹑觚縣 | 핑량 시 징촨 현 요점향 남 | 북지군에서 이관되었다. 194년 우부풍 칠현과 함께 신평군으로 분리되었다. |
안정군은 기원전 114년에 북지군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다. 수도는 고평(高平, 현재의 구위안, 닝샤)이었다.[1] 서한 말기에는 21개의 현을 관할했고, 서기 2년의 총 인구는 143,294명(42,725 가구)이었다.[2] 그러나 동한 시대인 서기 140년의 인구 조사에서는 29,060명(6,094 가구)으로 줄었으며, 현은 8개로 감소했다.[3]
111년부터 129년까지, 그리고 141년에 강족의 공격으로 안정군의 행정은 우부풍으로 이전되었고, 원래의 영토는 결국 버려졌다.[4]
2. 4. 위진 시대
서진 시대에는 7개 현, 5,500호를 거느렸다.[14]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남동 |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 시 동남 | |
오씨현 | 烏氏縣 | 핑량 시 안국향 | |
도로현 | 都盧縣 | 구위안 시 징위안 현 육반산진 일대 | |
순고현 | 鶉觚縣 | 핑량 시 징촨 현 요점향 남 | 서진 건국 이후 신평군에서 안정군으로 돌아왔다. |
음밀현 | 陰密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백리향 | 신설 연도는 알 수 없다. |
서천현 | 西川縣 | 펑양 현 홍하향 |
진나라 때 안정군은 임경(臨涇), 조나(朝那), 오씨(烏氏), 도로(都盧), 순고(鶉觚), 음밀(陰密), 서천(西川) 7개 현을 관할했다.[6]
2. 5. 남북조 시대
북위 효문제 태화 11년(487년) 경주(涇州)가 설치되자 경주의 자사부가 안정군에 설치되었고, 석당군(石堂郡)을 통폐합했다.[15] 안정군은 5현을 거느렸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후한 시기 폐지되었다가 북위 때 복구되었다. 동성(銅城)이 있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둔자진 남 | 홍성(洪城)이 있다.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 시 동남 | 호성(胡城)과 당원성(當原城)이 있다. |
오씨현 | 烏氏縣 | 핑량 시 징촨 현 동 나한동진북 | 기산(岐山), 경향성(涇鄕城), 양읍성(陽邑城), 무이성(撫夷城)이 있다. |
석당현 | 石堂縣 | 자도산(自度山)이 있다. |
2. 6. 수나라 시대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안정군은 경주로 바뀌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경주는 다시 안정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안정, 순고, 음반, 조나, 양원, 추곡, 화정의 7개 현을 관할했다[8]。 7현 76,281호를 거느렸다. 주현제를 실시할 때는 경주(涇州)로 칭했다.[16]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
순고현 | 鶉觚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 조평군의 치소였으나 북주 시기 조평군이 폐지되면서 현으로 강등되었다. 의록현(宜祿縣)을 통폐합했다. 대업 초에 영태현(靈台縣)이 신설되었지만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순고현으로 통폐합되었다. |
음반현 | 陰盤縣 | 핑량 시 쿵퉁 구 백수진 일대 | 북위에서 본현에 평량군을 설치했다. 개황 초 평량군을 폐지하자 현으로 격하되었다. 노수(盧水)가 있다. |
조나현 | 朝那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조나진 | 서위에서 본현에 안무군을 설치했고 본현의 일부를 안무현(安武縣)으로 분리했다. 하지만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안무군과 안무현 모두 폐지되었다. |
양원현 | 良原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양원향 | 대업 초 신설되었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 대업 초 신설되었다. 추곡현(湫穀縣)이라 불렸지만 얼마 못가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화정현 | 華亭縣 | 핑량 시 화팅 현 | 대업 초에 신설되었다. 농수(隴水)와 예수(芮水)가 흐른다. |
2. 7. 당나라 시대
618년(무덕 원년), 당나라가 설인고를 평정하자 안정군은 경주로 개칭되었다.[17] 742년(천보 원년), 경주는 안정군으로 개칭되었다.[17] 758년(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다시 경주로 칭했다.[17]당나라 시기에는 5현 8,773호 35,921명을 거느렸으나 천보연간에는 31,365호 186,849명을 거느렸다.[1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
영태현 | 靈台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 742년 순고현에서 영태현으로 개명했다. |
양원현 | 良原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양원향 | |
반원현 | 潘原縣 | 핑량 시 쿵퉁 구 백수진 일대 | 742년 음반현에서 개명되었다. 현경계에 버려진 옛 반원현의 치소가 있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전위안 현 |
안정군은 기원전 114년(원정 3년)에 북지군을 분할하여 설치되었다.[10]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시 2년(2년) 기준으로 42,765호, 143,294명이 안정군에 거주했다.[11] 안정군은 양주자사부에 속했으며[12], 총 20개의 현(19현 1도)으로 구성되었다.[11]
3. 지리적 특징
현 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고평현 高平縣 구위안시 복루현 復累縣 ? 안비현 安俾縣 ? 무이현 撫夷縣 칭양시 전위안 현 북 조나현 朝那縣 구위안시 펑양 현 동 단순사(端旬祠) 열다섯 곳이 있어 호인 무당이 빈다. 또 추연사(秋淵祠)가 있다. 상군 부시현과 함께 초한전쟁 시기 남하한 흉노의 남방한계선이 되었다. 경양현 涇陽縣 핑량시 북서 임경현 臨涇縣 칭양시 전위안 현 남동 노현 鹵縣 ? 오지현 烏氏縣 구위안시 남동 음밀현 陰密縣 핑량시 링타이 현 시경의 밀인국(密人國)이다. 효안정(囂安亭)이 있다. 안정현 安定縣 핑량시 징촨 현 삼련현 參䜌縣 칭양시 환 현 남부 주기도위(主騎都尉)의 치소가 있다. 삼수현 三水縣 우중시 퉁신 현 동 속국도위의 치소가 있다. 염관이 있다. 음반현 陰槃縣 셴양시 창우 현 북서 치뢰현 祖厲縣 바이인시 후이닝 현 북서 원득현 爰得縣 핑량시 징촨 현 남 순권현 眴卷縣 중웨이시 중닝 현 북동 일대 팽양현 彭陽縣 칭양시 전위안 현 동 순음현 鶉陰縣 바이인시 징위안 현·징타이 현·란저우시 가오타이 현 교차 일대 월지도 月氏道 구위안시 남·룽더 현·시지 현 교차 일대 3. 1. 주요 하천
안정군을 지나는 주요 하천은 다음과 같다.
4. 문화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결과물도 없으므로, '문화' 섹션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5. 행정 구역
안정군은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에 변화가 있었다.
'''당'''
618년(당 고조 무덕 원년), 당나라는 군벌 설인고(薛仁杲)를 굴복시킨 뒤 안정군을 경주로 개명했다.[17]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에는 다시 안정군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경주로 환원되었다.[17] 당시 경주는 5현 8,773호 35,921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는 31,365호 186,849명으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
영태현 | 靈台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 742년 순고현에서 영태현으로 개명. |
양원현 | 良原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양원향 | |
반원현 | 潘原縣 | 핑량 시 쿵퉁 구 백수진 일대 | 742년 음반현에서 개명. 현 경계에 버려진 옛 반원현의 치소가 있음.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
5. 1. 전한
기원전 114년(원정 3년), 전한이 북지군을 분할하여 안정군을 설치했다.[10] 군의 치소는 고평현에 두었으며, 양주자사부에 속했다.[12]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42,765호, 인구 143,294명이었다.[11]아래는 《한서》지리지에 기록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안정군 속현 목록으로, 총 20현(19현 1도)이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11][12]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고평현 | 高平縣 | 구위안시 | |
복루현 | 復累縣 | ? | |
안비현 | 安俾縣 | ? | |
무이현 | 撫夷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북 |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시 펑양 현 동 | 단순사(端旬祠) 열다섯 곳이 있어 호인 무당이 빈다. 또 추연사(秋淵祠)가 있다. 상군 부시현과 함께 초한전쟁 시기 남하한 흉노의 남방한계선이 되었다. |
경양현 | 涇陽縣 | 핑량시 북서 | 개두산(開頭山)이 서쪽에 있어 《우공》의 경수(涇水)가 나와 남동으로 양릉(陽陵)에 이르러 위수로 들어가니, 안정·우부풍·좌풍익 3군을 지나 1060리를 지나고, 옹주천(雍州川)이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남동 | |
노현 | 鹵縣 | ? | 구수(灈水)가 서쪽에서 나온다. |
오지현 | 烏氏縣 | 구위안시 남동 | 오수{烏水, 지금의 청수하(淸水河)}가 서쪽에서 나와 북쪽으로 하수로 들어간다. 도로산(都盧山)이 서쪽에 있다. |
음밀현 | 陰密縣 | 핑량시 링타이 현 | 《시경》의 밀인국(密人國)이다. 효안정(囂安亭)이 있다.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시 징촨 현 | |
삼련현 | 參䜌縣 | 칭양시 환 현 남부 | 주기도위(主騎都尉)의 치소가 있다. |
삼수현 | 三水縣 | 우중시 퉁신 현 동 | 속국도위의 치소가 있다. 염관이 있다. |
음반현 | 陰槃縣 | 셴양시 창우 현 북서 | |
치뢰현 | 祖厲縣 | 바이인시 후이닝 현 북서 | |
원득현 | 爰得縣 | 핑량시 징촨 현 남 | |
순권현 | 眴卷縣 | 중웨이시 중닝 현 북동 일대 | 하수의 지류가 갈려나와 하구(河沟)라 하고, 동으로 부평(富平)에 이르러 북으로 하수로 들어간다. |
팽양현 | 彭陽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동 | |
순음현 | 鶉陰縣 | 바이인시 징위안 현·징타이 현·란저우시 가오타이 현 교차 일대 | |
월지도 | 月氏道 | 구위안시 남·룽더 현·시지 현 교차 일대 |
다음은 신나라 때 전한의 현 이름을 고친 것이다.
전한 | 신 |
---|---|
고평 | 포목(鋪睦) |
무이 | 무녕(撫寧) |
임경 | 감경(監涇) |
오지 | 오정(烏亭) |
삼수 | 광연정(廣延亭) |
안무 | 안환(安桓) |
치뢰 | 향례(鄕禮) |
월지 | 월순(月順) |
5. 2. 후한
8성 6,914호 29,060명을 거느렸다.[13] 후한말 선비족과 강족의 침입으로 허타오 지방에 대한 한나라의 행정력이 약화되자 일부 현이 남쪽으로 교치되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남동 | |
고평현 | 高平縣 | 구위안 시 동남 | 제일성(第一城)이 있다.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시 펑양 현 동 | |
오지현 | 烏枝縣 | 구위안 시 징위안 현 호점향(蒿店乡) | 와정(瓦亭), 박락곡(薄落谷)이 나온다. 조위-서진교체기에 폐지되었다. |
삼수현 | 三水縣 | 우중 시 퉁신 현 전로장향 동 | 후한말 쉰이 현 서쪽의 서천현으로 교치되었다. |
음반현 | 陰盤縣 | 칭양 시 닝 현 장경교진일대 | |
팽양현 | 彭陽縣 | 구위안 시 펑양 현 팽양향 | |
순고현 | 鹑觚縣 | 핑량 시 징촨 현 요점향 남 | 북지군에서 이관되었다. 194년 우부풍 칠현과 함께 신평군으로 분리되었다. |
5. 3. 위진
서진대에 안정군은 7현 5,500호를 거느렸다.[14]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시 전위안 현 남동 |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 시 동남 | |
오씨현 | 烏氏縣 | 핑량 시 안국향 | |
도로현 | 都盧縣 | 구위안 시 징위안 현 육반산진 일대 | |
순고현 | 鶉觚縣 | 핑량 시 징촨 현 요점향 남 | 서진 건국 이후 신평군에서 안정군으로 돌아왔다. |
음밀현 | 陰密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백리향 | 신설 연도는 알 수 없다. |
서천현 | 西川縣 | 펑양 현 홍하향 |
진나라 때, 안정군은 임경(臨涇), 조나(朝那), 오씨(烏氏), 도로(都盧), 순고(鶉觚), 음밀(陰密), 서천(西川) 7개 현을 관할했다.[6]
『진서』지리지 | 『위서』지형지 경주 | 『북주지리지』 | 『독사방여지요』 |
---|---|---|---|
임경현 | 임경현 | 임경현 | 무 |
조나현 | 조나현 | 무 | 무 |
오씨현 | 오씨현 | 오지현 | 무 |
도로현 | 무 | 무 | 무 |
순고현 | 무 | 무 | 무 |
음밀현 | 무 | 무 | 무 |
서천현 | 무 | 무 | 무 |
무 | 안정현 | 안정현 | 무 |
무 | 석당현 | 무 | 무 |
무 | 무 | 무이현 | 무 |
5. 4. 북위
487년(북위 효문제 태화 11년) 경주(涇州)가 설치되자 경주의 자사부가 안정군에 설치되었으며, 석당군(石堂郡)을 통폐합했다.[15] 안정군은 5현을 거느렸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후한 시기 폐지되었다가 북위대에 복구되었다. 동성(銅城)이 있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둔자진 남 | 홍성(洪城)이 있다. |
조나현 | 朝那縣 | 구위안 시 동남 | 호성(胡城)과 당원성(當原城)이 있다. |
오씨현 | 烏氏縣 | 핑량 시 징촨 현 동 나한동진북 | 기산(岐山), 경향성(涇鄕城), 양읍성(陽邑城), 무이성(撫夷城)이 있다. |
석당현 | 石堂縣 | 자도산(自度山)이 있다. |
5. 5. 수
隋|수중국어나라 초 583년(개황 3년) 군제가 폐지되자 안정군은 경주로 개칭되었다.[8]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경주는 안정군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안정, 순고, 음반, 조나, 양원, 임경, 화정의 7개 현, 76,281호를 관할했다.[8] [16] 주현제를 실시할 때는 경주(涇州)로 칭했다.[16]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
순고현 | 鶉觚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 조평군의 치소였으나 북주 시기 조평군이 폐지되면서 현으로 강등되었다. 의록현(宜祿縣)을 통폐합했다. 대업 초에 영태현(靈台縣)이 신설되었지만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순고현으로 통폐합되었다. |
음반현 | 陰盤縣 | 핑량 시 쿵퉁 구 백수진 일대 | 북위에서 본현에 평량군을 설치했다. 개황 초 평량군을 폐지하자 현으로 격하되었다. 노수(盧水)가 있었다. |
조나현 | 朝那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조나진 | 서위에서 본현에 안무군을 설치했고 본현의 일부를 안무현(安武縣)으로 분리했다.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안무군과 안무현 모두 폐지되었다. |
양원현 | 良原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양원향 | 대업 초 신설되었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 대업 초 신설되었다. 추곡현(湫穀縣)이라 불렸지만 얼마 못가 임경현으로 개명되었다. |
화정현 | 華亭縣 | 핑량 시 화팅 현 | 대업 초에 신설되었다. 농수(隴水)와 예수(芮水)가 흐른다. |
5. 6. 당
618년(당 고조 무덕 원년) 군벌 설인고(薛仁杲)를 굴복시킨 뒤 경주로 개명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안정군으로 개명되었고,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다시 경주로 칭했다. 5현 8,773호 35,921명을 거느렸으나 천보연간에는 31,365호 186,849명을 거느렸다.[1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안정현 | 安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
영태현 | 靈台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 742년 순고현에서 영태현으로 개명했다. |
양원현 | 良原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양원향 | |
반원현 | 潘原縣 | 핑량 시 쿵퉁 구 백수진 일대 | 742년 음반현에서 개명되었다. 현경계에 버려진 옛 반원현의 치소가 있다.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전위안 현 |
참조
[1]
웹사이트
彭阳县境内古城址概述
http://m.nxgybwg.com[...]
2022-03-18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The Treatises of Later Han: Their Author, Sources, Contents and Place in Chinese Historiography
https://books.google[...]
Brill
2022-03-18
[5]
서적
Book of Jin
[6]
서적
晋書
[7]
서적
魏書
[8]
서적
隋書
[9]
서적
旧唐書
[10]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1]
서적
한서
[1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3]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4]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5]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16]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7]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