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치페로바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치페로바섬은 쿠릴 열도 파라무시르 섬 남서쪽에 위치한 지름 3km의 거의 원형 섬이다. 섬 중앙에는 렌게산(해발 761m)이 있으며, 남쪽 끝은 바다사자의 번식지 중 하나이다. 절벽 지형으로 인해 상륙 가능한 곳이 제한적이며, 러시아는 섬의 수달과 조류 보호를 위해 접근과 어업 활동을 금지하고 있다. 이 섬은 성층 화산으로, 2개의 용암 돔과 칼데라를 가지고 있으며, 과거에는 아이누족이 수렵을 위해 방문했다. 러시아 제국, 일본 제국을 거쳐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사할린주에 속해 있으며, 일본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칼데라 화산 - 케토이섬
케토이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면적은 71.25km²이며, 케토이산과 팔라스산을 포함하고, 칼데라, 용암류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843년부터 1960년까지 화산 폭발이 있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 러시아의 칼데라 화산 - 초르니예브라티야섬
초르니예브라티야섬은 러시아 사할린주에 속하며, 부분적으로 침수된 화산 칼데라의 잔해로 이루어진 치르포이섬과 브라트치르포예프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화산이 존재하고 1982년에 분화한 기록이 있다. - 쿠릴 열도의 섬 - 케토이섬
케토이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면적은 71.25km²이며, 케토이산과 팔라스산을 포함하고, 칼데라, 용암류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843년부터 1960년까지 화산 폭발이 있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 쿠릴 열도의 섬 - 라이코케섬
라이코케섬은 쿠릴 열도 중부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라이코케 산을 이루며, 바다사자와 풀머 괭이갈매기의 주요 번식지이고, 현무암 성층 화산으로 여러 차례 분화했으며,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 - 쿠릴 열도의 화산 - 케토이섬
케토이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면적은 71.25km²이며, 케토이산과 팔라스산을 포함하고, 칼데라, 용암류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843년부터 1960년까지 화산 폭발이 있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 쿠릴 열도의 화산 - 라이코케섬
라이코케섬은 쿠릴 열도 중부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라이코케 산을 이루며, 바다사자와 풀머 괭이갈매기의 주요 번식지이고, 현무암 성층 화산으로 여러 차례 분화했으며,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
안치페로바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치린코탄 (Чиринкотан, 러시아어) 시린키섬 (志林規島, 일본어) |
위치 | 오호츠크해 |
좌표 | 50°12′ N 154°58′48″ E |
군도 | 쿠릴 열도 |
국가 | 러시아 |
행정 구역 | 사할린주 |
면적 | 7 km² |
해발 고도 | 761m |
최고점 | 렌게다케 (蓮華岳) |
인구 | 0명 |
이전 거주민 | 아이누족 |
지리 | |
해협 | 루지나 해협 (пр.Лужина) 또는 시린키 해협 (志林規海峡) |
2. 지리
안치페로바섬은 쿠릴 열도의 일부로,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섬의 남쪽 끝 부분은 쿠릴 열도 바다사자의 5대 번식지 중 하나로 꼽힌다. 섬에는 포식자가 없어 풀마갈매기나 바다오리가 높은 밀도로 집단을 이루어 번식하고 있으며, 세가락갈매기류와 바다쇠오리도 많이 서식한다.
러시아 연방은 안치페로바 섬에 서식하는 수달과 조류를 보호하기 위해 허가 없는 섬 접근 및 상륙을 금지하고 있으며, 섬 주변 20km 구역에서의 어업 활동도 제한하고 있다.[4]
2. 1. 지질
안치페로바섬은 면적이 6km2인 대략 원형의 섬이며[1], 쿠릴 열도 주 아치에서 서쪽으로 뻗어 나가는 지맥의 일부이다. 섬 중앙부에는 해발 761m[2][3]의 렌게산(蓮華岳|렌게다케일본어, 러시아명: 시린키 산 г.Ширинкиru)이 솟아 있다.이 섬은 지름 4.25km의 성층 화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 봉우리인 렌게산은 남쪽으로 뚫린 지름 0.75km의 칼데라를 가지고 있다. 칼데라의 붕괴된 벽 근처에는 2개의 용암 돔이 위치하는데, 비교적 최근에 생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현대 시대에 안치페로바섬에서 화산 폭발이 관찰된 기록은 없다. 섬의 대부분은 화산쇄설암 낙하 퇴적물에서 나온 부석으로 덮여 있다.
섬은 파라무시르 섬 남서쪽 끝에 위치한 카바리자키(러시아명: 캅 에트누이 곶 또는 카파리 곶 мыса Капариru)의 북서쪽, 안치페로바 해협(러시아명: 루지나 해협 пр.Лужинаru)에서 약 1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전체적으로 원형의 섬으로 해안은 대체로 절벽이 수직으로 솟아 있다. 상륙할 수 있는 곳은 몇 군데에 불과하며, 상륙하더라도 가파른 절벽이 이어진다. 배의 접안은 어려우며, 북쪽 해변에 15m~20m 깊이의 접안 가능한 곳이 있다.
3. 생태
안치페로바섬 남쪽 끝은 쿠릴 열도의 주요 바다사자 번식지 5곳 중 하나로, 약 6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육상 포식자가 없다는 환경적 특징 때문에, 섬의 경사면 둔덕에는 풀머와 뿔바다오리가 매우 높은 밀도로 집단을 이루어 번식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절벽에는 세가락갈매기류와 바다오리, 바다쇠오리 등 다양한 조류가 풍부하게 서식한다.
러시아 연방은 안치페로바섬에 서식하는 수달과 조류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허가 없이 섬에 접근하거나 상륙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며, 섬 주변 20km 구역 내에서의 어업 활동 또한 엄격히 제한된다.[4]
4. 역사
유럽인이 섬에 도달하기 전에는 영구적인 거주지가 없었으며, 여름철에 아이누족이 수렵을 위해 방문하는 정도였다. 1700년에는 마쓰마에 번이 막부에 제출한 지도에 "시린키"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러시아 제국이 영유권을 주장하였고, 1855년 일러 화친 조약에 따라 러시아령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1875년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이 체결되면서 다른 쿠릴 열도와 함께 일본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일본 통치 시기에는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산하의 슘슈 군에 속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점령하였고, 소련 해체 후에는 러시아 연방이 계승하여 현재 사할린주의 일부로서 실효 지배하고 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이 섬을 포함한 남부 쿠릴 열도에 대해 국제법상 귀속 미정지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4. 1. 러시아와 일본의 영유권 분쟁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 안치페로바섬에는 영구적인 거주지가 없었으나, 여름철 아이누족이 수렵을 위해 방문했다. 러시아 제국은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으며, 1855년 일러 화친 조약을 통해 러시아 영토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1875년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에 따라 쿠릴 열도의 다른 섬들과 함께 일본 제국으로 주권이 넘어갔다. 이후 일본은 이 섬을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산하 슘슈 군에 편입하여 관리했다.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 안치페로바섬은 소련의 통제하에 들어갔으며, 소련 해체 후에는 러시아 연방이 계승하여 현재 사할린주의 일부로 관리하고 있다. 현재 이 섬은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변 20km 이내 해역에는 어선의 접근이 금지되어 있다.
일본 정부는 현재 안치페로바섬을 포함한 쿠릴 열도 남단 섬들에 대해 국제법상 귀속 미정지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상태이다.
연도 | 사건 | 내용 |
---|---|---|
1700년 | 겐로쿠 국회도 작성 | 마쓰마에 번이 막부에 제출한 지도에 시린키라는 이름으로 기록됨. |
1855년 | 일러 화친 조약 체결 | 러시아 영토로 편입됨. |
1875년 |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 체결 | 일본 영토로 편입됨. |
1945년 이후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 소련 점령 후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 중. |
4. 2. 현재 상황
안치페로바섬은 과거 아이누족이 수렵을 위해 여름철에 방문했지만, 영구적인 거주지는 없었다. 러시아 제국이 처음 영유권을 주장했으나,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에 따라 다른 쿠릴 열도와 함께 일본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당시 일본은 이 섬을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산하의 시무슈군으로 편제하여 관리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소련의 통제하에 들어갔으며, 소련 해체 후 현재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사할린주의 일부로 관리하고 있다. 현재 안치페로바섬은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변 20km 이내로는 어선의 접근이 금지되어 있다.
한편, 일본 정부는 국제법상 안치페로바섬의 귀속이 결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Kuril Island Project(IKIP)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Fish Collection or the respective authors
2009-11-27
[2]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米国立自然史博物館(英文)
2009-07-13
[3]
서적
北千島の自然誌
丸善
1995
[4]
서적
北千島の自然誌
丸善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