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흥군은 조선 시대의 왕족으로, 의원군 이혁의 아들이며, 장애를 극복하고 학문적 성취를 이룬 인물이다. 1699년 안흥수에 책봉된 후 안흥군에 봉해졌으며, 시각 및 청각 장애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의 헌신적인 교육을 통해 지식을 습득했다. 영조 시대에 인평대군의 제사를 봉사하고, 관직에 나아가 활동했으나, 사후 효정공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장애 - 언어장애
언어 장애는 언어의 이해 또는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로, 뇌 손상, 특정 언어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언어 치료 등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 1693년 출생 - 존 해리슨
존 해리슨은 영국의 시계 제작자로, 해상용 크로노미터(H4)를 발명하여 경도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장기간의 연구 끝에 정확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으나, 당시 과학계의 반대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 1693년 출생 - 정성왕후
정성왕후는 조선 영조의 왕비로, 효장세자와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끼고 64세에 세상을 떠나 서오릉 홍릉에 묻혔으며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의 존호를 받았다. - 청각 장애인 - 로드니 킹
로드니 킹은 1991년 로스앤젤레스 경찰 구타 사건의 피해자로서, 해당 사건은 전국적 논란과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의 원인이 되었으며, 경찰 폭력과 인종 차별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킨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으나, 그는 이후 힘든 삶을 살다가 2012년에 사망했다. - 청각 장애인 - 토머스 에디슨
토머스 에디슨은 1,093개 이상의 미국 특허를 보유한 미국의 발명가이자 사업가로, 축음기, 백열전구, 영화 촬영 및 상영 장치 등 수많은 발명품을 개발하고 멘로파크 연구소를 설립하여 현대 산업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전류 전쟁과 표절 논란 등도 함께 평가받는 인물이다.
안흥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안흥군 |
원래 이름 | 안흥군 |
작위 | 수(守) 부정(副正) 군(君) 흥록대부(興祿大夫) |
본명 | 이숙 李俶 |
별칭 | 안흥수(安興守)· 안흥부정(安興副正) 아명 李琡 |
시호 | 효정 孝靖 |
출생일 | 1693년 10월 9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양원군 사저 |
사망일 | 1768년 4월 7일 (만 74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인평군 가통 사저에서 신장풍으로 병사 |
매장지 | 경기도 안성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본실 군부인 문화 유씨 첩실 연안 김씨 |
아버지 (양부) | 양원군 이환 |
아버지 (생부) | 의원군 이혁 |
어머니 (양모) | 군부인 여흥 민씨 |
어머니 (생모) | 군부인 안동 권씨 |
친인척 | 이병원(손자) 심사장(첫째사위) 박문수(둘째사위) 박항한(사돈) 박태한(사돈) 경완군 이석린(양조부)소현세자의 차남 복녕군 이욱(친조부) 군부인 양천 허씨(친조모) 유집(장인) 여흥군 이해(양형) 여릉군 이기(양형) 여천군 이경(양형) 임녕군 이의저(양아우) 안계군 이필(친아우) |
자녀 | 슬하 2남 6녀 적장자 이진익(李鎭翼) |
왕가 | |
왕조 | 조선 왕조 |
가문 | 전주 이씨 |
2. 생애
의원군 이혁의 차남으로, 본래 능창대군의 4대손이자 그의 양자인 인평대군의 증손이다. 태어날 때부터 청각 및 언어 장애와 불치병을 앓았으나, 아버지의 헌신적인 교육과 본인의 노력으로 학문을 익혀 필담으로 소통하였다. 후에는 시각 장애까지 겪게 되었다.[2][3] 1699년 안흥수(安興守)에 봉해진 것을 시작으로 안흥부정, 안흥정을 거쳐 1702년 안흥군(安興君)에 봉해졌다. 1730년 이인좌의 난 이후 형 이유일이 연좌되자, 홍치중의 건의로 1731년부터 인평대군의 제사를 모셨다. 영조는 그의 장애를 염려하면서도[2] 종친으로서 예우하며 여러 관직에 임명하였다. 도총관, 부총관, 승헌대부 등을 역임했으며, 1743년 사무역 금지령 위반으로 잠시 파직되기도 했으나 복직되었다. 1763년 신장풍 발병 후 5년간 투병하다 1768년 향년 76세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장애
의원군 이혁(義原君 李爀)의 세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래 능창군 이종의 4대손이자 능창군의 양자인 인평대군 이요의 증손이다.안흥군은 태어날 때부터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청각 및 언어 장애를 가졌으며, 그 외에도 불치병을 앓고 있었다.[3] 아버지 의원군 이혁은 말로 지식을 전할 수 없는 아들을 위해 직접 사물을 가리키고 비유하며 정성껏 가르쳤다. 이러한 아버지의 노력 덕분에 안흥군은 세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넓힐 수 있었다. 글을 배운 후에는 손짓이나 발짓 대신 종이와 붓을 이용한 필담으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였다. 시간이 흘러 시각 장애까지 앓게 되었는데, 정확히 언제부터 시력이 나빠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1731년 영조는 김포 장릉에 보낼 종친에 대해 논의하며 "별 탈이 없는 적장 승습자는 오직 안흥군 이숙뿐인데, 저번에 보니 귀는 듣지 못하고 눈은 자세히 보지 못하였다. 나와 팔촌인 자는 오직 이 사람뿐인데, 이런 사람을 자손이라 하여 대신 보낼 수 있겠는가?"라고 언급하며 그의 시청각 장애를 염려하였다.[2] 이처럼 그는 왕 앞에 나아갈 때에도 필담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했다.[3]
11세 때인 1703년에는 유집(柳潗)의 딸과 혼인하여 슬하에 1남 4녀를 두었다.
1699년 안흥수(安興守)에 봉해진 것을 시작으로 1700년 안흥부정(安興副正), 안흥정(安興正)을 거쳐 1702년 안흥군(安興君)에 봉해졌다.
2. 2. 왕실과의 관계 및 활동
1699년 안흥수(安興守)에 책봉되었고, 1700년 안흥부정(安興副正)으로 진봉되었다가 곧 안흥정으로 승작했으며, 다시 1702년 안흥군(安興君)에 봉해졌다. 1725년에는 자신대부(資信大夫)가 되었다.1730년 이인좌의 난 진압 후 사촌 형 여흥군 이해, 여릉군 이기 등이 처형될 때 형 이유일(李有一)도 연좌되었는데, 이때 상신 홍치중의 건의로 1731년 7월 25일부터 영조의 명을 받아 인평대군의 제사를 봉사(奉祀)하게 되었다. 같은 해 7월 10일 명선대부로 승진하였고, 9월 18일에는 천릉집사에 임명되었다.
영조는 안흥군의 장애를 염려하면서도 종친으로서 예우했다. 1731년 김포 장릉에 종실을 파견할 때 영조는 "별 탈이 없는 사람으로 적장(嫡長)을 승습(承襲)한 사람은 오직 안흥군(安興君) 이숙(李埱)뿐인데, 저번에 만나 보니 귀는 듣지 못하고 눈은 자세히 보지 못하였다. 나와 팔촌 사이인 자는 오직 이 사람뿐이다. 이와 같은 사람을 자손이라고 하며 대신 보낼 수 있겠는가."라고 언급하며 그의 건강 상태를 걱정하였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조는 그에게 인평대군 봉사와 같은 중요한 임무를 맡겼는데, 이는 당시 사회 분위기에서 장애를 가진 왕족에게는 상당히 이례적인 대우로 평가된다. 안흥군은 왕을 직접 만날 때에는 필담으로 대화했다고 전해진다.[3]
이후에도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왕실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1737년 2월 15일 중의대부(中義大夫)로 승진했고, 1740년 5월 16일에는 효종의 존호를 추가할 것을 건의하였다. 1741년 1월 도총관에 임명되었으나 곧 신병으로 사퇴했고, 1742년 8월 12일 부총관, 1743년 6월 22일 승헌대부, 7월 2일 숭헌대부를 지냈다. 1751년 10월 12일 가덕대부가 되었고, 1760년과 1762년에는 다시 도총관에 임명되었다.
1743년 7월 1일에는 사무역(私貿易) 금지령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비변사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기도 했으나, 곧 복권되었다. 1744년에는 서6촌동생 이담(李埮)이 직책을 받지 못하고 선원록에도 오르지 못했다는 이유로 종부시 관원에게 탄핵을 받았다.
1763년 신장풍(신장병)에 걸려 5년간 투병하다가 1768년 4월 7일 향년 76세로 사망하였다.
2. 3. 사후
시신은 경기도 안성군 서운면 청룡리 술좌(戌坐)에 매장되었다. 초장지인 안성 청룡리 근처에는 복평군의 묘가 있었고, 복평군의 양자인 완천군의 묘소는 원래 1730년 경기도 광주에 있다가 1740년 청룡리로 이장되어 그의 초장지 근처에 있었다. 안흥군의 묘소는 2000년대 이후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산46-1번지 인평대군 묘소 근처로 이장되었다.1864년 7월 5일 고종의 특명으로 시호를 의망(議望)하였으며, 같은 해 7월 9일 효정공(孝靖公)이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안흥군은 초상화를 남겼으며 이 중 일부가 후대에 전해진다. 분홍색 관복을 입은 영정과 회색 혹은 옥색 관복을 입은 영정이 있는데, 옥색 혹은 회색 관복본 영정의 머리와 수염 색이 더 희게 표현되어 있다. 이 옥색 혹은 회색 복장을 한 영정은 현재 일본에 소장되어 있다.
3. 가족 관계
- 서모 : 이름 미상
- 서형수 : 군부인 양천허씨, 허급(許級)의 딸
- * 조카 : 이충완(李忠完, 요절), 이범석(李範錫, 요절)
- * 양 조카 : 이진벽, 양녕대군의 13대손
3. 1. 부모
- 아버지: 의원군 혁
- 어머니: 군부인 안동권씨
3. 2. 형제
- 형 : 이유일(李有一)
- 서제 : 증 안계군 모
3. 3. 배우자 및 자녀
- 정부인: 군부인 문화 류씨(1696년 1월 3일 ~ 1755년 1월 13일), 유집(柳潗)의 딸
- * 장남: 원선군 이진익(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
- ** 며느리: 현감 김도건(金道健)의 딸
손자: 이병원
- * 딸: 전주 이씨
- ** 사위: 심사장(沈師章), 첨정 심정의(沈廷儀)의 아들
- 첩: 이름 미상
- * 차남 (서자): 이진태(1761년 5월 11일 ~ 1835년 12월 12일) - 후일 좌승지에 추증됨.
- ** 서며느리: 평산 신씨(1762년 7월 4일 ~ 1780년 11월 29일), 신재악(申載岳)의 딸
- ** 서며느리: 칠원 윤씨(1763년 4월 7일 ~ 1810년 9월 15일), 윤재형(尹載亨)의 딸
서손자: 이병수(李秉洙, 1784년 12월 2일 ~ 1870년 3월 6일)
- ** 서첩며느리: 이름 미상 (이진태의 첩)
서손자: 이병호(李秉浩, 1786년 7월 25일 ~ 1847년 2월 20일) - 이진태의 서자
참조
[1]
문서
소현세자의 차남
[2]
간행물
승정원일기 영조 7년 신해(1731) 7월 16일(정축) 5번째 기사, 시민당에서 여러 승지 등을 인견하는 자리에 약방 제조 김재로 등이 입시하여 천릉할 때 행행하는 문제, 연석의 이야기를 사관이 전파하는 문제, 문무 관원이 민가에 세 드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3]
서적
영조실록 85권, 영조 31년 6월 5일 정미 5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