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진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진익은 인평대군의 4대손으로, 효종, 현종, 숙종 3대 임금의 어필을 받고 진사시에 합격했다. 인평대군 봉사손 자격으로 음서 특채되어 관직에 올랐으며, 경주부윤, 영월군수 등을 역임했다. 암행어사에게 탄핵을 받고, 부정행위로 처벌받기도 했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고종 때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그의 증손자 이명응은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둘째 아들 이병원의 손자 이채중은 은신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6년 사망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1796년 사망 -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는 군사 훈련을 중시하는 교육을 받고 군대에 큰 관심을 가졌던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1773년-1796년)으로, 행정 및 군대 개혁과 공공 사업을 추진했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패배하여 니스와 사보이를 프랑스에 할양하는 등 외교적 실패를 겪었다.
  • 1728년 출생 - 제임스 쿡
    제임스 쿡은 18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해군 장교로서, 세 차례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을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지리적 발견에 기여했으며 남극권에 진입하고 하와이 제도를 기록했으나, 하와이에서 원주민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 1728년 출생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스위스 태생의 독일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천문학자로, 원주율의 무리수성 증명, 쌍곡선 함수 삼각법 도입, 비유클리드 기하학 추측 제시 등 수학과 과학 분야는 물론 '현상학' 용어 사용과 칸트와의 서신 교환 등 철학 분야에도 기여했다.
  • 덕흥대원군파 - 이구 (1931년)
    이구는 1931년 이왕 이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미국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결혼했으나 사업 실패 후 일본에서 생활했으며, 1996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를 지내다 2005년 사망했다.
  • 덕흥대원군파 - 이해찬
    이해찬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 7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한국 정치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진보 성향의 정치인이다.
이진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진익
관직의정부 좌찬성
본관전주 이씨
씨족인평대군
작위원선군(垣宣君)
다른 이름어린 이름
진익
운경(雲卿)
생애
출생1728년
사망1796년 6월 1일
사망 장소조선 한성부 양원군 가통 사저
가족 관계
아버지안흥군 이숙
어머니군부인 문화 유씨
양조부양원군 이환
친조부의원군 이혁
배우자청풍 김씨
배우자 2한양 조씨
자녀이병순
자녀 2이병원
자녀 3이병준
매제박문수
관력
관직가의대부
관직 2돈녕부 도정(敦寧府 都正)

2. 생애

인평대군 이요의 4대손이자 능창군 이전의 5대손으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복녕군 이유(李栯), 할아버지는 의원군 이혁(李爀)이다. 숙종 때 삼복의 변에 연루된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은 그의 종증조부뻘이다.

1753년 식년시 진사과에 2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고, 이후 인평대군의 제사를 모시는 봉사손이라는 명분으로 1765년 음서로 관직에 나아갔다. 1773년에는 돈녕부 도정이 되었고, 같은 해 영조의 명으로 인평대군의 문집 《연행록》 등을 정리하여 간행하였다. 이 공로로 공조참판으로 특별 승진하였고, 곧이어 경주부윤으로 부임하였다.

정조 대에는 영월군수장단부사 등을 지냈으나, 직무 태만과 조세 문제 등으로 암행어사에게 여러 차례 탄핵을 받기도 했다.[104] 그럼에도 동지돈녕부사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사후 이조판서에 증직되었으며, 고종 즉위 후인 1864년에는 대원군의 생가 증조부라는 이유로 의정부 좌찬성에 특별히 추증되었다.

부인으로는 청풍 김씨 김도건(金道健)의 딸과 조씨 조도건(趙道健)의 딸이 있었다. 조씨 부인과의 사이에서 이병순(李秉淳), 이병원(李秉源), 이병준(李秉濬) 삼 형제와 딸 하나를 두었다. 그의 둘째 아들 이병원의 둘째 아들인 남연군 이채중은 1816년 순조의 명으로 후사 없이 사망한 은신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이명응(李明應)은 그의 증손자이다.

2. 1. 초기 생애와 가계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4대손이며, 안흥군 이숙의 아들이다. 남연군의 증조부이자 흥선대원군의 고조부가 된다. 그의 이복 누이 중 한 명은 소론의 중진이었던 박문수의 재취 부인이 되었다.[103]

2. 2. 영조 시대의 활동

1751년 영조의 특명으로 효종, 현종, 숙종 3대 임금의 어필을 지참하여 입시하라는 명을 받았다.[1][2] 같은 해 11월 29일 후릉 참봉에 임명되었다.[3] 1753년 식년과 진사시에 2등(23위)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고,[4] 5월 30일 내섬시 봉사에 임명되었다.[5]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는데, 1754년 순릉 직장,[6] 1757년 오위 부사정,[7] 1759년 사옹원 직장 등을 지냈다.[8] 1761년에는 인평대군의 봉사손으로 지정되었고,[9] 장원서 별제, 사옹원 주부, 사헌부 감찰 등을 역임했다.[10][11][12] 1762년에는 호조 좌랑, 목천현 현감, 통례원 인의에 임명되었다.[13][14][15]

1765년(영조 42년) 12월에는 인평대군의 제사를 모시는 봉사손 자격으로 음서를 통해 특별히 관직에 올랐다. 1767년 군자감 판관마전군 군수를 지냈고,[16][17] 1769년에는 내자시 주부공릉 에 임명되었다.[18][20] 같은 해 7월 14일 경희궁 집경당에서 영조를 직접 만나기도 했으며, 영조는 이진익에 대한 특별 인사 발령을 내렸다.[19] 1770년에는 종묘서 과 의흥현 현감을 지냈다.[21][22]

1772년 11월 7일 돈녕부 도정에 임명되었고,[23] 1773년 12월 3일 영조의 명으로 인평대군의 문집인 《연행록》 등을 정리하고 간행하였다. 같은 날 공조 참판으로 특별히 승진하였고, 이어 경주 부윤으로 부임하였다. 1774년 1월 13일 다시 영조를 만나 《연행록》을 지참하여 보였으며, 공조 참판에 정식으로 임명되었다.[24][25] 그 해 오위 사직과 오위도총부 부총관에도 임명되었다.[26][27] 1775년 3월 18일 중병을 이유로 오위도총부 부총관직에서 잠시 물러났다.[28] 영조 재위 마지막 해인 1776년에는 명릉 기신제의 헌관을 맡았고, 12월 30일 다시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임명되었다.

아래는 이진익이 영조 시대에 역임한 주요 관직을 정리한 표이다.


2. 3. 정조 시대의 활동과 시련

정조 즉위 후인 1776년 9월 30일 명릉 기신제의 헌관을 맡았고,[29] 같은 해 12월 30일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임명되었다.[30] 1777년 8월 13일 중추부 동지사에,[31] 9월 2일 다시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임명되었으나,[32] 같은 달 9월 12일 병조의 보고 후 오위 부사직으로 강등되었다.[33]

1777년 10월 6일 영월군 도호부사로 부임하였고,[34] 10월 18일 창덕궁 희정당에서 정조를 만나 영월군의 폐단과 수해 문제 해결을 권고받았다.[35] 그러나 이듬해인 1778년 10월 24일, 부정행위가 드러나 정조의 명으로 의금부에 체포되어 해관되었다.[36] 1779년 12월 27일에는 영월군수직에서도 물러났다.[104]

1780년 1월 31일 오위 부사직으로 복직한 뒤,[37] 3월 4일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거쳐[38] 5월 1일 경주부윤으로 나아갔다.[39] 그러나 1781년 1월 15일, 경상도 암행어사 이시수환곡 부정 및 곡물 출납 허위 보고 등을 문제 삼아 탄핵하였다. 이에 정조경상도 수령들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령했고,[40] 이진익은 1월 19일 경주부윤 근무지에서 의금부에 체포되었다.[41] 2월 5일 의금부는 태형 80대와 벌금형을 구형했고, 정조는 이를 확정했다.[42][43] 결국 6월 14일 경주부윤에서 해직되었고,[44] 12월 21일 석방되었다.[45][46]

석방 이후에도 관직 임명과 해직이 반복되는 순탄치 않은 과정을 겪었다. 1782년 1월 28일 오위 부사직,[47] 2월 12일 오위도총부 부총관,[48] 5월 12일 한성부 우윤,[49] 6월 22일 의금부 지사에 임명되었으나,[50] 7월 2일 의금부 지사에서 해직되었다.[51] 7월 7일에는 정조경모궁을 시찰할 때 오위도총부 담당 의식을 90세의 학성군에게 대신하게 한 것을 문제 삼아 오위도총부 부총관에서 해직되고 체포 명령이 내려졌다.[52][53] 7월 8일 의금부에 체포되었다가[54] 7월 11일 석방되었다.[55] 8월 27일 다시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내정되었으나, 임석철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내자 내정이 취소되기도 했다.[56][57]

이후에도 오위 부사직, 오위도총부 부총관, 한성부 우윤 등의 관직을 여러 차례 역임했으나 순탄치 않았다. 1783년 9월 17일에는 소송 문제와 불성실한 근무 태도에 대한 악평으로 오위도총부 부총관에서 해직되었고,[62] 1787년 10월 2일에는 중병을 이유로,[76][77] 1788년 2월 9일에는 중요 행사 불참을 이유로 같은 직책에서 해직되는 등 임명과 해직을 반복했다.[79]

1788년 4월 27일 돈녕부 동지사에 임명되었고,[80] 이후 오위도총부 부총관과 도총관을 지냈다.[81][82][83][84][85][86][87][88] 1793년 1월 1일 선원전 작헌례에 참석한 공로로 품계가 올랐고,[90][91] 1월 22일 조지서 제조에 임명되었다.[89]

1794년 1월 27일 병조 참판에 임명되었고,[94] 6월 13일 장단군 도호부사로 부임했다.[95] 그러나 조세 징수를 향리와 아전에게 맡겼다가 그해 11월, 고양·파주·장단·풍덕 4개 읍의 암행어사로 파견된 홍낙유에게 탄핵을 받았다. 결국 12월 8일, 홍낙유는 소송 처리 문제와 지역 정치 혼란의 책임을 물어 이진익을 탄핵했고, 그는 장단군 도호부사에서 해직되었다.[96] 이후 1795년 오위 부사직과 오위도총부 부총관,[97][98][99] 1796년 오위 호군에 임명되었다.[100]

1796년 6월 1일 사망하였다.[101]

2. 4. 말년과 사후

1777년 10월 4일 영월군수로 부임했으나 1779년 12월 27일 교체되었다.[104] 1780년에는 경상도 암행어사 이시수로부터 직무에 제대로 종사하지 못하는 지방관 중 한 명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았다. 이후 동지돈녕부사로 자리를 옮겼다.

1793년(정조 17년) 1월 1일 선원전(璿源殿)에 올리는 작헌례에 참석한 공로로 품계가 한 단계 올랐다. 이듬해 장단 부사로 부임했으나, 조세 징수를 향리와 아전에게만 맡겼다가 그해 11월 고양·파주·장단·풍덕 4개 읍의 암행어사로 파견된 홍낙유에게 다시 탄핵을 받았다.

사후 증직으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고종 즉위 후인 1864년 1월 10일에는 흥선대원군의 생가 증조부라는 이유로 특별히 증 의정부 좌찬성추증되었다. 그의 둘째 아들인 진사 이병원(李秉源)의 둘째 아들 남연군(이채중)은 1816년 순조의 특명으로 아들이 없던 은신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증손자로는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이명응(李明應)이 있다.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 영평(현재의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 남산 자좌(子坐)에 있으며, 인평대군 묘소 인근 야산에 안장되었다.

1883년(고종 20) 왕의 응제(應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관학 유생 중 이진익이라는 동명이인이 있었는데, 이 유생은 188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름과 한자가 같다는 이유로 1884년 8월 10일 이조(吏曹)의 명에 따라 이 유생은 진익(鎭翼)에서 운익(雲翼)으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3. 가족 관계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4대손이며, 안흥군 이숙의 아들이다. 남연군의 증조부이자 흥선대원군의 고조부이다. 이복 누이 중 한 명은 소론 중진 박문수의 재취 부인이 되었다.[103]

증조부는 복녕군 이유(李栯)이고, 할아버지는 의원군 이혁(李爀)이다. 숙종 때 삼복의 변으로 문제가 된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은 그의 종증조부였다.

청풍 김씨 김도건(金道健)의 딸과 결혼하였으나 자녀가 없었고, 후에 조도건(趙道健)의 딸 조씨와 결혼하여 이병순(李秉淳), 이병원(李秉源), 이병준(李秉濬) 삼형제와 유씨에게 시집간 딸 하나를 두었다. 1816년 순조의 특명으로, 둘째 아들인 진사 이병원의 둘째 아들 이채중(훗날 남연군)이 아들 없이 사망한 은신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후일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이명응은 그의 증손자로, 이병원의 손자이며 이휘중의 아들이다.


  • '''조부''' : 의원군 이혁(李爀)
  • * '''아버지''' : 안흥군 이숙(李埱)
  • * '''어머니''' : 군부인 문화 류씨(郡夫人 文化 柳氏) - 류집(柳潗)의 딸
  • ** 누이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 매부 : 심사장(沈師章) - 청송 심씨, 첨정 심정의(沈廷儀)의 아들
  • * '''서모''' : 이름 미상
  • ** 이복동생(서제) : 이진태(李鎭台)
  • * '''부인''' : 군부인 청풍 김씨(郡夫人 淸風 金氏, 1726년 4월 1일 ~ 1803년 7월 7일) - 현감 김도건(金道健)의 딸, 자녀 없음
  • * '''부인''' : 군부인 한양 조씨(郡夫人 漢陽 趙氏) - 조도건(趙道健)의 딸
  • ** 장남 : 이병순(李秉淳)

손자 : 이낙중(李樂重)
손자 : 이요중(李夭重)

  • ** 차남 : 이병원(李秉源)
  • ** 며느리 : 정부인 연일 정씨(貞夫人 延日 鄭氏) - 통덕랑 정의환(鄭義煥)의 딸

손자 : 이도중(李䆃重)
손자 :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 1836년, 초명은 채중(寀重)) - 은신군에게 입양됨

  • ** 며느리 : 광주 김씨(廣州 金氏) - 김진구(金鎭九)의 딸, 이병원의 둘째 부인

손자 : 이휘중(李彙重)
* 증손자 : 이명응(李明應) - 이조판서 역임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손녀사위 : 남준응(南駿應) - 의령 남씨, 음서로 목사 역임
* 외증손 : 남호원(南鎬元) - 음서로 참판 역임

  • ** 첩며느리 : 이름 미상, 이병원의 첩

서손자 : 이과중(李果重)
서손자 : 이내중(李來重)

  • ** 삼남 : 이병준(李秉濬)
  • ** 며느리 : 남양 홍씨(南陽 洪氏) - 홍일해(洪日海)의 딸

손자 : 이은중(李檃重)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손녀사위 : 조진운(趙鎭運) - 양주 조씨, 음서로 부사 역임

  • ** 첩며느리 : 이름 미상, 이병준의 첩

서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서손녀사위 : 김노영(金魯榮) - 경주 김씨, 참판 김인계(金仁桂)의 아들

  • ** 딸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 사위 : 유성(柳誠) - 전주 유씨, 현감 정참(定參)의 아들

참조

[1] 웹사이트 『英祖実録』(1751年旧暦10月9日)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51年旧暦10月9日) http://sjw.history.g[...]
[3]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51年旧暦10月12日) http://sjw.history.g[...]
[4] 웹사이트 韓国歴史人物総合情報システム - 韓国学中央研究院 http://people.aks.ac[...]
[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53年旧暦4月28日) http://sjw.history.g[...]
[6]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54年旧暦6月17日) http://sjw.history.g[...]
[7]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57年旧暦5月25日) http://sjw.history.g[...]
[8]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59年旧暦11月8日) http://sjw.history.g[...]
[9] 웹사이트 『英祖実録』(1865年旧暦12月5日) http://sillok.histor[...]
[10]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0年旧暦12月19日) http://sjw.history.g[...]
[11]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1年旧暦2月11日) http://sjw.history.g[...]
[1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1年旧暦5月26日) http://sjw.history.g[...]
[13]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2年旧暦1月16日) http://sjw.history.g[...]
[1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2年旧暦6月24日) http://sjw.history.g[...]
[1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6年旧暦8月5日) http://sjw.history.g[...]
[16]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6年旧暦12月17日) http://sjw.history.g[...]
[17]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7年旧暦2月19日) http://sjw.history.g[...]
[18]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9年旧暦6月10日) http://sjw.history.g[...]
[19]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9年旧暦6月11日) http://sjw.history.g[...]
[20]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9年旧暦6月19日) http://sjw.history.g[...]
[21]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69年旧暦12月18日) http://sjw.history.g[...]
[2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0年旧暦1月10日) http://sjw.history.g[...]
[23]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2年旧暦10月13日) http://sjw.history.g[...]
[2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3年旧暦12月2日) http://sjw.history.g[...]
[25] 웹사이트 『英祖実録』(1773年旧暦12月2日) http://sillok.histor[...]
[26]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4年旧暦7月16日) http://sjw.history.g[...]
[27]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4年旧暦10月27日) http://sjw.history.g[...]
[28]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5年旧暦2月17日) http://sjw.history.g[...]
[29]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6年旧暦8月18日) http://sjw.history.g[...]
[30]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6年旧暦11月20日) http://sjw.history.g[...]
[31]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7年旧暦7月11日) http://sjw.history.g[...]
[32]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7年旧暦8月1日) http://sjw.history.g[...]
[33]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7年旧暦8月11日) http://sjw.history.g[...]
[34]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7年旧暦9月6日) http://sjw.history.g[...]
[35] 웹사이트 『承政院日記』(1777年旧暦10月18日) http://sjw.history.g[...]
[36]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78-09-05
[37]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79-12-25
[38]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0-01-29
[39]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0-03-27
[40]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0-12-21
[41]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0-12-25
[42]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1-01-13
[43]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1-01-13
[44]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1-05-23
[45]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1-11-07
[46]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1-11-07
[47]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1-12-25
[48]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1-01
[49]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4-01
[50]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5-12
[51]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5-22
[52]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5-27
[53]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5-27
[54]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5-28
[55]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6-02
[56]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7-19
[57]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07-19
[58]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11-29
[59]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2-12-10
[60]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08-10
[61]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08-14
[62]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08-21
[63]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08-23
[64]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08-23
[65]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09-20
[66]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11-12
[67]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3-01-19
[68]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5-01-20
[69]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5-03-01
[70]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785-03-01
[71]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5年旧暦3月12日) http://sjw.history.g[...] 1785-04-20
[72]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5年旧暦12月28日) http://sjw.history.g[...] 1786-01-27
[73]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6年旧暦11月29日) http://sjw.history.g[...] 1787-01-17
[74]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7年旧暦2月3日) http://sjw.history.g[...] 1787-03-21
[75]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7年旧暦7月20日) http://sjw.history.g[...] 1787-09-01
[76]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7年旧暦8月21日) http://sjw.history.g[...] 1787-10-01
[77]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7年旧暦8月21日) http://sjw.history.g[...] 1787-10-01
[78]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8年旧暦1月2日) http://sjw.history.g[...] 1788-02-07
[79]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8年旧暦1月3日) http://sjw.history.g[...] 1788-02-08
[80]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8年旧暦3月22日) http://sjw.history.g[...] 1788-04-26
[81]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8年旧暦11月22日) http://sjw.history.g[...] 1788-12-19
[82]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9年旧暦3月9日) http://sjw.history.g[...] 1789-04-03
[83]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89年旧暦9月24日) http://sjw.history.g[...] 1789-11-11
[84]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0年旧暦3月10日) http://sjw.history.g[...] 1790-04-24
[85]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0年旧暦8月14日) http://sjw.history.g[...] 1790-09-22
[86]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2年旧暦閏4月3日) http://sjw.history.g[...] 1792-05-23
[87]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2年旧暦11月22日) http://sjw.history.g[...] 1793-01-04
[88]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2年旧暦12月7日) http://sjw.history.g[...] 1793-01-19
[89]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2年旧暦12月11日) http://sjw.history.g[...] 1793-01-23
[90]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3年旧暦1月1日) http://sjw.history.g[...] 1793-02-11
[91]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3年旧暦1月1日) http://sjw.history.g[...] 1793-02-11
[92]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3年旧暦4月5日) http://sjw.history.g[...] 1793-05-14
[93]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3年旧暦8月7日) http://sjw.history.g[...] 1793-09-11
[94]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3年旧暦12月26日) http://sjw.history.g[...] 1794-01-27
[95]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4年旧暦5月16日) http://sjw.history.g[...] 1794-06-13
[96]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4年旧暦11月16日) http://sjw.history.g[...] 1794-12-17
[97]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5年旧暦1月12日) http://sjw.history.g[...] 1795-02-10
[98]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5年旧暦7月15日) http://sjw.history.g[...] 1795-08-29
[99]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5年旧暦7月27日) http://sjw.history.g[...] 1795-09-10
[100]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6年旧暦1月10日) http://sjw.history.g[...] 1796-02-18
[101]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796年旧暦4月29日) http://sjw.history.g[...] 1796-06-04
[102] 承政院日記 承政院日記(1864年旧暦1月10日) http://sjw.history.g[...] 1864-02-18
[103] 문서 박문수의 초취 부인은 김통협(金通浹)의 딸 광산 김씨 부인이다.
[104] 서적 寧越郡邑誌, 寧越郡先生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