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로딤체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로딤체프는 붉은 군대의 장교로,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두 번의 소련 영웅 칭호를 받은 인물이다. 1927년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군사 교육을 받았으며, 스페인 내전에서 공화파를 지원하여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13 근위 소총 사단을 지휘하여 뛰어난 업적을 세웠다. 전쟁 후에는 동 시베리아 군관구 부사령관, 알바니아 무관 등을 역임했으며, 소련 국방성 감찰 총감부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다. 그는 소련 최고 회의 대의원이기도 했으며,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육군 상장 - 표도르 쿠즈네초프
표도르 쿠즈네초프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북서부 전선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레닌 훈장을 수여받은 소련의 군인이다. - 소련 육군 상장 - 테렌티 시티코프
테렌티 시티코프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북한에서 소련 군정을 지휘하며 북한 정권 수립에 관여하고 초대 북한 주재 소련 대사를 지낸 소련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권력 부상과 한국 전쟁 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러시아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러시아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로디온 말리놉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공을 세우고 소련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소련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러시아 제국군에 입대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으며, 독소 전쟁과 만주 작전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 소련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로디온 말리놉스키
로디온 말리놉스키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공을 세우고 소련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소련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러시아 제국군에 입대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으며, 독소 전쟁과 만주 작전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 소련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는 폴란드의 공산주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 장군으로 복무했으며, 종전 후 폴란드 공산 정권 수립에 참여하여 반공 세력 탄압에 관여했지만 우크라이나 반군에 의해 사망하여 폴란드 인민 공화국 시절에는 영웅으로 칭송받았으나 논란으로 인해 현재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알렉산드르 로딤체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알렉산드르 로딤체프는 1927년 붉은 군대에 입대했다.[2] 1932년 전러시아 중앙 집행 위원회 명칭 군사학교를 졸업했다.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스페인 내전에 의용병으로 참전하여 프란시스코 프랑코에 맞서 공화파 편에서 싸웠으며, 과달라하라, 부르네테, 테루엘, 하라마 강 전투에서 활약하여, 첫 번째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2] 귀국 후에는 기병 연대를 지휘했으며, M.V. 프룬제 명칭 군사 아카데미 졸업 후 1939년 5월에 기병 사단 부사단장으로 임명되어 폴란드 침공에 참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13 근위 소총 사단을 지휘하여 마마예프 언덕과 차리차 협곡 사이에서 독일군을 막는 임무를 맡아 두 번째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2] 그는 병사들에게 인기가 많았고 용감하기로 명성이 높았다.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로딤체프는 제32 근위 소총 군단을 지휘했는데, 이 군단은 제5 근위군의 일원이었으며, 스텝 전선의 일부로서, 쿠르스크 전투에서 SS 기갑 사단과 교전했다.[2]
전쟁 후, 로딤체프는 동 시베리아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그 후 알바니아에서 무관으로 복무한 다음, 다시 북부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다.[2] 1966년 3월, 소련 국방성 감찰 총감부 군사 고문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2. 2. 군 경력
알렉산드르 로딤체프는 1927년 붉은 군대에 입대했다.[2]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스페인 내전에서 프란시스코 프랑코에 맞서 공화파 편에서 싸웠으며, 여기서 그는 처음으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2] 스페인 내전에 의용병으로 종군하여 과달라하라, 부르네테, 테루엘, 하라마 강 전투에서 활약했다. 귀국 후에는 기병 연대를 지휘했으며, M.V. 프룬제 명칭 군사 아카데미 졸업 후, 1939년 5월에 기병 사단 부사단장으로 임명되어, 폴란드 침공에 참가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는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역할로 기억되는데, 제13 근위 소총 사단을 훌륭하게 지휘하여 두 번째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2] 독소전 당시, 제5공수 여단(1941년 6월~11월), 제87저격 사단(1942년 1월부터 제13친위 저격 사단)을 지휘했다. 이 사단은 마마예프 언덕과 차리차 협곡 사이에서 독일군을 막는 임무를 맡았으며, 수적으로 열세하고 무기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했다. 로딤체프는 병사들에게 인기가 많았고 용감하기로 명성이 높았다.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로딤체프는 제32 근위 소총 군단을 지휘했는데, 여기에는 제13 근위 소총 사단, 제66 근위 소총 사단, 그리고 제6 근위 공수 사단이 포함되었다.[2] 제32 근위 소총 군단은 제5 근위군의 일원이었으며, 제5 근위군은 스텝 전선(이반 코네프 원수 지휘)의 일부였고, 쿠르스크 전투에서 SS Panzer 사단과 교전했다.[2] 제32친위 저격 군단(1943년 5월~종전)을 지휘했으며, 키예프, 하리코프, 스탈린그라드 및 쿠르스크 전투, 우크라이나, 폴란드의 해방, 니지네 실레즈, 베를린 및 프라하 작전에 참가했다.
전쟁 후 로딤체프는 동 시베리아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그 후 알바니아에서 무관으로 복무한 다음, 다시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는데, 이번에는 북부 군관구였다.[2] 전후, 각급 지휘관을 거쳐, 동 시베리아 군관구 사령관 보좌관, 주알바니아 수석 군사 고문 겸 주재 무관을 역임했다. 1956년 11월부터 부대에서 근무했으며, 1966년 3월, 소련 국방성 감찰 총감부 군사 고문으로 있었다.
제3기 소련 최고 회의 대의원이었다.
3. 스페인 내전 참전
알렉산드르 로딤체프는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여 프란시스코 프랑코에 맞서 공화파를 위해 싸웠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과달라하라, 부르네테, 테루엘, 하라마 강 전투에서 활약하였으며,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처음으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
4. 제2차 세계 대전 (독소전) 참전
독소전 당시, 로딤체프는 제5공수 여단(1941년 6월~11월), 제87저격 사단(1942년 1월부터 제13친위 저격 사단), 제32친위 저격 군단(1943년 5월~종전)을 지휘했으며, 키예프, 하리코프, 스탈린그라드 및 쿠르스크 전투, 우크라이나, 폴란드의 해방, 니지네 실레즈, 베를린 및 프라하 작전에 참가했다. 특히 로딤체프 지휘 하의 제13친위 저격 사단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활약했다. 그는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여 소련 영웅 칭호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공적을 인정받아 두 번째 소련 영웅 칭호가 수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는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역할로 기억되는데, 그는 제13 근위 소총 사단을 훌륭하게 지휘하여 두 번째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 이 사단은 마마예프 언덕과 차리차 협곡 사이에서 독일군을 막는 임무를 맡았으며, 수적으로 열세하고 무기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했다. 로딤체프는 병사들에게 인기가 많았고 용감하기로 명성이 높았다.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로딤체프는 제32 근위 소총 군단을 지휘했는데, 여기에는 제13 근위 소총 사단, 제66 근위 소총 사단, 그리고 제6 근위 공수 사단이 포함되었다. 제32 근위 소총 군단은 제5 근위군의 일원이었으며, 제5 근위군은 스텝 전선(이반 코네프 원수 지휘)의 일부였고, 쿠르스크 전투에서 SS Panzer 사단과 교전했다.[2]
4. 1. 초기 활동
알렉산드르 로딤체프는 샤를리크 마을(현재 오렌부르크주) 출신이다. 1927년부터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1929년에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2년, 전러시아 중앙 집행 위원회 명칭 군사학교를 졸업했다.1936년~1937년, 스페인 내전에 의용병으로 종군하여 과달라하라, 부르네테, 테루엘, 하라마 강 전투에서 활약하여, 첫 번째 소련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귀국 후, 기병 연대를 지휘했으며, M.V. 프룬제 명칭 군사 아카데미 졸업 후, 1939년 5월에 기병 사단 부사단장으로 임명되어, 폴란드 침공에 참가했다.
4. 2. 스탈린그라드 전투
독소전 당시, 로딤체프는 제5공수 여단(1941년 6월~11월), 제87저격 사단(1942년 1월부터 제13친위 저격 사단), 제32친위 저격 군단(1943년 5월~종전)을 지휘했다. 키예프, 하리코프 방어전과 스탈린그라드, 쿠르스크 전투, 우크라이나, 폴란드 해방, 니지네 실레즈, 베를린 및 프라하 작전에 참가했다.특히 로딤체프가 지휘한 제13친위 저격 사단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큰 활약을 했다.
4. 3. 쿠르스크 전투 및 이후
독소전 당시, 제5공수 여단(1941년 6월~11월), 제87저격 사단(1942년 1월부터 제13친위 저격 사단), 제32친위 저격 군단(1943년 5월~종전)을 지휘했으며, 키예프, 하리코프, 스탈린그라드 및 쿠르스크 전투, 우크라이나, 폴란드의 해방, 니지네 실레즈, 베를린 및 프라하 작전에 참가했다. 특히 로딤체프 지휘 하의 제13친위 저격 사단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활약했다. 전시 중의 공적에 대해, 두 번째 소련 영웅 칭호가 수여되었다.전후, 각급 지휘관을 거쳐, 동 시베리아 군관구 사령관 보좌관, 주알바니아 수석 군사 고문 겸 주재 무관을 역임했다. 1956년 11월부터 부대 근무. 1966년 3월, 소련 국방성 감찰 총감부 군사 고문.
제3기 소련 최고 회의 대의원.
5. 전후 활동
로딤체프는 전쟁 이후 동 시베리아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그 후 알바니아에서 무관으로 복무했다. 그 뒤 다시 북부 군관구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다.[2]
6. 서훈 내역
소련 영웅 2회, 레닌 훈장 3개, 10월 혁명 훈장, 붉은 깃발 훈장 4개, 1급 수보로프 훈장, 1급 보그단 흐멜니츠키 훈장, 2급 수보로프 훈장 2개, 2급 쿠투조프 훈장, 붉은 별 훈장 2개를 수여받았다.
참조
[1]
서적
Карелия: энциклопедия: в 3 т. / гл. ред. А. Ф. Титов. Т. 3: Р — Я. — Петрозаводск: ИД «ПетроПресс», 2011. С. 319—384 с.: ил., карт.
[2]
웹사이트
Биография Александра Ильича Родимцева
http://general-rodim[...]
2015-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