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관구는 군사 조직의 일종으로, 특정 지역을 관할하며 군사 작전, 행정, 훈련 등을 담당한다. 미국,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군관구 제도를 운영해왔으며, 각 국가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군관구의 역할과 조직 구성에 차이가 있다. 미국은 통합 전투 사령부를 중심으로, 한국은 1954년부터 1970년대까지 육군 군관구와 해군 해역사령부를 운영했다. 일본은 메이지 시대부터 군관구 제도를 도입했으며, 현재는 해상자위대에서 지방대를 군관구 형태로 운영한다. 중국은 1949년 이후 대군구, 2016년 이후 전구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러시아는 제정 시대부터 소련, 현재까지 군관구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외에도 베트남, 라오스,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 이집트, 알제리 등 다양한 국가에서 군관구 제도를 활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군관구 | |
---|---|
지도 | |
명칭 | |
영어 | Military district |
한자 | 軍管區 |
일본어 | 軍管区 (군칸쿠) |
개요 | |
정의 | 지역 군사 단위 지정 |
설명 | 군사 조직의 한 형태로, 특정 지역을 관할하는 지휘관과 병력으로 구성된 군사 단위 행정 구역과 유사하지만, 군사 작전과 관련된 특수 목적을 가짐 지역의 방위 및 보안 유지, 훈련 및 동원, 행정 업무 수행 |
역사 | |
기원 |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 로마 제국의 군사 행정 구역, 동로마 제국의 테마 제도 |
발전 | 근대 국가에서 영토 방위와 군사 행정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발전 19세기 후반부터 세계 각국에서 보편화 |
현대적 활용 | |
목적 | 지역 방위 및 치안 유지 재난 구조 및 긴급 상황 대응 병력 훈련 및 동원 준비 군사 행정 업무 수행 |
특징 | 각 군관구는 독립적인 지휘 체계를 갖춤 관할 지역 내의 모든 군사 활동을 조정하고 지휘 군사 시설 및 장비 관리 |
국가별 사례 | |
대한민국 | 대한민국 국군의 군단 및 사단 등 |
일본 | 일본 제국 육군의 관할 구역 |
러시아 | 러시아 연방군의 군관구 |
미국 | 미국군의 통합 전투 사령부 |
중국 |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구 |
기타 |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국가 인도, 파키스탄, 브라질 등 다양한 국가에서 군관구 제도를 운영 |
관련 용어 | |
군관구 (軍管區) |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용어 "군사 관할 구역"을 의미 |
군구 (軍區) | 중국어에서 군관구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 전구와 같은 대규모 군사 구역을 의미하기도 함 |
Military district | 영어에서 사용되는 용어 |
Military region | 영어에서 군관구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때로는 더 넓은 지역을 가리키기도 함 |
2. 아메리카
미국 육군에서 최초의 군관구는 군사 및 행정적 지휘부인 군사지부(Military Department영어)로서 1812년부터 1920년까지 운영되었다. 이후 미국 본토의 지부는 군단지역으로 대체되었으나, 해외 지부인 필리핀, 하와이, 파나마 운하와 푸에르토 리코 지부는 각각 1942년, 1943년, 1947년까지 운영되었다.
현재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에는 육군,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의 관할지구가 군관구의 이름을 쓰고 있다.
2. 1. 미국
미국 육군에서 최초의 군관구는 군사 및 행정적 지휘부인 군사지부(Military Department영어)로서 1812년부터 1920년까지 운영되었다. 이후 미국 본토의 지부는 군단지역으로 대체되었으나, 해외 지부인 필리핀, 하와이, 파나마 운하와 푸에르토 리코 지부는 각각 1942년, 1943년, 1947년까지 운영되었다.현재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에는 육군,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의 관할지구가 군관구의 이름을 쓰고 있다.
2. 1. 1. 통합전투사령부
현대 미군 조직은 서로 다른 지리적 영역과 책임을 포함하는 통합 전투 사령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13]
-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
- 미국 중부 사령부
- 미국 유럽 사령부
-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 미국 북부 사령부
- 미국 남부 사령부
- 미국 통합군
3. 아시아
대한민국의 군관구는 1954년 육군에서 5개 군관구 사령부를 창설하면서 시작되었고, 1973년 해군에서 5개 해역사령부를 편성하면서 해군에도 도입되었다. 육군의 군관구는 1970년대 말까지 운영되었고, 해군의 해역사령부는 1986년에 재편되었다.[19][20]
일본의 군관구는 육군과 해군, 그리고 해상자위대에 걸쳐 그 형태와 역할이 변화해 왔다. 육군은 1871년 진대(鎭臺)라는 독특한 체계로 시작하여 1945년 군관구사령부로 개칭될 때까지 여러 변화를 겪었다. 해군은 진수부를 중심으로 해군구를 운영했으며, 이는 해상자위대의 지방대로 이어졌다.
중국은 제2차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후 1949년에 22개의 성급군구를 설치하고, 이를 묶어 대군구(1급 군구)를 설치하였다. 2016년에는 시진핑 주석의 군 개혁에 따라 기존의 7대 군구를 5개 전구로 재편하였다.
베트남은 베트남 전쟁 전후로 하노이 수도고위사령부와 9개의 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라오스는 1955년에 5개의 군관구를 설치하였고, 인도네시아는 수디르만 장군이 도입한 독일식 군관구 체제를 기반으로 '''Kodam'''(Komando Daerah Militer, 군관구 사령부)을 운영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러시아 군관구와 유사한 4개의 지역 사령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베키스탄 국방부 관할 하에 5개의 군관구를 두고 있다.
3. 1. 대한민국
육군본부는 1954년 12월에 5개의 군관구 사령부를 창설하여 1970년대 말까지 운영하였고, 해군본부는 1973년에 5개 해역사령부를 편성하여 1986년 2월 1일에 재편하였다.[19][20]3. 1. 1. 육군 군관구 (1954년 ~ 1970년대)
육군본부는 한국 전쟁 이후 1954년 12월에 5개의 군관구 사령부를 창설하여 1970년대 말까지 운영하였다.[19][20]- 제1군관구사령부: 광주광역시에 본부를 두고 전라도 지역을 담당했다. 1955년 2월 20일, 31사단, 4월 20일에는 35사단을 예속받았고, 그 외 2개 동원사단도 예속받았다.
- 제2군관구사령부: 1954년 12월 22일 부산광역시에 본부를 두고 경상남도를 담당했으나, 1960년 1월 15일 군수기지사령부로 재편성되어 해체되었다. 1974년 4월 1일에 재창설되었다.[19]
- 제3군관구사령부: 1954년 12월 1일 논산시에서 창설되어 충청도를 담당했다.
- 제5군관구사령부: 대구광역시에 본부를 두고 경상북도 지역을 담당했다. 1955년 6월 18일 39사단, 50사단을 예속받았다.
- 제6군관구사령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 문래근린공원에서 창설되었다. 30사단, 33사단을 예속받아 서울특별시 일부와 경기도 일부(지금의 인천광역시 포함)를 담당했으며, 이후 수도경비사령부와 서울특별시를 나누어 담당했다. 1974년 3월 1일 경인지역방어사령부로, 1975년 8월 1일 경기도 안양시로 이전하여 수도군단으로 개편되었다.[20]
3. 1. 2. 해군 해역사령부 (1973년 ~ 1986년)
해군본부는 1973년에 5개 해역사령부를 편성하였고, 1986년 2월 1일에 재편성 계획을 집행하여 1, 5 해역사령부는 제1함대, 제2함대로, 2, 3, 6 해역사령부는 제3함대로 정리했다.[19]3. 2. 일본
일본의 군관구는 육군과 해군, 그리고 해상자위대에 걸쳐 그 형태와 역할이 변화해 왔다. 육군은 1871년 진대(鎮臺|진대일본어)라는 독특한 체계로 시작하여 1945년 군관구사령부로 개칭될 때까지 여러 변화를 겪었다. 해군은 진수부를 중심으로 해군구를 운영했으며, 이는 해상자위대의 지방대로 이어졌다.3. 2. 1. 육군
메이지 정부 4년째인 1871년 10월 4일, 일본은 진대(鎭臺)라는 특유의 체계로 군관구를 도입하였다. 진대는 군구를 겸하기도 했다. 최초에는 인구가 적은 류큐와 홋카이도를 뺀 열도를 도쿄, 센다이(1871년-1873년, "도호쿠"), 오사카, 구마모토(1871년-1873년, "친세이" 혹은 "친제이")를 중심으로 4개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지역은 다시 2~3개 사관(師管)으로 세분화되었다. 1873년 1월 9일, 나고야와 히로시마 진대가 추가되고, 홋카이도는 군구로 지정되어 6개 진대, 7개 군구로 형성되었다.1888년(메이지 21년) 5월 14일, 진대가 폐지되고 사단으로 재편성되어 사관으로 대체되었는데, 홋카이도의 제7군구는 1894년 10월 16일이 돼서야 제7사단으로 개편되었다. 각 사관은 2개의 여단에 의한 여관(旅管)으로 분할되었다가, 1935년(쇼와 10년) 8월 1일에 삼각 편제로 고정되면서 사관은 연대구로 나뉘는 것으로 고정되었다.
1896년 4월 1일에 근위사단이 관할하는 친위사관이 약 3년간 설치되었다.
이후, 경비대구(警備隊区), 대대구(大隊区), 연대구(連隊区), 여관(旅管), 사관(師管区)/사관구(師管区), 군구(軍区)/군관구(軍管区), 방공관구(防空管区) 등이 설치되었다.
일본에서는 1940년부터 1945년까지 대일본제국 육군의 군관구가 설치되었다. 지역 방위와 동원 업무를 주요 임무로 하는 군사령부가 관할했으며, 1945년에 군사령부는 군관구사령부로 개칭되었다. 메이지 시대인 1873년부터 1888년까지는 군관이 존재하여 일본 육군 관구의 기반이 되었으나, 당시에는 군관구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다.
3. 2. 2. 해군
일본 제국 해군의 군구는 ''해군구''(海軍区|가이군쿠일본어)라고 명명하였는데, 내지의 4개 진수부가 관할하는 해역이기도 하였다.진수부 | 관할 구역 |
---|---|
요코스카 진수부 | 도쿄부, 아오모리, 아키타, 이와테, 미야자키, 후쿠시마, 이바라키, 지바, 도치기, 군마 사이타마, 가나가와, 야마테, 시즈오카, 아이치, 나가노, 기후, 미에, 홋카이도, 가라후토, 남양 군도 위임통치구역(南洋海軍区|남양해군구일본어) |
구레 진수부 | 오사카부, 나라, 미카타군과 기노사키군을 뺀 효고, 후쿠야마, 히로시마, 야마구치, 가가와, 도쿠시마, 고치, 아이치, 아리아케항을 제외한 미야자키, 무나카타군과 온가군을 뺀 후쿠오카 동부, 오이타 |
사세보 진수부 | 후쿠오카, 미야자키, 사가, 나가사키, 구마모토, 가고시마, 오키나와, 조선, 대만, 관동주(関東州海軍区|관동주해군구일본어) |
마이즈루 진수부 | 교토부, 야마가타, 니이가타, 도야마, 이시카와, 후쿠이, 시가, 효고의 미카타군과 기노사키군, 돗토리, 시마네 |
3. 2. 3. 해상자위대
해상자위대의 군구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해군구에서 홋카이도를 관할하는 오미나토 지방대가 추가된 형태로 계승되었다.
- 요코스카 지방대
- 구레 지방대
- 사세보 지방대
- 마이즈루 지방대
- 오미나토 지방대
3. 3. 중화인민공화국
제2차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여 중국 대륙을 장악한 중국 인민해방군은 1949년에 각 성 별로 22개 성급군구를 2, 3급 군구로 설치하였고, 여러 개의 성급군구를 가지는 대군구인 1급 군구를 설치하였다.3. 3. 1. 대군구 (1949년 ~ 2016년)
제2차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여 중국 대륙을 장악한 중국 인민해방군은 1949년에 각 성 별로 22개 성급군구를 2, 3급 군구로 설치하였고, 여러 개의 성급군구를 가지는 대군구인 1급 군구를 설치하였다.1급 군구(대군구)는 다음과 같다:
2017년, 시진핑의 중국 인민해방군 개편에 따라 5개 전구로 재편성되었다.
3. 3. 2. 전구 (2016년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은 2016년부터 “군관구”와 “전역”을 더욱 통합하여 독자적인 전구를 창설했다. 2017년, 시진핑의 중국 인민해방군 개편에 따라 기존의 7대 군구가 5개 전구로 재편성되었다.기존의 7대 군구는 다음과 같다.
3. 4. 베트남
베트남 인민군은 베트남 전쟁 전후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를 관할하는 하노이 수도고위사령부와 9개 군구를 설치하였다. 그 중 제6, 8번 군구가 제5, 9 군구로 병합되어 부대 목록에서 내려졌다.
- 하노이 수도고위사령부 - 하노이
- 제1군구 - 타이응우옌
- 제2군구 - 비엣찌
- 제3군구 - 하이퐁
- 제4군구 - 빈
- 제5군구 - 다낭
- 제7군구 - 호찌민 시
- 제9군구 - 껀터
- 제6군구; 1961년 창설 ~ 1976년 5월, 제5군구에 병합됨.
- 제8군구; 1945년 창설 ~ 1974년, 제9군구에 병합됨.
3. 5. 기타 아시아 국가
라오스 왕국은 1955년에 최초로 5개의 군관구를 설치하였다. 1962년에 사이냐불리주와 참빠삭주가 각각 6, 7군관구로 분리되었으나, 1968년 7월에 다시 되돌려졌다.군관구 | 관할 지역 |
---|---|
제1군관구 (루앙프라방) | 루앙남타 주, 루앙프라방주, 보케오주, 사이냐불리주, 우돔싸이주, 퐁살리주 |
제2군관구 (비엔티안) | 볼리캄사이 주, 비엔티안주, 씨앙쿠앙주, 후아판주 |
제3군관구 (사반나케트) | 사반나케트 주, 캄무안주 |
제4군관구 (참파사크) | 살라완주, 세콩주, 앗타푸주, 참빠삭주 |
제5군관구 (치나이모 기지) | 비엔티안주, 볼리캄사이주 |
제6군관구 (사이냐불리주) | 1962년 ~ 1968년 7월 |
제7군관구 (참빠삭주) | 1962년 ~ 1968년 7월 |
인도네시아 육군은 '''Kodam'''(Komando Daerah Militer, 군관구 사령부) 체제로 운영된다. 이는 수디르만 장군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식 체제를 개량하여 "Wehrkreise"라는 명칭으로 처음 도입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1948년 11월 "Surat Perintah Siasat No.1"(제1 전략 지휘 명령서)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군관구는 인도네시아 영토 내 지정된 섬/주를 방어하기 위한 방어선 또는 지역 방어 수단으로 기능한다. 각 ''Kodam''은 소장이 지휘하며 관할 지역 내 부대를 사용한 작전 개시에 대한 완전한 권한을 갖는다. 사령관(''Panglima Kodam'', 약칭 ''Pangdam'')은 육군참모총장(KSAD)에게 보고하며, 전시에는 영토 방위를, 평시에는 개발 및 감독을 담당한다. 또한 대통령 방문 등 관할 지역을 방문하는 중요 인사의 안전과 보호를 담당한다.
카자흐스탄의 지역 사령부(Аймақтық қолбасшылық|Aımaqtyq qolbasshylyqkk; Региональная команда|Regional'naya komandaru)는 러시아 군관구와 유사하게 운영된다.
카자흐스탄 육군은 네 개의 지역 사령부로 나뉜다.[9]
사령부 명칭 | 본부 위치 |
---|---|
아스타나 지역 사령부 (Regional Command "Astana") | 아스타나 |
동부 지역 사령부 (Regional Command "East") | 세메이 |
서부 지역 사령부 (Regional Command "West") | 아티라우 |
남부 지역 사령부 (Regional Command "South") | 타라즈 |
우즈베키스탄군의 군관구(Harbiy okruglar)는 우즈베키스탄 국방부의 관할 하에 있다. 2001년 5월,[14] 타슈켄트 주둔군이 타슈켄트 군관구로 개편되었다.[15] 우즈베키스탄의 군관구 목록은 다음과 같다.[16]
4. 유럽
영국 육군에서 관구를 둔 것은 1793년에 브리튼섬을 북부, 서부, 서남의 3개 군정 구역으로 설정하면서 시작되었다. 2년 뒤, 동부 관구가 설치되었다. 1995년에 런던 관구를 제외한 모든 관구가 지상사령부 본부(HQ Land)로 병합되었다. 현재 지역사령부 예하의 지역 본부는 영국 육군의 청소년 조직인 육군생도군를 관리하는 지역거점사령부이다.[1]
4. 1. 러시아
러시아의 군관구는 군사 부대, 편제, 군사 학교 및 다양한 지역 군사 시설을 한데 묶은 행정 구역이다. 이러한 영토 구분 방식은 러시아 제국 시기부터 소비에트 연방을 거쳐 현재 러시아 연방에 이르기까지 사용되고 있다.4. 1. 1.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의 '''군관구'''(вое́нный о́круг|보옌니 오크루크ru)는 군사 부대, 편제, 군사 학교 및 다양한 지역 군사 시설을 한데 묶은 행정 구역이었다. 이러한 영토 구분 방식은 러시아 제국에서 사용되었으며, 소비에트 연방을 거쳐 현재 러시아 연방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토 구분은 군 부대의 효율적인 관리, 훈련 및 국가 방위 준비와 관련된 기타 활동을 용이하게 했다.
4. 1. 2. 소련
소련에서 군관구는 러시아 제국 시대와 같은 역할을 계속 수행했으며, 1918년 3월 31일 러시아 내전 중에 야로슬라프스키, 모스크바 군관구, 오룔 군관구, 벨로모르스키, 우랄스키, 프리볼즈스키의 6개 군관구가 처음 창설되었다.1940년 7월 초, 소련의 군관구는 17개로 증가했으며,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전투 전선을 창설하는 데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관구는 물류적 이유로 더욱 세분화되었다.
- 북부 및 북서부 지역
- 서부 및 중부 소련 지역
- 남부 및 남서부 지역
- 시베리아 및 중앙아시아 지역
- 극동 지역
전쟁 후 군대 해산을 돕기 위해 군관구 수는 33개로 증가했지만, 1946년 10월까지 21개로 감소했다.[10]
1980년대 말, 소련 해체 직전에는 3~5개의 주요 전략적 전구 그룹 내에 16개의 군관구가 있었다.
4. 1. 3. 러시아 연방
러시아 연방의 군관구(вое́нный о́кругru, ''voyenny okrug'')는 군관구 사령부의 지휘 아래 운영되며, 관구 사령관이 이끄는 사령부에 종속되고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에 예속된다.[11] 군관구는 군 부대, 편제, 군사 학교 및 다양한 현지 군 시설의 영토적 연합체이다. 이러한 영토 구분 방식은 역사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원래는 제정 러시아가 군 부대의 효율적인 관리, 훈련 및 전투 준비태세 관련 기타 작전 활동을 위해 채택했다.1992년부터 2010년까지, 러시아군은 레닌그라드 군관구, 모스크바 군관구, 볼가-우랄 군관구, 북캅카스 군관구, 시베리아 군관구, 극동 군관구 등 이전 소비에트 연방군 관구의 수를 줄여 유지했다.
2009년~2010년에 이들 군관구는 지역 합동 전략 사령부를 포함하는 4개의 군관구로 재편되었다.[11] 2014년 북방 함대는 별도의 합동 전략 사령부로 재편되었다.
2016년 기준 러시아 군관구는 다음과 같다.
- 레닌그라드 군관구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령부)
- 남부 군관구 (로스토프나도누 사령부)
- 중부 군관구 (예카테린부르크 사령부)
- 동부 군관구 (하바롭스크 사령부)
- 모스크바 군관구 (모스크바 사령부)

4. 2. 기타 유럽 국가
영국 육군에서 관구를 둔 것은 1793년에 브리튼섬을 북부, 서부, 서남의 3개 군정 구역으로 설정하면서 시작되었다. 2년 뒤, 동부 관구를 설치하였다. 1995년에 런던 관구를 제외한 모든 관구가 지상사령부 본부(HQ Land)로 병합되었다. 현재 지역사령부 예하의 지역 본부는 영국 육군의 청소년 조직인 육군생도군를 관리하는 지역거점사령부이다.[1]5.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은 8개 군관구를 두고 있었다. 1939년, 지리적 사령부 구조를 적용하여 군관구를 재편성하였다. 제1군관구는 북부사령부, 제2군관구는 동부사령부, 제5군관구는 서부사령부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1942년에는 제3, 4, 6관구가 남부사령부로, 제7군관구는 북부지방군, 제8군관구는 뉴기니군으로 재편성되었다.[21]
5.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은 8개 군관구를 두고 있었다.
군관구 | 주둔지 | 관할 지역 |
---|---|---|
제1관구 | 브리스번 | 퀸즐랜드 주 |
제2관구 | 시드니 | 머리강, 브로큰힐, 머럼비드지 강 북부 뉴사우스웨일스주 |
제3관구 | 멜번 | 빅토리아 주와 머럼비드지 강 남부 뉴사우스웨일스주 |
제4관구 | 애들레이드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
제5관구 | 퍼스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킴벌리 지구 제외) |
제6관구 | 호바트 앤젤레사 막사 | 테즈메이니아 주 |
제7관구 | 다윈 | 노던 준주 |
제8관구 | 라바울, 포트모르즈비 | 뉴기니아 준주, 솔로몬 제도, 뉴헤브리디스 제도 |
1939년 지리적 사령부 구조가 적용되어 제1군관구는 북부사령부, 제2군관구는 동부사령부, 제5군관구는 서부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21] 나머지 군관구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한 1942년에 제3, 4, 6관구는 남부사령부, 제7군관구는 북부지방군, 제8군관구는 뉴기니군으로 재편성되었다.[21]
서부사령부는 1942년 4월에 작전부대인 제3군단으로 재편성되었으나, 해외로 배치되지 않았고, 1944년 6월 다시 서부사령부로 되돌려졌다. 북부지방군은 1946년 2월 28일에 제7군관구로 되돌려졌다.[21]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적 사령부 구조는 1970년대까지 이어졌다.[21]
6. 아프리카
'''군구사령부'''(Komando Daerah Militer (Kodam)id)는 인도네시아 육군의 군관구이다.
알제리는 6개의 군사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 사령부는 주요 도시나 마을에 있다. 이러한 영토 조직 시스템은 독립 직후 전시 윌라야 구조와 전후 반정부 반란 진압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지역 사령관은 기지, 물류, 주택, 징집 훈련을 통제하고 관리한다. 육군 사단 및 여단 사령관, 공군 시설, 해군은 국방부와 참모총장에게 직접 보고한다. 알제리는 이전에 프랑스의 제10군관구를 형성했다.
이집트는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앙 군구로 나뉜다.
6. 1. 이집트

6. 2. 기타 아프리카 국가

알제리는 6개의 번호가 매겨진 군사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의 사령부는 주요 도시 또는 마을에 위치해 있다(알제리 인민국민군#군사 지역 참조). 독립 직후 채택된 이러한 영토 조직 시스템은 전시 윌라야 구조와 각 지역에 기반을 둔 반정부 반란을 진압해야 했던 전후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지역 사령관은 기지, 물류 및 주택뿐만 아니라 징집 훈련도 통제하고 관리한다. 사단 및 여단 육군 사령관, 공군 시설 및 해군은 작전 문제에 대해 국방부와 참모총장에게 직접 보고한다. 이전에 알제리는 프랑스의 제10군관구를 형성했다.
2003년 군사 지역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 제1군사지역 : 브라힘 포델 셰리프
- 제2군사지역 : 카멜 압데르라흐만
- 제3군사지역 : 아브센 타페르
- 제4군사지역 : 압델마지드 사헤드
- 제5군사지역 : 셰리프 압데르라작
- 제6군사지역 : 알리 베날리
참조
[1]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y, 1993, 258-260
http://www.marines.m[...]
[2]
뉴스
解放军5大战区公布 习近平授军旗(图)_凤凰资讯
http://news.ifeng.co[...]
News.ifeng.com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6-08-05
[4]
문서
Le redressement militaire de la France 1871-1914 Cette évocation s’appuie sur les collections du musée du Génie
Musee du Genie
[5]
서적
Les armées du XXe Siècle, supplement illustré
https://web.archive.[...]
Le Petit Journal Militaire, Maritime, Colonial
2020-08-20
[6]
서적
The First Helicopter War: Logistics and Mobility in Algeria, 1954–1962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01-01
[7]
웹사이트
La Défense opérationnelle du Territoire (DOT
http://guerredefranc[...]
[8]
법률
Code de la défense – Article R1211-4
https://www.legifran[...]
[9]
웹사이트
Kazakh Ground Forces
http://www8.brinkste[...]
[10]
서적
The Soviet Army in the Period of the Cold War
Tomsk
2004-01-01
[11]
웹사이트
Главная :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mil.ru/
[12]
서적
The British Army: A Pocket Guide 2012-2013
[13]
웹사이트
Records of United States Army Continental Commands, 1821-1920
https://www.archives[...]
2016-08-15
[14]
법률
220-II-сон 12.05.2001. O'zbekiston Respublikasining ayrim qonun hujjatlariga o'zgartishlar va qo'shimchalar kiritish to'g'risida
https://lex.uz/docs/[...]
[15]
문서
Formation of Conceptual Approaches to the Problems of Ensuring National Security in Central Asian States - Uzbekistan, Kazakhstan, Kyrgyzstan, Tajikistan and Turkmenistan
http://www.bmlv.gv.a[...]
[16]
웹사이트
Web Hosting, Free Web Site Builder & Domain Name, Web Hosting Made Easy by Brinkster
https://web.archive.[...]
2007-09-29
[17]
법률
478-II-сон 25.04.2003. O'zbekiston Respublikasi Qurolli Kuchlari rezervidagi xizmat to'g'risida
https://lex.uz/docs/[...]
[18]
간행물
インドネシア・ワヒド新政権の誕生と課題 第3章 国軍 — 改革と権力闘争の狭間で
http://www.ide.go.jp[...]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
2019-04-13
[19]
웹인용
군수기지사령부
https://web.archive.[...]
국가기록원
2015-11-28
[20]
웹인용
육군부대도 `生家' 찾아준다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2-02-09
[21]
웹인용
AWM52 1/5/27/41: November 1945 – June 1946
https://s3-ap-southe[...]
Australian War Memorial
2018-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