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상드르 페티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상드르 페티옹은 프랑스령 생도맹그(현재의 아이티)에서 태어난 혼혈 출신으로, 아이티 혁명과 아이티 공화국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프랑스 혁명 시기 프랑스 육군사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아이티 혁명에 참여하여 투생 루베르튀르에 대항하기도 했다. 데살린 암살 이후 앙리 크리스토프와 대립하며 아이티가 남북으로 분열되자, 페티옹은 남부 아이티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토지 분배 정책을 통해 지지를 얻었으나, 이로 인해 국가 경제는 어려움을 겪었다. 페티옹은 교육에도 힘썼으며 시몬 볼리바르를 지원하기도 했다. 1818년 사망했으며, 장피에르 부아예가 그의 뒤를 이어 아이티를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아이티 사람 - 앙리 크리스토프
    앙리 크리스토프는 아이티 혁명에서 군인으로 활약하여 장군이 되었고, 아이티 육해군 대원수를 거쳐 아이티 왕국을 건설하여 왕위에 올랐으나, 강제 노역으로 인한 불만으로 자살했다.
알렉상드르 페티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상드르 페티옹의 석판화 초상
알렉상드르 페티옹의 석판화 초상
이름안 알렉상드르 사베스 페티옹
출생일1770년 4월 2일
출생지생도맹그, 포르토프랭스
사망일1818년 3월 29일
사망지아이티, 포르토프랭스
국적아이티
직업
직업군인
정치
직책아이티 제1대 대통령
임기 시작1807년 3월 9일
임기 종료1818년 3월 29일
전임자앙리 크리스토프 (아이티 초대 대통령)
후임자장피에르 부아예
배우자마리-마들렌 라셰네
군사
소속프랑스 혁명군
아이티 원주민 군대
복무 기간1791년~1803년
계급장군
전투아이티 혁명

2. 초기 생애

알렉상드르 사베스 페티옹은 1770년 프랑스령 생도맹그포르토프랭스에서 부유한 프랑스인 아버지 파스칼 사베스와 자유 혼혈 여성 어머니 우르쉴라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는 쿼드룬(4분의 1 아프리카 혈통)이었다.[5][6] 1788년, 페티옹은 다른 부유한 자유 흑인 자제들처럼 프랑스로 유학을 떠나 파리의 육군사관학교에서 공부했다.[7] '페티옹'이라는 별명은 흑인친목회를 만든 제롬 페티옹 드 비르뇌브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생도맹그는 루이지애나와 같은 다른 프랑스 식민지처럼 백인, 노예 아프리카인, 자유 흑인의 세 계급으로 나뉘어 있었다. 자유 흑인들은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얻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 (1791년 노예 반란 이전). 당시 대부분의 자유 흑인들은 노예의 자유나 정치적 권리를 지지하지 않았다.

3. 아이티 혁명

페티옹은 아이티 혁명에 참여하기 위해 생도맹그로 돌아왔다. 그는 아이티 북부에서 영국군과의 소규모 전투에 참여했다. 당시 영국 총리 윌리엄 핏 더 영거의 전쟁장관이었던 헨리 던다스는 자메이카 부총독 애덤 윌리엄슨 경에게 프랑스 식민지 대표들과 협정을 맺어 구체제(Ancien Régime), 노예제도, 혼혈 식민 주민에 대한 차별을 회복하겠다는 약속을 하도록 지시했는데, 이는 윌리엄 윌버포스와 토머스 클락슨 같은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비판을 받았다.[8][9]

생도맹그에서는 오랫동안 유색 자유민(gens de couleur)과 노예 및 자유 흑인 사이에 인종적, 계급적 긴장이 존재했는데, 흑인 노예 인구가 백인과 유색 자유민보다 10배나 많았다. 프랑스 농장주들(일반적으로 그랑 블랑(grands blancs)이라고 불림)에 대한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생도맹그의 인종적 긴장은 권력과 정치적 동맹을 위한 경쟁 속에서 더욱 악화되었다.[7]

3. 1. 단도 전쟁 (1799-1800)

1798년부터 1799년까지 영국스페인생도맹그를 침공하자, 앙드레 리고, 장피에르 부아예와 연합한 페티옹은 1799년 6월 이른바 '단도 전쟁'에서 투생 루베르튀르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했다.[7] 당시 생도맹그에서는 오랫동안 유색 자유민(gens de couleur)과 노예 및 자유 흑인 사이에 인종적, 계급적 긴장이 존재했는데, 흑인 노예 인구가 백인과 유색 자유민보다 10배나 많았다.[7] 흑인과 혼혈인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을 때, 페티옹은 혼혈파를 지지했다.[7]

1799년 12월, 반군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남부 항구 도시 자크멜을 방어했는데, 이때 페티옹이 수비대 사령관을 맡았다.[7] 그러나 1800년 3월, 자크멜은 함락되었고 페티옹을 비롯한 혼혈 지도자들은 프랑스로 망명했다.[7]

3. 2. 프랑스 원정 (1802-1803)

1799년 6월, 알렉상드르 페티옹은 앙드레 리고, 장피에르 부아예와 함께 이른바 '단도 전쟁'에서 투생 루베르튀르에 맞섰으나 패배했다.[7] 12월, 물라토군은 세력을 회복하고 남부 자크멜을 방어했는데, 페티옹이 수비대 사령관을 맡았다.[7] 그러나 1800년 3월 자크멜은 함락되었고, 페티옹을 비롯한 물라토 지도자들은 프랑스로 망명했다.[7]

1802년 2월, 샤를 르클레르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 원정대가 생도맹그에 도착했다.[7] 페티옹, 부아예, 리고 등은 식민지에서 권력을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군과 함께 돌아왔다.[7] 투생 루베르튀르가 프랑스에 의해 추방되고 투쟁이 재개된 후, 페티옹은 1802년 10월, 아르카에에서 비밀 회의를 열고 장자크 데살린을 지지하며 민족주의 세력에 합류했다.[7]

1803년 10월 17일, 반군은 수도 포르토프랭스를 점령했다.[7] 1804년 1월 1일, 데살린은 독립을 선포하고 국명을 아이티로 명명했다.[7] 1804년 10월 6일, 데살린은 종신 통치자를 선언하고 아이티 황제로 즉위하여 자크 1세가 되었다.[7]

3. 3. 아이티 독립 (1804)

1802년 10월, 장자크 데살린을 지지하며 민족주의 세력에 합류한 페티옹은 아르카에에서의 비밀 회담을 주도했다. 1803년 10월 17일, 반군은 수도 포르토프랭스를 점령했다.[7] 1804년 1월 1일, 데살린은 독립을 선포하고 국명을 아이티로 명명했다.[7] 1804년 10월 6일, 데살린은 종신 통치자를 선언하고 아이티 황제로 즉위하여 자크 1세가 되었다.[7]

4. 혁명 이후

1806년 10월 17일 장자크 데살린이 암살된 후, 페티옹은 '공화제 옹호자'로서 앙리 크리스토프와 충돌했다.[10] 크리스토프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지만 권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결국 아이티는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흑인과 뮬라토(mulatto)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북부는 크리스토프가 왕위에 즉위하여 아이티 왕국이 되었다. 페티옹은 남부 아이티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스스로 선언하고, 취임 초기에는 민주주의를 지지했지만 상원의 제약을 귀찮게 여겨 1818년에 의회를 해산시켰다.[11] 이미 그 이전인 1816년 페티옹은 종신 대통령이 되었다.[10]

페티옹은 상업적인 플랜테이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지지자와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했다. 이로인해 "친절한 아빠(Papa Bon-Kèht, Papa Bon-Cœur프랑스어)"라는 별명을 얻었다.[12] 하지만 토지 분배는 국가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급 농업 이상을 하지 않았다. 페티옹은 포르토프랭스에 리세 페티옹(Lycée Pétion)을 개교하고 1815년에는 시몬 볼리바르를 비호하여 물질적인 지원을 해 주었다.[13]

1818년 페티옹이 황열병으로 죽자 부아예가 뒤를 이었다.

알렉상드르 페티옹

4. 1. 데살린 암살 (1806)

1806년 10월 17일, 장자크 데살린 황제가 암살되었다. 알렉상드르 페티옹을 포함한 앙리 크리스토프 황제 정부의 불만 세력들은 크리스토프를 전복하기 위한 음모를 꾸몄다. 데살린 암살 이후, 페티옹은 민주주의 이념을 지지했고, 절대 권력을 원했던 앙리 크리스토프와 충돌했다. 크리스토프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지만, 페티옹이 권력을 유지했기에 그 직책의 권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4. 2. 남북 분열

1806년 10월 17일 데살린 암살 이후, 페티옹은 '공화제 옹호자'로서 앙리 크리스토프와 충돌했다.[10] 크리스토프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지만, 페티옹이 권력을 유지했기에 그 직책의 권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10] 이로 인해 국가는 남북으로 갈라졌고, 북부의 흑인과 남부의 뮬라토 사이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었다.[10]

크리스토프는 추종자들과 함께 북쪽으로 가서 독재 정권을 수립하고 아이티국(북부)을 선포했다.[10] 1811년 크리스토프는 북부 아이티 왕국의 왕이 되었다.[10] 페티옹은 1807년 남부 아이티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0] 1810년까지 결론 없는 투쟁이 이어진 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국가는 두 개로 분열되었다.[10] 1816년 페티옹은 종신 대통령이 되었다.[10] 초기에 민주주의를 지지했던 페티옹은 상원이 부과한 제약을 힘들어하여 1818년 의회를 정지시켰다.[11]

페티옹은 상업용 농장을 몰수하여 지지자와 농민에게 재분배했고, 이로인해 "자비로운 아버지"(Papa Bon-Kèht)라는 별명을 얻었다.[12] 그러나 토지 몰수와 농업 변화는 수출 경제를 위한 상품 생산을 감소시켰다.[12]

4. 3. 아이티 공화국 대통령 (1807-1818)

1806년 10월 17일 데살린이 암살된 후, 페티옹은 '공화제 옹호자'로서 앙리 크리스토프와 충돌했다.[10] 크리스토프는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권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추종자들과 함께 북쪽으로 가서 독재 정권을 수립하고 아이티를 선포했다. 국가는 남북으로 분열되었고, 흑인과 물라토 사이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었다.[10]

페티옹은 1807년 남부 아이티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0] 1810년까지 결론 없는 투쟁이 계속된 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국가는 둘로 분열되었다.[10] 1811년, 크리스토프는 북부 아이티 왕국의 왕이 되었다.[10]

1816년 6월 2일, 페티옹은 헌법을 수정하여 자신을 종신 대통령으로 만들었다.[10] 초기에 민주주의를 지지했던 페티옹은 상원이 부과한 제약을 힘들어하여 1818년 의회를 해산했다.[11]

페티옹은 상업용 농장을 몰수하여 지지자와 농민에게 토지를 재분배했고, "친절한 아빠(Papa Bon-Kèht, Papa Bon-Cœur프랑스어)"라는 별명을 얻었다.[12] 그러나 토지 몰수와 농업 변화는 수출 경제를 위한 상품 생산을 감소시켰다. 대부분의 인구는 완전한 자급자족 농민이 되었고, 수출과 국가 수입은 급격히 감소하여 새로운 국가의 생존을 어렵게 만들었다.[12]

교육의 중요성을 믿었던 페티옹은 포르토프랭스에 리세 페티옹(Lycée Pétion)을 설립했다.[13] 1815년 독립 지도자 시몬 볼리바르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물자와 보병 지원을 제공했다.[13]

1818년 페티옹이 황열병으로 사망하자 장-피에르 보이에가 뒤를 이었다.[14]

4. 4. 페티옹의 정책

페티옹은 부유한 귀족들로부터 상업용 농장을 몰수하여 자신의 지지자와 농민들에게 재분배했고, 이로 인해 '자비로운 아버지(Papa Bon-Kèht, Papa Bon-Cœur프랑스어)'라는 별명을 얻었다.[12] 그러나 이러한 토지 분배는 국가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급 농업 이상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2] 수출과 국가 수입은 급격히 감소하여 새로운 국가의 생존을 어렵게 만들었다.[12]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 페티옹은 포르토프랭스에 리세 페티옹(Lycée Pétion)을 설립했다.[13] 그는 1815년 시몬 볼리바르에게 피난처와 물자, 보병 지원을 제공했는데,[13] 이는 볼리바르가 그란 콜롬비아를 구성할 국가들을 해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3]

페티옹은 그의 연인이자 정치 고문이었던 마리-마들렌 라셰네의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14]

4. 5. 사망과 계승

1818년 페티옹은 황열병으로 사망했다.[13] 그는 자신의 후계자로 부아예 장군을 지명했고, 부아예는 1818년에 권력을 장악했다.[13] 아이티 왕국의 앙리 크리스토프와 자크-빅토르 앙리가 1820년 사망한 후, 부아예는 그의 통치하에 국가를 재통합했다.[13]

5. 평가 및 유산

참조

[1] 서적 Our Man in Haiti: George de Mohrenschildt and the CIA in the Nightmare Republic https://books.google[...] Trine Day 2014-12-14
[2] 간행물 History of The Haitian Flag of Independence https://web.archive.[...] The Flag Heritage Foundation Monograph And Translation Series Publication No. 3 2015-12-24
[3] 서적 Arrogant Armies: Great Military Disasters and the Generals Behind Them Edison: CastleBooks
[4] 서적 The New American Encyclopaedia: A Popular Dictionary of General Knowledge XIII https://books.google[...] 2015-09-15
[5] 서적 Johnson's (revised) Universal Cyclopaedia: A Scientific and Popular Treasury of Useful Knowledge https://books.google[...] A.J. Johnson & Co. 2015-09-15
[6] 서적 Sous les Bambous: Poésies https://books.google[...] 2015-09-15
[7] 서적 Encyclopedia of slave resistance and rebell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8] 서적 The Black Jacobins Penguin
[9] 서적 Slavery, War and Revolution: The British Occupation of Saint Domingue, 1793–1798 Clarendon Press
[1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Haiti from 27 December 1806, and its revision from 2 June 1816, year 13 of independence https://www.haiti-re[...]
[11] 서적 The Making and the Destruction of Haiti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12] 서적 Beyond the slave narrative: politics, sex, and manuscripts in the Hait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13] 서적 Expédition de Bolivar https://books.google[...] De l'imp. de Jh. Courtois
[14] 웹사이트 Femmes d'Haïti - Marie-Madeleine (Joute) Lachenais https://web.archive.[...] 2012-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