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무타와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무타와킬은 847년부터 861년까지 통치한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이다. 그는 822년에 태어나 847년 칼리프가 되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종교 정책을 변화시키고 건축 사업을 추진했다. 그는 무타질라파를 탄압하고 기독교인과 유대인에 대한 차별을 강화했으며, 사마라 대사원 등 건축물을 건설했다. 알무타와킬은 튀르크 군인들에게 암살당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아바스 왕조는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2. 생애

알무타와킬은 제8대 아바스 왕조 칼리프 알무타심의 아들로, 어머니는 페르시아 출신 노예였다. 847년, 형이자 제9대 칼리프인 알와티크가 튀르크 근위병단과의 대립 끝에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칼리프가 되었다.

즉위 후 알무타와킬은 약화된 왕권 회복에 힘썼다. 그는 칼리프의 지위를 신격화하고 보수적인 신학파와 연대하여 스스로를 "현세의 신의 그림자"라고 칭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이전 칼리프들이 공인했던 합리주의 신학파 무타질라를 이단으로 탄압하고, 기독교도와 유대교도에 대한 차별 정책을 강화했다. 또한 즉위 초 자신을 핍박했던 고관들을 숙청하며 권력 기반을 다졌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은 순탄치 않았다. 보수적인 종교 정책과 튀르크계 군벌을 억압하려는 시도는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시리아, 이집트 등 제국 각지에서 반란을 촉발했다. 그는 여러 차례의 반란을 진압해야 했으며, 외부적으로는 비잔틴 제국의 침입에도 시달렸다. 856년부터는 비잔틴 제국과 포로 교환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내우외환 속에서 알무타와킬은 반란 진압과 국방을 위해 튀르크 출신 정치가와 노예 군인들에게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튀르크 군벌의 권력을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고, 알무타와킬은 이들의 강성해진 힘을 견제하려 했으나 실패하며 갈등은 깊어졌다.

후계자 문제 또한 갈등을 심화시켰다. 처음에는 장남 알문타시르를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점차 차남 알무타즈를 편애하며 문타시르를 공공연히 냉대했다. 동생에게 후계자 자리를 빼앗길 것을 두려워한 문타시르는 튀르크 군인들과 손을 잡게 되었다.

결국 861년 12월 11일, 알무타와킬은 튀르크 군인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의 나이는 40세였다. 일부에서는 아버지에게 냉대받던 아들 문타시르가 암살을 사주했거나 묵인했다고 보기도 한다. 알무타와킬의 암살 이후 아바스 왕조는 칼리프의 권위가 급격히 추락하고 튀르크 군인들이 실권을 장악하는 극심한 혼란기(사마라의 무정부 상태)에 접어들게 된다.

알무타와킬의 통치기는 아바스 왕조의 마지막 황금기로 평가받기도 하며, 그를 왕조의 마지막 위대한 칼리프로 보기도 한다. 그의 사후 왕조는 급격한 쇠락의 길을 걸었기 때문이다. 외모에 대해서는 피부가 약간 검고 수염이 많지 않으며 눈이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

2. 1. 초기 생애

알-무타와킬은 822년 3월 31일, 압바스 왕자 아부 이스하크 무함마드(훗날의 알-무타심)와 호라즘 출신의 노예 첩이었던 슈자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자파르 이븐 무함마드였고, 쿠냐는 아부 알-파들이었다. 그의 어린 시절은 압바스 칼리파조의 황금기에 해당하며, 당시 칼리프는 그의 삼촌인 알-마문이었다. 알-무타와킬의 아버지 아부 이스하크 무함마드는 알-마문 밑에서 중요한 관리로 일했다. 833년 알-마문이 사망하자, 아버지가 알-무타심이라는 라카브를 받고 제8대 칼리프로 즉위했다. 알-무타심은 8년간 통치했고, 그의 사후에는 알-무타와킬의 이복 형인 알-와티크가 제9대 칼리프가 되었다.

알-무타와킬은 형 알-와티크가 사망하는 847년까지 정치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 그는 젊은 시절 여러 아들을 두었는데, 주요 아들은 다음과 같다.

아들 이름 (훗날의 칭호)본명출생 연도어머니어머니 출신
알-문타시르무함마드837년허브시야그리스 출신 움 왈라드
알-무타미드아흐마드842년피티안쿠파 출신 움 왈라드
알-무와파크탈하843년불명불명



842년, 알-와티크가 칼리프로 즉위한 해에 알-무타와킬은 아미르 알-하즈로서 순례단을 이끌었다. 이때 알-와티크의 어머니 카라티스도 순례에 동행하려 했으나, 842년 8월 14일 알-히라에서 사망하여 쿠파에 있는 다우드 이븐 이사의 압바스 궁전에 묻혔다.[2] 알-무타와킬은 형 알-와티크의 통치 기간 동안 궁정의 일원으로 지냈다.

2. 2. 칼리프 즉위와 권력 강화

칼리프 알-무타와킬(847 – 861)의 금 디나르


847년, 형인 알와티크 칼리프가 어린 아들만 남기고 후계자를 지명하지 못한 채 갑자기 사망하자, 주요 관리들이 모여 후계자를 논의했다. 재상 무함마드 이븐 알-자얏, 수석 카디 아흐마드 이븐 아비 두와드, 투르크족 출신 장군 이타흐와 와시프 알-투르키 등은 알와티크의 아들이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그의 동생인 26세의 자파르를 새 칼리프로 추대했고, 그가 바로 알무타와킬이다. 관리들은 알무타와킬이 형처럼 다루기 쉬운 지도자가 되기를 기대했지만, 그는 칼리프의 권위를 회복하고 당시 국가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문무 관료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했다.

알무타와킬이 칼리프가 되자 가장 먼저 한 일은 과거 자신을 심하게 모욕했던 재상 이븐 알-자얏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알와티크 시절, 알무타와킬은 형의 노여움을 풀기 위해 이븐 알-자얏을 찾아가 중재를 요청했으나, 이븐 알-자얏은 그를 기다리게 하고 다른 사람들 앞에서 조롱했다. 심지어 알무타와킬의 복장과 머리 모양을 흉보는 편지를 알와티크에게 보내, 결국 알무타와킬은 칼리프 앞에서 머리카락을 잘리고 그 머리카락으로 얼굴을 맞는 공개적인 굴욕을 당했다. 알무타와킬은 이 일을 평생의 치욕으로 여겼다. 즉위 직후인 847년 9월 22일, 그는 이타흐를 보내 이븐 알-자얏을 체포하도록 했다. 이븐 알-자얏은 모든 재산을 몰수당하고 고문을 받다가 결국 사망했다. 알와티크 시절 알무타와킬을 괴롭혔던 고관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말리크가 바로 이 이븐 알-자얏으로 여겨진다.

이븐 알-자얏 제거에 공을 세운 투르크족 장군 이타흐는 궁내 대신(하지브), 칼리프 경호대장, 궁궐 감독관, 국가 정보망(바리드) 수장 등 주요 직책을 독차지하며 권력의 정점에 섰다. 그러나 그의 권력은 오래가지 못했다. 848년, 알무타와킬은 이타흐를 메카하지 순례를 가도록 유도하여 권력에서 물러나게 한 뒤, 그가 돌아오자마자 체포했다. 그의 집에서는 100만 금 디나르가 넘는 막대한 재산이 발견되었으나 모두 몰수되었고, 이타흐는 849년 12월 21일 감옥에서 굶어 죽었다.

권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알무타와킬은 이전 칼리프들과 다른 종교 정책을 펼쳤다. 그는 마문, 무타심, 알와티크 시절 공식 교리로 인정받았던 무타질라파의 코란 창조설을 부정했다. 대신 코란이 신의 말씀이며 창조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다 투옥되었던 저명한 법학자이자 한발리파의 창시자인 아흐마드 이븐 한발을 석방하며 보수적인 신학 노선을 지지하고 칼리프의 종교적 권위를 높이려 했다.

또한, 마흐무드 이븐 알파라즈 알나야부리라는 인물이 스스로 선지자라고 주장하며 바그다드에서 추종자들을 모으자, 알무타와킬은 850년 이들을 체포했다. 알나야부리는 같은 해 6월 18일 심문 중 구타당해 사망했고, 그의 추종자 약 850명도 처형되었다.

같은 해(서기 850년, 이슬람력 236년) 알무타와킬은 자신의 영토 내 모든 기독교인과 유대교인에게 무슬림과 구별되는 노란색(꿀색) 두건과 벨트 착용을 의무화하는 칙령을 발표했다.[7] 이는 비무슬림에 대한 차별을 강화하는 조치였다.

2. 3. 종교 정책

케르발라의 후세인 묘 파괴


847년 형 와시크가 투르크 근위병단과의 대립 끝에 폐위되자, 알무타와킬이 칼리프 자리에 올랐다. 그는 형의 폐위를 교훈 삼아 왕권 회복에 힘썼으며, 칼리프의 지위를 신격화하고 극단적으로 보수적인 신학파와 손을 잡았다. 스스로를 "현세의 신의 그림자"라고 칭하기도 했다.

이러한 보수화 정책의 일환으로, 알무타와킬은 이전 칼리프들의 종교 정책에서 벗어나 쿠란의 창조 여부에 대한 논쟁을 종식시키고자 했다. 이는 833년부터 이어져 온 마문 시대의 교리 체제를 끝내는 결정이었다. 그는 무타질라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탄압했으며, 교의상의 논의 자체를 금지했다. 또한 무타질라파 학자였던 이븐 아비 두아드 휘하의 여러 ''카디''(사법관)들을 해임하고 쿠란의 본질에 대한 논쟁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알무타와킬은 수니파 한발 학파의 창시자인 아흐마드 이븐 한발(855년 사망)과 화해를 시도했고, 아흐마드 이븐 나스르의 시신 공개 전시를 중단시켰다. 마침내 852년 3월, 종교 재판(미흐나)으로 인해 투옥되었던 모든 죄수들을 석방하라는 명령을 내려 ''미흐나'' 시대를 사실상 종식시켰다.

종교 정책 강화를 위해 851년에는 유명한 아랍 이슬람 학자 야흐야 이븐 아크탐을 수석 판사(''Qadi al-qudat'')로 임명했으나, 854년에 해임했다. 그 후임으로는 854년 7월 자파르 이븐 압드 알-와히드 알-하시미를 임명했다.

알무타와킬의 종교 정책은 비무슬림에게도 강압적으로 적용되었다. 850년에는 딤미(기독교인과 유대교인)에게 준나르(허리띠), 꿀색의 외투, 그리고 하인들의 옷에 배지 형태의 패치를 착용하여 무슬림과 구별하도록 강제하는 법령을 발표했다. 또한, 그들의 예배 장소를 파괴하고 악마 형상을 문에 못 박도록 했으며, 정부나 공식적인 업무에서 배제시켰다.

시아파에 대한 탄압도 이루어져, 시아파 순례의 중심지였던 케르발라의 이맘 후세인 사원을 파괴하기도 했다.

조로아스터교에 대해서도 탄압 정책을 폈다. 그는 조로아스터교 공동체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당시 1400년 이상 된 성스러운 나무이자 조로아스터가 천국에서 가져왔다고 믿어지던 카슈마르의 사이프러스를 자신의 새 궁전 건축에 사용하기 위해 베어내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알무타와킬은 이 나무가 사마라의 궁전에 도착하기 전에 암살당했다.

이러한 강압적인 종교 정책과 투르크계 군벌 억압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시리아, 이집트 등 제국 각지에서 반란을 촉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혼란을 틈타 동로마 제국미하일 3세다미에타를 침공하는 등 아바스 왕조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2. 4. 반란과 외침

형 와시크가 튀르크 근위병단과의 대립 끝에 847년 폐위되자 그 뒤를 이었다. 즉위 직후, 알와티크 시절 자신을 핍박했던 고관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말리크를 847년 9월 체포하여 재산을 몰수하고 고문 끝에 죽였다. 알무타와킬은 약화된 왕권을 회복하고자 칼리파의 지위를 신격화하고 보수적인 신학파와 연대하여 스스로를 "현세의 신의 그림자"라고 칭했다. 이 과정에서 백부인 마문이 공인했던 합리주의 신학파 무타질라를 이단으로 탄압하고 교의 논쟁을 금지했으며, 기독교도와 유대교도에 대한 차별 정책을 강화했다. 또한 튀르크계 군벌을 억압하려 시도했으나, 이는 오히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시리아, 이집트 등 제국 각지에서 반란을 촉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즉위 초부터 알무타와킬은 여러 반란에 직면했다.

  • 849년, 명망 높던 장군 이타크 알카자리가 바그다드에서 모반을 일으키자 체포하여 굶겨 죽였다.
  • 850년, 자신을 선지자라 칭하며 봉기한 마흐무드 이븐 알파라즈 알나야부리와 그의 추종자 850명을 살해했다.
  • 851-852년, 아르메니아인들이 모반하자 장군 부가 알카비르를 파견하여 진압하고 주동자들을 처형했다.
  • 854-855년, 경찰 서장을 모반 혐의로 처형했으나, 새로 임명된 청장에 반대하는 세력의 모반이 일어나자 직접 나서서 처리했다. 이 과정에서 반란에 동조한 기독교인들도 추방되었다.
  • 855년, 상이집트의 부자(Beja) 지역에서 금광 세금 납부 중단 문제로 아프리카계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알무타와킬은 알쿠미를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하고 다시 세금을 부과하도록 했다.


외부의 위협도 계속되었다. 852년, 비잔틴 제국(동로마 제국)의 미하일 3세이집트다미에타 지역을 공격하여 아바스 왕조는 위기 상황에 빠졌다. 이후 856년 2월부터 4년간 비잔틴 제국과 포로 교환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알 무타와킬 사망 직전인 850년경 아바스 왕조의 영토. 그의 치세 동안 아바스 왕조는 건국 100주년을 맞이했다.


알무타와킬은 이러한 내외부의 반란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튀르크 출신 정치가와 노예 병사들에게 크게 의존했다. 그의 비서이자 튀르크 출신인 알-파트 이븐 카칸은 알무타와킬 시대의 주요 인물이었으며,[44] 튀르크계 군인 부카 알샤라비 등은 반란 진압에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이는 튀르크 군인들의 권력 강화를 초래했고, 알무타와킬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다마스쿠스로 천도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사마라로 돌아왔다. 튀르크 군인들에 대한 그의 의존과 견제 시도는 결국 갈등으로 이어졌다. 861년 10월, 알무타와킬은 튀르크 장군 와시프의 재산을 몰수하여 알-파트에게 넘기라고 명령하는 등 튀르크 지도부를 압박했다. 시아파에 대한 극단적인 탄압과 더불어 이러한 조치들은 그의 인기를 급격히 떨어뜨렸다.

후계자 문제 역시 갈등의 주요 원인이었다. 알무타와킬은 849/50년 장남 알-문타시르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알-파트 이븐 카칸과 재상 우바이드 알라 이븐 야흐야 이븐 카칸의 영향을 받아 점차 차남 알-무타즈를 편애했다. 이러한 경쟁은 정치적 분열로 이어져, 알-무타즈는 전통적인 아바스 엘리트의 지지를, 알-문타시르는 튀르크와 ''마가리바'' 경비병의 지지를 받았다. 861년 말, 알-문타시르는 라마단 종료 금요 기도 인도 자격을 박탈당하고 아버지로부터 공개적인 비난과 살해 위협을 받는 등 심한 굴욕을 겪었다.

와시프를 비롯한 튀르크 지도자들이 곧 처형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자, 위협을 느낀 튀르크 군인들은 알-문타시르의 암묵적인 동의 하에 칼리프 암살을 계획했다. 알-타바리에 따르면, 알-파트와 우바이드 알라는 사전에 음모에 대한 경고를 받았으나 이를 무시했다고 전해진다. 결국 861년 12월 10일 밤(혹은 11일), 튀르크 군인들이 알무타와킬과 알-파트가 함께 있던 방에 침입하여 두 사람을 살해했다. 당시 알무타와킬의 나이는 40세였다. 알-문타시르가 칼리파 자리를 계승했으며, 처음에는 알-파트가 아버지를 살해했다고 주장했으나 곧 공식적인 사인은 알무타와킬이 음료를 마시다 질식사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알무타와킬의 암살은 이후 870년까지 지속된 극심한 혼란기인 "사마라의 무정부 상태"를 촉발시켰고, 이는 아바스 칼리프 왕조를 쇠퇴의 길로 이끌었다.

2. 5. 건축 사업

알무타와킬은 사마라 아바스 왕조의 수도를 확장했다. 그는 알무타와킬리야라고 불리는 도시의 새롭고 중요한 구역을 건설했다.


알무타와킬이 건설한 사마라 대사원 (이라크)의 나선형 첨탑은 9세기와 10세기 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사원이었다.


아부 둘라프 사원은 859년 알무타와킬이 건립을 의뢰한 유명한 사원이다. 사원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복도로 둘러싸인 야외 안뜰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블라'' 복도가 가장 크다. 이 사원은 면적으로 측정했을 때 세계에서 가장 큰 사원 중 하나이며, 에 달한다.


알무타와킬은 지식에 대한 갈증으로 유명했던 그의 형제나 아버지와는 달리, 웅장함에 대한 안목과 건설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바스 칼리파국은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그 위용을 과시했다.

대표적인 건축물은 사마라 대사원이다. 이 사원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으며, 특히 나선형 경사로가 있는 높이 55m의 독특한 원뿔형 첨탑으로 유명하다. 사원 내부는 17개의 통로로 구성되었고, 벽은 짙은 푸른색 유리 모자이크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대사원 건설은 사마라 동쪽 지역 개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이 지역은 원래 벽으로 둘러싸인 왕실 사냥터의 일부였다. 알무타와킬은 사마라에 약 20개에 달하는 궁전을 짓는 등 도시 확장에 힘썼다. 덕분에 사마라는 고대 세계에서 손꼽히는 대도시로 성장했으며, 오늘날 남아있는 유적지의 규모 역시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수준이다.

알무타와킬의 건설 계획은 사마라를 넘어 확장되었다. 859년에서 860년 사이(이슬람력 245년), 그는 사마라에서 약 18km 떨어진 티그리스 강 유역에 '알자파리야'(al-Jaʻfariyya|알자파리야ara)라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 이 도시 건설과 함께 티그리스 강물을 끌어오기 위한 운하 건설을 지시했는데, 이 과정에서 흥미로운 일화가 전해진다. 운하 건설 책임자로 임명된 궁신들은 경험 많은 현지 기술자 대신 유명 천문학자 알 파르가니에게 설계를 맡겼다. 그러나 공공 사업 경험이 부족했던 알 파르가니는 운하의 깊이를 잘못 계산하는 실수를 저질렀고, 이로 인해 운하는 강물이 거의 만조에 이르렀을 때만 물이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 관련자 모두가 처벌받을 위기였으나, 기술자 신 이븐 알리가 기지를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알무타와킬은 이 문제가 드러나기 직전에 암살당했다.

또한 알무타와킬은 859년 아부 둘라프 사원 건설을 지시했다. 이 사원은 직사각형 구조에 복도로 둘러싸인 넓은 야외 안뜰을 갖추고 있으며, 키블라(메카 방향)를 향한 복도가 가장 크게 지어졌다. 사원의 전체 면적은 46800m2에 달해,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사원 중 하나로 꼽혔다.

2. 6. 암살과 최후

알-무타와킬은 반란을 진압하고 외국의 제국, 특히 비잔틴 제국과의 전투를 벌이기 위해 튀르크 정치가와 노예 병사들에게 계속 의존했다. 그의 비서이자 튀르크 출신인 알-파트 이븐 카칸은 알-무타와킬 시대의 유명 인물이었다.[44] 그러나 튀르크계 군벌을 억압하려는 시도는 갈등을 낳았고,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시리아, 이집트 등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반란과 외적의 침입은 튀르크계 군인 부카 알샤라비 등에 의해 평정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튀르크인의 권력은 오히려 더욱 강해졌다. 알-무타와킬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수도를 다마스쿠스로 옮기려 했으나 결국 사마라로 돌아왔다.

튀르크 병사들에 대한 그의 의존은 결국 스스로를 옥죄는 결과를 낳았다. 알-무타와킬은 한 튀르크 사령관을 살해했는데, 이는 그가 시아파에 대해 극단적인 태도를 취한 것과 더불어 그의 인기를 급격히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후계자 문제도 심각한 갈등의 원인이었다. 알-무타와킬은 849년 혹은 850년에 그의 맏아들 알-문타시르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알-파트 이븐 카칸과 재상 우바이드 알라 이븐 야흐야 이븐 카칸의 영향을 받아 점차 둘째 아들 알-무타즈를 편애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쟁은 정치적 영역으로 확대되어, 알-무타즈는 전통적인 아바스 왕조 엘리트들의 지지를, 알-문타시르는 튀르크와 ''마가리바'' 경비대의 지지를 받게 되었다. 알-무타와킬은 장남 알-문타시르를 점차 냉대했다.

861년 늦가을, 상황은 극으로 치달았다. 10월에 알-무타와킬은 튀르크 장군 와시프의 재산을 몰수하여 알-파트에게 넘겨주라고 명령했다. 이에 위협을 느낀 튀르크 지도부는 칼리프 암살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다. 아버지로부터 계속된 굴욕에 분노한 알-문타시르 역시 이 음모를 묵인하거나 적어도 암묵적으로 승인했다. 12월 5일, 알-문타시르는 알-파트와 우바이드 알라의 권고에 따라 라마단 종료 시 금요 기도를 인도하는 역할에서 알-무타즈에게 밀려났다. 사흘 후, 알-무타와킬이 몸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알-문타시르를 대신 기도를 하도록 선택했을 때, 우바이드 알라가 다시 개입하여 칼리프가 직접 참석하도록 설득했다. 더욱이 알-타바리에 따르면, 다음날 알-무타와킬은 알-문타시르를 번갈아 가며 비난하고 죽이겠다고 위협했으며, 심지어 알-파트가 그의 뺨을 때리도록 했다. 와시프와 다른 튀르크 지도자들이 12월 12일에 체포되어 처형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자, 음모자들은 행동을 결정했다.

알-타바리에 따르면, 나중에 알-파트와 우바이드 알라는 한 튀르크 여인으로부터 음모에 대한 경고를 받았지만, 아무도 감히 실행하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무시했다는 이야기가 퍼졌다. 861년 12월 10일 또는 11일 밤, 자정 약 1시간 후, 튀르크인들이 칼리프와 알-파트가 저녁 식사를 하고 있던 방으로 들이닥쳤다. 알-파트는 칼리프를 보호하려다 살해당했고, 그 다음 칼리프 알-무타와킬도 40세의 나이로 살해당했다.

이제 칼리프가 된 알-문타시르는 처음에는 알-파트가 그의 아버지를 살해했고 그 후에 자신이 살해되었다고 주장했지만, 곧 공식적인 이야기는 알-무타와킬이 음료를 마시다가 질식사했다는 것으로 바뀌었다. 알-무타와킬의 살해는 870년까지 지속되었고 아바스 칼리프 왕조를 붕괴 직전까지 몰고 간 "사마라의 무정부 상태"라고 알려진 격동의 시기를 시작했다.

3. 유산

알무타와킬은 세 아들인 알문타시르, 알무타즈, 알무아야드를 순서대로 후계자로 지명했다. 그러나 861년 12월 11일, 알무타와킬이 튀르크 경비병에게 암살당하면서[48] 이 후계 구도는 심각한 혼란으로 이어졌다. 첫 번째 후계자였던 알문타시르는 아버지를 살해한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의혹 속에서도 칼리파 자리에 올랐다.[49]

알문타시르는 즉위 직후 자신의 측근들을 요직에 앉혔는데, 비서였던 아흐마드 이븐 알-카시브는 재상이 되었고, 암살에 깊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은 튀르크 장군 와시프 등도 중용되었다.[50] 그는 튀르크 군부의 압력을 받아 동생들인 알무타즈와 알무아야드를 후계자 명단에서 제외시켰다.

그러나 알문타시르의 통치는 6개월도 채 되지 않아 862년 6월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끝났다. 그의 사후 튀르크 장군들은 알무타와킬의 조카인 알무스타인을 새로운 칼리파로 옹립했다.[51] 알무스타인의 즉위는 사마라에서 알무타즈를 지지하는 대규모 폭동을 유발했으며,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알무스타인은 잠재적 경쟁자인 알무타즈와 알무아야드를 투옥했다.[52]

알무타와킬 사후 아바스 왕조는 극심한 혼란과 폭력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866년, 알무스타인은 제5차 피트나로 알려진 내전 끝에 자신이 투옥했던 알무타즈에게 살해당했다. 알무타즈의 통치(866-869) 동안 칼리파의 중앙 권위는 더욱 약화되었고, 제국 곳곳에서 자율적인 왕조들이 등장하는 등 원심력이 강해졌다. 결국 알무타즈 역시 튀르크 군대의 재정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869년 7월 궁정 쿠데타로 폐위되었고, 감옥에서 학대를 받다 사흘 만에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은 사촌 알무흐타디 역시 870년 6월 살해되었고, 이후 알무타미드가 칼리파 자리에 올랐다. 이처럼 알무타와킬의 죽음 이후 이어진 칼리파들의 연쇄적인 폐위와 암살은 아바스 왕조 쇠퇴기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3. 1. 평가

알무타와킬의 통치 기간은 아바스 왕조의 황금기로 평가받으며, 그는 왕조의 마지막 위대한 칼리파로 여겨진다. 그의 통치는 수많은 개혁으로 기억되며, 그의 사후 왕조가 쇠퇴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그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알무타와킬은 동시대 여러 학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학자 알타이미(Al-Taymi)는 그를 아부 바크르, 우마르 2세와 비교하며 이단적인 요소를 없애고 순나를 공표한 인물로 칭송했다:

세 명의 위대한 칼리프가 있었다: 배교자들과 싸워 그들을 항복시킨 아부 바크르, 우마이야 왕조의 악습을 바로잡은 우마르 이븐 압드 알-아지즈, 그리고 이단적인 혁신을 폐지하고 공개적으로 순나를 선포한 알 무타와킬[45]


알리 이븐 알자함(Ali ibn al-Jahm)은 알무타와킬이 예언자를 꿈에서 만난 일화를 전하며, 칼리파가 순나를 옹호하는 것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칼리프 알 무타와킬이 나를 불러 말하길, "알리, 나는 예언자를 보는 꿈을 꿨소. 나는 그에게 인사하러 일어섰고, 그는 '칼리프인데도 나를 위해 일어섰소?'라고 말했소." "훌륭한 꿈이군요, 신도들의 지휘관님,"이라고 나는 말했소. "당신이 그를 위해 일어선 것은 순나를 옹호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그는 당신을 칼리프라고 불렀소[46]


알리 이븐 이스마일(Ali ibn Isma'il)은 꿈에서 알무타와킬이 빛으로 가득 찬 곳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고 언급했다:

타르수스에서 나는 알 무타와킬이 빛으로 가득 찬 곳에 앉아 있는 꿈을 꿨소.[47]


그러나 그의 통치는 튀르크 출신 군인 및 관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그는 반란 진압이나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 등 주요 국정 운영을 이들에게 맡겼다. 이러한 지나친 의존은 결국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 알무타와킬은 불경함을 이유로 튀르크 출신 장군을 처형하기도 했으며, 이는 군부와의 관계 악화 및 신임 하락으로 이어졌다.

결국 알무타와킬은 861년 12월 11일, 튀르크 군인에게 암살당했다.[48] 일각에서는 아버지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던 아들 알문타시르가 암살에 연루되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49] 그의 죽음은 아바스 왕조 쇠퇴의 시작점으로 평가되며, 이후 칼리파의 권위는 약화되고 제국은 분열의 길을 걷게 된다.

3. 2. 대중문화

알무타와킬은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의 프롤로그에 등장한다. 이 게임에서 칼리프는 인류를 예속 상태로 되돌리려는 비밀 결사 조직 '고대 결사단'의 꼭두각시로 묘사된다. 그는 처음에는 결사단을 위해 선구자 유물을 보호하지만, 게임의 주인공 바심이 유물을 훔치려 하자 어린 도둑 바심과 그의 친구 네할과 싸우다가 자신의 단검에 찔려 죽는다. 그의 죽음은 고대 결사단이 바그다드에서 더 많은 통제력을 얻게 되는 계기가 되며, 이는 사마라의 혼란으로 이어지는 게임의 주요 줄거리를 촉발시킨다.[53]

참조

[1] 논문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www.escholars[...] 2018-12-28
[2] 간행물 The History of al-Tabari Vol. 34: Incipient Decline: The Caliphates of al-Wathiq, al-Mutawakkil, and al-Muntasir A.D. 841-863/A.H. 227-248 https://books.google[...] Joel L. Kraemer 2015
[3] 문서 Turner
[4] 문서 Turner
[5] 문서 Yarshater
[6] 서적 Arab Dress, A Short History: From the Dawn of Islam to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BRILL 2024-10-03
[7] 웹사이트 Decree of Caliph al-Mutawakkil http://www.jewishvir[...] 2002-07-14
[8] 웹사이트 The Longest Hatred https://newint.org/f[...] 2004-10-02
[9] 문서 Mary Boyce,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Routledge Kegan Paul Ltd 1979
[10] 문서 Mary Boyce,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11] 웹사이트 Imam Haadi, Biographies of Masumeen, Shahaadat, al-Mutawakkil, al-Muntasir, Imamate (Imamah) http://www.ezsoftech[...]
[12] 문서 Bosworth, "Mu'tazz," p. 793
[13] 서적 May Her Likes Be Multiplied: Biography and Gender Politics in Egyp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Violence and Belief in Late Antiquity: Militant Devotion in Christianity and Islam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ncorporated
[15] 서적 Muslims and Others in Sacred Space OUP USA
[16] 서적 Women, Islam, and Abbasid Ident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Muslim Perceptions of Other Religions: A Historical Survey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Making of the Medieval Middle East: Religion, Society, and Simple Believ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서적 Business in Islam: Contextualizing Business and Mission in Muslim-Majority Nations Wipf and Stock Publishers
[20] 서적 Discovering Islam: Making Sense of Muslim History and Society Routledge
[21] 서적 Words of Ecstasy in Suf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2] 서적 The Passion of Al-Hallaj, Mystic and Martyr of Islam, Volume 1: The Life of Al-Halla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Words of Ecstasy in Suf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4] 서적 Doctrinal Instruction in Early Islam: The Book of the Explanation of the Sunna by Ghulām Khalīl (d. 275/888) Brill
[25] 서적 The Abbasid Caliphate: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Christian Heroes - Then and Now - Nate Saint Unit Study: Curriculum Guide YWAM Publishing
[27] 서적 Concubines and Courtesans: Women and Slavery in Islamic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Breaking of a Thousand Swords: A History of the Turkish Military of Samarra (A.H. 200-275/815-889 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9] 서적 The History of al-Ṭabarī Vol. 36: The Revolt of the Zanj A.D. 869-879/A.H. 255-265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0] 서적 The Historical Topography of Samarra British School of Archaeology in Iraq
[31] 서적 Sacred Scents in Early Christianity and Islam Lexington Books
[32] 서적 Book of Gifts and Rarities Center for Middle Eastern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33] 서적 The Book of Monasteries NYU Press
[34] 서적 Islamic Literature: An Introductory History with Selections Washington Square Press
[35] 서적 دور المرأة الشاعرة في القصر العباسي، 132-247، 750-861 Al Rayan
[36] 서적 Turks and Khazars: Origins, Institutions, and Interactions in Pre-Mongol Eurasia Ashgate Variorum
[37] 서적 The Breaking of a Thousand Swords: A History of the Turkish Military of Samarra (A.H. 200-275/815-889 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8] 서적 The Slave Girls of Baghdad: The Qiyan in the Early Abbasid Era Bloomsbury Publishing
[39] 서적 The Poetry of Arab Women from the Pre-Islamic Age to Andalusia Taylor & Francis
[4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omparative Politic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Incorporated
[41] 서적 The Meaning of Islamic Art: Explorations in Religious Symbolism and Social Relevance Adam Publishers & Distributors
[42] 서적 Arabic Belles Lettres Lockwood Press
[43] 서적 Queens, Eunuchs and Concubines in Islamic History, 661-1257 Edinburgh University Press
[44] 간행물 Al-Fath b. Khakan E. J. Brill 1991
[45] 백과사전 Chapter 73 - His Experience with al-Mutawakkil https://www.degruyte[...] Ibn al-Jawzi, Michael Cooperson 2016
[46] 백과사전 Chapter 73 - His Experience with al-Mutawakkil https://www.degruyte[...] Ibn al-Jawzi, Michael Cooperson 2016
[47] 백과사전 Chapter 73 - His Experience with al-Mutawakkil https://www.degruyte[...] Ibn al-Jawzi, Michael Cooperson 2016
[48] 문서 al-Muntasir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Muntasir
[52] 문서 1985
[53] 게임 Assassin's Creed Mirage Ubisoft 2023-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