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는 멕시코의 외교관으로,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을 비핵 지대로 설정하는 틀라텔롤코 조약 성립에 기여하여 198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는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1939년 멕시코 외무성에 입성하여, 유엔 대사, 외무부 비서관, 외무 장관 등을 역임했다. 또한 아즈텍 독수리 훈장, 남십자 훈장, 페루 태양 훈장 등 여러 훈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노벨상 수상자 - 마리오 J. 몰리나
마리오 J. 몰리나는 멕시코 출신 화학자로, CFCs가 오존층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199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여러 대학에서 연구 및 교수직을 역임하고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한 마리오 몰리나 센터를 설립하고 과학기술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멕시코의 노벨상 수상자 - 옥타비오 파스
옥타비오 파스는 멕시코의 시인이자 외교관, 문학 평론가로, 멕시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초기에는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고,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멕시코의 외교관 - 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
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는 1891년 연방 대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멕시코 혁명 당시 임시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외교관으로서 여러 나라에서 공사로 활동하고 국제법 권위자로서 만국평화회의 멕시코 대표를 지냈으며,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정권에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프랑스 대사 및 헤이그 상설중재재판소의 수장을 지내다 1939년 사망했다. - 멕시코의 외교관 - 카를로스 푸엔테스
카를로스 푸엔테스는 멕시코의 소설가, 수필가, 극작가이자 외교관으로, 멕시코의 역사와 정체성을 탐구하는 작품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문학 붐을 이끈 주요 작가 중 한 명이다.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 |
출생 | 1911년 3월 20일 |
출생지 | 미초아칸주 사모라 |
사망 | 1991년 9월 2일 (80세) |
사망지 | 멕시코시티 |
![]() | |
학력 | |
모교 |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 (법학사) |
경력 | |
멕시코 외무부 장관 | 1975년 12월 29일 ~ 1976년 11월 30일 |
대통령 | 루이스 에체베리아 |
전임 | 에밀리오 오스카르 라바사 |
유엔 주재 멕시코 상임대표 | 1970년 12월 14일 ~ 1976년 1월 1일 |
대통령 | 루이스 에체베리아 |
수상 | |
훈장 | [[File:PER_Order_of_the_Sun_of_Peru_-_Grand_Cross_BAR.png|x12px]] |
노벨 평화상 | 1982년 |
기타 | |
노벨상 홈페이지 | https://www.nobelprize.org/laureate//}}}] on NobelPrize.org |
2. 경력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는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1939년 멕시코 외무성에 들어갔다. 1945년 국제 연합 설립 회의에 대표로 참가했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브라질 대사, 1964년부터 1970년까지 외무부 비서관,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유엔 대사, 1975년부터 1976년까지 외무 장관을 역임했으며, 이후 제네바 군축 회의의 멕시코 상임 대표를 맡았다. 틀라텔롤코 조약 성립에 공헌한 공로로 198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미초아칸 주 Zamora de Hidalgo|사모라 데 이달고es에서 태어났으며,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1939년 멕시코 외무성에 입성했다.[2]2. 2. 외교 활동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는 1939년 멕시코 외무성에 들어갔다. 194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 연합 설립 회의에 대표로 참가했다.[2]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브라질 대사, 1964년부터 1970년까지 외무부 비서관을 역임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는 유엔 대사, 1975년부터 1976년까지 외무 장관을 지냈으며, 이후 제네바 군축 회의의 멕시코 상임 대표를 맡았다.2. 3. 틀라텔롤코 조약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을 비핵 지대로 설정하는 틀라텔롤코 조약 체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2] 이 조약은 1967년에 서명되어 1968년에 발효되었다.2. 4. 노벨 평화상 수상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을 비핵 지대로 설정한 틀라텔롤코 조약 체결에 기여한 공로로 1982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2] 이 조약은 1967년에 서명되었고 1968년에 발효되었다.3. 서훈
브라질 남십자 훈장 사령관, 멕시코 아즈텍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 페루 페루 태양 훈장 대십자장을 받았다.
3. 1. 멕시코
아즈텍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을 받았다.3. 2. 브라질
남십자 훈장 사령관[1]3. 3. 페루
페루 태양 훈장 대십자장을 수훈하였다.[1]4. 주요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
1938년 | 파리에서 범아메리카주의와 선린 정책 출간 |
1938년 | 제1차 국제 연구 회의 |
1939년 | 멕시코의 석유 문제와 국제법 |
1939년 | 칼보 조항과 국제법 |
1946년 | 전후 세계 (2권) |
1946년 | 샌프란시스코 회의와 그 성과 |
1946년 | 멕시코의 국제 정치 |
1965년 | 라틴 아메리카의 비핵화 |
1966년 | 영해의 폭 |
1967년 | 틀라텔롤코 조약. 라틴 아메리카 핵무기 금지의 기원, 범위 및 목적 |
(연도 미상) | 라틴 아메리카 핵무기 금지 조약 |
참조
[1]
웹사이트
PAGENAMEBASE
https://www.nobelpri[...]
[2]
웹사이트
Cancilleres del siglo XX
http://www.sre.gob.m[...]
Secretaría de Relaciones Exteriores
201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