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피아라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피아라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예언자이자 영웅으로, 오이클레스의 아들이자 멜람푸스의 증손자이다. 그는 아르고스의 왕족 가문의 일원이었으며, 테베 원정에 참여하여 죽음을 맞이했다. 암피아라오스는 사촌 아드라스토스의 여동생 에리필레와 결혼하여 알크마이온과 암필로코스를 두었다. 그는 제우스와 아폴론으로부터 신탁 능력을 부여받았으며,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과 아르고 원정에도 참여했다. 테베를 공격하려는 아드라스토스를 반대했지만, 아내 에리필레의 설득으로 참전하게 되었고, 전투에서 벼락을 맞아 땅이 갈라지면서 사라졌다. 암피아라오스는 사후 지하 세계의 영웅으로 숭배되었으며, 치유와 예언의 신으로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암피아라오스 | |
---|---|
기본 정보 | |
![]() | |
성별 | 남성 |
배우자 | 에리필레 |
자녀 | 알크마이온 암필로코스 에우리디케 |
신화 속 역할 | |
역할 | 아르고스 원정대 영웅, 예언가 |
가계 | |
부모 | 오이클레스와 히페름네스트라 또는 오이클레스와 아폴론 |
관련 장소 | |
관련 장소 | 오르노스, 아르고스 |
로마자 표기 | |
그리스어 | 암피아라오스 (Amphiaraos) |
2. 가계 및 가족
암피아라오스는 아르고스의 왕족이자 예언자 멜람푸스의 후손이었다. 그는 오이클레스의 아들이자,[3] 멜람푸스의 증손이었다.[4] 신화학자 히기누스에 따르면, 암피아라오스의 어머니는 테스티오스의 딸 히페르므네스트라였다.[6] 그녀는 헬레네, 클리타임네스트라, 디오스쿠로이 (카스토르와 폴룩스)의 어머니인 스파르타의 여왕 레다의 자매였다.[7] 일부 전승에서는 암피아라오스가 아폴론의 아들이라고도 한다.[8]
암피아라오스는 사촌 아드라스토스 (멜람푸스의 형제 비아스의 손자)의 여동생 에리필레와 결혼하여 두 아들 알크마이온과 암필로코스를 두었다.[9] 파우사니아스는 에우리디케, 데모니사, 알크메나 세 딸이 있었다고 기록했고,[10] 아시우스는 알크메나를,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시다를 암피아라오스와 에리필레의 딸로 언급했다.[11][12]
올림피아의 예언자 가문인 클리티다이(또는 "클리티디아이")는 암피아라오스의 아들 알크마이온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클리티우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3] 로마 전설에 따르면, 로마 근처 티볼리(현대 티볼리)의 창시자는 암피아라오스의 아들이었다.[14]
2. 1. 가계
암피아라오스는 오이클레스의 아들이자 멜람푸스의 증손으로,[3][4] 아르고스의 유력한 왕족이었다.[5] 신화학자 히기누스에 따르면, 암피아라오스의 어머니는 테스티오스의 딸 히페르므네스트라였다.[6] 그녀는 헬레네, 클리타임네스트라, 디오스쿠로이 (카스토르와 폴룩스)의 어머니인 스파르타의 여왕 레다의 자매였다.[7] 일부 전승에서는 암피아라오스가 아폴론의 아들이라고도 한다.[8]암피아라오스는 사촌 아드라스토스 (멜람푸스의 형제 비아스의 손자)의 여동생 에리필레와 결혼하여 알크마이온, 암필로코스 두 아들과 에우리디케, 데모니사, 알크메나, 알렉시다 등의 딸을 두었다.[9][10][11][12] 파우사니아스는 올림피아의 킵셀로스 상자에서 테베 원정으로 떠나는 암피아라오스와 어린 암필로코스, 에리필레, 에우리디케, 데모니사, 알몸의 알크마이온이 묘사된 장면을 보았다고 전한다.
올림피아의 예언자 가문 클리티다이(클리티디아이)는 암피아라오스의 아들 알크마이온의 아들 클리티우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3] 로마 전설에 따르면, 로마 근처 티볼리(현대 티볼리)의 창시자는 암피아라오스의 아들이었다.[14]
2. 2. 가족
암피아라오스는 아드라스토스의 여동생 에리필레와 결혼하여 알크마이온과 암필로코스 두 아들을 두었다.[9] 파우사니아스는 에우리디케, 데모니사, 알크메나 세 딸이 있었다고 기록했고,[10] 아시우스 또한 알크메나를 암피아라오스와 에리필레의 딸로 언급한다고 덧붙였다.[11]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알렉시다도 암피아라오스의 딸이었다.[12]로마 전설에 따르면, 로마 근처 티볼리(오늘날의 티볼리)의 창시자는 암피아라오스의 아들이었다.[14]
3. 생애와 업적
암피아라오스는 뛰어난 예언 능력을 지닌 인물로, 제우스와 아폴론의 총애를 받았다. 제우스는 그에게 신탁 능력을 부여했다.[15] 그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과 아르고 원정대에 참여하는 등 영웅적인 면모도 보였다.[15][16]
테베 공략 7인의 장수 이야기는 그리스 비극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암피아라오스는 전쟁의 비극적인 결말을 예견했지만, 아내 에리필레가 폴리네이케스에게 하르모니아의 목걸이를 뇌물로 받고 참전을 설득하여 결국 전쟁에 참여하게 되었다.[17] 그는 아들 알크마이온과 암필로코스에게 자신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부탁했다.[18]
암피아라오스는 전쟁의 실패를 경고하며 티데우스를 비난했고, 티데우스가 끔찍한 행동을 하자 아테나가 그에게 주려던 불멸을 막기도 했다.[19] 전투 중 페리클리메노스에게 쫓기던 암피아라오스는 제우스의 벼락으로 땅이 갈라지면서 전차와 함께 사라졌다.[22] 이후 그는 지하 세계의 영웅으로 숭배되었다.
아들 알크마이온은 아버지의 유언대로 어머니를 죽이고 복수를 했지만, 에리니에스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었다. 그는 신탁에 따라 아켈로오스 강의 입구에 정착했고, 강의 신 아켈로오스의 딸 칼리로에와 결혼했다.
3. 1. 초기 활동
암피아라오스는 제우스와 아폴론의 총애를 받은 존경받는 예언자였다.[15] 그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 참여하여 화살로 멧돼지의 눈을 꿰뚫었으며,[38] 아르고나우트의 일원으로도 여겨졌다.[16]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암피아라오스는 이아손이 이끄는 아르고나우타이의 일원으로 꼽힌다.[39]3. 2. 테베 공략 7장수
아드라스토스가 테베를 공격하기 위해 소집한 장수들 중 하나였던 암피아라오스는 이 전쟁에서 아드라스토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죽을 운명임을 예견하고 반대했으며, 다른 장수들의 참전도 막으려 했다.[40] 하지만 폴리네이케스는 암피아라오스의 아내 에리필레에게 하르모니아의 목걸이를 뇌물로 주며 참전을 설득해 달라고 부탁했다. 과거 암피아라오스는 아드라스토스와의 불화 때문에, 이후 두 사람 사이에 다툼이 있을 때는 에리필레의 판단에 따르기로 맹세했었다.[40]암피아라오스는 에리필레에게 뇌물을 받지 말라고 경고했으나, 에리필레는 이를 어기고 목걸이를 받아 남편의 참전을 종용했다. 결국 암피아라오스는 어쩔 수 없이 출정하면서, 아들 알크마이온과 암필로코스에게 성인이 되면 어머니를 죽이고 테베로 진격하라고 명령했다.[41][42]
테베로 향하던 암피아라오스는 다른 전사들에게 원정이 실패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고[19], 티데우스를 비난했다. 그는 티데우스가 멜라니푸스의 뇌를 먹는 끔찍한 모습을 보이자 아테나가 티데우스에게 주려던 불멸의 은혜를 거두게 만들었다.[46]
전투에서 암피아라오스는 페리클리메노스에게 쫓기던 중 제우스의 벼락으로 땅이 갈라져 전차와 함께 사라졌다.[46] 이후 제우스는 저승의 암피아라오스를 불사신으로 만들었다.[46]
3. 3. 사후 숭배

아티카 북서쪽에 위치한 오로포스의 암피아레이온에는 암피아라오스를 기리는 그리스 영웅 숭배 사원이 있었다. 그는 치유와 예언의 신으로 여겨졌으며, 아스클레피오스와 연관되었다. 암피아라오스의 치유 및 예언적 측면은 그의 조상, 위대한 예언자 멜람푸스로부터 비롯되었다.[23] 신전에 동전 몇 개, 혹은 때로는 수양을 제물로 바친 후, 청원자는 그 안에서 잠을 자고[23] 문제 해결책이 담긴 꿈을 받았다. 그곳에서는 그의 명예를 기리는 암피아리아 (ἀμφιαράϊα)라는 경기가 열렸다.[24]
4. 철학과의 연관성
피론주의 철학을 처음으로 설명한 책인 《피톤》에서 저자 플리우스의 티몬은 암피아라오스 사원의 부지에서 피론을 처음 만난다. 피론은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의 신탁을 해석했던 고대 엘리스의 예언자 씨족인 클리티다이의 일원이었기 때문에 이것은 상징적일 수 있다. 클리티다이는 암피아라오스의 손자인 클리티우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25]
5. 대중문화 속 암피아라오스
1815년 3월, 프란츠 슈베르트는 테오도어 쾨르너의 시 "암피아라오스"를 가곡으로 작곡했다. 이 곡은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 D 166번이다.[26] 1894년 프란츠 슈베르트의 작품 판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며,[27] 신 슈베르트 전집에는 IV 시리즈, 8권에 포함되었다.[28]
단테 알리기에리의 ''지옥''에서 암피아라오스 왕은 지옥의 사기 원형의 마법사 구역에서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죄로 언급되었다.
참조
[1]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3]
간행물
Fabulae
https://topostext.or[...]
[4]
서적
pp. 429–430
https://books.google[...]
[5]
서적
pp. 332–335
https://books.google[...]
[6]
간행물
Fabulae
https://topostext.or[...]
[7]
서적
p. 413
https://books.google[...]
[8]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9]
간행물
Moralia
[10]
서적
pp. 608–610
https://archive.org/[...]
[11]
간행물
Asius
[12]
간행물
Quaestiones Graecae
http://data.perseus.[...]
[13]
서적
p. 430
https://books.google[...]
[14]
서적
s.v. Tibur
https://www.perseus.[...]
1854
[15]
간행물
Atalanta was the first to shoot the boar in the back with an arrow, and Amphiaraus was the next to shoot it in the eye; but Meleager killed it by a stab in the flank...
https://www.perseus.[...]
[16]
간행물
https://www.perseus.[...]
[17]
간행물
https://www.perseus.[...]
[18]
Google books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tOgWfjNIxoMC
2010
[19]
간행물
https://www.perseus.[...]
[20]
간행물
Parallel Lives
https://www.loebclas[...]
[21]
서적
The Heroes of the Greeks
1959
[22]
기타
Nemean Odes
[23]
문서
Incubation (ritual)
[2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Amphiaraia
https://www.perseus.[...]
[25]
서적
Timon of Phlius: Pyrrhonism into Poetry
2009
[26]
웹사이트
Amphiaraos
http://www.lieder.ne[...]
[27]
서적
Schubert Thematic Catalogue
https://archive.org/[...]
1978
[28]
웹사이트
Lieder, Band 8
https://www.baerenre[...]
[29]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22(オクシュリュンコス・パピルス)。
[30]
문서
ヒュギーヌス、70話。
[31]
문서
ヒュギーヌス、73話。
[32]
문서
ヒュギーヌス、250話。
[33]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9・13。
[34]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7・2。
[35]
문서
パウサニアス、5巻17・7。
[36]
문서
オルペウスの妻エウリュディケーとは別人。
[37]
서적
パウサニアス、9巻5・15。
[38]
서적
アポロドーロス、1巻8・2。
[39]
서적
アポロドーロス、1巻9・16。
[40]
문서
カール・ケレーニイによれば、アドラストスやその父親タラオスと衝突し、タラオスを殺してアドラストスを一時追放したという。
[41]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6・2。
[42]
문서
母を殺すよう命じた相手はアルクマイオーンだけだったともいう。
[43]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6・4。
[44]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6・6。
[45]
문서
アイスキュロスではホモイロイデス門、エウリーピデースではプロイティデス門となっている。
[46]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