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크메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크메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으로, 헤라클레스의 어머니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페르세우스의 후손으로, 엘렉트리온과 아낙소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암피트리온과의 결혼을 통해 헤라클레스와 이피클레스를 낳았다. 제우스는 암피트리온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알크메네와 관계를 맺고 헤라클레스를 잉태하게 했다. 알크메네는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라다만토스와 결혼하여 오칼레아에서 망명 생활을 했으며, 죽음에 관해서는 돌로 변했다는 설과 메가라에서 죽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고스 신화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아르고스 신화 - 칼카스
칼카스는 그리스 신화의 예언가로,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군의 조력자 역할을 했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에서는 트로이에서 그리스군으로 투항한 예언자로 묘사된다. - 페르세우스 가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페르세우스 가 - 엘렉트리온
엘렉트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의 아들이자 미케네와 티린스의 왕으로, 알크메네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프테렐라오스의 아들들과의 갈등으로 암피트리온에게 죽임당한 후 왕위 찬탈 사건의 배경이 되는 인물이다. - 제우스의 여인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 제우스의 여인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알크메네 | |
---|---|
기본 정보 | |
![]() | |
그리스어 | Ἀλκμήνη |
로마자 표기 | Alkmēnē |
도리스 그리스어 | Ἀλκμάνα |
로마자 표기 | Alkmána |
라틴어 | Alcumena |
다른 이름 | Ἠλεκτρυώνη (Elektryṓnē) |
인물 정보 | |
소속 | 미케네 왕가 |
거주지 | 미케네, 이후 테베 |
자녀 | 헤라클레스, 이피클레스, 라오노메 |
배우자 | 암피트리온, 라다만티스 |
출생지 | 미케네 |
역할 | 미케네의 공주 |
부모 | 엘렉트리온과 아낙소 / 리시디케 / 에우리디케 또는 암피아라오스와 에리필레 |
2. 가계와 가족
알크메네는 제우스가 결혼한 여인으로, 암피트리온이 전쟁에 나가 집을 비운 사이 제우스가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하여 알크메네와 동침하여 헤라클레스를 낳았다. 알크메네는 이미 암피트리온과의 사이에서 아들 이피클레스를 낳은 상태였다. 이피클레스가 5살이 되던 해에 헤라클레스를 낳았는데, 둘은 너무 닮아 처음에는 구분이 어려웠다.
알크메네는 이피클레스와 헤라클레스 형제 외에도 암피트리온과의 사이에서 딸 페리메데를 낳았고, 페리메데는 나중에 알크메네의 이복형제인 리킴니오스와 결혼했다.
헤라클레스 사후, 알크메네는 헤라클레스를 박해했던 사촌동생 에우리스테우스의 눈을 뽑아 죽였다고 한다.[37] 그 후 엘리시온 들판으로 가 미노스 왕의 형제 라다만티스 1세의 아내가 되었다고도 하며, 사후에는 제우스 신전 경내에 매장되었다.[37]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알크메네는 인간 부모에게서 태어난 가장 키가 크고 아름다운 여성이었으며, 지혜 또한 뛰어났다. 그녀의 얼굴과 검은 눈은 아프로디테만큼 매력적이었고, 남편을 그 이전의 어떤 여성보다 존경했다고 한다.[9]
2. 1. 부모와 형제
알크메네는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의 아들이자 티린스와 미케네의 왕인 엘렉트리온 또는 아르고스의 메데아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녀의 어머니는 알카이오스와 아스티다메이아의 딸인 아낙소였다.[5] 다른 기록에 따르면 그녀의 어머니는 펠롭스와 히포다메이아의 딸인 리시디케이거나,[6] 펠롭스의 딸인 에우리디케였다고 한다.[7]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시인 아시우스는 알크메네를 암피아라오스와 에리필레의 딸로 묘사했다.[8]미케네가 타포스를 이끄는 프테렐라오스의 아들들과 전쟁을 벌였을 때, 알크메네의 형제들은 뤼킴니오스를 남기고 모두 전사했다.
2. 2. 남편과 자녀
알크메네는 암피트리온과의 사이에서 이피클레스를 낳았고, 이후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한 제우스와 동침하여 헤라클레스를 낳았다.[13] 이피클레스와 헤라클레스는 너무 닮아서 처음에는 구분이 어려웠다고 한다.알크메네는 이피클레스와 헤라클레스 형제 외에도 암피트리온과의 사이에서 딸 페리메데를 낳았다. 알크메네는 나중에 페리메데를 자신의 이복형제인 리킴니오스와 결혼시켰다.[26]
제우스는 암피트리온이 전쟁으로 집을 비운 사이, 그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알크메네와 동침했다. 알크메네는 이미 암피트리온과의 사이에서 아들 이피클레스를 낳은 상태였다. 이날 밤 알크메네는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한 제우스로부터 헤라클레스를 수태하게 되었다. 이피클레스와 헤라클레스는 너무 닮아서 처음에는 이 둘을 구분할 수가 없었다.
3. 생애
알크메네는 이피클레스와 헤라클레스 형제, 암피트리온의 딸 페리메데를 낳았다. 페리메데는 나중에 알크메네의 친정 이복형제인 리킴니오스에게 시집갔다.
헤라클레스 사후 알크메네는 자신과 헤라클레스를 박해했던 사촌동생 에우리스테우스의 눈을 뽑아 죽였다고 한다.[37] 그 뒤 엘리시온 들판으로 가 미노스왕의 형제인 라다만티스 1세의 아내가 되었다고도 한다. 알크메네는 사후 제우스 신전 경내에 매장되었다.[37]
3. 1. 어린 시절과 결혼
엘렉트리온과 아낙소의 딸로 태어난 알크메네는, 다른 기록에 따르면 펠롭스와 히포다메이아의 딸인 리시디케나 에우리디케의 딸이라고도 한다.[4][5][6][7] 아시우스는 알크메네를 암피아라오스와 에리필레의 딸이라고도 하였다.[8] 헤시오도스는 알크메네를 인간 중 가장 아름답고 지혜로운 여성으로 묘사하며, 그녀의 얼굴과 눈은 아프로디테만큼 매력적이었고 남편을 존경했다고 한다.[9]
미케네가 타포스의 프테렐라오스 아들들과 전쟁을 벌였을 때, 알크메네의 형제들은 리키미니오스를 제외하고 모두 전사했다. 암피트리온은 타포스인들이 엘렉트리온에게서 빼앗은 암소 떼를 엘리스 왕 폴릭세노스에게서 되찾아왔다. 엘렉트리온은 아들들의 복수를 위해 원정을 떠나며 왕국과 알크메네를 암피트리온에게 맡겼으나, 암피트리온이 던진 곤봉에 맞아 엘렉트리온이 사망하고 만다. 스테넬로스는 암피트리온을 추방했고, 알크메네와 리키미니오스는 테바이로 가서[26] 엘렉트라 문 근처에 저택을 짓고 살았다.[27][28]
3. 2. 헤라클레스의 탄생
제우스는 알크메네의 남편 암피트리온이 전쟁으로 집을 비운 사이,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하여 알크메네와 동침했다. 알크메네는 이미 암피트리온과의 사이에서 아들 이피클레스를 낳은 상태였다.[25] 그날 밤, 알크메네는 제우스로 인해 헤라클레스를 임신했다. 제우스는 헬리오스에게 사흘 동안 뜨지 말라고 명령하여 밤을 길게 늘려 알크메네와 함께 했다.[12]
헤라는 질투심에 헤라클레스의 탄생을 방해하려 했다. 일리아스에 따르면, 제우스는 자신의 혈통을 이은 아이가 그 주변을 다스릴 것이라고 선언했고, 헤라는 제우스에게 맹세하게 한 후 아르고스로 내려가 스텐넬로스의 아내를 통해 에우리스테우스를 7개월 만에 낳게 하고, 알크메네가 헤라클레스를 낳는 것을 막았다.[15]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알크메네가 출산 중 큰 어려움을 겪자 출산의 여신 루키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루키나는 헤라의 지시로 손을 깍지 끼고 다리를 꼬아 주문을 외워 알크메네의 출산을 방해했다. 알크메네의 하녀 갈란티스가 루키나를 속여 알크메네가 아이를 낳았다고 외쳤고, 놀란 루키나가 손을 풀자 알크메네는 헤라클레스를 낳았다. 갈란티스는 루키나를 속인 벌로 족제비가 되었다.[17]
플라우투스의 희극 ''암피트리온''에서는 알크메네가 유피테르(Jupiter)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고통 없이 빠르게 아이를 낳는 기적이 일어났다고 묘사한다.[18] 헤라는 갓난아기 헤라클레스를 죽이기 위해 두 마리의 뱀을 보냈지만, 헤라클레스는 스스로 뱀을 물리쳤다.[25]
3. 3. 헤라클레스 사후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알크메네는 자신과 헤라클레스를 박해했던 사촌동생 에우리스테우스의 눈을 뽑아 죽였다고 한다.[37] 다른 설에 의하면, 헤라클레스가 신격화된 후, 힐로스가 에우리스테우스를 추격하여 죽인 뒤 그의 머리를 알크메네에게 주었고, 알크메네는 베틀 바늘로 에우리스테우스의 눈을 찔러 뺐다고 한다.[20][34]
암피트리온이 죽은 후, 알크메네는 제우스의 아들인 라다만토스와 결혼하여 보이오티아의 오칼레아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19][32][33] 일설에는 엘리시온의 들판으로 가 미노스왕의 형제인 라다만티스 1세의 아내가 되었다고도 한다.[37]
알크메네의 죽음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메가라인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알크메네는 아르고스에서 테베로 가던 중 메가라에서 죽었다. 헤라클레이다이는 알크메네의 시신을 어디로 옮길지 의견이 갈렸는데, 어떤 이들은 아르고스로, 다른 이들은 테베로 가져가 암피트리온 및 메가라와의 사이에서 낳은 헤라클레스의 자녀들과 함께 묻으려 했다. 그러나 델포이의 신은 헤라클레이다이에게 알크메네를 메가라에 묻는 것이 더 낫다는 신탁을 내렸다.[21] 테베인들이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알크메네가 죽었을 때 그녀는 인간의 모습에서 돌로 변했다고 한다.[22]
파우사니아스는 아테네의 퀴노사르게스에 알크메네를 위한 제단이 헤라클레스, 헤베, 이올라오스의 제단과 함께 세워져 있었고, 알크메네의 무덤이 메가라의 올림피에움 근처에 있다고 언급했다.[23][21]
4. 죽음과 사후 세계
암피트리온이 죽은 후, 알크메네는 제우스의 아들인 라다만토스와 결혼하여 보이오티아의 오칼레아에서 함께 망명 생활을 했다.[19] 헤라클레스가 신격화된 후, 힐로스가 에우리스테우스를 추격하여 죽인 뒤, 에우리스테우스의 머리를 베어 알크메네에게 주었고, 알크메네는 그것의 눈을 베틀 바늘로 찔러 뺐다고 한다.[20]
알크메네의 죽음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 번째는 메가라인들의 이야기로, 알크메네는 아르고스에서 테베로 가던 중 메가라에서 죽었다고 한다. 헤라클레이다이는 알크메네의 시신을 어디로 옮길지 의견이 갈렸는데, 어떤 이들은 시신을 아르고스로 가져가려 했고, 다른 이들은 시신을 테베로 가져가 암피트리온 및 메가라와의 사이에서 낳은 헤라클레스의 자녀들과 함께 묻으려 했다. 그러나 델포이의 신은 헤라클레이다이에게 알크메네를 메가라에 묻는 것이 더 낫다는 신탁을 내렸다.[21] 파우사니아스는 또한 알크메네의 무덤이 메가라의 올림피에움 근처에 위치해 있다고 말했다.[21]
테베인들이 전하는 두 번째 이야기에 따르면, 알크메네가 죽었을 때 그녀는 인간의 모습에서 돌로 변했다.[22] 헤라클레이다이는 에우리스테우스와의 전쟁 후 테바이로 돌아왔고, 알크메네도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장례식 때 헤라클레이다이가 골호를 옮기려고 하자 매우 무거워서, 안을 살펴보니 알크메네의 유해가 아니라 큰 돌이 들어 있었다. 이는 제우스가 알크메네를 라다만튀스의 아내로 삼기 위해 헤르메스를 시켜 유해를 훔치게 했기 때문이며, 헤르메스는 골호 안에 돌을 넣고 유해를 축복받은 자들의 섬으로 옮겼다.[28]
파우사니아스는 아테네의 퀴노사르게스에 알크메네를 위한 제단이 헤라클레스, 헤베, 이올라오스의 제단과 함께 세워져 있었다고 언급했다.[23]
참조
[1]
서적
The Greek Myths
1960
[2]
서적
Orphic Argonautica
https://topostext.or[...]
[3]
서적
Shield of Heracles
[4]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5]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6]
서적
Lives
https://www.perseus.[...]
[7]
서적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
[8]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9]
서적
Shield of Heracles
https://www.perseus.[...]
[10]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11]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12]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13]
Google books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2010
[14]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15]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16]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perseus.[...]
[17]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18]
서적
Amphitryon
https://www.perseus.[...]
[19]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20]
서적
Apollodorus
https://www.perseus.[...]
[21]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22]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23]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24]
서적
アポロドーロス、2巻4・5
[25]
서적
アポロドーロス、2巻4・8
[26]
서적
アポロドーロス、2巻4・6
[27]
서적
パウサニアス、9巻11・1
[28]
서적
レーロスのペレキューデース断片(アントーニーヌス・リーベラーリス、33話)
[29]
서적
アポロドーロス、2巻4・7
[30]
서적
オウィディウス『変身物語』9巻
[31]
서적
アントーニーヌス・リーベラーリス、29話
[32]
서적
アポロドーロス、2巻4・11
[33]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1・2
[34]
서적
アポロドーロス、2巻8・1
[35]
서적
パウサニアス、1巻41・1
[36]
서적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02-29
[37]
서적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
혜안
1997-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