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가디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런 가디너(Alan Gardiner, 1879–1963)는 영국의 이집트학자로, 고대 이집트어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1927년 《이집트어 문법》(Egyptian Grammar)을 저술하고, 이집트 상형문자를 집대성한 《가디너 문자표》(Gardiner's Sign List)를 제작하여 이집트학 연구의 표준을 마련했다. 가디너는 또한 투탕카멘 무덤 발굴에 참여하여 비문 해독을 돕고, 원시 시나이 문자의 기원을 밝히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파라오 시대의 이집트》(Egypt of the Pharaohs)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문헌학자 - 로버트 사우디
로버트 사우디는 1774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시인, 작가, 역사가로 활동했으며, 프랑스 혁명을 지지하다 보수주의로 전향하여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고, 넬슨 제독의 전기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영국의 문헌학자 - 존 채드윅
존 채드윅은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암호학자로, 마이클 벤트리스와 함께 미케네 문명의 선형 B 문자를 해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가르치고 미케네 문명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 이집트학자 - 하워드 카터
영국의 고고학자이자 이집트학 학자인 하워드 카터는 1922년 투탕카멘의 무덤 발굴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발굴 과정에서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지만 과학적인 고고학 연구를 강조했다. - 이집트학자 - 토머스 영
토머스 영은 1773년에 태어나 1829년에 사망한 영국의 과학자이자 의사로, 빛의 파동설, 영의 계수, 색각 이론 등을 제시하고 이집트 상형 문자 해독에 기여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 동문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 동문 - 헨리 5세
헨리 5세는 1413년부터 1422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랭커스터 왕조의 두 번째 왕으로, 왕권 강화, 프랑스와의 아쟁쿠르 전투 승리, 트루아 조약으로 프랑스 왕위 계승권 확보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앨런 가디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앨런 핸더슨 가디너 경 |
원어 이름 | Sir Alan Henderson Gardiner |
국적 | 영국 |
직업 | 이집트학자, 문헌학자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879년 3월 29일 |
출생지 | 잉글랜드 엘텀 |
사망일 | 1963년 12월 19일 |
사망지 | 잉글랜드 이플리 |
매장지 | 이플리 교회 묘지 |
학력 | |
교육 | 차터하우스 스쿨 옥스퍼드대 퀸스 칼리지 |
가족 관계 | |
자녀 | 3명, 롤프 가디너, 마거릿 가디너 포함 |
친척 | H. 밸푸어 가디너 (형제) 마틴 버날 (손자) 존 엘리엇 가디너 (손자) |
업적 | |
알려진 업적 | 고대 언어에 대한 지식 증진, 투탕카멘의 무덤 발굴 지원 |
기타 |
2. 생애
앨런 가디너는 1901년에 옥스퍼드를 졸업한 뒤, 아버지로부터 충분한 재산을 물려받아 직업 없이 연구에 집중했다.[10] 1902년부터 10년간 베를린에 살면서, 아돌프 에르만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이집트어 사전de 편찬에 참여했다.
1910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1912년부터 1914년까지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이집트학 부교수(reader)를 역임했다. 이것이 가디너의 유일한 학문적 경력이었다.[10]
이집트 탐사 협회의 학술 잡지 『이집트 고고학 보고』(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의 편집자를 1916년부터 1946년까지 간헐적으로 맡았고(총 13년간), 다량의 논문을 발표했다. 1917년부터 1920년까지 이집트 탐사 협회의 명예 서기를 역임했고, 195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동 협회의 회장이었다.
하워드 카터의 투탕카멘 무덤 조사에도 협력했다. 라메세스 11세의 무덤 안에서 식사하는 유명한 사진의 오른쪽에 찍힌 사람이 가디너이다.[11]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앨런 가디너는 1879년 3월 29일 영국 켄트주 엘텀(Eltham)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그가 아기일 때 세상을 떠났으며, 아버지 헨리 존 가디너가 고용한 가정부 밑에서 형 H. 밸푸어 가디너와 함께 자랐다.[1] 이후 템플 그로브 스쿨과 차터하우스 스쿨에 진학하였다.차터하우스 스쿨 재학 중 고대 이집트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1895년~1896년에는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고고학자 가스통 마스페로로부터 이집트학을 배웠다.[3][10] 이후 장학생 조건으로 옥스퍼드대 퀸스 칼리지에 진학하여 서양고전학 (Literae humaniores)을 전공하였다. 학사 2등급을 취득한 뒤로는 히브리어, 아랍어로 전공을 바꾸어 1901년 제1급 문학사 (BA)를 취득했다.[3] 이 다음에는 프로이센 베를린으로 건너가 유명 이집트학자 쿠르트 하인리히 세테의 수강생이 되었다.[2][17]
1901년 졸업 후 오스트리아 빈에서 헤드비히 폰 로젠 (Hedwig von Rosen)과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두었는데, 농촌 부흥 운동가인 롤프 가디너와 예술후원가 마가렛 가디너가 이들의 자녀이다.[3][18] 가디너는 아버지로부터 충분한 재산을 물려받았기 때문에, 그 후 직업을 갖지 않고 연구에 집중했다.[10]
2. 2. 결혼과 가족
1901년 졸업 후 오스트리아 빈에서 헤드비히 폰 로젠 (Hedwig von Rosen)과 결혼했다.[18] 슬하에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두었는데, 롤프 가디너(농촌 부흥 운동가)와 마가렛 가디너(예술 후원가)가 이들의 자녀이다.[18]2. 3. 말년
1947년 영국 옥스퍼드 인근의 이플리로 이사하여 말년을 보냈다.[19] 1963년 12월 19일 사망했고, 화장 후 유해는 이플리 교회 묘지에 안치되었다.[3]3. 연구 활동
앨런 가디너는 1902년 아돌프 에르만의 이집트어 사전 편찬 작업을 돕기 위해 독일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보조 집필자로 활동했다. 1906년부터 1912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우스터 칼리지의 레이콕 이집트학 연구원으로 활동했다.[20] 1909년부터는 아서 웨이갤을 도와 테베 지역의 사설 무덤을 조사하였다. 1912년부터 1914년까지는 맨체스터 대학교 이집트학과 부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학위를 중시하지 않고 자신의 학문적 관심을 따랐는데, 이는 부유한 집안 덕분에 가능했다.[21]
1915년 이집트로 돌아와 시나이반도의 세라비트엘카딤에서 비문을 연구하던 중, 기존에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상형문자를 발견하고 이것이 최초의 셈 문자임을 확인하였다. 그는 이 문자가 후대의 모든 셈 문자는 물론 유럽계 문자의 조상으로 추정하였다.[22]
1922년 11월 하워드 카터가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할 당시 가디너는 자문과 보조역을 맡았다. 무덤에서 발견된 비문과 인장의 문자를 해독하는 일을 돕고, 후원자인 카나본 경과 더 타임스 지와의 독점 계약 건에 관한 조언, 1924년~1925년 부분 발굴된 무덤의 접근 허가와 관련해 이집트 고대 유물부와의 법적 분쟁에도 힘을 보탰다.[23]
가디너는 이집트 탐사 협회의 중역으로 1917년부터 1920년까지 명예사무관을 지냈으며 이후 회장을 역임하였다.[24] 1935년부터는 모교인 옥스퍼드대 퀸스 칼리지의 명예학자로 추대되었다.[16]
그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명예를 얻었다.
연도 | 내용 |
---|---|
1910년 | 옥스퍼드대 문학박사 수여 |
1929년 | 영국 학사원 회원 자격 수여[26] |
1943년 | 미국 철학 학회 회원 선출[27] |
1952년 | 더럼대 명예문학박사 수여 |
1956년 | 케임브리지대 명예문학박사 수여[28] |
1957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29] |
1948년에는 조지 6세 영국 국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수여받았다.[30]
3. 1. 초기 연구 활동 (베를린 시기)
1902년 독일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아돌프 에르만이 기획한 이집트어 사전의 자료 수집을 돕고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보조 집필자로 활동했다.[20] 같은 해부터 1912년까지 옥스퍼드대 우스터 칼리지의 레이콕 이집트학 연구원으로도 활동하였다.[20] 1909년부터 두 학기에 걸쳐 아서 웨이갤의 조수로 활동, 테베 지역의 사설 무덤을 조사하였다.1912년부터 1914년까지는 맨체스터 대학교 이집트학과 부교수(Reader)로 활동했다. 이 당시 학위에 연연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부유한 집안 덕에 넉넉한 자금 사정으로 본인의 학문적 관심을 따라서 활동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21]
3. 2. 옥스퍼드와 맨체스터 대학교
1902년 독일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아돌프 에르만이 기획한 이집트어 사전의 자료 수집을 돕고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보조 집필자로 활동했다. 같은 해부터 1912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우스터 칼리지의 레이콕 이집트학 연구원으로도 활동하였다.[20] 1909년부터 두 학기에 걸쳐 아서 웨이갤의 조수로 활동하며 테베 지역의 사설 무덤을 조사하였다.1912년부터 1914년까지 맨체스터 대학교 이집트학과 부교수(Reader)로 활동했다. 이 당시 학위에 연연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부유한 집안 덕에 넉넉한 자금 사정으로 본인의 학문적 관심을 따라서 활동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21]
1935년부터는 모교인 옥스퍼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의 명예학자(honorary fellow)로 추대되었다.[16]
1910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29년 영국 학사원 회원 자격을 수여받았다.[26] 1952년 더럼 대학교, 195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28]
3. 3. 이집트 탐사 협회 활동
1917년부터 1920년까지 이집트 탐사 협회의 명예사무관을 지냈으며, 이후 회장을 역임하였다.[24] 1916년부터 1946년까지는 이집트 탐사 협회의 학술 잡지 『이집트 고고학 보고』(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의 편집자를 총 13년간 간헐적으로 맡았다.1915년 시나이반도의 세라비트엘카딤 (Serabit el-Khadim)에서 비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상형문자를 발견하고 이것이 최초의 셈 문자이자 후대의 모든 셈 문자와 유럽계 문자의 조상으로 추정하였다.[22]
1922년 11월 하워드 카터의 투탕카멘의 무덤 발굴 당시 자문과 보조역을 맡았다. 무덤에서 발견된 비문과 인장의 문자를 해독하고, 후원자인 카나본 경과 <타임스> 지와의 독점계약, 1924년~1925년 부분 발굴된 무덤 접근 허가와 관련해 이집트 고대 유물부와의 법적 분쟁에 힘을 보탰다.[23]
3. 4. 시나이 반도 비문 연구와 원시 시나이 문자
1915년 이집트로 돌아온 가디너는 시나이반도의 세라비트엘카딤에서 비문을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상형문자를 발견하였고, 이것이 최초의 셈 문자임을 확인하였다. 그는 이 문자가 후대의 모든 셈 문자는 물론 유럽계 문자의 조상이라고 추정하였다.[22]3. 5. 투탕카멘 무덤 발굴 참여
하워드 카터가 1922년 11월 거의 온전한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견한 후, 가디너는 조언과 지원을 제공했다.[5] 여기에는 무덤에서 발견된 비문과 봉인 인장의 해독을 돕고, 카나본 백작의 ''타임스''와의 독점 계약에 대한 조언, 그리고 1924-25년 부분적으로 발굴된 무덤에 대한 접근을 둘러싼 이집트 고대 유물 부서와의 법적 분쟁에 대한 조언이 포함되었다.[23][5] 가디너는 하워드 카터에 의한 투탕카멘 무덤 조사에도 협력했다. 라메세스 11세의 무덤 안에서 식사하는 유명한 사진의 오른쪽에 찍힌 사람이 가디너이다.[11]3. 6. 학문적 영향력
앨런 가디너는 1960년대 초까지 이집트 연구를 계속하며 수많은 서적과 기사를 집필하였다.[24] 그는 연구 발표뿐만 아니라 이집트학계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비록 중책을 맡지는 않았지만, 학계의 선배로서 널리 존경받는 학자였으며, 교수 임용과 관련해서도 자주 조언하였다.[25]1902년, 가디너는 아돌프 에르만이 기획한 이집트어 사전 자료 수집을 돕기 위해 독일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보조 집필자로 활동했다. 1906년부터 1912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우스터 칼리지의 레이콕 이집트학 연구원으로 활동했다.[20] 1909년부터 두 학기에 걸쳐 아서 웨이갤의 조수로 활동, 테베 지역의 사설 무덤을 조사하였다. 1912년부터 1914년까지는 맨체스터 대학교 이집트학과 부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학위를 중시하지 않고 자신의 학문적 관심을 따랐는데, 이는 부유한 집안 덕분에 넉넉한 자금 사정으로 가능했다.[21]
1915년 이집트로 돌아온 가디너는 시나이반도의 세라비트엘카딤에서 비문을 연구하던 중, 기존에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상형문자를 발견하고 이것이 최초의 셈 문자임을 확인하였다. 그는 이 문자가 후대의 모든 셈 문자는 물론 유럽계 문자의 조상으로 추정하였다.[22]
1922년 11월 하워드 카터가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할 당시 가디너는 자문과 보조역을 맡았다. 무덤에서 발견된 비문과 인장의 문자를 해독하는 일을 돕고, 후원자인 카나본 경과 더 타임스 지와의 독점 계약 건에 관한 조언, 1924년~1925년 부분 발굴된 무덤의 접근 허가와 관련해 이집트 고대 유물부와의 법적 분쟁에도 힘을 보탰다.[23]
가디너는 이집트 탐사 협회의 중역으로 1917년부터 1920년까지 명예사무관을 지냈으며 이후 회장을 역임하였다.[24] 1935년부터는 모교인 옥스퍼드대 퀸스 칼리지의 명예학자로 추대되었다.[16]
그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명예를 얻었다.
4. 주요 업적 및 평가
앨런 가디너는 고대 이집트어 연구에 큰 업적을 남긴 학자로, 그의 연구는 이집트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과 문법 연구에 기여했으며, 원시나이 문자 연구를 통해 문자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가디너는 이집트 탐사 기금의 《이집트 고고학 저널》(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 창간을 돕고 편집에도 참여했다.[31] 70세 생일을 기념하여 출판된 저서 목록에는 이집트학 저서 26권과 논문 221편이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정력적인 저술 활동을 펼쳤다.[12]
가디너는 언어학에 관한 저서도 출판했다.
- The Theory of Speech and Language|말과 언어 이론영어, 1932년
- The Theory of Proper Names|고유명사 이론영어, 1940년
4. 1. 《이집트어 문법》과 가디너 문자표
가디너의 연구는 주로 고대 언어, 특히 고대 이집트어 문헌학에 집중되었으며, 《이집트어 문법》(Egyptian Grammar)과 가디너 문자표(Gardiner's Sign List)가 대표작이다.[31] 가디너 문자표는 이집트 상형문자의 모든 문자를 집대성한 것으로, 오늘날 이집트학자들의 표준으로 여겨진다.[31] 《이집트어 문법》 출판 과정에서 상형문자 전용 활자가 제작되었는데, 이는 출판 환경에서 이집트 상형문자를 구현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활자 중 하나이기도 하다.[31]1927년 출판된 가디너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이집트어 문법'은 단순한 문법서에 그치지 않고 다수의 연습 문제, 어휘집, 상형 문자 목록(가디너 부호 목록) 등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후 1950년과 1957년에 개정되었다.
4. 2. 원시 시나이 문자 연구
플린더스 페트리가 시나이에서 얻은 비문 속에 분명히 이집트 것이 아닌 문자가 섞여 있다는 것을 가디너는 알아차렸다. 이 문자가 이집트 문자에 기원하며 페니키아 문자의 조상에 해당한다는 생각을 1915년에 구두 발표했고, 이듬해 '이집트 고고학 보고'에 공표했다.[13]- The Egyptian Origin of the Semitic Alphabet|셈족 알파벳의 이집트 기원영어, ''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 3(1), 1916, 1-16쪽.
이 문자는 현재 원시나이 문자라고 불린다. 가디너가 발견했다고 주장한 것은 "바알라트" 한 단어뿐이었고, 그 설은 한동안 인정받지 못했다. 그 후 다른 단어가 발견되었고, 근처에 쓰여 있던 상형 문자와 의미가 일치하면서 옳다고 여겨지게 되었다.[13] 그러나 이 설이 성립하기 위해 필요한 가정이 너무 많고 "바알라트"라는 해독 또한 의심스럽다는 반론도 있다.[14] 어쨌든 원시나이 문자는 지금도 해독되었다고 말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다.[15]
4. 3. 토리노 파피루스 연구와 《파라오의 이집트》
가디너는 1959년 토리노 파피루스를 연구하고 1961년 이집트사와 연표를 다룬 《파라오 시대의 이집트》(Egypt of the Pharaohs)를 저술했다.[31] 《파라오 시대의 이집트》는 출판 당시 이집트 연대기 및 역사의 모든 측면을 다루었다.가디너는 이집트어로 쓰인 문헌의 교정 본문, 주석 및 번역을 다수 출판했는데, 그중 1959년에는 토리노 왕 목록(The Royal Canon of Turin)을 연구하여 책을 출판하였다.[12]
4. 4. 학문적 유산
가디너의 대표 저서로는 1959년 '토리노 파피루스' 연구와 1961년 이집트사와 연표를 다룬 《파라오의 이집트》(Egypt of the Pharaohs)가 있다.가디너의 연구는 주로 고대언어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고대 이집트어 문헌학에 공헌하였는데 《이집트어 문법》(Egyptian Grammar)와 《가디너 문자표》(Gardiner's Sign List)가 대표작이다. 가디너 문자표는 이집트 상형문자의 모든 문자를 집대성한 것으로 오늘날 이집트학자들의 표준으로 여겨진다. 《이집트어 문법》의 출판 과정에서 상형문자 전용 활자를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출판환경에서 이집트 상형문자를 구현할 수 있는 몇 안되는 활자이기도 하다.
1914년 이집트 탐사 재단에서 발행하는 《이집트 고고학 저널》(Journal of Egypt Archaeology)의 창간을 도왔으며, 1916년부터 1946년까지 기사 편집 작업도 간헐적으로 도왔다.[31]
5. 수상 및 서훈
1929년에 영국 학사원 펠로우(FBA)로 선출되었고, 1948년에는 기사 작위를 받았다.[10] 그 외에도 국내외에서 다수의 영예를 얻었다.
6. 주요 저서
가디너는 고대 이집트어 문헌학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대표적인 저서로는 <이집트어 문법>(Egyptian Grammar)과 <가디너 문자표>(Gardiner's Sign List)가 있다. <가디너 문자표>는 이집트 상형문자의 모든 문자를 집대성한 것으로, 오늘날 이집트학자들의 표준으로 여겨진다.[31] 1927년에 출판된 '이집트어 문법'은 단순한 문법서가 아니라 연습 문제, 어휘집, 상형 문자 목록(가디너 부호 목록) 등을 갖춘 종합적인 저서였다. 1950년과 1957년에 개정판이 나왔다.[15]
가디너는 이집트어로 쓰인 문헌의 교정 본문, 주석 및 번역을 다수 출판했다.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 장소 | 출판사 | 비고 |
---|---|---|---|---|
라이덴의 상형 문자 파피루스에 있는 이집트 현자의 충고 (Pap. Leiden 334 recto) | 1909 | 라이프치히 | 재인쇄 힐데스하임 - 취리히 - 뉴욕, 1990 | |
테베 사유 무덤의 지형 카탈로그 | 1913 | 런던 | 버나드 쿼리치 | 아서 E.P. 웨이갈과 공저, [https://archive.org/details/topographicalcat00garduoft 온라인 읽기] |
"고대 이집트의 새로운 문학 작품" | 1914 | 이집트 고고학 저널 | 이집트 고고학 저널 1 (1914), 20-36 및 100–106 | |
시누헤 이야기 주석 | 1916 | 파리 | 리브레리 오노레 샹피옹 | [http://hdl.handle.net/2186/ksl:garnot00 온라인 읽기], [http://library.case.edu/ksl/ 켈빈 스미스 도서관] |
"여행을 많이 한 테베 관료의 무덤" | 1917 | 이집트 고고학 저널 | 이집트 고고학 저널 4 (1917), 28–38 | |
"이집트어의 특정 분사 형성에 관하여" | 1920 | Rev. ég. | Rev. ég. N.S. 2/1-2 (1920), 42–55 | |
"웅변하는 농부" | 1923 | JEA | JEA 9 (1923), 5-25 | |
이집트 문법: 상형 문자를 연구하기 위한 입문 | 1957 | 옥스퍼드 | 그리피스 연구소 | 제3판, 초판 1927, |
언어와 말의 이론 | 1932 | |||
"아멘엠헤트 1세의 교훈의 가장 초기의 원고" | 1934 | 멜랑제 마스페로 | 멜랑제 마스페로 I.2, 479–496 | |
고대 이집트 지명 연구 | 1947 | 런던 | 제1권—III권 | |
라메세움 파피루스 | 1955 | 옥스퍼드 | 도판 | |
고유 명사 이론: 논쟁적인 에세이 | 1957 | 런던; 뉴욕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
파라오 시대의 이집트 | 1961 | 옥스퍼드 |
참조
[1]
서적
H. Balfour Gardin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
간행물
"Sir Alan Henderson Gardiner (1879-1963)"
2014
[3]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
웹사이트
Gardiner, Sir Alan (Henderson), (29 March 1879–19 Dec. 1963), Hon. Fellow of Queen's College, Oxford; President of the Egypt Exploration Society
http://www.ukwhos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5]
서적
Howard Carter and the discovery of the tomb of Tutankhamun
https://www.worldcat[...]
Barzan Publishing
2006
[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11
[7]
서적
Who Was Who 1961–1970
Bloomsbury Publishing, London
1979
[8]
웹사이트
Alan Henderson Gardiner
https://www.amacad.o[...]
2023-04-11
[9]
간행물
London Gazette
1948-06-04
[10]
문서
英国人名事典
[11]
간행물
Photographs showing work in Tutankhamun's tomb
http://www.griffith.[...]
The Griffith Institute
[12]
간행물
Alan Henderson Gardiner
http://egyptartefact[...]
Artefacts of Excavation: British Excavations in Egypt 1880-1980
[13]
문서
矢島(1977) pp.74-76
[14]
문서
Daniels (1996) p.29
[15]
문서
O'Conner (1996) p.90
[16]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7]
간행물
"Sir Alan Henderson Gardiner (1879-1963)"
2014
[18]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0]
웹인용
Gardiner, Sir Alan (Henderson), (29 March 1879–19 Dec. 1963), Hon. Fellow of Queen's College, Oxford; President of the Egypt Exploration Society
http://www.ukwhos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2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3]
서적
Howard Carter and the discovery of the tomb of Tutankhamun
https://www.worldcat[...]
Barzan Publishing
2006
[24]
서적
Who Was Who 1961–1970
Bloomsbury Publishing, London
1979
[25]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6]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Gardiner, Sir Alan Hender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7]
웹인용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11
[28]
서적
Who Was Who 1961–1970
Bloomsbury Publishing, London
1979
[29]
웹인용
Alan Henderson Gardiner
https://www.amacad.o[...]
2023-04-11
[30]
간행물
London Gazette
1948-06-04
[31]
서적
Who Was Who 1961–1970
Bloomsbury Publishing, London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