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앵글로아랍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글로아랍종은 아라비안 말과 서러브레드를 교배하여 만들어진 말 품종이다.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으며, 25% 이상의 아라비안 혈통을 가진 말을 앵글로아랍종으로 인정한다. 앵글로아랍종은 경주, 장애물 넘기, 마술 경기 등 다양한 스포츠에 적합하며, 아라비안 말의 지구력과 서러브레드의 속도를 결합한 특징을 가진다. 일본에서는 군마 생산을 위해 장려되었으나, 서러브레드 경주의 증가로 수요가 감소하여 경주가 폐지되었다. 앵글로아랍종은 유전 질환의 위험이 있으며, 중증 복합 면역 결핍증, 소뇌 위축증, 라벤더 망아지 증후군, 후두척추골 기형 등의 질병에 걸릴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 품종 - 쿼터호스
    쿼터호스는 17세기 미국에서 서러브레드와 토착마 교배로 만들어진 품종으로, 짧은 거리 경주에 뛰어나며 소몰이에도 적합하고, 근육질 체격과 온순한 성격을 지녔으며 미국 쿼터호스 협회에서 관리한다.
  • 말 품종 - 조랑말
    조랑말은 어깨 높이가 14.2 핸드 이하인 작은 말을 지칭하며, 튼튼한 체형과 짧은 다리, 두꺼운 털을 특징으로 하고, 과거에는 노동 동물로, 현재는 승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경마 - 전차 경주
    고대 스포츠 경기인 전차 경주는 기원전 13세기부터 존재했으며,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시작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는 대중 오락으로 자리 잡았고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계속되었다.
  • 경마 - 서러브레드
    서러브레드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엄격한 혈통 관리하에 경주에 특화된 품종으로, 세 마리의 종마를 조상으로 가지며 빠른 속도와 민첩성에 적합한 신체 구조를 지니고, 경주 외 승마 종목과 품종 개량에도 활용되지만 부상 위험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앵글로아랍종
지도
기본 정보
이름앵글로아라비안
다른 이름앵글로아랍
품종 특징잘 형성됨, 강력함, 좋은 걸음걸이, 스포츠 말 특징. 아라비아 말과 서러브레드 품종의 특성을 결합함.
원산지전 세계, 특히 영국, 프랑스, 미국에서 인기 있음.
앵글로아라비안 품종 브랜드
잿빛 앵글로아라비안
역사
관련 인물루이 15세의 애첩
관련 장소프랑스의 성공적인 종마 목장
기타
상태인정되지 않음

2. 기원 및 역사

리무쟁 말은 중세 시대 프랑스 리무쟁 지역에서 유래한 품종으로,[2] 프랑스 토종 암말과 수입된 영국 서러브레드 종, 소량의 아라비안 혈통을 교배하여 만들어졌다.[3] 리무쟁 말은 현재 멸종되었지만, 앵글로아라비안의 전신으로 이 품종 탄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33년 루이 필리프 1세 황제가 프랑스 혈통등록부(Studbook) 설립 법령을 통과시켜 경주마에 적합한 말 품종을 확립하고자 했고, 영국, 아랍, 앵글로아랍 말을 적합한 품종으로 공식 인정했다.[5] 1836년 프랑스 국립종마장(Haras national du Pin)에서 앵글로아라비안을 공식적으로 사육하기 시작했다.[6] 1880년에는 앵글로아라비안 품종 기준이 확립되어 25% 이상의 아라비안 혈통을 가진 말을 앵글로아라비안으로 간주했다.[9]

순혈 서러브레드는 경주 속도를 위해 허약한 체질이나 사나운 성격을 갖는 경우가 있어, 튼튼하고 온순한 아랍종과의 교배를 통해 튼튼함, 온순함, 속도를 모두 얻을 수 있었다. 일본에서는 앵글로아랍을 "아랍"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아 아랍종과 혼동되기도 한다.

아라비안 말 협회(AHA)의 앵글로아라비안 말 등록부에 최소 혈통 비율을 충족하면 등록 가능하며, AHA 쇼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10] 등록된 말에는 품종 브랜드가 부여된다. 일본 경마에서는 앵글로아랍의 아랍 혈량이 25% 이상이어야 하며, 25% 미만은 서러브레드 계통으로 분류된다. 프랑스에서는 50%, 25%, 12.5%로 분류되며, 서러브레드 외 셀프랑세와 혼혈종도 존재한다.

2. 1. 프랑스에서의 기원

18세기 중반, 프랑스 노르망디의 사육자들은 수입된 시리아 아라비안 종과 토종 서러브레드 암말을 교배했다.[4] 앵글로아라비안 교배에 대한 기록은 제한적이지만, 이 암말들의 자손이 나중에 공식적인 앵글로아라비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최초로 추적 가능한 기원을 확립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1833년, 루이 필리프 1세는 프랑스 혈통등록부(Studbook) 설립 법령을 통과시켰다. 혈통등록부의 주요 목표는 경주마에 적합한 말의 품종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혈통등록부는 영국, 아랍, 앵글로아랍 말을 적합한 품종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했다.[5]

프랑스 국립종마장


1836년, 프랑스 국립종마장(Haras national du Pin)은 앵글로아라비안을 공식적으로 사육하기 시작했다.[6] 이 기관은 투르 전투에서 무슬림을 물리친 후 프랑스에 남아 있던 아라비안 종과 수입된 영국 서러브레드 암말을 교배했다.[7]

1880년, 앵글로아라비안 품종 기준은 말이 25%의 아라비안 혈통만 있어도 앵글로아라비안으로 간주될 수 있도록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9]

2. 2. 일본에서의 역사와 쇠퇴

일본에서는 군마의 질적 향상을 위해 앵글로아랍 생산을 장려했다. 1929년부터 앵글로아랍 생산 장려 정책에 따라 아랍계 경주가 활발하게 시행되면서 앵글로아랍 생산이 증가했다.[24][25]

전후에는 지방 경마를 중심으로 앵글로아랍은 경주마로서 큰 수요를 얻었다. 중앙 경마에서는 타마츠바키, 세이유(セイユウ), 슌에이(シュンエイ), 이나리토자이(イナリトウザイ) 등이 활약했고, 지방 경마에서는 호센토(ホウセント), 후쿠파크(フクパーク), 오그리오(オグリオー), 타임라인, 로젠호마(ローゼンホーマ) 등 많은 명마가 배출되었다. 1960년대 초까지 앵글로아랍 생산 마릿수는 서러브레드를 상회했다.

그러나 서러브레드 생산 증가와 경주 상금 차이 등으로 인해 앵글로아랍에 대한 수요는 점차 감소했다. 중앙 경마에서는 1995년 아랍 대상전(アラブ大賞典)을 마지막으로 앵글로아랍 경주가 폐지되었다. 지방 경마에서도 앵글로아랍 경주 폐지 및 레이스 수 감소가 이어지면서 생산이 중단되었다. 2009년 9월 27일, 후쿠야마 경마장(福山競馬場)에서 '개설 60주년 기념 아랍 특별 레전드 상'을 마지막으로 아랍계 한정 경주가 종료되었다.[27] 2013년, 렛츠고 컵(レッツゴーカップ)의 은퇴로 아랍계 경주마는 사실상 소멸했다.[28]

2017년, 키타무라 목장(北村牧場)에서 앵글로아랍 혈통을 잇는 키타미키(キタミキ)가 탄생했으나, 경주마로 데뷔하지 못하고 은퇴했다.

2. 3. 한국에서의 앵글로아랍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군마 생산을 목적으로 앵글로아랍 종이 도입되었다. 일본은 1929년부터 군마의 질적 향상을 위해 서러브레드 생산을 장려하다가, 튼튼하고 관리가 용이한 앵글로아랍 생산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했다.[24][25] 앵글로아랍은 군마 개량에 크게 공헌하였다.

해방 이후에도 경주마 자원 확보를 위해 앵글로아랍 생산이 계속되었다. 특히, 중앙 경마와 지방 경마에서 경주마 수요가 증가하면서, 앵글로아랍은 서러브레드에 비해 생산 수가 많고 튼튼하여 연속 출주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경주마로 활발하게 생산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경마 산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앵글로아랍을 활용한 경마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기도 했다.

3. 특징

앵글로아랍은 아랍종의 지구력, 내구성, 지능과 서러브레드의 운동 능력을 결합한 품종이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앵글로아랍은 장애물뛰기, 장거리 경주, 내구력 시합, 드레사주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적합하다.[23]

일본에서는 앵글로아랍을 "아랍"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 아랍종과 혼동될 수 있다. 일본 경마에서 앵글로아랍은 아랍 혈량이 25% 이상이어야 하며, 25% 미만인 경우에는 서러브레드 계통으로 분류된다. 프랑스에서는 50%, 25%, 12.5% 등으로 분류되며, 서러브레드 외에도 셀프랑세와의 혼혈종도 존재한다.

3. 1. 신체적 특징

앵글로아랍은 평균 158cm~165cm의 키를 가지는데, 이는 아랍종 평균보다 크지만 서러브레드보다는 약간 작다.[23] 몸은 서러브레드와 유사하게 튼튼하게 만들어졌으며, 아랍 혈통을 보여주는 세련된 머리를 가지고 있다.[11] 깊은 가슴, 둥근 엉덩이, 돌출된 기갑 및 긴 다리를 가지고 있다. 앵글로아랍의 가장 일반적인 털색은 밤색, 밤갈색, 또는 회색이다.[23]

앵글로아랍마의 체형

3. 2. 유전 질환

앵글로아랍은 아랍 종과 서러브레드로부터 유전될 수 있는 몇 가지 유전 질환의 위험이 있다. 앵글로아랍을 사육할 때는 잠재적인 건강 문제에 유의하여 품종의 건강과 유전적 건강을 우선시하는 것이 중요하다.[13] 유전자 검사는 이러한 질병의 보인자를 식별하고, 이들이 번식 과정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사육자들이 번식 전에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4][15] 사육자는 이러한 건강 문제를 염두에 둠으로써 품종의 지속적인 성공을 보장할 수 있다. 다음 질병은 영향을 받은 망아지의 사망이나 안락사로 이어지는 상염색체 열성 형질이다.

; 중증 복합 면역 결핍증

: 중증 복합 면역 결핍증(SCID)는 돌연변이로 인해 면역 세포가 완전히 없어지는 치명적인 유전 질환이다. 망아지는 면역 결핍을 겪게 되어 4~6개월 안에 죽게 된다.[16]

; 소뇌 위축증

소뇌 위축증을 보이는 암말의 뻣뻣하고 어색한 걸음걸이


: 아라비안 말과 아라비안 혈통의 다른 말들은 소뇌 위축증(CA)이라고 하는 신경 질환을 물려받을 수 있는데, 이는 뉴런의 점진적인 죽음을 초래한다.[17] 영향을 받은 망아지는 머리 떨림, 균형 상실(운동 실조), 그리고 다른 신경계 문제를 보일 것이다.[18]

; 라벤더 망아지 증후군

라벤더 망아지 증후군에 걸린 망아지


: 라벤더 망아지 증후군(LFS)은 털 색 희석 치사(CCDL)로도 알려져 있으며, 망아지에게 영향을 미치는 희귀한 유전 질환이다.[19] 이 증후군은 망아지에게 독특한 분홍빛 회색 털과 신경 기능 장애를 일으켜 제대로 서 있거나 젖을 빨지 못하게 한다. 이 증후군은 미오신 Va(MYO5A)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18] LFS의 임상 징후에는 발작, 안진, 그리고 사지와 등의 심한 과신전(항강증)이 포함된다.

; 후두척추골 기형

: 후두척추골 기형(OAAM)은 목의 첫 번째 두 척추뼈와 두개골 기저부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 질환이다.[20] 이 장애는 상자형 D3 유전자(HOXD3)의 결실로 인해 척추 압박, 척수 손상, 신체 조정 감소, 망아지의 움직임 제한을 초래한다.[21]

3. 3. 용도

장애물뛰기 경기에 참가하는 앵글로아라비안


아랍종은 원래 전쟁용 말로 개발되었으며, 뛰어난 지구력, 내구성, 그리고 지능으로 전장에서 기수들을 도왔다.[7] 반면, 서러브레드는 주로 경마와 장애물뛰기를 위해 사육되었는데, 이는 그들의 운동 능력 때문이다.[22] 이 두 품종을 결합하여 앵글로아라비안이 탄생했는데, 이는 장애물뛰기, 장거리 경주, 내구력 시합, 드레사주와 같은 스포츠 활동에 이상적인 품종이다.[23] 앵글로아라비안은 아라비안의 세련됨, 구조, 지구력뿐만 아니라 서러브레드의 속도와 범위를 모두 물려받았다.

순혈 혈통인 서러브레드가 경주에서 승리하기 위해 속도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허약한 체질이나 사나운 성격을 가진 경우가 많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튼튼하고 온순한 아랍종을 교배함으로써 튼튼함과 온순한 성격, 그리고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일본에서는 앵글로아랍을 "아랍"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 아랍종과 혼동되기 쉽다.

원래 프랑스에서 사육이 시작되어 경마마술 경기에 사용되고 있다.

4. 템플라

아랍 혈통을 속이고 영국 아랍계 품종으로 등록된 서러브레드계 품종을 템플라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템플라 (말) 항목을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How Louis XV's Mistress Founded one of France's Most Successful Stud Farms https://francetoday.[...] 2023-10-16
[2] 서적 Le cheval berrichon et le cheval limousin: avec de nombreuses simili-gravures hors texte, Chateauroux A.-F. Patissier
[3] 논문 Chapitre IV. Élevage équin et zootechnie:le façonnement de races? http://dx.doi.org/10[...]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2015
[4] 웹사이트 Half-Arabian Horse Breeds: Anglo-Arabian https://www.horseill[...] 2015-02-28
[5] 웹사이트 Horse breeds which are recognised and managed in France https://equipedia.if[...] 2021-02-03
[6] 웹사이트 L'histoire du Haras national du Pin https://www.haras-na[...]
[7] 학술지 The Arabian Horse https://doi.org/10.1[...] 1908-01-01
[8] 학술지 The influence of maternal size on pre- and postnatal growth in the horse: III Postnatal growth https://rep.bioscien[...] 2004-01-01
[9] 웹사이트 ArabianHorses.org - Registrations https://www.arabianh[...]
[10] 웹사이트 ArabianHorses.org - Handbook https://www.arabianh[...]
[11] 웹사이트 What to Know About Arabian Horses https://www.webmd.co[...] 2022-12-06
[12] 논문 Chapter 123 - Lameness in the Arabian and Half-Arabian Show Horse https://www.scienced[...] W.B. Saunders 2011-01-01
[13] 학술지 Genome Diversity and the Origin of the Arabian Horse 2020-06-16
[14] 학술지 Is informed choice in genetic testing a different breed of informed decision-making? A discussion paper 2001-06-25
[15] 학술지 Genetic Testing in the Horse https://pubmed.ncbi.[...] 2020-06-10
[16] 학술지 Molecular Detection of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Disorder in Arabian Horses in Egypt https://pubmed.ncbi.[...] 2018-05-26
[17] 웹사이트 Cerebellar Abiotrophy (CA) https://ceh.vetmed.u[...] 2020-06-08
[18] 학술지 Investigation of Cerebellar Abiotrophy (CA), Lavender Foal Syndrome (LFS), an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 Variants in a Cohort of Three MENA Region Horse Breeds 2021-11-26
[19] 웹사이트 Lavender Foal Syndrome (LFS) https://ceh.vetmed.u[...] 2020-06-09
[20] 웹사이트 Occipitoatlantoaxial Malformation (OAAM) https://ceh.vetmed.u[...] 2020-06-09
[21] 학술지 Deletion of 2.7kb near HOXD3 in an Arabian horse with occipitoatlantoaxial malformation 2017-01-23
[22] 학술지 The genetic origin and history of speed in the Thoroughbred racehorse https://www.nature.c[...] 2012-01-24
[23] 웹사이트 Anglo-Arabian Horse Breed Guide: Characteristics, Health & Nutrition https://madbarn.com/[...] 2023-11-10
[24] 문서 血統表では雑種と記載されていた。
[25] 문서 競走規定では、50%以上のアラブ血量を持つ馬については、斤量面で優遇措置(3kg減)を受けていた。
[26] 웹사이트 2020年の生産頭数 https://www.jairs.jp[...]
[27] 웹사이트 アラブ特設ページ http://www.city.fuku[...] 20130725001051
[28] 뉴스 最後のアラブ競走馬、引退レースは最下位 https://web.archive.[...] 2013-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