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율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율순은 요나라 황족으로, 요 도종의 총애를 받아 연왕에 봉해졌다. 천조제가 금나라에 패하여 도망치자, 야율순은 처음에는 천조제를 따랐으나, 이후 야율대석 등에 의해 옹립되어 북요의 황제가 되었다. 하지만 즉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고, 그의 종제인 야율술렬이 뒤를 이었다. 야율순의 생애와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여 평가가 제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3년 출생 - 사숙왕후
    사숙왕후는 고려 선종의 왕후이자 헌종의 어머니로서 헌종 즉위 후 왕태후로 섭정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이자(李資義)의 난으로 섭정을 중단하고 숙종 때 중화전과 영녕부가 폐지되었으며 예종 때 선종묘에 배향되었다.
  • 1063년 출생 - 원오극근
    원오극근은 1063년 쓰촨성에서 태어나 오조 법연의 제자가 되었으며, 벽암록을 저술하여 임제종 선불교에 영향을 미친 중국의 선승이다.
  • 1122년 사망 - 예종 (고려)
    예종은 고려의 제16대 왕으로, 여진과의 갈등, 9성 반환, 교육 진흥 등에 힘썼으며 1122년 종양으로 사망했다.
  • 1122년 사망 - 왕자지
    왕자지는 고려 시대 문신으로, 왕국모의 쿠데타를 통해 요직에 발탁되었고, 윤관의 여진족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송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 북요의 황제 - 야율정
  • 북요의 황제 - 야율아리
    야율아리는 요나라 천조제의 차남으로, 금나라의 침략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북요의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즉위한 해에 사망하였다.
야율순
기본 정보
이름천석제 야율녈리
호칭황제
왕조북요
재위 기간1122년 3월 - 6월 24일
수도난징
야율녈리
유순 (한명)
해당 없음
소자해당 없음
시호효장황제
묘호선종
생년청녕 8년 (1062년)
몰년건복 원년 5월 19일 (음력)
(1122년 6월 24일)
부친야율화로올
모친해당 없음
황후덕비 소보현녀
능묘향산 영안릉
연호건복 : 1122년

2. 생애

야율순은 백부인 도종의 총애를 받아 연왕으로 책봉되었다. 도종의 황태자이자 사촌 형인 장회태자 야율준이 황족인 야율을신의 참언으로 21세에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 자식을 잃은 도종은 조카인 야율순을 황태손으로 생각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으로 멈추고 손자인 아과(요 천조제)를 황태손으로 정했다.[1]

종제인 천조제가 즉위하자 정왕, 창성군절도사에 임명되었고, 후에 월왕, 남부재상이 되었다. 부친이 사망하자 남경 유수의 직을 세습했다.[1]

천경 5년(1115년), 천조제가 금의 태조에게 입래산에서 대패하여 장춘으로 도망쳤다. 그 때, 종실의 어영부도통인 야율장노 등은 과거 도종의 황태손이었던 야율순을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야율순은 야율장노의 사자를 참수하고, 일부러 장춘으로 가서 천조제를 알현했기 때문에, 천조제로부터 감사를 받아 진진왕에 책봉되었고, 도원수에 임명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주모자인 야율장노 등은 처형되었다.[1]

야율순은 금나라와 대치하기 위해 연운 16주에서 수천 명을 통솔하여 이를 맞이했지만, 대패하여 남경(연경, 현재의 베이징)으로 도망쳤다. 보대 2년(1122년) 2월, 천조제가 다시 금나라 태조에게 대패하여 운중(현재의 산서성다퉁시)의 음산으로 도망가 버렸다. 그래서, 종족인 야율대석재상인 이처온 등은, 3월에 별로 내키지 않는 야율순을 옹립했고, 게다가 이처온의 아들인 이석이 황제의 의상인 황포를 준비했기 때문에, 야율순은 얼떨결에 즉위하게 되었다. 또한 야율대석 등은 멋대로 천조제를 "상음왕"으로 강등시켜 버렸다. 야율순의 나라는 후세에 '''북요'''라고 불린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24일에 붕어했다. 향년 61세.[1]

그 후, 얼마간의 기간을 거쳐 야율순의 종제인 야율술렬[1]이 뒤를 이었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야율예리의 조부는 요 흥종(1016~1055 재위:1031~1054년)이고, 조모는 폐황후 소삼천(蕭三蒨,1031~1032)이며, 계조모는 인의황후 소달리(仁懿皇后,蕭撻里,1035년~1055 ? ~1076)이다.

2. 2. 황족으로서의 삶

2. 3. 북요 황제 즉위

야율순은 백부인 도종의 총애를 받아 연왕으로 책봉되었다. 도종의 황태자이자 사촌 형인 장회태자 야율준이 황족 야율을신의 참언으로 21세에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 자식을 잃은 도종은 조카인 야율순을 황태손으로 생각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으로 멈추고 손자인 아과(요 천조제)를 황태손으로 정했다.

종제인 천조제가 즉위하자 정왕, 창성군절도사에 임명되었고, 후에 월왕, 남부재상이 되었다. 부친이 사망하자 남경 유수의 직을 세습했다.

천경 5년(1115년), 천조제가 금의 태조에게 입래산에서 대패하여 장춘으로 도망쳤다. 그 때, 종실의 어영부도통인 야율장노 등은 과거 도종의 황태손이었던 야율순을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야율순은 야율장노의 사자를 참수하고, 일부러 장춘으로 가서 천조제를 알현했기 때문에, 천조제로부터 감사를 받아 진진왕에 책봉되었고, 도원수에 임명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주모자인 야율장노 등은 처형되었다.

야율순은 금나라와 대치하기 위해 연운 16주에서 수천 명을 통솔하여 이를 맞이했지만, 대패하여 남경(연경, 현재의 베이징)으로 도망쳤다. 보대 2년(1122년) 2월, 천조제가 다시 금나라 태조에게 대패하여 운중(현재의 산서성다퉁)의 음산으로 도망가 버렸다. 그래서, 종족인 야율대석재상인 이처온 등은, 3월에 야율순을 옹립했고, 이처온의 아들인 이석이 황제의 의상인 황포를 준비했기 때문에, 야율순은 즉위하게 되었다. 또한 야율대석 등은 멋대로 천조제를 "상음왕"으로 강등시켜 버렸다. 야율순의 나라는 후세에 '''북요'''라고 불린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24일에 붕어했다. 향년 61세.

그 후, 얼마간의 기간을 거쳐 야율예리의 종제인 야율술렬[1]이 뒤를 이었다.

2. 4. 짧은 통치와 죽음

야율순은 도종의 총애를 받아 연왕으로 책봉되었다. 사촌 형인 장회태자 야율준이 야율을신의 참언으로 죽자, 도종은 야율순을 황태손으로 삼으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무산되고 손자인 아과(요 천조제)를 황태손으로 정했다.

천조제 즉위 후 정왕, 창성군절도사, 월왕, 남부재상을 역임했고, 부친 사망 후 남경 유수 직을 세습했다.

천경 5년(1115년), 천조제가 금의 태조에게 대패하여 장춘으로 도망치자, 야율장노 등이 야율순을 옹립하려 했으나, 야율순은 야율장노의 사자를 참수하고 장춘으로 가 천조제를 알현하여 진진왕에 책봉되고 도원수에 임명되었다.

야율순은 금나라와 대치하기 위해 연운 16주에서 수천 명을 통솔했지만 대패하여 남경(연경, 현재의 베이징)으로 도망쳤다. 보대 2년(1122년) 2월, 천조제가 다시 금나라 태조에게 대패하여 운중(현재의 산서성다퉁)의 음산으로 도망가자, 야율대석과 이처온 등이 야율순을 옹립했다. 야율순은 얼떨결에 즉위하여 북요를 건국했으나, 같은 해 6월 24일에 61세로 붕어했다.

이후 야율순의 종제인 야율술렬이 뒤를 이었다.[1]

3. 가족 관계


  • 조부 : 흥종(遼 興宗, 1016~1055 재위:1031~1054년)
  • 조모 : 폐황후 소삼천(廢皇后,蕭三蒨,1031~1032)
  • 계조모 : 황후 인의황후 소달리(皇后,仁懿皇后,蕭撻里,1035년~1055 ? ~1076)

흥종의 손녀이자 인의황후 소달리의 조카딸인 덕비 소보현녀가 야율순의 처였다.

야율순의 자녀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3. 1. 처

흥종의 손녀이자 인의황후 소달리의 조카딸인 덕비 소보현녀가 야율순의 처였다.

3. 2. 자녀

야율순의 자녀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4. 평가

야율순에 대한 평가는 사료 부족으로 인해 자세히 알 수 없다. 『요사』에는 관련 기록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다.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5. 기타

야율순에 대한 기록은 요사 권30에 실려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