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전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전포는 장거리 사격을 통해 적의 주요 시설을 타격하는 데 사용되는 무기이다. 곡사포, 유탄포, 박격포, 다연장 로켓포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근대 초기부터 기술 발전을 거쳐왔다. 현대 야전 포병은 전방 관측반, 사격 통제반, 포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포병 사격과 같은 전술을 사용한다. 주요 포병 전투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 종류

포병은 다양한 종류의 화포를 운용하며, 각 화포는 사거리, 기동성, 용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주요 야전포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종류설명
야전포장거리 사격이 가능하다.
곡사포긴 포신으로 고각 또는 저각 사격이 가능하다.
유탄포고각 사격이 가능하다.
보병 지원포보병 부대를 직접 지원한다. (대부분 구식)
강선 박격포고각 또는 저각 사격이 가능한 후장식 박격포이다.
박격포수평선에서 45도 이상의 각도로 발사하는 무기이며, 현대 버전은 가볍고 핀 안정식 폭발 탄약을 사용한다.
산포험준한 지형에서도 이동 가능한 경량 무기이다. (대부분 구식)
다연장 로켓포이동식 로켓포 발사기이다.


2. 1. 야전포

야전포는 장거리 사격을 통해 적의 주요 시설을 타격하는 데 사용된다. 야전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곡사포긴 포신으로 고각 또는 저각 사격이 가능하다.
유탄포고각 사격이 가능하다.
보병 지원포보병 부대를 직접 지원한다. (대부분 구식)
강선 박격포고각 또는 저각 사격이 가능한 후장식 박격포이다.
박격포수평선에서 45도 이상의 각도로 발사하는 무기이며, 현대 버전은 가볍고 핀 안정식 폭발 탄약을 사용한다.
산포험준한 지형에서도 이동 가능한 경량 무기이다. (대부분 구식)
다연장 로켓포이동식 로켓포 발사기이다.


2. 2. 곡사포

곡사포는 긴 포신을 가지고 있어 고각 또는 저각 사격이 모두 가능하며, 포물선 궤도로 포탄을 발사하여 장애물 뒤에 숨은 표적을 공격할 수 있다.[1]

2. 3. 유탄포

유탄포는 고각 사격으로 유탄을 발사하여 보병을 제압하거나 경장갑 차량을 파괴하는 데 사용되는 화포이다.

2. 4. 박격포

박격포는 수평선에서 45도 이상의 각도로 포탄을 발사하는 무기이다. 현대 박격포는 가볍고 핀 안정식 폭발 탄약을 사용한다. 박격포는 고각 사격을 통해 참호나 건물 뒤에 숨은 적을 공격하는 데 효과적이다. 대한민국 국군은 다양한 구경의 박격포를 운용하고 있다.[1]

2. 4. 1. 강선 박격포

강선 박격포는 포신 내부에 강선이 있어 포탄에 회전을 주어 정확도를 높인 박격포이다. 고각 또는 저각 사격이 가능한 후장식 박격포이다.[1]

2. 5. 산포

산포는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운용하기 쉽도록 경량화된 화포이다. 대한민국 지형 특성상 산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1] 대부분 구식 무기이다.[1]

분류:야전포

2. 6. 다연장 로켓포

다연장 로켓포는 이동식 로켓포 발사기이다.[1] 다연장 로켓포는 여러 발의 로켓을 동시에 발사하여 넓은 지역을 제압하는 데 사용된다. 대한민국 국군은 "천무"와 같은 다연장 로켓포를 개발, 배치하여 화력을 강화하고 있다.

2. 7. 보병 지원포

보병 지원포는 보병 부대에 직접적인 화력 지원을 제공하는 화포이다. 현대에는 대부분 구식화되었다.

3. 역사

야금술의 발달로 얇은 대포 포신이 폭발력을 견딜 수 있게 되면서 최초의 야전 포병이 등장했다.[2] 그러나 전장이 끊임없이 변화함에 따라, 이동 속도가 느린 포병 부대가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상황은 여전히 위험했으며, 특히 경기병의 공격에 취약했다. 포가와 바퀴가 달린 포신에 부착된 이동 포가와 같은 여러 발명품이 나오면서 야전 포병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발전했다.[2]

명나라는 14세기 초, 서양에서 화약과 원시적인 대포가 처음 도입될 당시 이동식 야전 포병을 발명했다.[3] 14세기 명나라의 저서인 『화룡경』에는 바퀴에 장착된 청동으로 제작된 "천자뢰포"라는 중국식 대포가 묘사되어 있다.[4]



20세기에는 강선포, 추진제, 관측병과 포수 간 통신, 포술 계산 능력 등 기술 발전으로 포병의 사거리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대부분의 야전 포병은 날씨, 지형, 야간, 거리 등의 장애물로 인해 간접 사격을 필요로 한다.[1] 훈련된 포병 관측병(또는 전방 관측병)은 목표물을 보고 좌표를 사격 지휘소에 전달하며, 사격 지휘소는 이 좌표를 바탕으로 조준 방향, 고각, 추진제량, 신관 설정 등을 계산하여 포병 발사체에 장착한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야전포 부대가 미터와 야드 단위의 가시 목표물을 직접 사격했지만,[1] 오늘날 현대 야전 포병 부대는 킬로미터와 마일 단위로 목표물을 측정하고, 직사 화력으로 적과 직접 교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

3. 1. 근대 초기

야금술의 발달로 얇은 대포 포신이 폭발력을 견딜 수 있게 되면서 최초의 야전 포병이 등장했다.[2] 그러나 전장이 끊임없이 변화함에 따라, 이동 속도가 느린 포병 부대가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상황은 여전히 위험했다.[2] 특히 포병 부대는 경기병의 공격에 취약했다. 포가와 바퀴가 달린 포신에 부착된 이동 포가와 같은 여러 발명품이 나오면서 야전 포병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발전했다.[2]

명나라는 14세기 초, 서양에서 화약과 원시적인 대포가 처음 도입될 당시 이동식 야전 포병을 발명했다.[3] 야전 포병의 가장 초기 기록 중 하나는 14세기 명나라의 저서인 『화룡경』에서 찾아볼 수 있다.[4] 이 책에는 바퀴에 장착된 청동으로 제작된 "천자뢰포"라는 중국식 대포가 묘사되어 있다.[4]

3. 2. 20세기

20세기에는 강선포, 추진제, 관측병과 포수 간 통신, 포술 계산 능력 등 기술 발전으로 포병의 사거리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1] 대부분의 야전 포병은 날씨, 지형, 야간, 거리 등의 장애물로 인해 간접 사격을 필요로 한다.[1] 훈련된 포병 관측병(또는 전방 관측병)은 목표물을 보고 좌표를 사격 지휘소에 전달하며, 사격 지휘소는 이 좌표를 바탕으로 조준 방향, 고각, 추진제량, 신관 설정 등을 계산하여 포병 발사체에 장착한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야전포 부대가 미터와 야드 단위의 가시 목표물을 직접 사격했지만,[1] 오늘날 현대 야전 포병 부대는 킬로미터와 마일 단위로 목표물을 측정하고, 직사 화력으로 적과 직접 교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

4. 미국의 야전 포병 팀

현대 야전 포병은 전방 관측반(FO), 사격 통제반(FDC), 포수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전방 관측반(FO): 보병과 함께 전방에 배치되어 쌍안경, 레이저 거리 측정기 등으로 적을 관측하고 사격 지휘소(FDC)에 사격을 요청한다.
  • 사격 통제반(FDC): 전방 관측반의 요청을 받아 사격 데이터를 계산, 포반에 명령을 전달한다.
  • 포반: 사격 지휘소의 명령에 따라 포를 발사한다.


전방 관측반은 무전으로 사격 통제반에 사격 요청(CFF)을 하고, 사격 통제반은 이를 바탕으로 편각과 고각을 계산하여 포열에 전달한다. 포열은 곡사포에 지정된 고각과 편각으로 포탄을 장전하고 탄약을 발사한다. 전방 관측반은 탄착 지점을 보고 수정 사항을 전달하며, 이 과정은 임무 완료까지 반복된다.

포대는 최전선(FLOT)에서 수 킬로미터 뒤에 위치하여 일정 시간 사격 능력을 유지하며, 이동 전 여러 번 사격 임무를 수행한다.

방어 사격 임무는 미리 계획된 임무로, 아군 진지 앞이나 적 점령/포기 진지에 사격하여 적 공격 억제 또는 점령을 막는 것이 목표이다.

4. 1. 정찰 및 선견대

선견대는 포병 부대가 사격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를 찾고, 부대 이동 경로의 안전을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선견대는 포대장, 운전병, 수석 상사, 포술 상사, 사격 지휘소(FDC) 안내, 포반 안내, 통신 담당자로 구성된다.[6]

선견대는 우선 포병 부대가 사격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를 찾는다. 그 후, '노선 정찰'을 통해 부대 이동 경로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노선 정찰 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분석한다.[6]

  • 대체 경로 가능성
  • 엄폐 및 은폐
  • 장애물 위치
  • 매복 예상 지점
  • 오염 지역
  • 경로 표시 요구 사항
  • 경로 통과에 필요한 시간 및 거리


선견대는 임무, 적, 지형, 가용 병력, 가용 시간 (METT-T)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한 후, 새로운 위치에 도착하여 경계 순찰을 실시하고 점령을 준비한다. 이때 적군, 지뢰, 부비트랩, 핵, 생물학, 화학 (NBC) 위험 등이 없는지 확인한다. 만약 이러한 위협이 발견되면, 선견대는 적과 접촉을 끊거나 지뢰밭과 위험 지역을 표시하고 다른 위치를 찾는다.[6] 포대장은 추가 자산을 조정하거나 선견대에 자체 자원을 보강하여 소규모 적, 장애물, 지뢰밭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자연적인 엄폐는 최대한 활용하며, 선견대 작전 중에는 경계를 철저히 유지한다. 위치가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선견대는 최종적인 야포 배치를 위해 위치를 준비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포함된다.[6]

  • 곡사포를 준비된 위치로 호송
  • 통신 설정
  • 부대에 초기 사격 방위각 제공
  • 각 포에 초기 편각 제공


미 육군의 경우, 이 모든 과정은 미국 육군 야전 교범 6-50 2장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6]

4. 2. 전방 관측병 (FO)

전방 관측병(FO)은 적을 관측하고 사격 임무를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보통 보병과 함께 전방에 배치되어 쌍안경, 레이저 거리 측정기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표적을 관측하고, 사격 지휘소(FDC)에 사격 임무를 요청한다.

전방 관측병은 무전이나 전화를 통해 사격 지휘소에 연락하여 표준화된 형식으로 사격 요청을 전달한다. 이 요청에는 표적의 지도 좌표와 방위, 간략한 표적 설명, 사용 권장 탄약, 그리고 "근접 위험"(아군이 표적에 매우 가까이 있을 때 추가적인 정밀성을 요구하는 경고)과 같은 특별 지침이 포함된다.

사격 지휘소는 전방 관측병의 요청을 바탕으로 좌우 조준 방향, 고각, 추진제량, 신관 설정 등을 계산하여 포반에 전달한다. 포반은 이 지시에 따라 포를 조작하여 사격한다.

전방 관측병은 탄착 지점을 관측하고 수정 사항을 사격 지휘소에 다시 전달하며, 이 과정은 임무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사격이 충분히 정확해지면 전방 관측병은 "표적 명중, 효과 사격"을 알린다.

전방 관측반에게는 보이지만, 포를 운용하는 병사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표적에 대한 포병 사격 요청 및 조정


전방 관측병은 일반적으로 적을 볼 수 있는 지상에 은폐된 관측소를 구축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항공기가 사용된 초기 사례처럼 공중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고정된 위치에 있을 경우, 적에게 관측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전방 관측병이 발견되면 개인적인 안전뿐만 아니라 포대의 사격 능력도 저해되기 때문이다.

전방 관측병은 야전 포병 기반의 곡사포와 보병에 내장된 박격포 부대 외에 근접 항공 지원 및/또는 해군 포병에 대한 사격을 지휘해야 할 수도 있다.

4. 3. 사격 지휘소 (FDC)

사격 지휘소(FDC)는 사격 데이터를 계산하고 포병 부대에 사격 명령을 전달하는 곳이다. 대부분의 야전 포병은 날씨, 지형, 야간, 거리 등의 문제로 간접 사격을 필요로 한다. 훈련된 포병 관측병(또는 전방 관측병)은 목표물을 관측하고 좌표를 사격 지휘소에 전달하며, 사격 지휘소는 이를 바탕으로 사격 방향, 고각, 추진제량, 신관 설정 등을 계산하여 포반에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경보병 사단에는 6문의 야포로 구성된 포대당 1개의 화력 지휘소(FDC)가 있다. 전형적인 중(重)사단에는 2개의 4문 섹션을 운용할 수 있는 2개의 FDC가 있으며, 이를 분할 포대라고도 한다. FDC는 사격 지휘, 즉 포병의 사격 데이터를 계산한다. 이 과정은 관측병의 위치를 기반으로 정확한 표적 위치를 결정한 다음, 포의 위치에서 표적까지의 사거리와 방향을 계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수 각도기, 미리 계산된 사격 데이터가 있는 계산자 등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표적과 곡사포 고도 간의 차이, 추진제 온도, 대기 조건, 심지어 지구의 곡률과 자전과 같은 조건에 대한 보정도 추가할 수 있지만, 대부분 속도를 위해 정확도를 희생하면서 일부 보정이 생략된다. 최근에는 FDC가 컴퓨터화되어 사격 데이터를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4. 4. 지휘소 (CP)

대부분의 포병대에서 지휘소(CP)는 포의 사격을 통제한다.[1] 지휘소는 포와 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보통 포대의 중앙에 위치하며, 위장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1] 하지만 지휘소 장교(CPO)는 모든 포를 쉽게 볼 수 있어야 한다.[1] 때로는 지휘소 앞에 포 위치 표시를 두어 지휘소 장교에게 어떤 포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 상기시키기도 한다.[1] 지휘소 장교는 화력 계산기를 작동하는 두 명의 "보조"(Acks)의 지원을 받는다.[1] 포반장(GPO)과 지휘소 장교는 도표 계산기에서 보조가 계산한 데이터가 정확하고 안전한지 확인한다.[1] 지휘소 통신병은 관측소(OP)와 연락을 취하며, 전방 관측 장교(FOO)는 관측소 팀과 함께 표적을 식별하고 사격 데이터를 호출한다.[1] 최근에는 지휘소 장교와 포반 지휘관 간의 통신에 헤드셋 무전기가 흔하게 사용된다.[1]

4. 5. 사격 부대

현대 야전 포병(즉,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서 사격 부대는 사격 지휘소(FDC)의 명령에 따라 실제로 포를 발사한다. 사격 지휘소는 포병 부대에 경고 명령을 전달한 다음 탄약 종류 및 신관 설정, 방위각, 고저각, 그리고 조정 방법 또는 효과 사격(FFE) 명령을 전달한다. 고저각(수직 방향)과 방위각 명령은 밀 단위로 지정되며, 관측병의 사격 명령을 기다리는 것과 같은 특별 지시 사항도 FDC를 통해 전달된다. 포반은 곡사포에 탄약을 장전하고, 손잡이 크랭크(일반적으로 견인포) 또는 유압 장치(자주포 모델)를 사용하여 포신을 요구 지점으로 선회시키고 고도를 조절한다.[1]

5. 대포병 사격

대포병 사격은 적의 포병을 무력화하거나 파괴하기 위한 사격이다. 적 포병이 제기하는 위협을 제거하는 것은 전장에서 중요한 목표이다. 대부분의 경우 적 포대는 보병이 교전하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포병이 이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포대는 적 포대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가능하다면, 포병 관측반이 지상 또는 공중에서 적 포에 직접 사격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대포병 레이더를 사용하여 적 포탄의 낙하를 관측하고 궤도를 계산하여 포대를 찾을 수도 있다. 정확하게 계산된 궤도는 포탄이 발사된 위치를 드러내며, 이 정보는 아군 포대 지휘소에 사격 임무로 전달될 수 있다.

5. 1. 대포병 사격에 대한 방어

대포병 사격에 대한 방어에는 공격할 두 가지 지점이 있는데, 바로 적의 관측 능력을 제거하거나 적의 관측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것이다.

관측 능력을 제거하려면 관측 자산을 공격해야 한다. 대부분의 대포병 레이더는 능동형이므로 빔을 청취하여 위치를 전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자신의 위치가 은밀한 포병 관측반에 의해 관측되고 있다고 의심되면 이러한 위협을 처리하기 위해 포병 또는 보병 임무가 수행된다.

또는 포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관측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자주포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견인포는 배치하고 다시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장갑이 없기 때문에 대포병 사격에 취약하며 새로운 위치에서 교전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자주포는 이러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 자주포는 이동하여 포가를 내리고 사격한 다음 이동할 수 있다. 장갑으로 인해 대포병 사격에 덜 취약하다. 그러나 이 장갑은 전차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경사격(예: 기관총)과 파편으로부터만 보호한다.

자주포의 또 다른 단점은 더 가볍고 덜 정확한 포를 장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전투의 성격에 따라 이러한 단점 중 하나 또는 둘 다 심각한 제약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독일 PzH 2000과 같은 현대식 자주포의 경우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 자주포는 155mm 주 무장을 갖추고 있으며, 보조 사격 장약을 사용하면 60km까지 사격할 수 있으며, 도로에서 최대 67km/h, 비포장 도로에서 45km/h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적이 대포병 사격으로 이를 고정시키기 전에 사격-이동-사격을 할 수 있는 완전한 컴퓨터식 사격 통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분당 10발의 발사 속도를 가지고 있다.

6. 상위 제대 FDC

포병대대, 여단/연대 수준에도 FDC가 존재하여 예하 부대의 사격 임무를 감시하고 조정한다. 이러한 상위 FDC는 여러 포대나 포병대대의 사격을 조정하여 포병대대 또는 여단/연대 임무를 수행한다. 훈련 및 전시 훈련에서 최대 3개 포병대대의 72문이 "여단/연대 목표 시간"(TOT) 작전에 동원될 수 있다. 하위 부대가 상위 부대로부터 "임무 취소" 또는 "사격 중지" 명령을 받지 않으면 임무가 계속 진행된다는 "침묵은 동의" 규칙이 적용된다. 상위 부대는 하위 부대의 임무를 적극적, 수동적으로 감시한다. 또한 사격 지원 조정 경계 너머의 포병 사격을 조정하는 데 관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위 부대나 해당 영토를 관할하는 인접 부대의 허가 없이는 사격할 수 없다.[1]

7. 주요 포병 전투

다음은 포병이 중요한 역할을 한 주요 전투 목록이다.

전투
카스티용 전투
섬터 요새 전투
빅스버그 공방전
찰디란 전투
제1차 파니파트 전투
카누아 전투
솜 전투
비미 능선 전투
제3차 이프르 전투
탈리-이한탈라 전투
디엔비엔푸 전투
벌지 전투
블러디 능선 전투
올드 볼디 전투
검성산 전투
노포크 전투
일로만치 전투 (1944년)
비보르크-페트로자보츠크 공세
맬번힐 전투
안티에탐 전투
피터스버그 공방전
남동 전투
중월 전쟁 (1979-1990)
비보르크만 전투 (1944년)
고꽁 전투
험프 작전
포크찹힐 전투
페트로파블롭스크 공방전
아헨 전투
트라이앵글힐 전투
지평리 전투
동당 전투 (1979년)
콜라아 전투
수르사리 전투
타르투 공세
젤로 고지 전투
니에트야르비 전투
티엔하라 전투
베를린 전투
요크타운 공방전
중소 국경 분쟁
항코 전투 (1941년)
오데르-나이세 전투
할베 전투
제2차 팔루자 전투
메두사 작전
상긴 공방전
머우케 전투
롱딘 전투
장진호 전투
아웃포스트 베가스 전투
케산 전투
알마 전투
퀸 작전
하프지 전투
가름시르 전투
게티즈버그 전투
이글스 서밋 작전
레마겐 전투
제2차 도네츠크 공항 전투
마기스트랄 작전
코브라 작전
스몰렌스크 전투 (1943년)
발트 공세
바스라 공방전
제2차 알 파우 전투
쾨니히스베르크 전투
스탈루포넨 전투
굼비넨 전투
탄넨베르크 전투
그닐라 리파 전투
나산 전투
학탕니 전투
립코드 화력지원기지 전투
박천 전투
챗콜 전투
실리스트라 공방전 (1854년)
란제라트 능선 전투
파이어베이스 버드
오소비에츠 요새
볼리모프 전투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대퇴각 (러시아)
노보게오르기예프스크 공방전
나로치 호수 공세
크리스마스 전투
유글라 전투
디낭 전투
나뮈르 공방전 (1914년)
몽스 전투
제1차 이프르 전투
모뵈주 공방전
르 카토 전투
르 그랑 페 전투
네리 전투
아웃포스트 해리
후크 전투
탄넨베르크 선 전투
스타라이트 작전
서울 함락 (1951년)
에르주룸 공세
모스크바 전투
새벽 작전
유니온 작전
뇌브 샤펠 전투
제2차 샴페인 전투
제3차 샴페인 전투
제3차 아르투아 전투
라 말메종 전투
제3차 앤 전투
아미앵 전투 (1918년)
셀 전투
엘센본 능선 전투
부오살미 전투
까오방 전투 (1979년)
라도가 카렐리아 재정복 (1941년)
동 카렐리아 정복 (1941년)
옥트윈 전투
몽까이 전투
나르바 교두보 전투
아박 전투
청천강 전투
임진강 전투
안록 전투
키예프 전투 (1943년)
개성 전투
카르길 전쟁


참조

[1] 서적 American Breechloading Mobile Artillery, 1875-1953 Schiffer Publishing, Ltd.
[2] 서적 A History of Warfare Vintage
[3] 서적 Ancient Inventions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4] 서적 Science &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7: The Gunpowder Ep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6] 간행물 U.S. Army Field Manual 6-50 Chapter 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