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속은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며, 개인 간의 관계, 사회적 규범, 정치적 전략, 종교적 의무 등 다양한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계약, 선거 공약, 종교적 서약 등이 있으며, 철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도 약속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구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역사적으로 회맹과 같은 약속의 형태가 존재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정치적 약속인 선거 공약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행 여부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약속은 그 성격과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철학자들은 약속에 대한 규칙을 정립하려고 노력해왔다. 이마누엘 칸트는 약속을 항상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일부 결과주의자들은 이득을 가져다줄 때마다 약속을 어겨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12] 이안 킹은 그의 저서 ''훌륭한 결정을 내리고 항상 옳게 되는 방법''에서 이러한 입장을 조화시키려 시도했다.[13]
2. 약속의 유형
선서와 확약 모두 약속이 될 수 있으며, 특별한 종류의 약속으로는 서약이 있다.
2. 1. 개인 간의 약속
약속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거나 행동을 삼가겠다는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다.[4] 이는 최소한 한 명 이상의 다른 당사자에게 한 당사자가 전달하여 약속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의사를 나타내는 사람은 약속자이다. 의사 표시가 전달되는 사람은 약속 수령자이다.
법률에서 계약은 청약과 승낙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려는 청약은 청약 수령자(피청약자)가 청약에 명시된 방식(있는 경우)으로 청약을 수락하면 청약자(청약자)가 청약에 명시된 조건에 법적으로 구속되겠다는 표시로 구성된다. 승낙이 이루어지면 구속력 있는 계약이 성립되어 양 당사자는 그 조건에 법적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계약은 자발적으로 수락된 법적 의무이다. 계약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당사자는 계약 위반으로 간주되며 상대방에게 보상할 책임이 있다. 보상은 일반적으로 손해 배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당사자를 계약이 이행되었을 경우와 동일한 위치에 두기에 충분한 금액의 지불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00USD에 차를 판매하기로 동의하고 B가 지불하기로 동의하면, A가 차를 인도하지 못하는 경우 B는 합의된 가격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지 않고 유사한 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충분한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 따라서 위반 시점에 차 가격이 10% 상승했다면, B가 아직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A는 B에게 1000USD를 지불해야 한다. B가 5000USD의 계약금을 지불했다면, B는 계약금 반환과 1000USD를 받을 자격이 있다. 계약은 방금 예시로 든 바와 같이 A가 차를 인도하기로 동의하고 B가 그 대가를 지불하기로 동의하는 상호 약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계약을 쌍무 계약이라고 한다. 그러나 계약은 A가 획득하려는 특정 차를 B가 찾으면 B에게 지불하기로 동의하는 경우와 같이 한 당사자의 약속만 발생시킬 수 있다. B는 검색할 의무가 없지만 차를 찾으면 대금을 받을 자격이 있다.
다른 유형의 약속에는 결혼 서약과 군사 서약을 포함하는 엄숙한 약속이 포함된다. 사람들은 또한 약속이 이루어질 당시에는 유감스럽고 어려운 동화 속 약속을 하지만 여전히 지켜야 한다.[5]
2. 2. 사회적 약속
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규범이나 규칙에는 법률, 관습, 도덕 등이 있다. 찰스 라이트 밀스가 언급한 '사회적 약속'은 사회가 개인에게 주는 책무이자, 개인이 사회 번영에 대한 답례로 행하는 책무를 의미한다.[20][15] 아메리칸 드림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2. 3. 정치적 약속
민주주의에서 약속, 특히 선거 과정에서 정치인이나 정당이 유권자에게 제시하는 선거 공약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거 공약은 종종 정치와 개인의 협력에 의해 형성된다.[3]
정치인들은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더 나은 미래를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선거 공약이 지켜지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공약들은 악명 높게 파기되기도 한다.
2. 4. 종교적 약속
기독교 신학은 신자들에게 부여된 성령의 은사를 예수가 한 약속의 성취로 간주한다.[7] 예수는 기도에 유리한 "위대한 약속"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8]
기독교 윤리에서는 단순한 약속과 서약 또는 맹세 간의 구별이 이루어진다. 서약은 하느님을 증인으로 부르는 약속이다.[9] 맹세는 하느님을 증인으로 하여 도덕적 선에 헌신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엄숙한 형태의 약속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약속을 이행하도록 자신을 묶는다.[10]
일부 기독교 집단, 예를 들어 퀘이커교와 재세례파 교회 (예: 메노나이트)는 산상 설교에서 주어진 계명에 근거하여 서약과 확언을 모두 거부하며, 모든 약속이 하느님에 의해 증명되어야 한다고 여긴다.
이슬람의 경전 수라 안나할에서, 무슬림은 확언한 약속을 깨는 것을 신이 금지한다. 모든 약속은 알라를 증인과 보증인으로 여긴다. 하디스에서 무함마드는 약속을 했지만 더 나은 일을 해야 한다고 판단한 무슬림은 더 나은 일을 하고 약속을 깬 것에 대한 속죄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슬람에서는 맹세를 깨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맹세를 깬 사람은 용서를 구하고 죄를 갚기 위해 가난한 사람 10명에게 식량을 제공하거나 옷을 입히거나 노예를 해방(오늘날에는 거의 불가능함)해야 하며, 이를 할 수 없을 경우 3일 동안 금식해야 한다. 빨리 처벌받는 네 가지 유형의 약속 중 하나는 상대방이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할 때 관계를 해치고 싶어하는 경우이다.[11]
2. 5. 법적 약속 (계약)
법률에서 계약은 청약과 승낙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려는 청약은 청약 수령자(피청약자)가 청약에 명시된 방식(있는 경우)으로 청약을 수락하면 청약자(청약자)가 청약에 명시된 조건에 법적으로 구속되겠다는 표시로 구성된다. 승낙이 이루어지면 구속력 있는 계약이 성립되어 양 당사자는 그 조건에 법적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계약은 자발적으로 수락된 법적 의무이다. 계약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당사자는 계약 위반으로 간주되며 상대방에게 보상할 책임이 있다. 보상은 일반적으로 손해 배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당사자를 계약이 이행되었을 경우와 동일한 위치에 두기에 충분한 금액의 지불 형태로 이루어진다.[4]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00USD에 차를 판매하기로 동의하고 B가 지불하기로 동의하면, A가 차를 인도하지 못하는 경우 B는 합의된 가격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지 않고 유사한 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충분한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 따라서 위반 시점에 차 가격이 10% 상승했다면, B가 아직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A는 B에게 1000USD를 지불해야 한다. B가 5000USD의 계약금을 지불했다면, B는 계약금 반환과 1000USD를 받을 자격이 있다. 계약은 방금 예시로 든 바와 같이 A가 차를 인도하기로 동의하고 B가 그 대가를 지불하기로 동의하는 상호 약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계약을 쌍무 계약이라고 한다. 그러나 계약은 A가 획득하려는 특정 차를 B가 찾으면 B에게 지불하기로 동의하는 경우와 같이 한 당사자의 약속만 발생시킬 수 있다. B는 검색할 의무가 없지만 차를 찾으면 대금을 받을 자격이 있다.[4]
3. 약속의 철학적 관점
칸트와는 반대로, 일부 로스적 다원론자들은 옳고 그름에 관한 도덕성이 글로 형식화될 수 없다고 믿는다.[14] 어떤 상황에서는 약속을 깨는 것이 약속을 지키는 것보다 더 유익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적 원칙은 관련된 사람들의 이점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침과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3. 1. [[이마누엘 칸트]]의 의무론
이마누엘 칸트는 약속은 항상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2] 반면 일부 결과주의자들은 이득이 될 때마다 약속을 어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안 킹은 그의 저서 ''훌륭한 결정을 내리고 항상 옳게 되는 방법''에서 "약속이 다른 사람들에게 새로운 선택보다 가치가 없을 경우"에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제안하며, 약속 이후에 약속 자체보다 더 중요한 예상치 못한 상황 변화가 발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칸트와 달리, 일부 로스적 다원론자들은 옳고 그름에 관한 도덕성이 글로 형식화될 수 없다고 믿는다.[14] 어떤 상황에서는 약속을 깨는 것이 약속을 지키는 것보다 더 유익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적 원칙은 관련된 사람들의 이점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침과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3. 2. [[결과주의]]적 관점
결과주의자들은 약속을 어기는 것이 더 큰 이익을 가져다줄 경우, 약속을 어길 수 있다고 주장한다.[12] 어떤 상황에서는 약속을 깨는 것이 약속을 지키는 것보다 더 유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덕적 원칙은 관련된 사람들의 이점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침과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3. 3. [[이안 킹]]의 절충적 관점
이안 킹은 그의 저서 ''훌륭한 결정을 내리고 항상 옳게 되는 방법''에서 약속이 다른 사람들에게 새로운 선택보다 가치가 없을 경우, 그리고 약속 이후에 약속 자체보다 더 중요한, 관련되고 예기치 못했으며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상황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만 약속을 파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13]
4. 한국 사회와 약속
사회학에서 약속은 찰스 라이트 밀스[20] 등이 논한 바에 따르면, 사회가 우리에게 주는 사상적 인상이나 책무이자 번영의 답례로 우리가 사회에 행하는 책무이다. 아메리칸 드림을 இதற்கு சிறந்த உதாரணமாக 들 수 있다.
4. 1. 역사 속의 약속: 회맹
회맹(會盟)은 제후나 그 사신들이 유력자를 중심으로 모여 맹약하는 것을 말한다. '회(會)'는 미리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모이는 회합을 의미하며, '맹(盟)'은 소의 왼쪽 귀를 잘라 그 피로 조약서를 쓰고 회합한 제후들이 피를 마시는 의식을 뜻한다.[1] 이 회맹의 맹주를 패자(覇者)라고 부른다.[1] 회맹은 초기에는 패자가 주 왕실의 위임을 받아 국제 친선, 가족 도덕 등 중원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나, 점차 강자를 중심으로 하는 공수(攻守)동맹, 즉 공격과 방어를 위한 동맹으로 변화해 갔다.[1]4. 2. 현대 한국 사회의 약속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약속은 중요한 사회적 기제로 작용하며, 특히 정치 분야에서 선거 공약의 형태로 자주 나타난다. 민주주의에서 약속은 특히 선거 기간 동안 유권자들에게 안심을 주기 위해 이루어진다.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더 나은 미래를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하는 정치적 전략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역대 정권에서 선거 공약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사례도 많다.[20]5. 약속의 심리학적 측면
약속은 Verbrugge, Dieussaert, Schaeken, William이 위협과 비교한 바 있다.[16] 위협이나 약속이 조건부일 경우, 양쪽 모두 조건적인 해석을 받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위협과 약속은 모두 화자에 의해 고도로 통제된다. 근본적인 차이점은 화자 측에서 예상되는 행동의 가치이다. 약속의 경우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반면, 위협의 경우 부정적이다. 위협이 단순히 부정적인 약속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시사하는 일부 증거가 있다.[17] 그러나 약속은 종종 화자가 보상을 내세워 청자가 무언가를 하도록 설득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반대로 위협은 처벌의 가능성을 내세워 청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규모" 및 "신뢰성"과 같은 약속과 위협의 특정 특성은 대상이 순응을 얻거나 실패할 확률에 영향을 미친다.[18]
약속은 여러 범주로 분류될 수 있지만 두 가지 핵심 구성 요소를 갖는다. 약속이 수행하는 활동의 유형과 약속의 내용이다. 약속은 무언가가 완전히 보장된다는 확신과, 그 순간에 검증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는 스트레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우리의 마음에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다.[19]
6. 결론
사회학에서 약속은 찰스 라이트 밀스[20] 등이 논한 바와 같이, 우리 사회가 우리에게 주는 사상적 인상이나 책무이자, 번영의 답례로 우리가 사회에 행하는 책무이다. 아메리칸 드림은 이에 대한 가장 좋은 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romise
http://www.thefreedi[...]
2018-04-26
[2]
논문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2012-09
[3]
논문
Promise
2012
[4]
서적
Promises and Contract Law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Promise
http://resolver.scho[...]
2012-10-01
[6]
서적
Parenting from the Scriptures and Scriptures for the Parents
Christian Faith Publishing
2017-01-26
[7]
기타
[8]
기타
An Exposition Of The Gospels by The Most Rev. John Macevilly D.D.: John 14
https://www.ecatholi[...]
1879
[9]
서적
Catholic Almanac 2010
https://archive.org/[...]
Our Sunday Visitor
[10]
기타
[11]
웹사이트
Greater Sins
http://www.al-islam.[...]
Al-Islam.org by the Ahlul Bayt DILP – Home
2011-12-05
[12]
서적
How to Make Good Decisions and Be Right All the Time: Solving the Riddle of Right and Wrong
[13]
서적
How to Make Good Decisions and Be Right All the Time: Solving the Riddle of Right and Wrong
[14]
서적
Moral Rules and Principles
[15]
웹사이트
Home
http://socialscience[...]
2018-04-26
[16]
논문
Promise is debt, threat another matter: the effect of credibility on the interpretation of conditional promises and threats
http://search.proque[...]
[17]
간행물
Threats may be negative promises (but warnings are more than negative tips)
http://nrl.northumbr[...]
2016-07-03
[18]
서적
Social Psychology
Wadsworth Publishing
[19]
웹사이트
Promise me you'll try
http://www.psycholog[...]
2018-04-26
[20]
웹인용
Home
http://socialscience[...]
2018-04-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약속 [말글살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