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서는 진실을 증명하거나 약속하기 위한 맹세 또는 엄숙한 호소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 사회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고대 사회에서는 종교적 의미가 강했으며, 중세 시대를 거치며 기독교의 영향으로 더욱 강조되었다. 근대에 들어서는 법률적, 정치적 의미가 강화되어, 법정 증언, 공직 취임, 시민권 취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선서는 히포크라테스 선서, 충성 서약, 취임 선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종교적 이유로 선서를 거부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서 - 맹세
    맹세는 신에게 하는 약속을 의미하며, 종종 결혼 서약과 같은 다른 형태의 약속을 포함하며, 종교적 행위는 물론, 머리카락을 바치는 등의 의례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 선서 - 히포크라테스 선서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 또는 그의 제자들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맹세로, 환자의 건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여기고 해를 끼치지 않으며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의사의 기본 의무로 강조하며, 현대에는 제네바 선언 등 다양한 형태로 변용되어 의료 윤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선서
개요
정의어떤 진술의 진실성을 확인하거나 약속의 진실성을 보증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엄숙한 선언 또는 약속
법적 맥락법정, 정부, 종교 단체 등에서 사용
목적진실성을 보장하고 신뢰를 구축
역사 및 어원
어원고대 영어 "āþ"에서 유래
의미신성한 맹세 또는 약속
고대 사회신에 대한 맹세로 여겨짐
종교적 중요성신과의 관계를 강조
다양한 형태의 선서
서약특정 직무를 수행하기 전에 하는 공식적인 약속
국가에 대한 충성, 법률 준수, 공정한 직무 수행 등을 약속
증인 선서법정에서 증언하기 전에 진실만을 말할 것을 약속
맹세신 또는 신성한 것에 대한 맹세
법적 중요성
위증죄선서를 어길 경우 처벌
증거 능력선서를 통해 진술의 신뢰성 강화
법적 절차선서가 중요한 역할 수행
종교적 의미
기독교성경에 언급된 선서
유대교토라에 언급된 선서
이슬람교코란에 언급된 선서
중요성종교적 의무와 관련
선서의 윤리적 의미
약속의 중요성개인적 및 사회적 관계에서 신뢰 구축
도덕적 책임선서를 통해 도덕적 의무 강조
사회적 영향사회 질서 유지에 기여
현대 사회에서의 선서
공무원 선서대통령, 국회의원 등 공무 수행 전 선서
시민권 선서새로운 국가에 대한 충성 서약
다양한 분야법률, 정부, 군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선서의 문화적 의미
상징성전통과 역사적 가치 반영
사회적 규범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 유지
공동체 의식공동체의 가치 공유

2. 역사

'선서'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 ''āþ|아스ang''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진실을 증명하거나 약속하기 위한 사법적 맹세, 신에 대한 엄숙한 호소"를 의미하며, 게르만 조어 ''*aiþaz''를 거쳐 인도유럽 조어 ''*oi-to-'': "맹세"에서 파생되었다.[1]

자크 루이 다비드의 테니스 코트의 선서


이슬람교에서는 맹세의 이행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이는 꾸란의 가르침에 따른다. 꾸란 제5장 89절에는 맹세를 어겼을 경우, 가난한 사람 열 명을 먹이거나, 옷을 입히거나, 노예를 해방하는 등의 속죄를 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선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기청문, 스트라스부르의 맹세, 메이플라워 서약, 테니스 코트의 서약, 5개조의 서약 등이 대표적이다.

2. 1. 고대

유대교에서 서약은 창세기에서 아브라함의 수석 종인 엘리에셀과 그의 아들 이삭을 위해 아내를 찾는 과정에서 처음 등장하며, 민수기 30장 2절에 맹세의 기본 텍스트가 나타난다. 랍비들은 "네데르"(일반적으로 "서약"으로 번역됨)는 대상, "샤마르"(일반적으로 "맹세"로 번역됨)는 사람을 지칭한다고 해석한다. 할라카에서 "네데르"는 어떤 외부의 것의 상태를, "슈부아"는 맹세하는 사람에게 내부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구별된다.[2]

고대 로마에서는 유피테르 라피스 또는 카피톨리노 언덕에 위치한 유피테르 신전에서 유피테르 석에 맹세했다. 맹세석으로 여겨진 ''유피테르 라피스''는 질서를 책임지는 신성한 법률 제정자로서의 유피테르의 역할과 관련하여 주로 취임 선서에 사용되었다.[3] 깨진 맹세는 지옥의 신 오르쿠스가 벌을 주었다.

힌두 서사시인 라마야나마하바라타에서 "프라티그야"라고 불리는 맹세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다샤라타 왕은 왕비 카이케이를 위한 맹세로 아들 라마를 14년간 유배 보내야 했다. 마하바라타에서 데바라타는 독신 맹세를 통해 "비쉬마"라는 이름을 얻었다.

발터 부르케르트는 아테네의 리쿠르고스 이후 종교, 도덕, 정치 조직이 선서에 의해 연결되었으며, 선서와 제단이 민법, 형법, 국제법의 기반이 되었다고 밝혔다.[4] 전통적인 그리스 민요에서 선서의 중요성은 죽음을 초월할 정도로 강조된다.[5]

2. 2. 중세

기독교의 영향으로 선서가 더욱 강조되었다.[1]

2. 3. 근대

근대에는 선서의 종교적 의미가 약화되고 법률적, 정치적 의미가 강화되었다. 여러 종류의 선서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스트라스부르의 맹세, 메이플라워 서약, 테니스 코트의 서약, 5개조의 서약 등이 있다. 직업적인 선서로는 히포크라테스 선서가 있으며, 스포츠 행사에서는 올림픽 선서나 선수 선서를 한다. 국가에 대한 충성을 다짐하는 충성 선서도 존재하며, 충성 선서 (독일), 충성의 맹세 (미국), 일본의 복무 선서 등이 있다. 미국의 경우 미국 대통령 취임 선서와 미국 부통령 취임 선서가 대표적이다.

3. 법률적 측면

현대 법률에서 선서는 법정 증언, 공직 취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증인은 증언의 진실성을 담보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진실을 진술하겠다는 내용의 선서 의무를 진다. 다만 16세 미만 등은 선서 의무가 없으며, 법원이 선서를 면제하거나 증인이 선서를 거부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선서한 증인이 허위 진술을 하면 위증죄가 성립된다.

선서 진술서는 작성자가 진실이라고 맹세하는 경우에만 확인을 서면 진술서로 대체하는 것으로, 맹세나 확인이 전혀 없는 법정 선언과는 다르다. 공증인은 문서에 인장을 부착하여 선서 집행을 증명하기도 한다. 고의로 허위 선서나 확인을 하는 것은 위증죄에 해당한다.

선서는 약속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올림픽 선서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올림픽 선서는 약속만 있을 뿐 신성한 증인에 대한 호소가 없으므로 엄밀히 말해 선서가 아니다. 서약은 일종의 선서이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법률에서는 증인이 법정에서 진실을 진술하겠다는 요지의 선서를 해야 하며, 허위 진술 시 위증죄가 성립된다.[1] 16세 미만의 자 등은 선서 의무가 없다.[1] 법원이 선서를 면제하거나 증인이 선서를 거부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1]

3. 2. 미국

미국에서는 법정 증언뿐만 아니라, 공직 취임 시에도 선서를 한다.

3. 3. 기타

선서 진술서는 선서 또는 확인을 통해 진실성을 보장하는 서면 진술서이다. 고의로 허위 선서(또는 확인)를 하는 것은 위증죄에 해당한다.

4. 종류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이 암살된 직후, 린든 존슨은 에어포스 원에서 새로운 대통령으로 취임 선서를 했다.


선서는 그 목적과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이슬람에서는 맹세의 이행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이는 꾸란의 가르침에 따른 것이다. 꾸란에서는 맹세를 어길 시 속죄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선서들이 존재한다.

4. 1. 직무 관련 선서


  • 히포크라테스 선서: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가 역사적으로 하는 선서로, 정직하게 의학을 실천할 것을 맹세한다.
  • 수의사 선서: 수의사수의학히포크라테스 선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천하는 선서이다.
  • 충성 서약: 주체 또는 시민이 충성 의무를 인정하고 군주 또는 국가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선서이다.
  • 시민권 선서: 이민자가 공식적으로 시민으로 귀화할 때 하는 선서이다.
  • 취임 선서: 공직의 의무를 수행하기 전에 개인이 하는 선서 또는 확인이다.
  • 배심원 선서: 배심원 선정 또는 재판 시작 시 배심원이 하는 선서이다.
  • 빈곤자 선서: 개인의 돈이나 재산이 전혀 없음을 증명하는 선언 또는 선서이다.
  • 군인 선서: 국가 군대의 군 복무에 입대할 때 하는 선서이다.
  • 결정 선서: 사실 분쟁을 결정적으로 해결하는 선서이다.
  • 미국 대통령 취임 선서
  • 미국 부통령 취임 선서

4. 2. 법정 선서

증언의 진실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증인은 원칙적으로 진실을 진술하겠다는 요지의 선서 의무를 진다(290조, 292조). 16세 미만의 자 등은 선서 의무가 없으며(293조), 법원이 선서를 면제할 수 있는 경우가 있고(294조), 증인이 선서를 거부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295조). 선서한 증인이 허위 진술을 하면 위증죄가 성립된다(형 152조 1항, 153조).

4. 3. 기타 선서


  • 히포크라테스 선서: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가 역사적으로 하는 선서로, 정직하게 의학을 실천할 것을 맹세한다.
  • 수의사 선서: 수의사수의학을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천하는 선서이다.
  • 충성 서약: 주체 또는 시민이 충성 의무를 인정하고 군주 또는 국가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선서이다.
  • 시민권 선서: 이민자가 공식적으로 시민으로 귀화할 때 하는 선서이다.
  • 취임 선서: 공직의 의무를 수행하기 전에 개인이 하는 선서 또는 확인이다.
  • 배심원 선서: 배심원 선정 또는 재판 시작 시 배심원이 하는 선서이다.
  • 빈곤자 선서: 개인의 돈이나 재산이 전혀 없음을 증명하는 선언 또는 선서이다.
  • 군인 선서: 국가 군대의 군 복무에 입대할 때 하는 선서이다.
  • 결정 선서: 사실 분쟁을 결정적으로 해결하는 선서이다.
  • 기청문
  • 스트라스부르의 맹세
  • 메이플라워 서약
  • 테니스 코트의 서약
  • 5개조의 서약
  • 올림픽 선서
  • 선수 선서
  • 충성 선서 (독일)
  • 충성의 맹세 (미국)
  • 복무 선서 (일본)
  • 미국 대통령 취임 선서
  • 미국 부통령 취임 선서

5. 현대 사회에서의 의의

현대 사회에서 선서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법치주의 사회에서 선서는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증인은 진실을 말하겠다는 선서 의무를 지며, 이를 어기고 거짓 진술을 하면 위증죄가 성립된다.

5. 1. 논란

일부 종교 단체는 성경 구절을 근거로 선서에 반대하기도 한다. 특히 친우회와 재세례파 단체인 메노나이트, 아미쉬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주로 마태복음 5장 34-37절 (율법의 반명제)에 근거하는데, 여기서 그리스도는 "결코 맹세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야고보는 5장 12절에서 "내 형제들아, 무엇보다도 맹세하지 말라. 하늘로도, 땅으로도, 그 밖의 어떤 것으로도 맹세하지 말라"고 말한다. 퀘이커교는 항상 진실할 것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선서는 이중적인 진실성의 기준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모든 기독교인이 이 구절을 모든 유형의 선서를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아니다. 선서에 반대하는 일부 기독교 단체들은 역사적으로 많은 문제를 겪었다. 퀘이커교도들은 충성 맹세를 거부하여 자주 투옥되었고, 법정 증언도 어려웠다. 조지 폭스는 맹세를 요구한 판사에게 예수나 그의 사도들이 선서를 한 성경 구절을 지적하라고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다. 18세기 이후 법 개혁으로 영국에서는 선서 대신 엄숙한 확인을 할 권리가 생겼다. 미국은 건국 이후로 확인을 허용했으며, 미국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 프랭클린 피어스 대통령만이 취임 시 선서 대신 확인을 선택했다.

1880년 찰스 브래들로는 무신론자라는 이유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자격을 박탈당했는데, 충성 서약을 할 수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ath (n.) https://www.etymonli[...] 2019-03-17
[2] 서적 Metsudah Chumash and Rashi KTAV Publishing House 1991
[3] 서적 The Religion of Ancient Rome http://www.gutenberg[...] Archibald Constable & Co. Ltd. 2015-08-18
[4] 서적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5] 서적 Ιστορία της Νεοελληνικής Λογοτεχνίας Μορφωτικό Ίδρυμα Εθνικής Τραπέζης 2002
[6] 성경
[7] 성경
[8] 간행물 Faith and Practice Baltimore Yearly Meeting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1988
[9] 서적 Scouting for Boys Horace Cox 1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