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니스트 베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니스트 베델은 영국의 언론인으로, 1904년 러일 전쟁 취재를 위해 대한제국에 왔으며, 이후 일제의 침략을 비판하는 언론 활동을 펼쳤다. 그는 양기탁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항일 운동을 지원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재판을 받기도 했다. 1909년 사망 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추서받았으며, 2012년 추모식이 거행되는 등 한국 독립 운동에 기여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언론인 - 백관수
    백관수는 호를 근촌이라 하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2·8 독립 선언을 주도하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 활동했으며,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고 제헌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
  • 한국의 언론인 - 이원조 (문학 평론가)
    이원조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문학 평론가로, 민족주의적 성향과 사회 비판적 시각을 바탕으로 좌익 문학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박헌영·이승엽 간첩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는 주장이 있고, 사회주의적 가치를 옹호하며 한국 문학사에 영향을 미쳤다.
  • 한국에 거주한 영국인 - 레지널드 블라이스
    레지널드 블라이스는 영국 출신의 영문학자로,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며 선불교와 하이쿠 연구에 헌신했고, 서구 사회에 선불교와 하이쿠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 한국에 거주한 영국인 - 존 로스 (선교사)
    스코틀랜드 출신 장로교 선교사 존 로스는 중국 동북부에서 활동하며 조선족 상인들을 통해 한국어를 배워 한국어 성경 번역에 기여하고 한국어 학습서와 한국 역사서를 저술했다.
  • 일본에 거주한 잉글랜드인 - 빌 폴크스
    빌 폴크스는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1968년 유러피언컵 우승을 이끌었고, 뮌헨 참사 이후 팀 재건을 주도했으며, 은퇴 후 유소년 코치와 프로팀 감독을 역임하다 2013년 사망했다.
  • 일본에 거주한 잉글랜드인 - 게리 리네커
    게리 리네커는 잉글랜드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공격수로, 레스터 시티, 에버턴, FC 바르셀로나, 토트넘 홋스퍼 등에서 활약했으며 1986년 FIFA 월드컵 득점왕,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48골 기록을 세웠고, 현재는 BBC "Match of the Day" 사회자 및 해설가로 활동한다.
어니스트 베델
기본 정보
이름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로마자 표기Bae Seol
한글 표기배설
한자 표기裵說
출생일1872년 11월 3일
출생지영국 브리스틀
사망일1909년 5월 1일
사망지대한제국 한성부 (현재 서울 대한민국)
국적영국
직업언론인
기타 정보
종교개신교 (잉글랜드 성공회)
활동 지역고베, 대한제국

2. 생애

영국 브리스틀 출신인 어니스트 베델은 16세부터 32세까지 일본에서 무역상으로 일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런던 데일리 크로니클 특파원 자격으로 대한제국에 왔다. 고종은 베델에게 "배설(裵說)"이라는 이름을 내리고 여러 편의를 제공했다.[7]

베델은 곧 데일리 크로니클을 떠나 양기탁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 1904년 7월 18일부터 발행했다. 처음에는 영어판만 발행했지만, 이듬해부터는 『대한매일신보』라는 이름으로 영어, 한글, 한자·한글 혼용판을 발행했다. 박은식, 신채호 등 항일 운동가들이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를 비판하는 기사와 논평을 작성했다.

대한매일신보


1905년 제2차 한일협약으로 대한제국이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지만, 영국인인 베델은 치외법권을 누렸다. 그러나 1907년 10월1908년 6월 두 차례에 걸쳐 영국 법률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폭동 선동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금고형과 보석금을 선고받고, 상하이의 영국 영사관 구치소에 수감되었다.[8][9]

석방 후 한성으로 돌아와 신문 발행을 계속했지만, 1909년 5월 1일 결핵으로 사망하여 양화진 외인묘지에 묻혔다. 조선인들이 세운 베델의 기념비는 일본에 의해 파괴되었다. 1964년 한국 거주 언론인들이 원래 기념비 근처에 새 기념비를 세웠다.[10] 1968년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대한제국 입국

1872년 11월 3일, 영국 브리스틀에서 태어났다. 16세에 일본에 와서 1904년까지 32년간 고베에서 무역업에 종사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영국의 『데일리 크로니클』(Daily Chronicle) 특파원으로 대한제국에 건너가 전쟁 취재를 했다. 전쟁 후에도 그대로 머물러 일본 제국주의적 행태를 보도했다. 베델은 일본군 병사들의 조선인 학대와 조선인들의 불공정한 대우를 목격했다.[7] 고종황제는 베델에게 "배설(裵說)"이라는 성명을 부여하고 여러가지의 편의를 제공했다.

2. 2. 대한매일신보 창간과 항일 언론 활동

1904년 7월 18일 양기탁과 함께 대한매일신보코리아 데일리 뉴스를 창간했다.[1] 1905년에는 코리아 데일리 뉴스의 국한문판도 발행했다. 일본 제국 검열관의 사전 검열을 피하고자 영국인 베델의 명의로 발행했다.

양기탁, 신채호, 박은식 등 민족주의 운동가들은 치외법권으로 보호받던 대한매일신보에 모여 일본 제국에 대한 비판을 전개했다.[7] 1907년 대한매일신보의 발행 부수는 1만 부를 넘어 최대 신문사가 되었고, 1910년 대한제국일본 제국에 합병될 때까지 여섯 해 동안 일본 제국에 침략당하는 조선의 실상을 알리고 을사조약이 무효라고 주장하는 등 항일 사상을 고취했다. 고종의 친서를 대한매일신보를 비롯한 여러 신문에 실어 일제 침략을 해외 여러 나라에 알리도록 노력했다.

2. 3. 일제의 탄압과 재판

1907년 10월1908년 6월, 베델은 일본 제국 통감부의 압력으로 두 차례 재판을 받았다.[1]

1908년 경성 주재 영국 총사령관 관할 법정에서 열린 두 번째 재판에서 영국인 판사 F. S. A. 본(F. S. A. Bourne)은 베델에게 3주간의 금고와 형 만기 후 6개월간의 선행 보증금으로 피고인 1000USD, 보증인 1000USD를 즉시 납부하라고 판결했다.[2] 베델은 상하이로 호송되어 3주간 금고형을 마치고 1908년 7월 경성으로 돌아왔다.[3]

이후 베델은 대한매일신보 사장직을 비서였던 앨프리드 W. 마넘(Alfred W. Marnham, 한국 이름: 萬咸(만함))에게 맡겼다. 일본 제국은 대한매일신보사 총무 양기탁에게 국채 보상금 횡령 혐의를 씌워 탄압하려 했으나, 양기탁의 무죄가 선언되어 실패했다. 그러나 일본은 강압적인 압력을 가하여 두 사람을 대한매일신보사에서 물러나게 하였다.

2. 4. 사망과 유산

1909년 5월 1일 심장비대증(en)으로 사망하였다. 그는 죽으면서 양기탁의 손을 잡고 "나는 죽을지라도 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 동포를 구하라"고 유언하였다. 서거 후, 양화진 외인 묘지에 안장되었다.[4]

한국인들은 그의 명예를 기리는 기념비를 세웠지만, 일본인들에게 훼손당했다. 1964년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기자들이 원래 기념비 근처에 또 다른 기념비를 세웠다. 두 기념비 모두 현재 양화진 외국인묘지 그의 묘소에서 볼 수 있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5]

해외 독립유공자로는 처음으로 국가유공자 명패를 손녀인 수잔 선생의 자택에 달게 되었다.

3. 사후 추서 및 기념

한국인들은 그의 명예를 기리는 기념비를 세웠지만, 일본인들에게 훼손당했다. 1964년에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기자들이 원래 기념비 근처에 또 다른 기념비를 세웠다.[4] 두 기념비 모두 현재 양화진 외국인묘지 그의 묘소에서 볼 수 있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5]

3. 1. 대한민국 정부의 추서

1968년 대한민국 정부는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11]

3. 2. 기념 사업

한국인들은 그의 명예를 기리는 기념비를 세웠지만, 일본인들에게 훼손당했다. 1964년에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기자들이 원래 기념비 근처에 또 다른 기념비를 세웠다.[4] 두 기념비 모두 현재 양화진 외국인묘지 그의 묘소에서 볼 수 있다.

1968년, 그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5] 2012년 5월 8일, 베델 기념 위원회가 주최한 베델을 위한 특별 추모식이 양화진 외국인묘지에서 거행되었다. 전직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수성이 추모식 사회를 맡았고, 이명박 대통령은 행사를 기념하여 화환을 보냈다. 한국 독립협회 회장 박유철을 포함하여 약 250명이 추모식에 참석했다.

영국 대사 스콧 라이트먼은 추모식에서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6]

"이번 추모식은 한국 근대사에 대한 어니스트 베델의 공헌과 우리 두 나라를 묶는 유대를 강화하는 데 그가 기여한 특별한 역할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세계 다른 지역에서 최근 발생한 사건들은 표현의 자유가 보편적인 것이 아님을 상기시켜줍니다. 따라서 제국주의의 잔혹함을 강조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권리를 옹호하며, 자유롭고 정의로운 사회에서 살 권리라는 모든 사람의 기본 권리를 재확인한 어니스트 베델과 같은 사람들의 역할을 기념하는 것은 매우 적절합니다."

4. 한국-영국 관계에 대한 기여

2012년 5월 8일, 양화진 외국인묘지에서 베델 기념 위원회가 주최한 베델 특별 추모식이 거행되었다.[6] 이수성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가 추모식 사회를 맡았고, 이명박 대통령은 화환을 보냈다.[6] 박유철 한국 독립협회 회장을 포함하여 약 250명이 추모식에 참석했다.[6]

스콧 라이트먼 영국 대사는 추모식에서 한국 근대사에 대한 어니스트 베델의 공헌과 양국 간 유대 강화에 기여한 그의 역할을 기념하는 연설을 했다.[6]

4.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2012년 5월 8일, 양화진 외국인묘지에서 베델 기념 위원회가 주최한 베델 특별 추모식이 거행되었다.[6] 이수성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가 추모식 사회를 맡았고, 이명박 대통령은 화환을 보냈다.[6] 박유철 한국 독립협회 회장을 포함하여 약 250명이 추모식에 참석했다.[6]

스콧 라이트먼 영국 대사는 추모식에서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6] "이번 추모식은 한국 근대사에 대한 어니스트 베델의 공헌과 우리 두 나라를 묶는 유대를 강화하는 데 그가 기여한 특별한 역할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세계 다른 지역에서 최근 발생한 사건들은 표현의 자유가 보편적인 것이 아님을 상기시켜줍니다. 따라서 제국주의의 잔혹함을 강조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권리를 옹호하며, 자유롭고 정의로운 사회에서 살 권리라는 모든 사람의 기본 권리를 재확인한 어니스트 베델과 같은 사람들의 역할을 기념하는 것은 매우 적절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Press, Office of the President http://english.presi[...]
[2] 뉴스 North China Herald North China Herald 1908-06-27
[3] 뉴스 North China Herald North China Herald 1908-06-27
[4] 서적 The Seoul Foreigners' Cemetery at Yanghwajin: An Informal History with Notes on Other Cemeteries in Korea and Individuals and Families in the History of the Foreign Community in Korea Seoul Union Church 1998
[5] 웹사이트 The journalist and missionary who defied Japan https://koreajoongan[...] 2008-06-29
[6] 웹사이트 British journalist remembered in Seoul-프린트화면 http://www.koreahera[...] 2012-05-13
[7] 웹사이트 Press, Office of the President http://english.presi[...]
[8] 뉴스 North China Herald North China Herald 1908-06-27
[9] 뉴스 North China Herald North China Herald 1908-06-27
[10] 서적 The Seoul Foreigners' Cemetery at Yanghwajin: An Informal History with Notes on Other Cemeteries in Korea and Individuals and Families in the History of the Foreign Community in Korea Seoul Union Church 1998
[11] 뉴스 한 영국 언론인이 남긴 '의병' 사진 https://m.sisain.co.[...] 시사IN 2017-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