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린갑은 개별 비늘을 꿰매거나 묶어 제작하는 갑옷의 한 종류이다. 고대 로마의 로리카 스쿠아마타가 대표적이며, 비늘은 끈이나 리벳으로 조립된다. 스키타이, 로마, 중세 유럽, 한국, 중국, 일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말에게 착용하는 마갑 형태로도 제작되었다. 다른 갑옷에 비해 찌르기 및 둔기 공격에 방어력이 뛰어나지만 유연성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현대에는 방탄복에도 유사한 형태가 사용되며, 판타지 작품에서는 강력한 방어구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어린갑 | |
---|---|
개요 | |
![]() | |
종류 | 방어구 |
재료 | 금속 가죽 기타 재료 |
사용 문화권 | 고대 근동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바이킹 시대 |
역사 및 형태 | |
기원 | 고대 근동 |
형태 | 작은 비늘 조각들을 겹쳐서 만든 갑옷 |
특징 | 유연성 제작 용이성 재료 다양성 |
한국의 어린갑 | |
![]() | |
정의 | 조선시대에 사용된 비늘 갑옷 |
재료 | 철편, 가죽 |
특징 | 철편을 물고기 비늘처럼 연결 주로 기병이 착용 |
사용 시기 | 조선 시대 |
2. 종류
어린갑은 금속이나 가죽 등의 작은 조각을 튼튼한 천이나 가죽 바탕에 끈이나 리벳으로 비늘 모양으로 붙여 만든 갑옷이다. 비슷한 크기의 조각을 대량으로 만들어 부착하면 완성되기 때문에, 로리카 세그멘타타나 플레이트 아머처럼 판금 자체를 입체적으로 만드는 것보다는 낮은 기술로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체인 메일보다는 높은 수준의 가공 기술과 노력이 필요했다.[1]
비늘 갑옷은 개별 비늘을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 의해 받침대에 꿰매거나 끈으로 묶어 물고기나 파충류의 비늘, 또는 지붕 타일과 유사하게 겹쳐진 형태로 배열한다.[3] 비늘은 보통 끈이나 리벳으로 조립되어 묶인다. 로리카 스쿠아마타가 이러한 유형의 대표적인 고대 로마 갑옷이다.
로마 제국에서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지만, 인접한 스키타이인이나 파르티아에서는 어린갑을 사용하였다. 서유럽에서는 체인 메일이 보급되는 10세기 무렵까지 가죽으로 된 어린갑이 사용되었다. 청동이나 철로 만들어진 어린갑은 기원전 시대부터 이란, 이라크, 중국, 북아시아의 유목민 등에서 사용된 사례가 있지만, 중국이나 이란에서는 이른 시기에 찰갑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많이 보이지 않는다.
스케일은 일본어로 비늘을 뜻하며, 직역하면 "비늘 갑옷"이지만, 동물의 비늘 등을 사용하여 갑옷을 만든 것은 아니다. 어린갑은 작은 조각끼리 겹쳐진 구조이기 때문에 옷처럼 유연하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복잡한 설계 없이도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 가슴에서 몸통에 걸쳐 덮는 갑옷이 많이 만들어졌다.
갑옷으로서의 기능은 날카로운 칼날에 의한 공격에 높은 방어 효과를 가지며, 뾰족한 칼끝이나 화살촉에 의한 자상에도 어느 정도의 방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둔기 등에 의한 타격을 흡수하는 효과는 크지 않았다.
2. 1. 유사 갑옷
개별 비늘로 만들어졌지만 다른 방식으로 제작된 다른 유형의 갑옷은 자체적으로 고유한 이름이 있다. 예를 들어, 개별 비늘이 여러 가장자리 또는 모든 가장자리에 구멍이 뚫려 있고, 서로 팽팽하게 묶여 직선의 융기된 행으로 배열되며, 받침대에 부착할 필요가 없는 판금 갑옷이 있다.[4] 로마인들은 또한 비늘이 사슬 갑옷에 부착된 로리카 플루마타라는 변형 갑옷을 사용했다.[4]3. 역사
어린갑은 물고기나 파충류의 비늘처럼 생긴 작은 금속판을 겹쳐 만든 갑옷이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었으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어린갑이 사용되었다. 주로 장교와 고위 군인이 사용했는데, 이는 생산 비용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이다.[9] 어린갑은 가벼운 투사체, 찌르기, 칼날 베기에 효과적이었지만, 무거운 찌르기에는 효과가 떨어졌다. 조선 초기에는 갑옷의 금속 부품을 경화 가죽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방어력 문제로 인해 철 비늘이 계속 사용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에도 한국 군인들은 철 비늘 갑옷을 착용하여 일본 무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조선 시대 동안 어린갑의 형태는 변화하여, 초기에는 비늘을 외부에 부착했지만 후기에는 브리건딘 갑옷 형태를 띠게 되었다.[11]
고대 중국의 ''시경''에는 비늘 갑옷으로 덮인 말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12] 명나라 무덤 수호상 갑옷에서도 비늘 갑옷의 변형으로 보이는 형태가 나타난다. 일본에서는 개별 비늘을 小札|코자네일본어라고 불렀으며,[13] 후지와라 시대(11세기)부터 교린 코자네(생선 비늘 모양)가 제작되었다.[14] --
3. 1. 스키타이
스키타이인의 기마 전사들은 당시의 삽화와 쿠르간에서 발견된 매장 유물을 통해 비늘 갑옷 또는 판 갑옷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갑옷은 철이나 청동으로 만든 작은 판으로 제작되었다.[1]스키타이 갑옷은 반경직적인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흉갑과 등판으로 제작되었고, 어깨 부분은 별도로 분리되었다. 일부 유물에서는 가죽 셔츠나 이와 유사한 의복에 비늘을 부분적으로 꿰매어 제작한 갑옷도 발견되는데, 특히 목과 상부 가슴 부위에 비늘이 집중되어 있었다.[1]
3. 2. 고대 로마
로마 시대에는 스케일 아머(로리카 스쿠아마타)가 둔기에 의한 외상에 대한 보호력이 뛰어나 체인 메일(로리카 하마타)의 대안으로 인기가 있었다.[5] 개별 비늘은 squamaela 또는 squamala라고 불렸다.[6]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고대 페르시아인들은 물고기 비늘 모양의 철 비늘이 달린 튜닉을 입었다고 한다.[7]독일 국경의 무덤 기념물에서는 스케일 아머가 자주 나타나지 않지만, 베로나 세르토리우스 가문의 묘비나 칼리디우스의 카르눈툼 기념물 등에서 스케일 아머를 착용한 인물 묘사가 나타난다.
3. 3. 중세 유럽
중세 유럽에서 어린갑은 주로 다른 갑옷, 특히 사슬 갑옷을 보완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흉갑, 어깨 갑옷, 팔드, 사바톤, 아벤테일 등에 어린갑이 사용된 예시가 있다. 1325년경 제작된 알브레히트 폰 호엔로에 경의 장례 조각상은 그가 코트 아래와 사슬 호버건 위에 어린갑을 착용한 모습을 보여준다. 알브레히트 경의 갑옷은 뒷면에 추가로 리벳으로 고정된 것으로 보인다.[8]3. 4. 한국
삼국 시대를 포함한 다양한 한국 국가의 군대에서 어린갑은 생산 비용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주로 장교와 고위 군인들이 사용했다.[9] 이 갑옷은 가벼운 투사체, 찌르기, 칼날 베기에 효과적이었지만, 무거운 찌르기에는 효과가 떨어졌다.조선 초기(1392-1897년)에는 대량 수송의 비용과 어려움 때문에 갑옷의 금속(주로 철) 부품을 경화 가죽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457년부터[10] 시작된 이 계획은 가죽 기반 비늘 갑옷이 가볍고, 따뜻하며, 유연하고, 생산 비용이 적고 운송이 쉬웠지만, 전투에서의 방어력은 철 비늘 갑옷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임진왜란 (1592-1598) 당시 일부 한국 군대 갑옷 부품이 철에서 경화 가죽으로 바뀌었지만, 현존하는 유물과 당시 기록에 따르면 갑옷을 착용한 한국 군인들은 여전히 철 비늘을 사용했고, 이는 (총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일본 무기에 효과적이었다.
조선 시대 동안 한국 비늘 갑옷의 스타일은 변화했다. 초기에는 비늘이 갑옷 외부에 가죽과 천으로 된 받침에 부착되었지만, 후기에는 비늘(대부분 경화 가죽)이 갑옷 코트 내부에 리벳으로 고정되는 브리건딘 갑옷 형태를 띠게 되었다.[11]
3. 5. 중국
고대 중국 시집인 ''시경''에는 비늘 갑옷으로 덮인 말에 대한 언급이 있다.[12] 명나라 무덤 수호상 갑옷에서는 비늘 갑옷의 변형으로 보이는 형태가 나타난다.
3. 6. 일본
일본에서는 개별 비늘을 小札|코자네일본어라고 부른다.[13] 교린 코자네(생선 비늘 모양)는 후지와라 시대(11세기)부터 일본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시적인 형태의 일본 갑옷은 한 겹의 가죽을 삶아 생선 비늘 모양으로 잘라 두들겨 만든 것이다."[14]3. 7. 보르네오
사바의 카다잔족은 사자꼬리(Sunda pangolin)의 비늘로 갑옷을 만든다.[15]3. 8. 자바
자바인은 시핑시핑이라고 불리는 비늘 갑옷을 사용했다.[16] 주로 황동으로 만든 비늘 모양의 금속판으로 제작된 보호 재킷이다.4. 말 갑옷 (Equine Scale Armor)
고대 서아시아 지역에서는 말 갑옷, 즉 어린갑(비늘 갑옷)이 사용된 증거가 발견된다.
4. 1. 고고학적 발견
두라 유로포스에서 서기 3세기 로마 시대의 말 비늘 갑옷 두 벌이 발견되었다. 철과 청동으로 만들어진 비늘이 섬유에 부착된 형태였다. 갑옷의 스타일은 사산 제국과 관련이 있어 소유자에 대한 논쟁이 있다. 두라 유로포스에서는 말과 기병의 비늘 갑옷을 묘사한 그래피티도 발견되었다.[1]5. 다른 갑옷과의 비교
비늘 갑옷은 사슬 갑옷보다 찌르기 및 둔기 공격에 더 우수하고 견고한 방어력을 제공한다.[18] 생산 비용도 저렴하지만 유연성이 떨어지고 동일한 범위의 움직임을 제공하지 못한다. 브리갠딘과 플레이트 코트 외의 형태는 중세 유럽에서는 흔하지 않았지만, 비늘 갑옷과 찰갑은 다른 지역에서 인기가 있었다.
현대에 드래곤 스킨 방탄복과 같이 방탄 직물과 고충격 방지 세라믹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유사한 형태의 개인 방어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갑옷의 "비늘"은 노출되지 않는다. 장식 또는 LARP 목적으로 착용되는 현대 형태의 비늘 갑옷은 강철, 알루미늄, 티타늄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6. 대중문화
판타지 작품에서는 드래곤의 비늘 등을 사용한 스케일 아머가 등장하기도 한다. 드래곤은 가공의 생물이므로 이는 완전히 가공의 갑옷이며, 본래 의미의 스케일 아머와는 다르다. 하지만 드래곤의 비늘이 쇠를 능가하는 강도가 있거나, 내화성이 뛰어나다는 설정 때문에, 종종 마법 갑옷과 함께 높은 방어력을 갖는 것으로 묘사된다.
일본에는 큰 뱀의 비늘이 칼이나 화살을 막아준다는 전승이 있어 갑옷 안쪽에 꿰매기도 했다.[19]
일반적인 금속제 스케일 아머는 가죽 갑옷보다는 방어력이 높지만, 쇄자갑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약하고, 무겁고 움직이기 불편하며, 소리가 나서 사용하기 어려운 갑옷으로 묘사되기도 한다(『어드밴스드 던전스 & 드래곤스』 등).
참조
[1]
서적
Armed Batavians: Use and Significance of Weaponry and Horse Gear from Non-military Contexts in the Rhine Delta (50 Bc to Ad 450)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
서적
Oriental Armour
Dover Publications, Inc.
[3]
서적
Publication: Anthropological series, Volume 13
https://books.google[...]
The Museum
[4]
서적
Roman military equipment: from the Punic Wars to the fall of Rome
Oxbow Books
[5]
서적
A new and complete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
https://books.google[...]
[6]
서적
A new Latin-English school-lexicon: on the basis of the Latin-German lexicon of Dr. C. F. Ingerslev
https://books.google[...]
J.B. Lippincott
[7]
인용
Chinese Clay Figures
https://books.google[...]
[8]
문서
Monumental brasses and slabs
G. Bell
[9]
간행물
Innovativeness in tradition: a comparative study of traditional leather armor scales and modern materials
https://fashionandte[...]
2023-08-05
[10]
간행물
Annals of King Sejo
https://sillok.histo[...]
1457-01-03
[11]
간행물
Yungwonpilbi
http://kostma.korea.[...]
1813
[12]
서적
Notes on turquois in the East, Volume 13, Issues 1-2
https://archive.org/[...]
s.n.
[13]
서적
The Watanabe Art Museum Samurai Armour Collection Volume I ~ Kabuto & Mengu
https://books.google[...]
Toraba Samurai Art
[14]
서적
Chinese clay figures: Prolegomena on the history of defensive armor, Part 1
https://archive.org/[...]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5]
서적
Wildlife Atlas of Sabah
WWF-Malaysia
2022
[16]
학위논문
Literary Representations of War and Warfare in Old Javanese Kakawin Poetry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2014
[17]
서적
The Excavations at Dura-Europos conducted by Yale University and the French Academy of Inscriptions and Letters 1928 to 1937. Final Report VII: The Arms and Armour and other Military Equipment
Oxbow Books
[18]
문서
'"Reconstructing Roman Clothing", in The World of Roman Costum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
웹사이트
長崎の昔ばなし
https://dl.ndl.go.jp[...]
竹下隆文堂
2019-01-17
[20]
서적
Notes on turquois in the East, Volume 13, Issues 1-2
http://books.google.[...]
s.n.
[21]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http://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new and complete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
http://books.google.[...]
[23]
서적
A new Latin-English school-lexicon: on the basis of the Latin-German lexicon of Dr. C. F. Ingerslev
http://books.google.[...]
J.B. Lippincott
[24]
인용
Chinese Clay Figures
http://books.google.[...]
[25]
서적
The Watanabe Art Museum Samurai Armour Collection Volume I ~ Kabuto & Mengu
http://books.google.[...]
Toraba Samurai Art
[26]
서적
Chinese clay figures: Prolegomena on the history of defensive armor, Part 1
http://books.google.[...]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2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