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얼 와일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얼 와일드는 미국의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로, 1915년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나 94세에 사망했다. 그는 6명의 미국 대통령에게 연주한 유일한 피아니스트로, 1930년대부터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 아메리칸 브로드캐스팅 컴퍼니(ABC) 등에서 활동하며 텔레비전 리사이틀을 선보였다. 와일드는 조지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 연주로 명성을 얻었으며, 수많은 피아노 편곡과 오리지널 작품을 작곡했다. 그의 레퍼토리는 낭만주의 음악부터 재즈, 현대음악까지 아우르며, 1997년에는 인터넷 스트리밍 공연을 시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츠버그 출신 음악가 - 아마드 자말
    아마드 자말은 간결하고 절제된 연주 스타일과 독특한 리듬 감각으로 유명하며 마일스 데이비스를 비롯한 재즈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준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작곡가, 밴드 리더, 교육자이다.
  • 피츠버그 출신 음악가 - 레이 앤서니
    레이 앤서니는 이탈리아계 이민자 출신으로 트럼펫 연주를 시작해 글렌 밀러 밴드에서 활동했으며,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히트곡을 발표하고 텔레비전 음악 감독과 영화에 출연하며 빅 밴드 리더로 활동하다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성소수자 인물 - 릴 피프
    미국의 래퍼이자 싱어송라이터인 릴 피프는 "이모 랩"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고 정신 건강 문제와 약물 남용을 다룬 가사로 젊은 세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과다 복용으로 2017년에 사망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성소수자 인물 - 앤디 워홀
    앤디 워홀은 미국의 미술가이자 영화 제작자로, 팝 아트 운동의 선구자로서 캠벨 수프 캔, 마릴린 먼로 초상화 등 대량 생산된 이미지와 유명인을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표현하여 예술과 상업의 경계를 허물고 대중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 미국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반 클라이번
    반 클라이번은 1958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우승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국제 피아노 콩쿠르가 권위를 인정받고 대통령 자유 훈장, 러시아 우정 훈장, 그래미 평생 공로상 등을 수상한 미국의 피아니스트이다.
  • 미국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 후기 낭만파 작곡가이자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모스크바 음악원 출신으로 피아노 협주곡 2번, 3번 등 걸작을 남겼으며 러시아 혁명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연주와 작곡 활동을 펼쳤다.
얼 와일드
기본 정보
출생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1915년 11월 26일)
사망(2010년 1월 23일)
국적미국
직업피아니스트, 작곡가
장르클래식 음악, 재즈
악기피아노
웹사이트공식 HP 일본어판

2. 생애

얼 와일드는 1915년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난 미국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1]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카네기 멜론 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십 대 시절부터 작곡과 편곡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백악관에서 6명의 미국 대통령을 위해 연주한 독특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2][3]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전속 피아니스트, 미국 최초의 텔레비전 피아노 리사이틀 연주자로 활동했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와의 거쉰의 《랩소디 인 블루》 협연은 그의 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군 복무 후에는 아메리칸 브로드캐스팅 컴퍼니(ABC)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프란츠 리스트낭만주의 음악의 뛰어난 해석과 기교로 서울, 베이징, 도쿄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활발한 연주 및 교육 활동을 펼쳤다.[6]

와일드는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나 조지 거쉰의 작품을 포함한 방대한 레퍼토리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편곡했으며, 오라토리오, 피아노 소나타 등 독창적인 작품도 다수 남겼다.[7][9][10] 1997년에는 피아니스트 최초로 인터넷을 통해 연주를 생중계하기도 했다.[12]

공개적인 동성애자로서[13] 38년간 파트너 마이클 롤랜드 데이비스와 함께했다. 2010년 1월 23일, 캘리포니아 주 팜스프링스 자택에서 울혈성 심부전으로 9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16][17][18][21] 음악 평론가 해럴드 C. 숀버그로부터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급의 초고수"라는 찬사를 받았으며,[19] 스스로 19세기 거장 피아니스트의 전통을 잇는다고 여겼다. 그의 회고록 ''A Walk on the Wild Side''는 사후 출판되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로일랜드 얼 와일드[1]는 1915년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났다. 음악적으로 조숙했던 그는 피츠버그의 카네기 멜론 대학교(당시 카네기 공과대학)에서 셀마 얀손에게 피아노를 배웠고, 이후 마르그리트 롱, 에곤 페트리, 헬렌 바레(시몽 바레의 부인) 등에게도 사사했다. 십 대 시절부터 낭만주의 음악의 편곡과 작곡을 시작했다.

1931년, 그는 당시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초청으로 백악관에서 연주하는 영광을 누렸다.[2] 이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등 다섯 명의 후임 대통령들에게도 연이어 초청받아 연주했으며, 이는 와일드를 6명의 미국 대통령 앞에서 연속으로 연주한 유일한 피아니스트로 만들었다.[3]

1937년, 와일드는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전속 피아니스트로 발탁되었다. 1939년에는 미국 텔레비전 역사상 최초로 피아노 리사이틀을 생중계하는 기록을 세웠다. 그는 훗날 작은 스튜디오의 강한 조명 때문에 피아노 건반이 열기로 휘어질 정도였다고 회상했다. 1942년, 세계적인 지휘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초청으로 조지 거쉰의 《랩소디 인 블루》를 협연하여 큰 성공을 거두며 명성을 굳혔다. 다만 이 연주에 대해 토스카니니가 거쉰 음악 특유의 재즈 어법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음악가로 복무했다. 그는 엘리너 루스벨트 여사가 전쟁 지원을 위한 미국 순회 연설을 할 때 종종 동행하여, 그녀의 연설 시작 전 피아노로 미국 국가를 연주하는 임무를 맡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새로 창설된 아메리칸 브로드캐스팅 컴퍼니(ABC)로 자리를 옮겨 1968년까지 전속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1952년,[4] 1968년,[5] 1971년에 피바디 메이슨 콘서트 시리즈 무대에 섰고, 1986년에는 세 차례에 걸쳐 프란츠 리스트의 작품으로 구성된 콘서트를 열었다.[6] 와일드는 그의 뛰어난 기교가 돋보이는 리사이틀과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쌓았으며, 서울, 베이징, 도쿄 등 아시아 주요 도시는 물론 아르헨티나, 영국 등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했다.

그의 스승 셀마 얀손은 작곡가이자 자신의 스승이었던 자베르 샤르벤카로부터 직접 그의 피아노 협주곡 1번 B♭단조를 배웠고, 이를 와일드에게 가르쳤다. 40여 년이 지난 후, 지휘자 에리히 라인스도르프가 와일드에게 이 협주곡의 녹음을 제안했을 때, 그는 "이 곡을 연주해달라는 전화를 40년 동안 기다렸습니다"라고 답하며 감회를 표현했다고 전해진다.[11]

1997년, 와일드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공연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한 최초의 피아니스트가 되어 새로운 시대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12]

2. 2. 초기 경력: 백악관 연주와 NBC

1931년, 그는 허버트 후버 대통령에 의해 백악관에서 연주하도록 초청받았다.[2] 이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등 다섯 명의 대통령도 그를 초청하여 연주하게 했고, 와일드는 6명의 대통령 앞에서 연속으로 연주한 유일한 피아니스트로 남아있다.[3]

1937년, 와일드는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전속 피아니스트로 고용되었다. 1939년에는 미국 텔레비전에서 리사이틀을 공연한 최초의 피아니스트가 되었다. 와일드는 나중에 작은 스튜디오가 밝은 조명 때문에 너무 뜨거워져 피아노 건반이 휘어지기 시작했다고 회상했다.

1942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그를 조지 거쉰의 ''랩소디 인 블루'' 공연에 초청했다. 이 공연은 와일드에게 큰 성공을 가져다주었지만, 한편으로는 토스카니니가 거쉰이 사용한 재즈 어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2. 3. 토스카니니와의 협연과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와일드를 조지 거쉰의 ''랩소디 인 블루'' 공연에 초청했다. 이 협연은 와일드에게 큰 성공을 안겨주었지만, 한편으로 토스카니니는 거쉰이 사용한 재즈 어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와일드는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음악가로 복무했다. 그는 당시 대통령 부인이었던 엘리너 루스벨트가 전쟁 지원을 위해 미국 전역을 순회할 때 종종 동행했으며, 그녀가 연설하기 전에 피아노로 국가를 연주하는 임무를 맡았다. 전쟁 후 몇 년 뒤, 그는 1968년까지 전속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로 새로 창설된 아메리칸 브로드캐스팅 컴퍼니(ABC)로 옮겨갔다.

2. 4. ABC에서의 활동과 후기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와일드는 새로 창설된 아메리칸 브로드캐스팅 컴퍼니(ABC)로 옮겨 1968년까지 전속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로 활동했다. 이 시기인 1950년대 중반, 와일드는 시드 시저의 텔레비전 쇼를 위한 음악을 작곡했으며, 1960년대에는 여러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극, 그리고 해럴드 로빈스의 오프브로드웨이 연극 ''대니 피셔를 위한 돌''(1960)을 위한 음악을 만들었다.

ABC를 떠난 후에도 와일드의 활동은 계속되었다. 그는 1952년[4], 1968년[5], 1971년에 피바디 메이슨 콘서트 시리즈에서 공연했으며, 1986년에는 세 차례의 프란츠 리스트 콘서트를 열었다.[6] 그의 뛰어난 기교를 보여주는 리사이틀과 마스터 클래스는 전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서울, 베이징, 도쿄를 비롯해 아르헨티나, 영국, 미국 전역 등지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와일드는 RCA 레코드를 포함한 여러 레이블에서 음반을 녹음했다. 특히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와 아서 피들러와 함께 조지 거쉰의 ''랩소디 인 블루'', ''쿠바 서곡'', F장조 협주곡, "I Got Rhythm" 변주곡 등을 녹음한 것은 유명하다. 1965년에는 ''리더스 다이제스트''의 의뢰로 런던에서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야샤 호렌슈타인의 지휘 아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4개와 파가니니 광시곡 전곡을 녹음했다. 이 녹음은 나중에 Chesky와 Chandos 레이블에서 CD로 재발행되었다. 말년에는 주로 아이보리 클래식스 레이블을 통해 음반을 발표했다. 그는 스승 셀마 얀손에게 배운 자베르 샤르벤카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40여 년 만에 에리히 라인스도르프의 요청으로 녹음하기도 했는데, 이때 "이 곡을 연주해달라는 전화를 40년 동안 기다렸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11]

와일드는 수많은 피아노 편곡(트랜스크립션) 작품을 남겼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가곡 14개를 편곡한 것(1981)을 비롯하여, 조지 거쉰의 오페라 ''포기와 베스''의 주제에 의한 "그랜드 판타지"(1973), 거쉰의 유명 노래들을 바탕으로 한 두 세트의 "거쉰 이후의 기교 연습곡"(1954, 1973)[8], 그리고 "Someone to Watch Over Me"를 주제로 한 변주곡(1989)[9]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헨델의 "조화로운 대장장이"에 대한 "아리아와 변주곡"(1993), 바흐의 사라반드를 프랑시스 풀랑 풍으로 편곡한 "Hommage à Poulenc"(1995),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음악을 바탕으로 한 리스트 스타일의 판타지 "Reminiscences of Snow White"(1995), 1920년대 대중가요 편곡(2004)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리처드 로저스의 ''텐스 애비뉴에서의 학살''(1967)을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자작곡으로는 대규모 부활절 오라토리오 ''계시''(1962), 아메리카 원주민 시와 전설에 기반한 합창과 타악기를 위한 ''청록색 말''(1975), 스티븐 포스터의 "캠프타운 경주" 주제에 의한 ''두-다 변주곡''(Doo-Dah Variations, 1992)[20], 그리고 ''소나타 2000'' 등이 있다. 그의 ''소나타 2000''은 그래미 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으며[10], 2004년에는 피아노를 위한 벨리 댄스 모음곡을 작곡했다.

1997년에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연주를 생중계한 최초의 피아니스트가 되는 기록을 세웠다.[12] 2004년 9월 건강 문제로 쓰러졌으나, 수술 후 회복하여 2005년 11월 29일 카네기 홀에서 90세 생일을 기념하는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와일드는 공개적으로 게이였으며,[13] 38년간 동거 파트너였던 마이클 롤랜드 데이비스와 함께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와 캘리포니아 주 팜스프링스에서 생활했다. 그는 또한 무신론자였다.[15] 2010년 1월 23일, 팜스프링스 자택에서 울혈성 심부전으로 인해 9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6][17][18][21]

음악 평론가 해럴드 C. 숀버그는 그를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급의 초고수(super-virtuoso)"라고 평가했다.[19] 와일드 자신은 19세기 거장 피아니스트의 전통을 계승한다고 자부했으며, 정통 레퍼토리보다는 편곡이나 트랜스크립션 작품 연주를 선호했다. 특히 재즈와 조지 거쉰 음악 연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의 회고록 ''A Walk on the Wild Side''는 사후에 아이보리 클래식스에서 출판되었다.[1]

2. 5. 작곡 및 편곡 활동

와일드는 십 대 시절부터 낭만주의 음악의 편곡과 작곡을 시작했다.[1] 그는 평생에 걸쳐 수많은 피아노 독주 편곡과 독창적인 작품을 남겼다.

=== 편곡 작품 ===

와일드는 다양한 작곡가의 작품과 대중음악을 피아노 독주 또는 다른 편성을 위해 편곡했다. 주요 편곡 작품은 다음과 같다.

주요 편곡 작품 목록
구분주요 작품연도 및 비고
클래식 및 가곡 편곡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14개 노래1981년 편곡[7]
클래식 및 가곡 편곡헥토르 베를리오즈,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프레데리크 쇼팽, 가브리엘 포레, 카미유 생상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작품 편곡
클래식 및 가곡 편곡헨델의 "조화로운 대장장이" 주제에 의한 "아리아와 변주곡"1993년 편곡
클래식 및 가곡 편곡바흐의 파르티타 1번, BWV 825 중 사라반드를 프랑시스 풀랑 스타일로 편곡한 "Hommage à Poulenc"1995년 편곡
조지 거쉰 주제 편곡"포기와 베스"의 주제에 의한 "그랜드 판타지"1973년 작곡. 리스트의 오페라 판타지 스타일. 미국 오페라 기반 최초의 확장된 피아노 패러프레이즈. 1977년 초연.
조지 거쉰 주제 편곡"거쉰 이후의 기교 연습곡" (Virtuoso Etudes after Gershwin) 2세트1954년, 1973년 작곡. "The Man I Love", "Embraceable You", "Fascinating Rhythm", "I Got Rhythm" 등 기반.[8]
조지 거쉰 주제 편곡"Someone to Watch Over Me" 주제에 의한 "테마와 변주곡"1989년 작곡.[9]
기타 편곡월트 디즈니 "백설공주" 음악 기반 판타지 "Reminiscences of Snow White"1995년 작곡. 리스트 스타일.
기타 편곡1920년대 대중가요 편곡2004년 편곡
기타 편곡리처드 로저스의 텐스 애비뉴에서의 학살1967년 편곡.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편성.



=== 오리지널 작품 ===

와일드는 편곡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독창적인 작품을 작곡했다.

주요 오리지널 작품 목록
구분주요 작품연도 및 비고
초기 작품피아노 협주곡1932년
초기 작품발레 "페르세포네"1934년
초기 작품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험"1941년
오라토리오대규모 부활절 오라토리오 계시 (Revelations)1962년
합창곡합창과 타악기를 위한 청록색 말 (The Turquoise Horse)1975년. 아메리카 원주민 시와 전설 기반.
변주곡스티븐 포스터의 "캠프타운 경주" 주제에 따른 두-다 변주곡 (Doo-Dah Variations)1992년.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버전 및 두 대의 피아노 버전(1995) 존재.[20]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과 유사한 구성.
피아노 소나타소나타 2000 (Sonata 2000)2000년. 2003년 브래들리 볼렌 초연. 와일드 직접 녹음.[10] 종악장 부제 "리키 마틴 풍의 토카타".
피아노 모음곡피아노를 위한 벨리 댄스 모음곡2004년



이 외에도 1950년대 중반에는 시드 시저의 텔레비전 쇼를 위해 무성 영화 및 오페라 스케치 음악을 작곡했으며, 1960년대에는 여러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TV 드라마, 그리고 해럴드 로빈스의 오프브로드웨이 연극 ''대니 피셔를 위한 돌'' (A Stone for Danny Fisher, 1960)을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

2. 6. 말년과 죽음

와일드는 서울, 베이징, 도쿄를 포함한 아시아, 아르헨티나, 영국, 미국 등 전 세계에서 리사이틀과 마스터 클래스를 열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6] 그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나이를 잊게 하는 정확한 기교로 꾸준히 연주 및 녹음 활동을 했으며, 세계 각지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열었다. 1997년에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연주를 생중계한 최초의 피아니스트가 되기도 했다.[12]

2000년에는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고,[10] 88세에 녹음한 음반으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는 등 노년에도 창작과 연주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2004년 건강 문제로 잠시 활동을 중단했으나, 회복 후 2005년 11월 카네기 홀에서 90세 생일 기념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공개적으로 게이였던[13] 와일드는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와 캘리포니아 주, 팜스프링스에서 38년간 동거 파트너 관계였던 마이클 롤랜드 데이비스와 함께 살았다. 그는 또한 무신론자였다.[15]

2010년 1월 23일, 캘리포니아 주 팜스프링스의 자택에서 울혈성 심부전으로 향년 94세에 사망했다.[16][17][18][21]

음악 평론가 해럴드 C. 숀버그는 그를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급의 초고수"라고 평가했다.[19] 와일드의 회고록 ''A Walk on the Wild Side''는 그의 사후 아이보리 클래식스 레이블을 통해 출판되었다.[1]

3. 한국과의 관계

미국 피아노계의 최고령 연주자 중 한 명으로 활동하면서, 세계 각지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주재했으며, 특히 베이징, 서울, 도쿄에서의 활동이 알려져 있었다.

4. 평가

해럴드 C. 숀버그는 얼 와일드를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급의 초고수"라고 평가했다.[19] 와일드 스스로는 19세기 거장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자부했으며, 정통 레퍼토리보다는 주로 트랜스크립션이나 편곡을 선호하여 연주했다. 특히 프란츠 리스트의 그랜드 오페라 판타지 스타일을 따른 편곡이나 조지 거슈윈의 음악을 바탕으로 한 기교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다. 재즈와 거슈윈 연주로도 유명하다.

미국 피아노계의 최고령 연주자 중 한 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나이를 느끼게 하지 않는 정확하고 뛰어난 기교로 연주 활동과 녹음을 이어갔다. 이러한 명성을 바탕으로 서울, 베이징, 도쿄를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주재했다. 88세에 제작한 CD는 그래미 상을 수상하며 그의 음악적 성취를 인정받았다.

5. 디스코그래피

참조

[1] 서적 A Walk on the Wild Side Ivory Classics Foundation
[2] 웹사이트 Earl Wild Official Web Site http://w.earlwild.co[...] 2013-03-22
[3] 웹사이트 Earl Wild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0-02-03
[4] 뉴스 Earl Wild Boston Herald 1952-03-06
[5] 뉴스 Earl Wild play a Russian program The Tech 1968-11-05
[6] 뉴스 Earl Wild's Liszt – Musica Viva's moderns Christian Science Monitor 1971-02-18
[7] 서적 88 notes pour piano solo Neva Editions
[8] 간행물 Liner notes to the world premiere recording Pickwick Records
[9] 간행물 Michael Rolland Davis Productions
[10] 웹사이트 MSR Classics http://www.msrcd.com[...]
[11] 문서 http://etd.ohiolink.[...]
[12] 웹사이트 Grammy-winning Composer Wild Dies http://www.contactmu[...] 2010-01-25
[13] 웹사이트 90? Who's 90? Just Give Him a Piano https://www.nytimes.[...] 2005-11-27
[14] 웹사이트 Earl Wild Official Web Site http://www.earlwild.[...] 2008-09-09
[15] 문서
[16] 웹사이트 Catalog of Releases / Ivory Classics Online http://ivoryclassics[...] 2010-01-23
[17] 웹사이트 Earl Wild Official Web Site http://www.earlwild.[...]
[18] 웹사이트 Earl Wild, Pianist,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10-01-23
[19] 서적 The Great Pianists from Mozart to the Present Simon & Schuster
[20] 문서
[21] 뉴스 Earl Wild, Pianist, Dies at 94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