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엄민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민영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리, 대한민국 제3공화국 내무부 장관, 주 일본 대사를 역임한 인물이다. 경상북도 경산 또는 선산 출신으로, 규슈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관료가 되었다. 해방 후 전라북도 농상부장, 전라남도 농림국장을 거쳐 대구대학교,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4·19 혁명 이후 민주당 소속으로 참의원에 당선되었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 자유민주당을 거쳐 민주공화당에 합류하여 박정희 정권에서 중용되었다.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관료 분야로 선정되었으며, 196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이후락
    이후락은 대한민국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권에서 요직을 거치며 권력을 행사했고 7·4 남북공동성명 체결에 기여했으나, 여러 논란과 비판 속에 은퇴 후 은둔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규슈 대학 동문 - 민병주
    민병주는 물리학자, 원자력공학자, 정치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장이다.
  • 규슈 대학 동문 - 나카하라 류타로
    나카하라 류타로는 2000년 비트매니아 IIDX 곡 공모를 통해 데뷔한 일본의 음악가 겸 DJ로, 해피 하드코어와 댄스 뮤직을 중심으로 BEMANI 시리즈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HHH 유닛 활동과 앨범 발매를 병행하고, 한국에서는 '류걲'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경산시 출신 - 최경환 (1955년)
    최경환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과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을 거쳐 이회창 후보 경제특보를 지냈으며, 4선 국회의원, 지식경제부 장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며 '초이노믹스'를 추진했으나, 국정원 특활비 뇌물 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하고 복권 후 22대 총선에서 낙선한 정치인이다.
  • 경산시 출신 - 윤두현
    윤두현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신문, YTN 기자, YTN 보도국장, 디지털YTN 대표이사 사장,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을 거쳐 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미디어 관련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그랜드코리아레저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엄민영
기본 정보
이름엄민영
한자 표기嚴敏永
로마자 표기Eom Min-yeong
출생
출생일1898년 2월 18일
사망일1969년 12월 9일 (향년 71세)
학력
최종 학력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 졸업
경력
직업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주요 경력제헌 국회의원
주일본 대사
소속
소속 정당대한민국 자유당
기타 정보
가족 관계영월 엄씨

2. 생애

엄민영은 경상북도 경산 또는 선산군에서 출생하여,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후일의 경북고등학교한국어)를 졸업하고 1936년 호세이 대학 예과를 수료했다. 1939년 규슈 제국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4]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조선총독부 관리가 되었다. 조선총독부 전매국 청주시 출장소에서 근무했고, 일제 강점기 말기에 전라북도 임실군무주군의 군수를 지냈다.[5]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전라북도 농상부장과 전라남도 농림국장을 거쳤다. 이후 대구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를 지냈고, 1957년에는 경희대학교 법대 학장이 되었다.

4·19 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붕괴된 뒤 민주당 소속으로 참의원에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듬해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김도연이 주도한 자유민주당에 합류했다.

그러나 자유민주당에서 민주계 중심의 내분이 일어나면서 소선규와 충돌한 끝에, 자신의 계파를 이끌고 민주공화당으로 이동하였다.[8] 박정희는 엄민영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고문으로 발탁한 뒤 중용하였다. 제3공화국에서 두 차례 내무부 장관을 지냈고, 1967년 주 일본 대사에 임명되어[9] 재직 중 1969년 12월 10일에 54세로 사망했다.[5]

2. 1. 일제 강점기 활동

엄민영은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나 1939년에 일본 규슈 제국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조선총독부 관리가 되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전라북도 임실군무주군의 군수를 지냈다.[5]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공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 분야에 선정되었다.

2. 2. 해방 이후 활동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전라북도 농상부장과 전라남도 농림국장을 역임했다. 그 후 교육직으로 전향하여 대구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1957년에 경희대학교 법학부 학부장에 취임했다.[5]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민주당 소속으로 참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1961년 5·16 군사 정변이 발생하자, 김도연이 주도한 자유민주당에 합류했다. 그러나 자유민주당의 구 민주당 계열에서 내분이 발생하여, 소선규와 충돌했다. 엄민영은 자신의 파를 이끌고 민주공화당으로 이동했다.[6] 박정희는 엄민영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고문으로 기용했다. 제3공화국에서 내무부 장관을 두 번 역임했고, 1967년부터 주일 대사에 취임했다. 재임 중인 1969년 12월 10일에 54세로 사망했다.[5]

2. 3. 정치 활동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난 엄민영은 1939년 일본 규슈 제국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조선총독부 관리가 되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전라북도 임실군무주군 군수를 지냈다.[8]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는 전라북도 농상부장, 전라남도 농림국장을 거쳤다. 이후 대구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경희대학교 법대 학장을 역임하며 학계에서 활동했다.[5]

4·19 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민주당 소속으로 참의원에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듬해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김도연이 주도한 자유민주당에 합류했다.[8]

그러나 자유민주당 내분으로 소선규와 충돌한 후, 자신의 계파를 이끌고 민주공화당으로 이동하였다.[8] 박정희는 엄민영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고문으로 발탁하여 중용하였다.[8] 제3공화국에서 두 차례 내무부장관을 지냈고, 1967년 주 일본 대사에 임명되어[9] 재직 중 사망했다.[8]

2. 4. 박정희 정권 시절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김도연이 주도한 자유민주당에 합류했다. 그러나 자유민주당에서 민주계 중심의 내분이 일어나면서 소선규와 충돌한 끝에, 자신의 계파를 이끌고 5·16 군사정변 세력이 창당한 민주공화당으로 이동하였다.[8] 박정희는 엄민영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고문으로 발탁한 뒤 중용하였다. 제3공화국에서 두 차례 내무부 장관을 지냈고, 1967년 9월 16일, 주 일본 대사에 임명되어[9] 재직하던 중 사망했다.

3. 평가

엄민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 부분이 있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관료를 지냈으며, 이로 인해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8]

3. 1. 부정적 평가

엄민영은 일제 강점기에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조선총독부 관리가 되었고, 전라북도 임실군무주군 군수를 지냈다.[8] 이러한 경력으로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관료 분야에 선정되었다.

참조

[1] 뉴스 嚴敏永 주일대사 별세. 16일 외무부장 거행 朝鮮日報 1969-12-11
[2] 웹사이트 (69)영월 엄씨(寧越嚴氏)-124,697명 http://www.seoulecon[...] 2014-09-12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1-09-12
[4] 간행물 「帝国」の大学に学んだ朝鮮人学生 https://catalog.lib.[...]
[5] 웹사이트 엄민영(嚴敏永) https://encykorea.ak[...] 2023-08-14
[6] 뉴스 공화당에 嚴敏永씨계 합류선언. 자민당 완전히 두조각 朝鮮日報 1963-07-31
[7] 뉴스 嚴敏永 주일대사 별세. 16일 외무부장 거행 조선일보 1969-12-11
[8] 뉴스 공화당에 嚴敏永씨계 합류선언. 자민당 완전히 두조각 조선일보 1963-07-31
[9] 뉴스 12國大使任命의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7-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