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로리 테이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로리 테이텀은 미국의 유전학자로, 1958년 조지 웰스 비들과 조슈아 레더버그와 함께 유전자가 신진대사의 개별 단계를 조절한다는 것을 밝힌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1909년 콜로라도주 볼더에서 태어나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스탠퍼드 대학교와 록펠러 연구소에서 연구 경력을 쌓았다. 테이텀은 비들과의 연구를 통해 "하나의 유전자, 하나의 효소" 가설을 제시했으며, 세균의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밝혀냈다. 그는 1975년 뉴욕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록펠러 대학교 교수 - 허버트 스펜서 개서
허버트 스펜서 개서는 인체 신경 세포 작용 연구로 194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리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와 록펠러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 록펠러 대학교 교수 - 알베르 클로드
알베르 클로드는 세포 분획법 개발,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세포 연구, 세포 소기관 발견 등으로 세포 생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197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콜로라도주 출신 - 윌러드 리비
윌러드 리비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개발하여 196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화학자로, 맨해튼 계획 참여, 미국 원자력 위원회 활동, UCLA 교수 재직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콜로라도주 출신 - 닉 파제카스
닉 파제카스는 네바다 대학교 출신의 은퇴한 농구 선수로, NBA와 D-리그, 유럽 리그를 거쳐 일본 B.리그에서 MVP 등을 수상했으며, 2024년 5월 선수 생활을 마쳤다. - 미국의 유전학자 - 클로드 섀넌
클로드 섀넌은 정보 이론의 창시자이자 디지털 회로 설계의 선구자로, 정보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정보 이론을 개척하고 디지털 회로 설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암호학, 인공지능, 컴퓨터 체스 연구에도 기여하여 현대 디지털 시대의 기반을 구축했다. - 미국의 유전학자 - 앤드루 파이어
앤드루 파이어는 이중 가닥 RNA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를 파괴하여 단백질 번역을 억제하는 RNA 간섭 현상을 크레이그 멜로와 함께 발견하여 200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물학자이며,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 병리학 및 유전학 교수와 미국 국립과학원 및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에드워드 로리 테이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에드워드 로리 테이텀 |
출생일 | 1909년 12월 14일 |
출생지 |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 |
사망일 | 1975년 11월 5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
국적 | 미국 |
분야 | 유전학 |
모교 | 시카고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
직장 | 스탠퍼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록펠러 연구소 |
박사 과정 학생 | 조슈아 레더버그 캐롤린 슬레이먼 |
주목할 만한 학생 | 에스더 M. 레더버그 |
알려진 업적 | 세포 내 생화학적 사건의 유전자 조절 |
수상 | 노벨 생리학·의학상 |
2. 생애
에드워드 로리 테이텀은 1909년 12월 14일 콜로라도주 볼더에서 태어났다.[1] 시카고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한 후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으로 옮겨 1931년 학사 학위, 1934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1937년부터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조지 비들과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 1945년 예일 대학교로 옮겨 조슈아 레더버그를 지도했고, 1948년 스탠퍼드를 거쳐 1957년 록펠러 연구소 교수가 되었다.[1][4] 붉은빵곰팡이에 X선을 쬐어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유전자와 효소 반응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밝혀냈다. 대장균의 트립토판 생합성 연구와 접합을 통한 유전 정보 교환을 발견했다.
1953년 렘센상을 수상했다. 테이텀은 담배를 많이 피웠으며, 만성 폐기종에 의한 심부전으로 1975년 11월 5일 뉴욕에서 사망했다.[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에드워드 로리 테이텀은 1909년 12월 14일 콜로라도주 볼더에서[1] 아버지 아서 L. 테이텀과 어머니 메이블 웹 테이텀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아서 L. 테이텀은 화학 교수였으며, 1925년까지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약리학 교수를 역임했다.[4]테이텀은 시카고 대학교에서 2년간 대학을 다닌 후[2]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으로 편입하여 1931년에 문학사 학위를, 1934년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미생물의 생화학 연구'' (1934)였다.[4]
2. 2. 연구 경력
1937년부터 테이텀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일했으며, 그곳에서 조지 비들과 협력을 시작했다. 1945년 예일 대학교로 옮겨 조슈아 레더버그를 지도했다. 1948년 스탠퍼드로 돌아온 다음 1957년 록펠러 연구소의 교수가 되었다.[1][4]비들과 테이텀은 붉은빵곰팡이(*Neurospora crassa*)에 X선을 조사하여 돌연변이를 일으켰다. 돌연변이체는 대사 경로상의 특정 효소가 변이되어 있었다. 1941년의 실험으로 유전자와 효소 반응이 직접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하나의 유전자, 하나의 효소설"로 알려지게 되었다.
테이텀은 미생물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대장균의 트립토판 생합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후 테이텀과 그의 제자인 조슈아 레더버그는 대장균이 접합을 통해 유전 정보를 교환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1953년 렘센상을 수상했다.
2. 3. 사망
테이텀은 지독한 담배 흡연자였으며, 만성적인 폐기종으로 인한 심부전으로 1975년 11월 5일 뉴욕에서 사망했다.[4] 그의 마지막 부인 엘시 베르글란드는 1998년에 사망했다.3. 연구 업적
테이텀은 조지 웰스 비들과 함께 1941년에 신경균류에서 생화학적 돌연변이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4] 이 연구는 유전자 작용 연구의 프로토타입을 제공했으며, 생화학적 경로에서 돌연변이를 분석하기 위한 새롭고 효과적인 실험 방법론을 제시했다.[1]
비들과 테이텀은 빵 곰팡이인 ''신경 포자균''을 X선에 노출시켜 돌연변이를 유발했다. 이 돌연변이들은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특정 효소의 변화를 일으켰고, 이는 유전자와 효소 반응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 결과는 "하나의 유전자, 하나의 효소" 가설로 이어졌다.[5][4][1][6]
이후 테이텀은 세균의 유전 연구를 계속했다. 그의 연구실에서는 ''대장균''에서 트립토판 생합성의 기초를 이해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테이텀과 그의 제자 조슈아 레더버그는 ''대장균''이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유전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1]
3. 1. "하나의 유전자, 하나의 효소" 가설
테이텀과 조지 웰스 비들은 1941년에 신경균류에서 생화학적 돌연변이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그들의 연구는 유전자 작용에 대한 연구의 프로토타입을 제공했으며[4], 생화학적 경로에서 돌연변이를 분석하기 위한 새롭고 효과적인 실험 방법론을 제시했다.[1]비들과 테이텀의 주요 실험은 빵 곰팡이인 ''신경 포자균''(Neurospora crassa)을 X선에 노출시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것이었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그들은 이러한 돌연변이가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특정 효소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그들이 유전자와 효소 반응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제안하게 했으며, 이는 "하나의 유전자, 하나의 효소" 가설로 알려지게 되었다.[5][4][1][6]
테이텀은 생합성 경로와 세균의 유전을 연구하며 경력을 쌓았다. 그의 연구실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 분야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에서 트립토판 생합성의 기초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테이텀과 그의 제자인 조슈아 레더버그는 ''대장균''이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유전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1]
3. 2. 세균의 유전자 재조합 발견
테이텀은 생합성 경로와 세균의 유전을 연구했다. 그의 연구실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 분야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에서 트립토판 생합성의 기초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테이텀과 그의 제자인 조슈아 레더버그는 ''대장균''이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유전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1] 이후 테이텀과 레더버그는 대장균이 접합을 통해 유전 정보를 교환한다는 것을 밝혀냈다.4. 수상 경력
- 1952년, 미국 국립 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회원[9]
- 1957년, 미국 철학 학회(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회원[8]
- 1958년, 조지 비들, 조슈아 레더버그와 공동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유전자가 신진대사의 개별 단계를 조절한다는 것을 밝힌 공로)
- 1959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회원[7]
참조
[1]
논문
Edward Lawrie Tatum
https://www.annualre[...]
1979-12
[2]
서적
Notable Twentieth-century Scientists: S-Z
https://archive.org/[...]
Gale Research
1995
[3]
웹사이트
Edward Tatum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8-03-03
[4]
논문
Edward Lawrie Tatum 1909—1975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Press
[5]
논문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https://www.annualre[...]
1998-10
[6]
논문
The favorable features of tryptophan synthase for proving Beadle and Tatum's one gene-one enzyme hypothesis.
2005-02
[7]
웹사이트
Edward Lawrie Tatum
https://www.amacad.o[...]
2023-01-09
[8]
웹사이트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Member History : Edward Lawrie Tatum
https://search.amphi[...]
2023-01-09
[9]
웹사이트
Edward Tatum
http://www.nasonline[...]
2023-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