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디 페네크 아다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디 페네크 아다미는 몰타의 정치인으로, 1934년 비르키르카라에서 태어났다. 그는 국민당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으며, 1977년 당 대표가 되었다. 1987년부터 1996년까지, 그리고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몰타 총리를 역임하며 국가 기반 시설 개편, 유럽 연합 가입 추진 등 주요 정책을 시행했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몰타 대통령을 지냈으며,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타의 총리 - 로버트 아벨라
    로버트 아벨라는 2020년부터 몰타의 총리이자 노동당 대표를 역임하고 있으며, 몰타 대통령의 아들로 변호사 출신 정치인이다.
  • 몰타의 총리 - 조지프 무스카트
    조지프 무스카트는 몰타의 정치인으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몰타의 총리를 역임하며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 확대 정책을 추진했으나, 논란 속에 사임했다.
  • 몰타의 대통령 - 우고 미프수드 보니치
    우고 미프수드 보니치는 몰타의 정치인, 변호사, 작가이며 교육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몰타 대통령을 지냈다.
  • 몰타의 대통령 - 조지 벨라
    조지 벨라는 1942년생으로 의학 박사 출신이며, 2019년부터 몰타의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과거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백수리 훈장 (폴란드) 수훈자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백수리 훈장 (폴란드) 수훈자 - 밀로시 제만
    밀로시 제만은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체코 대통령으로 재임했으며, 2003년 대통령 선거 패배 후 시민권리당을 창당하여 2013년과 2018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였고,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과도한 음주 논란, 권위주의적 리더십, 러시아 및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 유럽 연합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 LGBTQ 권리에 대한 보수적인 견해, 여러 차례의 소송, 건강 문제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에디 페네크 아다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에디 페네크 아다미
본명에도아르도 페네크 아다미
출생일1934년 2월 7일
출생지비르키르카라, 몰타 식민지
국적몰타
배우자메리 페네크 아다미
자녀5명
직업변호사
서명
경력
몰타 대통령7대
임기 시작2004년 4월 4일
임기 종료2009년 4월 4일
총리로렌스 곤치
이전 대통령귀도 데 마르코
다음 대통령조지 아벨라
몰타 총리10대
임기 시작1987년 5월 12일
임기 종료1996년 10월 28일
대통령폴 쉬에레브, 첸수 타보네, 우고 미프수드 보니치
이전 총리카르메누 미프수드 보니치
다음 총리알프레드 산트
임기 시작1998년 9월 6일
임기 종료2004년 3월 23일
대통령우고 미프수드 보니치, 귀도 데 마르코
이전 총리알프레드 산트
다음 총리로렌스 곤치
대통령우고 미프수드 보니치
총리알프레드 산트
이전 대표알프레드 산트
다음 대표알프레드 산트
임기 시작1996년 10월 28일
임기 종료1998년 9월 6일
대통령안톤 부티지그
총리돔 민토프, 카르메누 미프수드 보니치
이전 대표조르조 보르그 올리비에
다음 대표카르메누 미프수드 보니치
임기 시작1977년
임기 종료1987년 5월 12일
소속 정당
정당국민당
학력
출신 대학왕립 몰타 대학교
수상
훈장KUOM
GCIH
OMRI
GCB
웹사이트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젊은 시절

에디 페네크 아다미는 비르키르카라에서 루이지 페네크 아다미와 조세핀 페이스의 아들로 태어났다.[31] 그는 5명의 자녀 중 넷째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의 공습과 궁핍함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세인트 알로이시우스 대학을 졸업하고, 몰타 대학교에서 경제학, 서양고전학, 을 공부하였다. 1959년에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법조계에서 경력을 시작했다.[6]

메리 스키베라스와 결혼하여 존, 베페, 마이클, 마리아, 루이지 등 다섯 자녀를 두었다.[31]

3. 정치 경력

페네크 아다미는 1987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몰타의 총리가 된 후, 1996년까지 몰타를 크게 변화시켰다. 국가 기반 시설을 전면 재정비하고, 무역 제한 완화, 통신 및 금융 서비스 규제 완화 또는 민영화를 추진했다. 1990년에는 유럽 경제 공동체 가입을 신청했다.[31]

1992년 재선된 페네크 아다미는 몰타를 현대 유럽 민주주의 국가로 변화시키고 친서방 외교 관계를 확장했다. 리비아와의 관계는 재협상하여 군사적 의무를 없앴고, 무아마르 카다피와 거리를 두었다.[18] 또한, 국가 기반 시설 재건, 수입 면허 및 할당량 폐지, 통신, 금융 서비스 및 은행 부문의 규제 완화 또는 민영화를 추진했다.[6]

1996년 총선에서 알프레드 산트가 이끄는 노동당에 패배하여 야당 대표를 역임했지만, 1998년 조기 총선에서 승리하여 다시 총리가 되었다. 이후 노동당 정부가 중단했던 유럽 연합 가입 신청을 재개하여 2002년 협상을 마무리하고,[31] 2003년 국민투표와 총선을 통해 유럽 연합 가입을 확정지었다.[31] 2003년 4월 16일, 유럽 연합과의 가입 조약에 서명했다.[32]

에디 페네크 아다미가 항공모함 USS 존 F. 케네디 (CV 67)에 탑승한 모습.


2003년 12월, 몰타의 유럽 연합 가입 노력을 인정받아 유러피언 보이스로부터 '올해의 유럽인' 상을 받았다.[32] 2004년 3월 23일 총리직에서 사임했으며, 1964년 독립 이후 최장수 총리로 기록되었다.

3. 1. 초기 정치 경력 (1960년대 ~ 1977년)

페네크 아다미는 1960년대 초 국민당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지역구 관계자로 활동했고, 이후 당 행정 및 일반 위원회 회장, 사무차장, 당 신문 ''일-포플루''(영어: ''The People'')의 편집장을 역임했다.[7] 1962년과 1966년 총선에서는 낙선했지만,[8] 1969년 보궐선거에서 Ġorġ Caruana의 공석을 채우며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9] 당시 총리였던 보르그 올리비에는 페네크 아다미가 의회에 진출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7]

페네크 아다미는 보르그 올리비에 행정부가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고 생각하여, 1970년 보르그 올리비에에게 내각 개편과 조기 총선을 요구했다. 당시 영국은 몰타와의 재정 및 방위 협정 갱신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었다.[10] 1971년 총선에서 국민당은 패배하여 야당이 되었고, 이후 1980년대 후반까지 국민당의 마을 및 도시 클럽들이 파괴되거나 훼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11] 페네크 아다미는 야당 대변인으로서 노동 관계 및 사회 서비스 분야를 담당했다.[8] 1974년, 페네크 아다미는 민토프 총리와의 합의를 통해 몰타 공화국을 선포하는 과정에서 선거구민과의 충분한 협의가 없었다는 점 때문에 정치적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귀도 데 마르코는 이를 "용납할 수 없는 배신 행위"라고 비판했다.[10] 1976년 총선에서 국민당이 연이어 패배하면서 보르그 올리비에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 페네크 아다미는 당의 소득세 폐지 공약이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강하게 비판했다.[10] 결국, 두 번의 총선 패배는 보르그 올리비에의 퇴진으로 이어졌고, 국민당은 새로운 지도자를 선출하고 당을 현대화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1977년 함룬에 있는 데 마르코의 자택에서 열린 야당 의원단 회의에서 보르그 올리비에는 자신의 후임자를 지명하는 것을 수용했다.[10]

3. 2. 국민당 대표 (1977년 ~ 1987년)

페네크 아다미는 당내에서 비교적 새로운 인물이었지만, 1977년 당 대표 선거에서 첸수 타보네와 데 마르코 두 명의 경험 많은 국회의원과 경쟁했다. 1977년 4월, 페네크 아다미는 3분의 2의 득표율로 당 대표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었고, 당선 후 두 경쟁자를 매우 중요한 자리에 기용했다.[9] 1978년 보르그 올리비에의 뒤를 이어 페네크 아다미는 즉시 국민당 개혁에 착수하여, 더욱 사회 의식이 있는 유권자의 요구에 부응했다. 이러한 현대화 과정은 새롭고 젊은 당원들을 끌어들였다.[12]

1979년 10월 15일, 돔 민토프의 암살 시도에 대한 소문이 돌자, 대규모 폭력배들이 보수 성향의 독립 신문인 ''몰타 타임스''의 건물과 인쇄기를 공격하여 불태웠다.[13] 폭력배들은 여러 국민당 클럽과 비르키르카라에 있는 페네크 아다미의 자택을 약탈했다.[13][14] 페네크 아다미의 이웃들은 소란이 시작되자마자 집에 문을 걸어 잠갔다. 미사에서 돌아오던 메리 페네크 아다미는 아수라장에 충격을 받았다. 현관문은 활짝 열려 있었고, 10명의 남자가 귀중품을 약탈하고 가보를 훔치고 있었으며, 유리문과 셔터를 부수고 책과 가구를 거리로 던지고 있었다.[15] 폭력배들은 튼튼한 톱질된 테이블 다리로 보이는 나무 곤봉을 가지고 있었다.[14] 페네크 아다미 자택의 1층을 이루는 6개의 방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메리 페네크 아다미는 공격을 받아 벽에 내동댕이쳐졌다. 그녀의 귀걸이가 찢어졌고, 가슴과 얼굴을 맞았다. 그녀는 발로 차여 거리로 밀려났다.[15] 메리 페네크 아다미, 그녀의 네 아들, 그리고 시어머니는 집 3층으로 올라가 이웃집으로 뛰어내려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14] 이 사건들은 섬에서 폭력 사태가 격화되었음을 보여주며, ''검은 월요일''로 알려지게 되었다.[15] 이 공격은 페네크 아다미의 리더십을 공고히 했고, 페네크 아다미의 자택 앞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는 역대 최대 규모의 군중이 모여들어 국가의 분위기 변화를 알렸다.[15]

국민당의 지지율은 논란이 많았던 1981년 선거에서 과반수의 표를 얻을 만큼 성장했지만, 과반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8] 이는 고의적으로 조작된 선거구 때문이었으며, 이로 인해 노동당은 헌법상 요구되는 의회 과반수 의석을 유지했다. 이 선거는 고착된 노동당 정부에 대한 수년간의 격렬한 투쟁으로 이어졌다. 페네크 아다미는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의회 보이콧을 반복하며 성공적인 시민 불복종 운동을 이끌었다. 국민당에 대한 정치적 폭력이 급증했고, 페네크 아다미는 국가의 민주적 쇄신을 추진했다.[9] 국민당은 지지자들에게 정부 우호적인 기업을 보이콧하도록 지시하여, 노동당 지지자들을 곤경에 빠뜨렸고, 노동당은 이 비정상적인 상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9] 1983년 3월, 국민당 야당은 향후 총선에서 불합리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헌법 개정안 제정을 위한 협상을 시작한다는 조건으로 의회로 복귀했다.[8]

1986년 11월 30일, 국민당 지지자들은 페네크 아다미가 대중 연설을 할 예정이었던 탈-바라니 도로에 모여 제이툰으로 향했다.[16] 이 행사는 당이 헌법재판소에서 그렇게 할 권리를 주장한 후에야 허용되었다. 군중은 제이툰으로 가는 길이 바위, 말뚝, 불타는 타이어로 막혀 있는 것을 발견했다. 발라클라바를 쓴 노동당 지지자 몇몇이 군중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경찰의 특수 기동대가 현장에 도착하여 국민당 지지자들에게 최루탄과 고무탄을 발사하면서 상황은 악화되었다.[16] 23명이 부상당했으며, 많은 사람이 탈-피에타에 있는 당 본부의 임시 응급 진료소에서 치료를 받았다.[16] 이 사건 이후 한 달 뒤, 구디아에 있는 국민당 클럽의 문을 통해 날아온 정체불명의 노동당 활동가들의 총알에 레이먼드 카루아나가 살해되었다.[9] 페네크 아다미는 의회에서 배정된 예산 답변을 통해 이 범죄를 규탄하고, 살인 혐의로 조작되어 경찰에 체포된 국민당 활동가 피에트루 파울 부수틸을 비난했다. 페네크 아다미는 예산이 몰타 국민에게 무의미하며, 몰타 국민은 자유와 민주주의의 수호를 위해 투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회 회의와 페네크 아다미의 연설은 비스틴 아벨라와 로리 산트 장관이 이끄는 격분한 노동당 의원들의 방해를 받았고, 그들은 그를 거의 공격할 뻔했다.[9]

3. 3. 총리 (1987년 ~ 1996년)

1987년 총선에서 국민당은 5,000표 차이로 과반수를 확보하여 승리했다.[9] 1987년부터 1996년까지 페네크 아다미는 몰타의 획기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법과 비즈니스 구조와 같은 국가 기반 시설이 완전히 재정비되었다. 무역 제한이 완화되었고, 통신, 금융, 재정 서비스는 규제가 완화되거나 민영화되었다.[6] 몰타는 1990년 7월 16일에 유럽 경제 공동체 가입을 신청했다.[31]

페네크 아다미는 몰타를 현대 유럽 민주주의로 전환시키고 외교 관계를 확장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몰타는 친서방 노선을 걸었다.[17] 몰타는 사회주의 행정부 시절 리비아와 맺었던 경제적, 정치적 관계를 유지했지만, 양국 간 우호 조약은 재협상되었다. 페네크 아다미는 무아마르 카다피와 정치적 거리를 두어 양측의 군사적 의무를 없앴다. 또한 몰타와 리비아 간 항공 연결을 중단하고 리비아에 대한 유엔 제재를 준수했다.[18]

국가 기반 시설이 완전히 재정비되어, 많은 도로가 재건되었고, 새로운 공항, 역삼투압 설비와 발전소가 건설되었으며, 수입 면허와 할당량이 폐지되었다. 통신, 금융 서비스 및 은행 부문은 규제가 완화되거나 민영화되었다.[6] 90년대 초, 페네크 아다미는 몰타를 유럽 경제 공동체에 통합하기 위한 경제 및 정부 정책을 추진했으며, 여기에는 현지 수입 및 관세의 점진적인 폐지가 포함되었다.[19]

1992년 2월, 페네크 아다미는 근소한 차이로 다시 총리로 재선되었다.[19] 소득세의 점진적인 감소와 유럽 경제 공동체 국가와의 무역에 대한 부과금 감소는 정부 수입 감소로 이어졌다. 지속 가능한 공공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국민당 정부는 관세 수입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부가가치세(VAT)를 도입했다.[19] 부가가치세는 인기가 없었고, 알프레드 산트가 이끄는 노동당은 몰타의 유럽 연합 가입을 위한 개혁 속도와 깊이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이용하여 1996년 총선에서 국민당을 꺾고 승리하였다.

3. 4. 야당 대표 (1996년 ~ 1998년)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페네크 아다미는 야당 대표를 역임했다. 노동당 정부는 1석 차이로 간신히 과반을 유지했고, 이는 심각한 정치적 불안정의 시기를 초래했다. 노동당은 부가가치세를 폐지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고, 이를 복잡한 관세 및 소비세 시스템(CET)으로 대체했다. 또한 수입 부족을 보충하기 위한 추가 세금 도입, 공과금 인상 등 여러 경제 정책을 도입했다. 재무장관, 당 및 정부의 다른 주요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한 이 위태로운 상황은 돔 민토프의 행동으로 더욱 복잡해졌다.

돔 민토프는 산트 정부의 평의원이었지만, 자신의 정부에 반대했다. 민토프의 1997년 긴축 예산 및 코토네라의 해안 재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항의를 막을 수 없었던 노동당 정부는 조기 총선을 실시했다. 페네크 아다미는 부동표를 다시 확보하여 13,000표 차이로 승리했고, 그의 당은 1998년 9월에 정권을 되찾았다.

3. 5. 총리 (1998년 ~ 2004년)

1996년과 1998년 사이 페네크 아다미는 야당의 지도자로 재임하였다. 1998년 9월 그의 당이 정권을 다시 잡으면서, 이전 노동당 정부가 중단했던 몰타의 유럽 연합 가입 신청이 재개되었고, 2002년 12월에 협상이 마무리되었다.[31] 이는 2003년 3월 국민투표로 확인되었으며, 2003년 4월 민족주의당을 집권당으로 하고 페네크 아다미를 총리로 확정시킨 총선거가 열렸다.[31] 2003년 4월 16일, 페네크 아다미는 유럽 연합과의 가입 조약에 서명했다.[32] 2003년 12월, 페네크 아다미는 몰타의 유럽 연합 가입을 위한 변함없는 노력으로 브뤼셀에 기반을 둔 신문 유러피언 보이스로부터 2003년 올해의 유럽인 상을 받았다.[32] 페네크 아다미는 2004년 3월 23일에 총리직을 사임했으며, 1964년 독립 이래 최장수 총리가 되었다.

4. 몰타 대통령 (2004년 ~ 2009년)

아다미는 2004년 4월 4일에 몰타의 대통령이 되었다.[9] 그는 2009년 4월 4일에 조지 아벨라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고 공직에서 은퇴했다.[9][33]

5. 서훈

에디 페네크 아다미는 1990년 국가 공로 훈장 명예 동반자 훈장을 받았으며, 라울 발렌베르그 국제 재단의 명예 회원이기도 하다.[23][30]

5. 1. 몰타 훈장

국가 공로 훈장 명예 동반자(1990) ''총리 및 몰타 대통령 자격으로'' [23]

5. 2. 외국 훈장

훈장국가수여 일자
엔히크 왕자 훈장 대십자장
포르투갈1994년 11월 9일[24]
세 별 훈장 대십자 훈장
라트비아2004년
루마니아의 별 훈장 사슬 대십자 훈장
루마니아2004년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카발리에 대십자 훈장
이탈리아2005년[25]
바스 훈장 명예 대십자 기사 훈장
영국2005년
토미슬라브 대왕 훈장 대십자 기사 훈장
크로아티아2006년[26]
헝가리 공로 훈장 사슬 대십자 훈장
헝가리2007년[27]
-- 엔히크 왕자 훈장 대칼라 훈장포르투갈2008년 12월 11일[24]
-- 백수리 훈장 기사 훈장폴란드2009년[28]
레지옹 도뇌르 훈장 코망되르 훈장
프랑스2010년[29]


5. 3. 기타

페네크 아다미는 라울 발렌베르그 국제 재단의 명예 회원이다.[30]

참조

[1] 서적 Europe: I Struggle, I Overcome: I Struggle, I Overcom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 웹사이트 Dr Edward Fenech Adami (1987 – 1996, 1998 – 2004) https://www.gov.mt/e[...] Government of Malta – DOI 2014-07-20
[3]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Routledge
[4] 문서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https://www.gov.mt/e[...]
[5] 뉴스 Fenech Adami is Malta's seventh President https://www.timesofm[...] 2018-10-07
[6]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t of Malta http://www.president[...] Government of Malta 2006-08-20
[7] 뉴스 Fenech Adami bows out http://www.timesofma[...] 2014-07-20
[8]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Routledge
[9] 웹사이트 Three decades of Eddie http://archive.malta[...] 2014-07-20
[10] 웹사이트 Eddie: Manifest destinity http://www.maltatoda[...] 2014-07-20
[11] 서적 Human rights in Malta: A report International Helsinki Federation for Human Rights
[12] 서적 Profiles of People in Power: The World's Government Leaders Routledge
[13] 웹사이트 Black Monday should never have happened – Labour leader http://www.timesofma[...] Times of Malta 2014-07-20
[14] 웹사이트 Unfaded memories of Black Monday http://www.timesofma[...] Times of Malta 2014-07-20
[15] 웹사이트 Shades of Black Monday http://www.timesofma[...] Times of Malta 2014-07-20
[16] 뉴스 The Malta Independent Online http://www.independe[...] 2014-07-20
[17] 서적 Western Europe 2013 Rowman & Littlefield
[18]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ism, Two-Volume Set Academic Press
[19]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the Nations: World leaders Gale Group
[20] 웹사이트 Cases against Zeppi l-Hafi dropped http://www.timesofma[...] 2015-04-09
[21] 웹사이트 All Proceedings against Zeppi l-Hafi dropped off http://www.independe[...] 2015-04-10
[22] 웹사이트 Foreword to EU Studies Guide 2004 Eddie Fenech Adami, Maltese Prime Minister http://www.europeanv[...] European Voice 2006-08-20
[2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alta Scarecrow Press, Inc 2010
[24] 웹사이트 Cidadãos Estrangeiros Agraciados com Ordens Portuguesas http://www.ordens.pr[...] 2017-08-04
[25] 웹사이트 Le onorificenze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s://www.quirinal[...] 2019-07-18
[26] 웹사이트 Odluka o odlikovanju Njegove Ekscelencije dr. Edwarda Fenech-Adami, predsjednika Republike Malte Veleredom kralja Tomislava s lentom i Velikom Danicom za izniman doprinos promicanja prijateljstva i razvitka uzajamne suradnje između Republike Hrvatske i Republike Malte https://narodne-novi[...] 2019-07-18
[27] 웹사이트 Köztársasági Elnöki Hivatal http://www.solyomlas[...]
[28] 웹사이트 Postanowienie Prezydenta Rzeczypospolitej Polskiej z dnia 23 stycznia 2009 r. o nadaniu orderów i odznaczenia http://prawo.sejm.go[...] 2019-07-18
[29] 웹사이트 France bestows on President Emeritus Eddie Fenech Adami with its highest (...) – La France à Malte http://www.ambafranc[...] 2017-03-01
[30] 웹사이트 Honorary Members « The International Raoul Wallenberg Foundation http://www.raoulwall[...] 2017-03-01
[31] 웹인용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t of Malta http://www.president[...] Government of Malta 2006-08-20
[32] 웹인용 Foreword to EU Studies Guide 2004 Eddie Fenech Adami, Maltese Prime Minister - EU Studies Guide http://www.europeanv[...] European Voice 2006-08-20
[33] 웹인용 The International Raoul Wallenberg Foundation http://www.raoulwall[...] 2020-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