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닌은 일본 헤이안 시대의 승려로, 794년 도치기 현에서 태어나 14세에 히에이 산의 엔랴쿠지에 입적했다. 그는 스승 사이초를 섬기며 텐다이 종을 배웠고, 838년부터 847년까지 당나라에 머물며 불교를 연구하고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저술했다. 귀국 후 엔랴쿠지에서 천태종을 발전시키고 정토 신앙을 도입했으며, 854년에는 엔랴쿠지의 제3대 주지가 되었다. 그는 100권이 넘는 저서를 남겼으며, 그의 일기는 당나라와 신라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입당승 - 구카이
구카이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일본 승려이자 서예가, 시인, 사상가로, 당나라에서 밀교를 배워 일본 진언종의 시조가 되었으며, 만노이케 저수지 복원 사업을 지휘하는 등 사회 활동에도 참여하여 사후 홍법대사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일본의 입당승 - 사이초
사이초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승려로, 일본 천태종을 개창하고 당나라에서 천태교학을 배운 뒤 귀국하여 일본 불교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864년 사망 - 아흐마드 이븐 아사드
- 864년 사망 - 카롤루스 (마인츠 대주교)
카롤루스는 프랑크 왕국의 귀족이자 샤를마뉴 대제의 후손으로, 반란에 가담하고 아키텐 왕위를 주장하기도 했으며, 863년 마인츠 대주교가 되었다.
엔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엔닌 (圓仁 또는 円仁) |
이명 | 지카쿠 다이시 (慈覺大師) |
출생 | 793년 또는 794년 |
출생지 | 미부, 도치기현, 일본 |
사망 | 864년 2월 24일 |
국적 | 일본 |
종교 | 불교 |
종파 | 천태종 |
계보 | 산몬파 계보 |
직함 | 천태종의 세 번째 자수 (座主, head) |
사승 | 최징 |
계승자 | 안에이 (安慧) |
생애 | |
출생 연도 | 엔랴쿠 13년 (794년) |
사망 연도 | 조간 6년 1월 14일 (864년 2월 24일) |
출생지 | 시모쓰케국 아소군, 쓰가군 |
사사 | 광지, 최징, 원정, 의진 |
제자 | 유효 |
저서 | 입당구법순례행기 |
사찰 | |
관련 사찰 | 릿샤쿠지, 모쓰지, 주손지, 다이지지, 엔랴쿠지 외 전국 약 700개 사찰 |
2. 생애
794년 현재의 일본 도치기현 미부 (壬生일본어) 가문에서 태어나, 14세에 교토 근처 히에이 산의 엔랴쿠지(延曆寺일본어)에서 불교 승려로 출가하였다.
838년 규슈 하카타를 출발하여 9년간(838년~847년) 당나라에 머물렀으며, 이 기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총 4권의 일기인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저술했다. 이 일기에는 당시 당나라의 사회, 문화, 풍습 등에 대한 상세한 기록과 함께, 특히 신라방에서의 경험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엔닌은 일기에서 "신라인 해상왕 장보고의 통치 아래 있던 중국 내 신라방의 도움이 없었다면 귀국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기록하며 신라인들의 도움에 대해 언급했다.
귀국 후 엔닌은 교토시 북동부 히에이 산에 엔랴쿠지의 별원으로 적산선원(赤山禪院, 세키잔젠인)을 세웠는데, 이는 당나라 체류 시절 오랫동안 머물렀던 적산 법화원에서의 경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엔닌이 소속되었던 엔랴쿠지에는 현재 장보고 기념비 등 관련 유물이 남아있다.
엔닌의 행적과 기록은 후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지는데, 20세기 초 둔황 유물을 탐사했던 서본원사(니시혼간지)의 승려 오타니 고즈이가 대표적인 예이다. 오타니는 엔닌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둔황 유물을 일본으로 가져오고 왕오천축국전을 쓴 혜초가 신라 승려임을 밝혀내는 데 기여했다.
2. 1. 출생과 출가
794년 시모쓰케국(현 도치기현) 쓰가군 또는 아소군의 호족 미부( 壬生氏일본어 )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미부데라 ( 壬生寺일본어 ) (현 시모쓰가군 미부정 다이시마치)
- 미카호노세키( 美加保ノ関일본어 ) (도치기시 후지오카정 미카모의 쓰가 아자야카타·사노시 고시나)
- 미카모야마 ( 三毳山일본어 ) 동쪽 기슭 데아라이보 (현 도치기시 이와후네정 시모쓰하라)

형인 아키누시로부터는 유학을 권유받았으나, 엔닌은 어려서부터 불교에 마음을 두어 9세에 다이지 사에 들어가 수행을 시작했다. 다이지 사의 스승 코우치( 晃知일본어 )는 간진의 직계 제자인 도츄( 道忠일본어 )의 제자였는데, 도츄는 일찍이 사이쵸의 이해자로서 많은 제자를 사이쵸에게 보내 가르침을 받게 했다.
다이도 3년(808년), 15세가 된 엔닌은 스승 코우치와 함께 히에이 산의 엔랴쿠지 ( 延曆寺일본어 )로 올라가 사이쵸에게 직접 사사했다. 당시 텐다이 종은 나라 불교계의 반발과 진언 밀교의 부상이라는 어려움 속에서 종파를 확립하려 애쓰고 있었다. 엔닌은 스승 사이쵸에게 충실히 헌신하며 학문과 수행에 전념하여 깊은 신임을 얻었다. 사이쵸가 지관(법화경의 주석서)을 가르친 제자 10명 중, 스승의 강의를 대신할 수 있었던 것은 엔닌뿐이었다고 전해진다.
코닌 5년(814년), 21세에 국가 시험인 언시( 年試일본어 )에 합격하고 이듬해 득도하여 정식 승려가 되었다. 코닌 7년(816년), 23세에는 삼계단 중 하나인 도다이 사에서 구족계 ( 具足戒일본어 , 소승 250계)를 받았다. 같은 해, 스승 사이쵸가 동쪽 지방을 순회할 때 동행하여 고향인 시모쓰케를 방문했다. 사이쵸의 이 순유는 새로 세운 텐다이 종의 법화일승 가르침을 전국에 알리고, 주요 거점 6곳에 보탑을 세워 지방 교화와 국가 안녕의 중심지로 삼으려는 목적이었다.
코닌 8년(817년) 3월 6일, 엔닌은 교수사( 敎授師일본어 )로서 여러 제자에게 대승계를 수여함과 동시에 자신도 대승계를 받았다. 이때 관정( 灌頂일본어 ) 의식에서 투화득불( 投華得佛일본어 )은 금강살타였으며, '대용금강'( 大勇金剛일본어 )이라는 밀호( 密號일본어 )를 받았다. 코닌 13년(822년), 29세에 사이쵸로부터 일심삼관( 一心三観일본어 )의 깊은 뜻을 전수받았고, 그해 스승 사이쵸는 세상을 떠났다.
2. 2. 당나라 유학
838년 엔닌은 후지와라노 쓰네쓰구가 이끄는 견당사 사절단의 일원으로 당나라로 향했다.[2][3] 이 여정은 그가 남긴 일기인 『입당구법순례행기』에 기록된 고난과 모험의 시작이었다. 이 일기에는 당나라 말기의 혼란 속에서도 유지되었던 행정 체계와 더불어 당시의 종교, 상업 등에 대한 생생한 기록이 담겨 있다.[4] 엔닌은 당나라에 총 9년(838년 ~ 847년)간 머물렀으며, 그중 5년은 수도 장안(長安) 근처에서 보냈다.[4]엔닌의 당나라행은 순탄치 않았다. 승화 3년(836년)과 이듬해인 승화 4년(837년) 두 차례의 도항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마침내 승화 5년(838년) 6월 13일, 규슈 하카타 만을 출발하여 『입당구법순례행기』 기록을 시작했다. 엔닌이 탄 배는 8일 만에 양저우(揚州) 해안에 도착했으나, 좌초되어 배가 파손되고 그는 물에 빠지는 등 어려움을 겪으며 상륙했다(『행기』 개성 3년(838년) 7월 2일 조).
처음 엔닌은 단기 유학 승려인 청익승(請益僧) 신분이었기에 목표했던 천태산(天台山) 여행 허가를 받지 못하고 귀국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그는 당나라 체류 연장을 여러 차례 간청했으나 허가받지 못하자, 결국 견당사 일행에서 이탈하여 불법 체류를 결심했다. 이 과정에서 신라인들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다. 당시 산둥반도 연안에는 장보고를 비롯한 많은 신라인들이 해상 활동을 하고 있었는데, 엔닌은 산둥반도의 신라인 거주지인 적산(赤山)의 적산법화원(赤山法花院)에 머물며 그곳 신라인 사회의 도움으로 당나라 체류를 이어갈 수 있었다. 적산법화원은 장보고가 세운 사찰로, 엔닌은 이곳에서 신라 승려 성림(聖琳)으로부터 천태산 대신 오대산(五臺山) 순례를 권유받고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승화 7년(840년), 엔닌은 봄을 기다려 약 1270km를 도보로 이동하여 오대산 순례를 시작했다. 당나라 내에서는 하루 평균 약 40km를 걸었다(『행기』 개성 5년(840년) 2월 19일 ~ 4월 28일). 오대산에서는 해발 3000m가 넘는 최고봉 엽두봉(葉頭峰)에도 올랐으며, 그곳 사찰에서 따뜻한 환대를 받았다. 그는 오대산을 방문한 두 번째 일본 승려였다(첫 번째는 사이초와 함께 입당했던 영선(靈仙)). 이곳에서 엔닌은 五会念仏|고에 넨부쓰일본어(다섯 음조 염불)를 배웠고, 법화경과 밀교의 관계 등 미해결 문제였던 "미결 30조(未決三十條)"에 대한 해답을 찾았으며, 일본에 아직 전해지지 않은 불경 37권을 필사했다. 또한 오대산에서 안개 속 '성등(聖燈)' 현상(브로켄 현상으로 추정됨[9])을 목격하고 이를 문수보살의 현현이라 믿으며 신앙심을 다졌다.
이후 엔닌은 당시 세계 최대 도시였던 장안으로 향하기로 결심하고, 오대산에서 다시 약 1100km를 53일간 걸어서 이동했다. 장안에서 그는 여러 스승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대일경(大日經)과 금강정경(金剛頂經)에 기반한 만다라 의례, 즉 태장계(胎藏界)와 금강계(金剛界) 양부(兩部) 만다라 관정(灌頂)을 받았고,[5] 소실지경(蘇悉地經) 탄트라 수행법도 전수받았다.[6] 특히 금강계만다라를 얻은 날 밤에는 꿈에 이미 세상을 떠난 스승 사이초가 나타나 눈물을 흘리며 기뻐했다고 기록했다(『행기』 개성 5년(840년) 10월 29일 조). 그는 화가 왕혜(王惠)에게 의뢰하여 금강계 만다라를 그리게 했다.
장안에 머무는 동안 엔닌은 산스크리트어를 배우고 많은 불경을 필사하여, 장안을 떠날 때는 423부 559권의 경전을 소지하게 되었다(『입당신구성교목록』(入唐新求聖敎目錄)). 그는 여러 차례 귀국을 청원했으나 허가받지 못했고, 그 사이 843년에는 5년 넘게 함께 했던 제자 유효(惟曉)를 잃는 슬픔을 겪었다(『행기』 회창 3년(843년) 7월 25일 조).
엔닌이 당나라에 체류하던 시기인 840년, 불교를 탄압하는 정책을 편 당 무종(唐 武宗)이 즉위했고, 842년부터 846년까지 대대적인 불교 탄압 사건인 회창의 폐불(會昌-廢佛)이 일어났다. 이 박해로 인해 엔닌을 포함한 외국인 승려들은 강제로 환속(還俗)당하고 국외로 추방되었다. 엔닌은 847년 일본으로 돌아왔으며, 귀국 직전에 다시 삭발했다.[7] 그의 일기에는 중국 대운하를 따라 배로 여행한 기록도 남아 있다.
2. 3. 귀국 후 활동
847년 일본으로 귀국했으며[8], 귀국 과정에서 신라인들의 도움이 컸다. 845년 5월 15일, 당나라 수도 장안을 떠날 때 많은 신라인들이 전별을 해주었으며, 한 신라인은 비단 12장(30m)을 선물하기도 했다.[8] 산둥반도의 신라인 마을 적산까지 107일을 걸어갔는데[8], 도중 허난성 등봉시의 법왕사에서 엔닌의 이름이 새겨진 석판이 발견되었으나 후대의 위작 논란이 있다.[10][11] 신라인 장영이 귀국선을 마련해주려 했으나 밀고로 무산되었고[8], 이후 제자 성해와 재회한 뒤 신라인 통역가 유심언의 도움으로 신라 상인 김진의 무역선을 타고 귀국길에 올랐다. 엔닌은 유심언에게 사금 2냥과 대판요대를 선물했다.[8] 한반도 연안을 따라 90일간 항해하며 신라 배의 속도와 견고함에 놀라움을 표했고, 847년 9월 19일 하카타항에 도착하여 홍루관에 머물렀다.[8] 일본 조정은 엔닌을 무사히 데려온 김진 등 신라 상인에게 태정관부를 통해 충분한 보상을 하도록 명했다.[8] 엔닌은 이때 9년 6개월간의 기록인 『입당구법순례행기』의 기술을 마쳤다.[8] 그는 최징이나 공해가 가져오지 못한 경전과 새로 번역된 경전들을 의식적으로 수집해 와 일본 밀교 발전에 기여했다.[8]854년(닌주 4년) 4월 3일, 61세의 나이로 엔랴쿠지의 제3대 천태종 좌주(座主)가 되었다.[8] 그는 엔랴쿠지에 중국에서 가져온 경전과 불교 도구를 보관할 건물을 짓고 사찰 단지를 확장했으며, 학문 과정을 정비하여 일본 천태종의 독자적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8] 엔닌의 주요 공헌은 천태 밀교 전통을 강화한 것이지만, 그가 도입한 정토 신앙의 염불(넨부츠) 수행은 이후 가마쿠라 시대에 독립적인 정토교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8]
엔닌은 야마데라로 알려진 류샤쿠지(릿샤쿠지)를 창건했으며[8], 도쿄의 메구로후도로 유명한 타키센지나 미야기현 마츠시마의 즈이간지 등을 열었다고도 전해진다. 그가 창건하거나 중흥했다고 전해지는 사찰은 간토 지방에 209개, 도호쿠 지방에 331개 이상이며, 이와테현 히라이즈미의 주손지나 도쿄 아사쿠사의 센소지도 그중 하나이다.[http://www.iwafune-kankou.com/ennin.html 이와후네마치 관광 협회 HP] 홋카이도의 우수젠코지에도 엔닌이 창건했다는 전승이 남아있다.
후대에 엔닌의 법맥을 이은 파를 '''산몬파'''(山門派)라고 부르며, 엔친의 법맥을 이은 지몬파(寺門派)와 오랫동안 대립 관계를 형성했다(산몬 지몬의 다툼).
3. 저술 및 영향
엔닌은 10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저술은 중국 여행 일기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礼行記일본어)이다. 이 일기는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838년부터 847년까지 9년간 당나라에 머물면서 겪은 일들을 기록한 것이다.
일기에는 당시 당나라의 풍습, 관습, 문화 등 사실적인 기록이 풍부하게 담겨 있다. 특히 2권에서는 신라방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기록하며, "신라인 해상왕 장보고의 통치 아래 있던 중국 내 신라방의 배려가 아니었다면 돌아가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엔닌의 일기는 당나라 시대 중국과 신라 한국의 삶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신라 인물 장보고에 대한 드문 정보를 담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입당구법순례행기''는 하버드 대학교의 에드윈 O. 라이샤워 교수에 의해 ''엔닌의 일기: 법을 찾기 위한 중국 순례 기록''(Ennin's Diary: The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이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세계 문학 최고의 기행문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
엔닌의 기록과 행적은 후대 인물에게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초 둔황 유물을 탐사했던 서본원사(西本願寺)의 승려 오타니 고즈이가 엔닌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오타니는 둔황 유물을 일본으로 가져간 인물 중 하나이며, 왕오천축국전을 쓴 혜초가 신라의 승려임을 밝혀내기도 했다.
4. 전설
엔닌은 간무 천황 재위 시기인 엔랴쿠 13년에 아소산 기슭의 테아라이쿠보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있다. 이 전설에 따르면, 고치 보살이 다이지 사의 주지로 있을 때 남쪽 하늘에 상서로운 보라색 구름(자운)이 드리운 것을 보고 찾아가니, 아소산 기슭(현재의 미카모 산 기슭, 이와후네정 시모쓰하라 테아라이쿠보)에 있는 세키 가문, 즉 다이지 사의 독실한 신도였던 역장 미부노 오비토 마로의 집에서 남자아이가 태어났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야구모 미쇼"라는 문헌에 기록된 전승에 바탕을 두고 있다. 과거 아소 군 시모쓰하라에 속했던 테아라이쿠보는 현재 "자카쿠 대사(엔닌) 탄생지"로서 도치기시의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Travelers of a Hundred Ages
[2]
백과사전
Fujiwara no Tsunetsugu
https://books.google[...]
[3]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 history of China
http://archive.org/d[...]
St. Martin's Press
1996
[5]
웹사이트
Profile of Jikaku Daishi
https://www.tendai.o[...]
2022-02-12
[6]
서적
うちのお寺は天台宗 わが家の宗教を知る (双葉文庫)
双葉社
[7]
서적
Ennin's Travels in T'ang China
[8]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9]
기타
天台修験道の荒行 - 千日回峰行と十二年籠山行
https://archive.li/P[...]
[10]
뉴스
遣唐使「円仁」足跡 中国で発見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10-07-09
[11]
블로그
第293回講演会「古代年代論批判(2)文献による年代論、円仁の石版の真偽問題」後段で論議解説、本講演では本物説
https://archive.li/X[...]
邪馬台国の会ブログ
2010-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