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섬 작전의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1. 개요
엡섬 작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과 독일군의 부대 편성을 상세히 보여준다. 영국군은 제2군과 제8군단을 중심으로 제11기갑사단, 제4기갑여단, 제29기갑여단, 제159보병연대, 제15스코틀랜드 보병사단, 제44보병여단, 제46보병여단, 제227보병여단, 제31기갑여단, 제43웨섹스 보병사단, 제129보병연대, 제130보병여단, 제214보병여단, 제32보병연대 등을 투입했다. 독일군은 제7군, 제1SS기갑군단, 제2SS기갑군단, 제47기갑군단, 제101SS중전차대대,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제1SS기갑사단 총통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 제21기갑사단, 기갑교도사단,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와 제3대공군단 예하 부대로 맞섰다.
2. 배경
2. 1. 작전 목표
2. 2. 작전 계획
3. 전투 서열
wikitext 제2군은 총사령관 마일스 뎀프시 중장의 지휘를 받았다. [1] 제8군단은 리처드 오코너 중장의 지휘 하에 작전에 참여했다. [2]
제8군단 [2]군단 예하 부대 [2] 제91대전차연대 [2] 제121대공연대 [2] 제21군집단 부대 [2] 왕립포병연대 제8군집단 [2] BL 5.5인치 중포 16문, BL 7.2인치 곡사포 16문, 24대의 대공포. [3] [4] [2]제2노스햄튼셔 의용기병대 크롬웰 전차, [5] M3 스튜어트 [6] 제77중연대 [2] 제75대전차연대 [2] 제58경대공연대 [2] 대박격포진지 [2] 제13·612·147 야전기병대 [2] 제10교량도하공병중대 [2] [7]영국 용기병 제2연대 [7] 셔먼 임대 전차, 셔먼 파이어플라이, [8] M5 스튜어트 [6] 제3런던 의용기병대 [7] 셔먼 II, 셔먼 Vc, [8] M3 스튜어트 [6] 제44왕립전차연대 셔먼 II, 셔먼 Vc, [8] M3 스튜어트 [6] 왕립소총군단 제2대대 [7] 제4왕립포병연대 [7] 제25파운드 섹스튼 자주포 [9] 제144대전차포대 [7] 17파운드 포 SP 아킬레스 [7] [2]제23후사르 [2] 제3왕립전차연대 [2] 제2파이프 포르타르 의용기병대 [2] 부군 소총여단 제2대대 [2] 제13포병연대 [2] 제75대전차여단 제119포대, [2] M10 구축전차 [10] [2]왕립 슈로스피어 경보병연대 제4대대 [2] 헤레포드셔 경보병연대 제1대대 [2] 몬트마우셔 연대 제3대대 [2] 왕립 노섬버랜드 푸질리에 [2] 제151아이셔 의용기병대 [2] 제117대전차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2] [2]제15정찰연대 [2] 제97대공전차연대 본부 및 제346포대 [2] 제119경대공여단 본부 [2] 제15사단 공병연대 본부 [2] 제624야전중대 [2] 제26교량소대 [2] [2]왕립 스코틀랜드 국경중대 [2] 왕립 스코틀랜드 푸질리에 제6대대 [2]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제8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A 중대 [2] 제190야전중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159대전차포대 [2] 경대공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279야전중대 [2] [2]글래스고 하일랜더 제2대대 [2] 시포스 하일랜더 제7대대 [2] 스코틀랜드 소총연대 카메룬 부대 제9대대 [2] 노스햄튼셔 제2의용기병대 A 중대 크롬웰 전차 [5]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B 중대 [2] 제181야전중대 [2] [12] 25파운드 야전포 [3] 제161대전차포대 [2] 경대공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제279야전중대 [2] [2]아르길 서덜랜드 하일랜더 제2대대 [2] 고든 하일랜드 연대 제2대대 [2] 하일랜드 경보병연대 제10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C 중대 [2] 제131야전여단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86대전차포대 [2] 제391경대공포대 [2] 제20야전중대 [2] [7]제7왕립전차연대 [7] 처칠 전차 [7] 제9왕립전차연대 [7] 처칠 전차 [7] 웨스트민스터 용기병연대 제2대대 제22용기병연대 B 중대 처칠 AVRE, 처칠 크로커다일 [13] [2] [2]제43웨섹스 정찰여단 [2] 장갑차 미들섹스 연대 본부 제8대대 [2] 제59전차연대 본부 및 제236포대 [2] 제110경대공여단 제360·362포대 본부 [2] 제43사단 공병연대 본부 [2] 제20야전중대 [2] [2]솜레스트 경보병연대 제4대대 [2] 윌트셔 연대 제4대대 [2] 윌트셔 연대 제5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A 중대 [2] 제94야전연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35대전차포대 [2] 제360경대공포대 [2] 제20독립대공부대 [2] 제206야전중대 [2] [2]도르셋셰어 연대 제4대대 [2] 도르셋셰어 연대 제5대대 [2] 햄프셔 연대 제7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B 중대 [2] 제112웨섹스 야전중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23대전차포대 [2] 제362경대공포대 [2] 제32독립대공부대 [2] 제553야전중대 [2] [2]워스터셰어 연대 제1대대 [2] 콘월 공작 경보병연대 제5대대 [2] 솜레스트 경보병연대 제7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C 중대 [2] 제179야전연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333대전차포대 [2] 제361경대공포대 [2] 제31독립대공부대 [2] 제20야전중대 [2] [15]아일랜드 보위대 제3대대 [15] 콜드스트림 보위대 제5대대 [15]
3. 1. 영국군
제8군단은 중장 리처드 오코너 경의 지휘 하에 엡섬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
제8군단 [2]군단 예하 부대 [2] 제91대전차연대 [2] 제121대공연대 [2] 제21군집단 부대 [2] 왕립포병연대 제8군집단 [2] BL 5.5인치 중포 16문, BL 7.2인치 곡사포 16문, 24대의 대공포. [3] [4] [2]제2노스햄튼셔 의용기병대 크롬웰 전차, [5] M3 스튜어트 [6] 제77중연대 [2] 제75대전차연대 [2] 제58경대공연대 [2] 대박격포진지 [2] 제13·612·147 야전기병대 [2] 제10교량도하공병중대 [2] [7]영국 용기병 제2연대 [7] 셔먼 임대 전차, 셔먼 파이어플라이, [8] M5 스튜어트 [6] 제3런던 의용기병대 [7] 셔먼 II, 셔먼 Vc, [8] M3 스튜어트 [6] 제44왕립전차연대 셔먼 II, 셔먼 Vc, [8] M3 스튜어트 [6] 왕립소총군단 제2대대 [7] 제4왕립포병연대 [7] 제25파운드 섹스튼 자주포 [9] 제144대전차포대 [7] 17파운드 포 SP 아킬레스 [7] [2]제23후사르 [2] 제3왕립전차연대 [2] 제2파이프 포르타르 의용기병대 [2] 부군 소총여단 제2대대 [2] 제13포병연대 [2] 제75대전차여단 제119포대, [2] M10 구축전차 [10] [2]왕립 슈로스피어 경보병연대 제4대대 [2] 헤레포드셔 경보병연대 제1대대 [2] 몬트마우셔 연대 제3대대 [2] 왕립 노섬버랜드 푸질리에 [2] 제151아이셔 의용기병대 [2] 제117대전차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2] [2]제15정찰연대 [2] 제97대공전차연대 본부 및 제346포대 [2] 제119경대공여단 본부 [2] 제15사단 공병연대 본부 [2] 제624야전중대 [2] 제26교량소대 [2] [2]왕립 스코틀랜드 국경중대 [2] 왕립 스코틀랜드 푸질리에 제6대대 [2]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제8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A 중대 [2] 제190야전중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159대전차포대 [2] 경대공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279야전중대 [2] [2]글래스고 하일랜더 제2대대 [2] 시포스 하일랜더 제7대대 [2] 스코틀랜드 소총연대 카메룬 부대 제9대대 [2] 노스햄튼셔 제2의용기병대 A 중대 크롬웰 전차 [5]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B 중대 [2] 제181야전중대 [2] [12] 25파운드 야전포 [3] 제161대전차포대 [2] 경대공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제279야전중대 [2] [2]아르길 서덜랜드 하일랜더 제2대대 [2] 고든 하일랜드 연대 제2대대 [2] 하일랜드 경보병연대 제10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C 중대 [2] 제131야전여단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86대전차포대 [2] 제391경대공포대 [2] 제20야전중대 [2] [7]제7왕립전차연대 [7] 처칠 전차 [7] 제9왕립전차연대 [7] 처칠 전차 [7] 웨스트민스터 용기병연대 제2대대 제22용기병연대 B 중대 처칠 AVRE, 처칠 크로커다일 [13] [2] [2]제43웨섹스 정찰여단 [2] 장갑차 미들섹스 연대 본부 제8대대 [2] 제59전차연대 본부 및 제236포대 [2] 제110경대공여단 제360·362포대 본부 [2] 제43사단 공병연대 본부 [2] 제20야전중대 [2] [2]솜레스트 경보병연대 제4대대 [2] 윌트셔 연대 제4대대 [2] 윌트셔 연대 제5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A 중대 [2] 제94야전연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35대전차포대 [2] 제360경대공포대 [2] 제20독립대공부대 [2] 제206야전중대 [2] [2]도르셋셰어 연대 제4대대 [2] 도르셋셰어 연대 제5대대 [2] 햄프셔 연대 제7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B 중대 [2] 제112웨섹스 야전중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23대전차포대 [2] 제362경대공포대 [2] 제32독립대공부대 [2] 제553야전중대 [2] [2]워스터셰어 연대 제1대대 [2] 콘월 공작 경보병연대 제5대대 [2] 솜레스트 경보병연대 제7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C 중대 [2] 제179야전연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333대전차포대 [2] 제361경대공포대 [2] 제31독립대공부대 [2] 제20야전중대 [2] [15]아일랜드 보위대 제3대대 [15] 콜드스트림 보위대 제5대대 [15]
3. 1. 1. 제8군단
제8군단은 중장 리처드 오코너 경의 지휘 하에 엡섬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제8군단 [2] 중장 리처드 오코너 경 [2] 군단 예하 부대 [2] 제91대전차연대 [2] 제121대공연대 [2] 제21군집단 부대 [2] 왕립포병연대 제8군집단 [2] BL 5.5인치 중포 16문, BL 7.2인치 곡사포 16문, 24대의 대공포. [3] [4] [2] 중장 조지 로버츠 [2]제2노스햄튼셔 의용기병대 크롬웰 전차, [5] M3 스튜어트 [6] 제77중연대 [2] 제75대전차연대 [2] 제58경대공연대 [2] 대박격포진지 [2] 제13·612·147 야전기병대 [2] 제10교량도하공병중대 [2] [7]영국 용기병 제2연대 [7] 셔먼 임대 전차, 셔먼 파이어플라이, [8] M5 스튜어트 [6] 제3런던 의용기병대 [7] 셔먼 II, 셔먼 Vc, [8] M3 스튜어트 [6] 제44왕립전차연대 셔먼 II, 셔먼 Vc, [8] M3 스튜어트 [6] 왕립소총군단 제2대대 [7] 제4왕립포병연대 [7] 제25파운드 섹스튼 자주포 [9] 제144대전차포대 [7] 17파운드 포 SP 아킬레스 [7] [2] 준장 C.B.C. 하비 [2]제23후사르 [2] 제3왕립전차연대 [2] 제2파이프 포르타르 의용기병대 [2] 부군 소총여단 제2대대 [2] 제13포병연대 [2] 제75대전차여단 제119포대, [2] M10 구축전차 [10] [2] 준장 J.G. 산디에 [2]왕립 슈로스피어 경보병연대 제4대대 [2] 헤레포드셔 경보병연대 제1대대 [2] 몬트마우셔 연대 제3대대 [2] 왕립 노섬버랜드 푸질리에 [2] 제151아이셔 의용기병대 [2] 제117대전차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2] 중장 고든 홈즈 맥밀런 [2] [2]제15정찰연대 [2] 제97대공전차연대 본부 및 제346포대 [2] 제119경대공여단 본부 [2] 제15사단 공병연대 본부 [2] 제624야전중대 [2] 제26교량소대 [2] [2] 준장 H.D.K. 머니 [2]왕립 스코틀랜드 국경중대 [2] 왕립 스코틀랜드 푸질리에 제6대대 [2]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제8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A 중대 [2] 제190야전중대 [2] 25파운드 야전견인포 [11] 159대전차포대 [2] 경대공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279야전중대 [2] [2] 준장 콜린 뮈르 바베르 [2]글래스고 하일랜더 제2대대 [2] 시포스 하일랜더 제7대대 [2] 스코틀랜드 소총연대 카메룬 부대 제9대대 [2] 노스햄튼셔 제2의용기병대 A 중대 크롬웰 전차 [5]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B 중대 [2] 제181야전중대 [2] [12] 25파운드 야전견인포 [3] 제161대전차포대 [2] 경대공포대 [2] 제6공격여단 제81부대 [2] 제279야전중대 [2] [2] 준장 J.R. 매킨토시워커 [2]아르길 서덜랜드 하일랜더 제2대대 [2] 고든 하일랜드 연대 제2대대 [2] 하일랜드 경보병연대 제10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1대대 C 중대 [2] 제131야전여단 [2] 25파운드 견인포 [11] 제286대전차포대 [2] 제391경대공포대 [2] 제20야전중대 [2] [7]제7왕립전차연대 [7] Churchill tanks [7] 제9왕립전차연대 [7] Churchill tanks [7] 웨스트민스터 용기병연대 제2대대 제22용기병연대 B 중대 처칠 AVRE, 처칠 크로커다일 [13] [2] 중장 귈림 이보스 토마스 [2] [2]제43웨섹스 정찰여단 [2] 장갑차 미들섹스 연대 본부 제8대대 [2] 제59전차연대 본부 및 제236포대 [2] 제110경대공여단 제360·362포대 본부 [2] 제43사단 공병연대 본부 [2] 제20야전중대 [2] [2] Brigadier G.H.L. Luce [2]솜레스트 경보병연대 제4대대 [2] 윌트셔 연대 제4대대 [2] 윌트셔 연대 제5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A 중대 [2] 제94야전연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35대전차포대 [2] 제360경대공포대 [2] 제20독립대공부대 [2] 제206야전중대 [2] [2] 준장 N.D. 레실 [2]도르셋셰어 연대 제4대대 [2] 도르셋셰어 연대 제5대대 [2] 햄프셔 연대 제7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B 중대 [2] 제112웨섹스 야전중대 [2] 25파운드 야전포 [11] 제223대전차포대 [2] 제362경대공포대 [2] 제32독립대공부대 [2] 제553야전중대 [2] [2] 준장 휴 에세미 [2]워스터셰어 연대 제1대대 [2] 콘월 공작 경보병연대 제5대대 [2] 솜레스트 경보병연대 제7대대 [2] 미들섹스 연대 제8대대 C 중대 [2] 제179야전연대 [2] 25파운드 야전견인포 [11] 제333대전차포대 [2] 제361경대공포대 [2] 제31독립대공부대 [2] 제20야전중대 [2] [15]아일랜드 보위대 제3대대 [15] 콜드스트림 보위대 제5대대 [15]
3. 2. 독일군
프리드리히 돌만 상급대장이 지휘하는 제7군은 엡섬 작전에 맞서 싸웠다. [16] 이후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남작 기갑대장이 지휘했다. [17] SS-상급집단지도자 제프 디트리히 [19] 제12SS기갑여단 [19] SS-기갑척탄병 제25연대 [19] SS-기갑척탄병 제26연대 [19] 제12SS기갑포병연대 [19] 제12SS수색대대 [19] 제12SS대전차대대 [19] SS-Projector Battalion 12 [19] 제12SS대공대대 [19] 제12SS기갑공병대대 [19]** 제1SS기갑사단 총통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 SS-연대지도자 알베르트 프레이 [17] 프레이 군집단 [22] SS기갑척탄병 제3연대 [19] SS기갑척탄병 제4연대 [19] 전투집단 1개 베이딩거 집단군 [25] 제4SS기갑척탄병 여단 "데르 퓌헤르" 제1대대 [26] 제4SS기갑척탄병 여단 "데르 퓌헤르" 제14·15·16지원중대 [26] 제3SS기갑척탄병 여단 "도이칠란트" 제1대대 [26]파울 하우서 파울 하우서/Paul Hausserde SS상급집단지도자 (6월 29일 아침까지) [16] 빌헬름 비트리히 SS상급집단지도자 (6월 29일 아침부터) [19]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 SS-Standartenführer 토마스 뮐러* SS-Panzer Regiment 9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19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20 [19] * SS-Panzer Artillery Regiment 9 [19] * SS-Reconnaissance Battalion 9 [19] * SS-Anti-Tank Battalion 9 [19] * SS-Anti-Aircraft Battalion 9 [19] * SS-Panzer Pioneer Battalion 9 [19]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 SS-Oberführer Heinz Harmel [19]* SS-Panzer Regiment 10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21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22 [19] * SS-Panzer Artillery Regiment 10 [19] * SS-Reconnaissance Battalion 10 [19] * SS-Anti-Aircraft Battalion 10 [19] * SS-Panzer Pioneer Battalion 10 [19] 제2기갑사단 일부 [25] 가 엡섬 작전에 맞서 싸웠다. [25] 전차대대 1개급 전투집단 [25] 볼프강 피케르트 장군이 지휘하는 제3대공군단 예하 제4대공연대가 엡섬 작전에 참여했다. [20] [24]
3. 2. 1. 제7군
프리드리히 돌만 상급대장이 지휘하는 제7군은 엡섬 작전에 맞서 싸웠다. [16] 이후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남작 기갑대장이 지휘했다. [17]
3. 2. 2. 제1SS기갑군단
SS-상급집단지도자 제프 디트리히 [19] 제12SS기갑여단 [19] SS-기갑척탄병 제25연대 [19] SS-기갑척탄병 제26연대 [19] 제12SS기갑포병연대 [19] 제12SS수색대대 [19] 제12SS대전차대대 [19] SS-Projector Battalion 12 [19] 제12SS대공대대 [19] 제12SS기갑공병대대 [19]** 제1SS기갑사단 총통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 SS-연대지도자 알베르트 프레이 [17] 프레이 군집단 [22] SS기갑척탄병 제3연대 [19] SS기갑척탄병 제4연대 [19] 전투집단 1개 베이딩거 집단군 [25] 제4SS기갑척탄병 여단 "데르 퓌헤르" 제1대대 [26] 제4SS기갑척탄병 여단 "데르 퓌헤르" 제14·15·16지원중대 [26] 제3SS기갑척탄병 여단 "도이칠란트" 제1대대 [26]
3. 2. 3. 제2SS기갑군단
파울 하우서 파울 하우서/Paul Hausserde SS상급집단지도자 (6월 29일 아침까지) [16] 빌헬름 비트리히 SS상급집단지도자 (6월 29일 아침부터) [19]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 SS-Standartenführer 토마스 뮐러* SS-Panzer Regiment 9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19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20 [19] * SS-Panzer Artillery Regiment 9 [19] * SS-Reconnaissance Battalion 9 [19] * SS-Anti-Tank Battalion 9 [19] * SS-Anti-Aircraft Battalion 9 [19] * SS-Panzer Pioneer Battalion 9 [19]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 SS-Oberführer Heinz Harmel [19]* SS-Panzer Regiment 10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21 [19] * SS-Panzergrenadier Regiment 22 [19] * SS-Panzer Artillery Regiment 10 [19] * SS-Reconnaissance Battalion 10 [19] * SS-Anti-Aircraft Battalion 10 [19] * SS-Panzer Pioneer Battalion 10 [19]
3. 2. 4. 제47기갑군단
제2기갑사단 일부 [25] 가 엡섬 작전에 맞서 싸웠다. [25] 전차대대 1개급 전투집단 [25]
3. 2. 5. 기타 부대
볼프강 피케르트 장군이 지휘하는 제3대공군단 예하 제4대공연대가 엡섬 작전에 참여했다. [20] [24]
4. 경과
4. 1. 6월 26일: 공격 개시
4. 2. 6월 27일: 교두보 확보
4. 3. 6월 28일 ~ 29일: 독일군의 반격
4. 4. 6월 30일: 작전 중단
5. 결과 및 영향
5. 1. 전술적 측면
5. 2. 전략적 측면
5. 3. 한국 전쟁과의 연관성
6. 논란
6. 1. 몽고메리 장군의 작전 계획 비판
6. 2. 인명 피해 문제
참조
[1]
서적
Wilmot
[2]
서적
Clark
[3]
서적
Jackson
[4]
서적
Brayley
[5]
서적
Fortin
[6]
서적
Fortin
[7]
서적
Clark
[8]
서적
Fortin
[9]
간행물
Artillery Regiments That Served With The 7th Armoured Division
[10]
서적
Fortin
[11]
서적
Reid
[12]
서적
Neal
[13]
서적
Fortin
[14]
서적
Jackson
[15]
서적
Fortin
[16]
서적
Reynolds
[17]
서적
Clark
[18]
서적
Clark
[19]
서적
Clark
[20]
서적
Clark
[21]
서적
Forty
[22]
서적
Clark
[23]
서적
Clark
[24]
서적
Ford
[25]
서적
Clark
[26]
서적
Meyer
[27]
서적
Clark
[28]
서적
Cla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