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형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형묵은 1968년부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및 부장, 서기를 역임하고, 1980년 당 정치국원·서기로 선출되었다. 1985년 정무원 제1부총리를 거쳐, 1988년 정무원 총리에 임명되어 경제 개혁을 시도했으나 김정일의 반대로 실패했다. 1990년 남북총리회담을 개최하고 한반도 비핵화 선언에 기여했으나, 중국 동북 3성 관련 발언으로 인해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산 연씨 - 연제민
연제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데뷔하여 여러 팀을 거쳤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2012 AFC U-19 챔피언십과 2015 킹스컵 우승을 경험했고, K리그 통산 150경기 1득점을 기록, 2024년 2월에는 중국 1부 리그 쑤저우 동우에 입단했다. - 곡산 연씨 - 연규진
대한민국의 배우 연규진은 1976년 드라마로 데뷔하여 여러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활동을 펼쳤고, 《가족오락관》 출연과 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수상으로 대중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쌓았다. - 만경대혁명학원 동문 - 현철해
현철해는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김정일 시대 최측근으로 활동했고 김정은의 군사 교육을 담당했으며 2016년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고 2022년 사망 후 국장이 치러졌다. - 만경대혁명학원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총리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총리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연형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연형묵 |
한자 표기 | 延亨默 |
로마자 표기 | Yeon Hyeongmuk |
출생일 | 1931년 11월 3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함경북도 경원군 |
사망일 | 2005년 10월 22일 |
사망지 | 평양직할시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정당 | 조선로동당 |
배우자 | 신오순 |
자녀 | 2남 1녀 |
아버지 | 연희상 |
직책 | |
임기 시작 | 1988년 12월 11일 |
임기 종료 | 1992년 12월 11일 |
국가 주석 | 김일성 |
전임 총리 | 리근모 |
후임 총리 | 강성산 |
임기 시작 | 1985년 10월 1일 |
임기 종료 | 1986년 12월 29일 |
학력 | |
대학교 | 프라하 공과대학교 학사 |
기타 | |
종교 | 무신론 |
관련 정보 | |
남북 합의서 | http://peacemaker.un.org/sites/peacemaker.un.org/files/KR%20KP_911213_Agreement%20on%20reconciliation%20non%20aggression%20and%20exchangespdf.pdf |
2. 경력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유학한 경험이 있다. 1968년부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및 부장을 역임했으며, 1970년 11월 당 중앙위원회 비서가 되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정치국원, 비서로 선출되었다.[7] 1985년 10월 1일, 강성산 내각에서 정무원 제1부총리(제1부수상)에 임명되었고, 11월 19일부터 금속·기계공업위원장을 겸임했다. 그러나 1986년 12월 29일 강성산이 정무원 총리를 사퇴하자, 연형묵도 제1부총리 및 금속·기계공업위원장에서 물러났다.
1980년대 후반 북한은 사회주의 정책의 난관으로 인해 경제가 위기에 처했다. 김일성은 경제 전문가로서 연형묵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1988년 12월 12일 그를 정무원 총리로 임명했다.[7] 연형묵은 총리 취임과 함께 당 서기를 사퇴했다.
1988년 12월 12일, 김일성 주석은 경제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연형묵을 정무원 총리로 임명했다. 총리 취임과 함께 당 비서는 사퇴했다. 1990년 9월 5일에는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하여 강영훈 국무총리와 제1차 남북총리회담을 개최했고, 이후 여러 차례 남북 협의를 거쳐 1992년에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발표했다.
그러나 연형묵의 경제 개혁은 김정일의 반대로 실패했고, 1992년 12월 10일 제6기 당 중앙위원회 제20차 총회와 12월 1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정무원 총리 해임이 결정되어, 자강도 당위원회 책임비서로 강등되었다.[9]
1998년 1월 "노력영웅" 칭호를 받았고, 9월에는 국방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2003년 9월에는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3. 경제 정책 및 평가
연형묵은 정무원 총리로서 경제 개혁에 착수했지만, 이미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김정일은 개혁에 부정적이었다. 결국 개혁은 실패했고, 1992년 12월 10일 제6기 당 중앙위원회 제20차 총회와 12월 1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연형묵은 정무원 총리직에서 해임되어 자강도 당위원회 책임서기로 강등되었다.[9]
한편, 연형묵은 1990년 9월 5일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하여 강영훈 국무총리와 제1차 남북총리회담을 개최하는 등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서도 노력했다. 이후 여러 차례 남북 협의를 거듭하여 1992년에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서울 방문 중 “하루빨리 남과 북이 하나로 통일되어 (옛 고구려 영토였던) 중국 동북 3성 지역을 방문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이 중국 정부의 반발을 사[7] 총리 해임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8]
3. 1. 시장경제 부분적 도입 시도 (1980년대)
김정일은 1984년 3월에 독립채산제에 관한 규정을 현실에 맞게 개선하여, 기업에서 독립채산제를 철저히 구현하도록 지시했다.[20]
1970년대까지는 초과 이윤의 20%를 기업소 기금으로 유보할 수 있었으나, 기업은 이윤의 일부, 즉 최대 초과 이윤의 50%를 기업 내에 유보하여 고정자본 투자, 유동자금, 보너스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86년 4월 정무원 결정 제20호에 따라 초과 이윤에서 기업소 기금을 적립하는 한도액이 50%까지 증액되었으며, 이때 계획 외 생산을 인정하였다.[20]
8.3 인민소비품생산운동의 경우 생산 품목 결정, 판매 가격 설정에 관해 기업 측에 자율성이 부여되었으며, 기업은 이 운동으로 번 수입의 일부를 국가에 납부해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었다. 지역에 따라 수입의 20~25%를 국가에 납부해야 했다. 8.3 인민소비품 생산은 국가로부터 기업에 내려오는 계획 과제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는 금액 지표였다. 예를 들어 기업은 종업원 1인당 매월 5원씩 8.3 인민소비품 창조 운동으로 벌도록 지시를 받았지만, 어떤 품목을 생산할 것인가는 기본적으로 가내작업반에 맡겨졌다.
가격은 사실상 합의 가격으로 되어 있었으며, 직매점에 나와 있는 상품은 수요자와 가격을 교섭하여 합의에 도달하면 그 가격으로 팔 수 있었다. 기업은 자신의 8.3 소비품이 잘 팔리지 않으면 할인하고, 잘 팔리면 가격을 인상했다.
가내작업반 관리운영규정은 그 적용 대상을 기관, 기업소, 협동단체, 노동자구, 동의 인민반에 조직된 가내작업반, 부업반, 가내편의서비스원, 협동조합식당, 가내축산반이라고 명기했다. 가내작업반 관리운영규정에는 식료품 가공 및 생산의 확대가 등장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가내작업반, 부업반, 가내편의서비스원, 협동조합식당, 가내축산반이 생산한 제품은 생산자와 직매점 간의 합의에 의한 가격으로 정해졌다. 주민의 개별 주문에 의해 서비스한 때는 그 가격을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해 정했으며, 이들 조직의 규모는 3명 이상이었다.
3. 2. 경제 개혁 시도와 좌절 (1988 - 1992)
1980년대 후반 북한은 사회주의 정책의 난관으로 인해 경제가 위기에 처했다. 김일성 국가주석은 연형묵의 경제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1988년 12월 12일 연형묵을 정무원 총리로 임명했다. 총리 취임과 함께 당 서기를 사퇴했다.[7]
정무원 총리에 취임한 연형묵은 경제 개혁에 착수했지만, 이미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김정일 서기는 개혁에 부정적이었다. 결국 개혁은 실패했고, 1992년 12월 10일 제6기 당 중앙위원회 제20차 총회와 12월 1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정무원 총리 해임이 결정되어, 자강도 당위원회 책임서기로 강등되었다.[9]
1990년 9월 5일,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하여, 대한민국 국무총리 강영훈과 제1차 남북총리회담을 개최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요한 남북 협의를 거듭하여, 1992년에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발표했다. 이 방문 중 한국 전통주인 ‘문배주’를 마신 자리에서 “하루빨리 남과 북이 하나로 통일되어 (옛 고구려 영토였던) 중국 동북 3성 지역을 방문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 중국 정부의 반발을 사[7], 정무원 총리 해임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지적이 있다.[8]
4. 남북 관계
1980년대 후반 북한은 사회주의 정책의 난관으로 인해 경제가 위기에 처했고, 김일성은 경제 전문가로서 연형묵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1988년 12월 12일 그를 정무원 총리로 임명했다. 이후 연형묵은 1990년 9월 5일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하여 강영훈 국무총리와 제1차 남북총리회담을 개최했다.[7]
4. 1. 남북 고위급 회담 (1990-1992)
1990년 9월 5일, 연형묵은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하여 강영훈 대한민국 국무총리와 제1차 남북총리회담을 개최했다.[7] 이후 여러 차례 중요한 남북 협의를 거듭하여, 1992년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발표했다.[7] 이 방문 중 한국 전통주인 ‘문배주’를 마신 자리에서 “하루빨리 남과 북이 하나로 통일되어 (옛 고구려 영토였던) 중국 동북 3성 지역을 방문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 중국 정부의 반발을 샀고,[7] 정무원 총리 해임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지적이 있다.[8]4. 2. 문배주 발언과 중국과의 관계
1990년 9월 5일,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하여, 강영훈 대한민국 국무총리와 제1차 남북총리회담을 개최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요한 남북 협의를 거듭하여, 1992년에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발표했다. 방한 중 한국 전통주인 ‘문배주’를 마신 자리에서 “하루빨리 남과 북이 하나로 통일되어 (옛 고구려 영토였던) 중국 동북 3성 지역을 방문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 중국 정부의 반발을 사[7], 정무원 총리 해임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지적이 있다[8].5. 사망
2005년 10월 22일 사망했다. 조명록이 위원장을 맡은 장례위원회가 구성되었다.[4] 장례위원은 다음과 같다.[5]
장례위원 |
---|
6. 저작
참조
[1]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4
[2]
서적
Towards Korean Reconciliation: Socio-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06-01-01
[3]
웹사이트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ttp://peacemaker.un[...]
1992-03-25
[4]
웹사이트
Yon Hyong Muk Dies
http://www.kcna.co.j[...]
2005-10-23
[5]
웹사이트
북 연형묵 국가장의위 명단
http://www.tongilnew[...]
2013-10-23
[6]
웹사이트
임꺽정과 단기로 겨룬 연천령 장군
http://www.dtnews24.[...]
2010-10-06
[7]
웹사이트
북朝鮮の独裁者をものともせず民政に力を注いだ趙世雄と延享黙
https://jbpress.isme[...]
JB Press
2021-11-24
[8]
웹사이트
북朝鮮の独裁者をものともせず民政に力を注いだ趙世雄と延享黙
https://jbpress.isme[...]
JB Press
2021-11-24
[9]
뉴스
【秘録金正日(55)】壮大な虚構映したカラーテレビ工場 コーヒー1杯さえケチった外貨で側近手なずけ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5-12-15
[10]
웹인용
북한자료센터
http://unibook.uniko[...]
통일부
2013-12-10
[11]
웹인용
북 김영일 내각 총리는 지금 뭐하나?
http://www.dailynk.c[...]
2009-04-12
[12]
백과사전
연형묵
한국학중앙연구원
[13]
뉴스
북 연형묵 사망
https://news.naver.c[...]
[14]
논문
북한의 제2경제
1998-02-25
[15]
간행물
민주조선
1989-08-21
[16]
논문
북한의 상업활동 변화와 2000년 이후 상업법 개정
2015-09-24
[17]
법률
1992년 제정 사회주의 상업법 제52조(가내편의서비스)
[18]
법률
1992년 제정 사회주의상업법 제53조(편의서비스용 자재, 부속품 보장)
[19]
논문
북한 경제관리제도의 변천과 경제개혁조치
2001
[20]
논문
북한 경제관리제도의 변천과 경제개혁조치
20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국가 선언' 북한, 35년 전엔 "조선은 하나"…"남한, 분열 지향" 비난
1991년 남북은 어떻게 ‘통일 지향 특수관계’에 합의했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