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성산은 1931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나 김일성종합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북한의 정치인이다. 1984년 정무원 총리에 취임하여 경제 개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김정일 시대에 실각하여 1998년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2000년 사망했으며, 조선로동당 요직을 두루 거치며 혁신적인 면모를 보였으나, 김정일 시대에는 정치적 영향력을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총리 - 최영림 (정치인)
최영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한국 전쟁 참전 후 김일성종합대학과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주요 직책을 거쳐 정무원 부총리, 내각총리를 역임했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을 지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총리 - 김용진 (1953년)
김용진은 1953년 2월 23일에 태어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교육상, 교육위원회 위원장, 과학기술 담당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2016년 불손한 태도로 총살형에 처해졌다는 보도가 있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 - 백남운
백남운은 일제강점기 경제학자이자 역사학자이며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에 입각해 한국사를 연구하고 광복 후 좌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 월북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참여한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 - 인정식
인정식은 일제강점기 공산주의 운동가, 경제학자, 언론인이자 광복 후 동국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나, 와세다 대학 재학 중 공산주의 활동을 하다 친일로 전향, 광복 후 동국대학교 교수를 지내다 한국전쟁 중 월북 후 행적이 묘연하며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만경대혁명학원 동문 - 현철해
현철해는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김정일 시대 최측근으로 활동했고 김정은의 군사 교육을 담당했으며 2016년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고 2022년 사망 후 국장이 치러졌다. - 만경대혁명학원 동문 - 오극렬
오극렬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북한 핵심 요직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사 및 정치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불법 활동 의혹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강성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강성산 |
출생일 | 1931년 3월 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함경북도 경원군 |
사망일 | 2000년 6월 25일 |
로마자 표기 | Gang Seongsan |
한자 표기 | 姜成山 |
한글 표기 | 강성산 |
직책 | |
제1차 정무원 총리 임기 | |
임기 시작 | 1984년 1월 27일 |
임기 종료 | 1986년 12월 29일 |
지도자 | 김일성 |
이전 총리 | 리종옥 |
다음 총리 | 리근모 |
제2차 정무원 총리 임기 | |
임기 시작 | 1992년 12월 11일 |
임기 종료 | 1997년 2월 21일 |
지도자 | 김일성, 김정일 |
이전 총리 | 연형묵 |
다음 총리 | 홍성남 |
추가 정보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출신 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모스크바 대학교 |
웹사이트 | 대한민국 통일부 데이터 - 001 대한민국 통일부 데이터 - 002 |
배우자 | 리정애 |
형제 | 강정숙(누이동생), 강석구(남동생), 강영숙(누이동생) |
자녀 | 강미색(딸) |
부모 | 강옥준(부) |
친인척 | 강중회(친조부), 강명도(사위), 강척련(친질녀) |
2. 생애
1931년 3월 3일 평안남도 평양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강옥준(姜沃準)이며, 일제 강점기 개신교 목회자 집안인 강돈욱, 강량욱 목사는 할아버지뻘 되는 친척인데, 강성산의 조부 강중회에게는 고종사촌 간에 해당된다. 강돈욱 목사의 아들인 강진석 목사는 그에게 외가 집안의 먼 9촌 아저씨뻘이 된다.[5]
강성산은 18세 시절(1943년)에 아버지를 병으로 여의었고, 만경대혁명가유자녀학원을 1949년에 1기로 졸업하였다. 1956년 김일성종합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소련 유학을 가서 1958년에 모스크바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61년 체코 프라하 카렐 공과대학교 공과대학원 산업공학과 공학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5]
1955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지도원이 되면서 당료로서 첫 출발을 하였다. 1년 후(1956년) 조부 강중회(姜重懷)의 상(喪)을 치렀다.[5]
그의 딸인 강미색(姜微穡, 1955~1989)은 1989년 갑작스레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사위 강명도(康明道)는 중공을 거쳐 1994년 7월 27일 대한민국에 영구 입국하여 2000년대 초반 조선족 여성 왕금봉(王金棒)과 재혼하였다.
김일성, 오진우가 사망한 1994년과 1995년에 국가장의위원을 맡았다. 1982년 김일성훈장, 노력훈장, 국기훈장 1급 등을 받았다.
2. 1. 학력
1947년 설립된 만경대혁명가유자녀학원을 1949년에 1기로 졸업하고, 1956년 김일성종합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소련 유학을 가서 1958년에 모스크바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61년 체코 프라하 카렐 공과대학교 공과대학원 산업공학과 공학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5]2. 2. 정치 경력
1955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하였다.[5] 1969년 조선로동당 자강도당 위원장, 평양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5]1973년 당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정치국원 후보)이 되었다.[5] 1976년 정무원 부총리 겸 철도부장을 역임했다. 1977년에는 정무원 부총리가 되었다.[5]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정치국 정위원으로 선출되었다.[5] 1982년 제1부총리가 되었다.[5]
1984년 1월 27일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이 되고, 1월 28일에는 이종옥의 뒤를 이어 정무원 총리로 취임하였다.[5] 총리 취임 후, 강성산은 서방 국가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주장하며 경제 재건에 착수했고, 외국 기업 유치 등을 목표로 합영법(합작법)을 제정하여 경제의 부분적 개방을 추구했다.[5]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성공적이라고 평가받지 못했고, 1986년 12월 29일 총리직에서 물러났다.[5]
이후 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에 임명되었으나, 1987년 3월 당 서기에서 해임되어 함경북도(咸鏡北道) 당위원회 책임서기 겸 인민위원회 위원장(도지사)으로 좌천되었다.[5] 1990년 5월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을 겸임했다. 1991년 말에는 함경북도 라선특별시 라진·선봉 지역이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되는 등 강성산은 지방에서 경제 개방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함경북도에서의 실적이 김일성에게 높이 평가된 강성산은 1992년 12월 11일 정무원 총리에 복귀했다.[5]
김일성의 신임을 받아 정무를 담당했던 강성산이었지만, 김정일 시대가 되자 공개적인 정무 활동은 없어졌고, 당내 서열도 하락했다. 김일성 사망 전에는 총리로서 중요 행사에서 기조 연설 등을 했지만, 김일성 사후에는 중요 연설을 거의 하지 않았다.[8] 당내 서열은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사망 직후에는 3위(1995년 2월 27일 오진우 사망 후에는 2위)였지만, 1995년 10월 10일에 열린 조선로동당 창건 5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5위로 하락했다. 이후 1996년 7월 8일에 열린 “김일성 주석 사망 2주기 중앙 추모대회” 등 중요 행사에 불참했다. 강성산에 대한 동정 보도는 1996년 1월 1일 이후 중단되었고,[9] 1997년 2월 홍성남이 총리 대리로 임명되면서 강성산은 사실상 실각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같은 해 4월 25일 조선인민군 창건 65주년 열병식에 8위로 참석하며 1년 4개월 만에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같은 해 7월 8일에 열린 “김일성 주석 사망 3주기 중앙 추모대회”에 6위로 참석했다. 이후 강성산은 정무원 총리 자리를 유지했지만, 총리 대리 홍성남이 사실상 정무원을 총괄했다.
1998년 7월 26일 실시된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 선거에서 강성산은 대의원으로 선출되지 않았고,[7] 은퇴가 확실시되었다. 같은 해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제10기 제1차 회의에서 헌법이 개정되어 정무원이 내각으로 개편되면서 정무원 총리직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났다. 이후에도 당 정치국원 지위를 유지했지만, 정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2. 3. 경제 정책 및 개혁 시도
1984년 1월 27일 강성산은 북한의 정무원 총리에 취임하여, 당시 사회주의 정책의 한계로 악화된 경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서방 국가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주장하며 경제 재건에 착수했고, 외국 기업 유치 등을 목표로 하는 합영법(합작법)을 제정하여 경제의 부분적 개방을 추진했다.[5]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1986년 12월 29일 총리직에서 물러났다.[5]1991년 말, 그가 관할하던 함경북도 라선특별시 라진·선봉 지역이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되면서, 강성산은 지방에서 경제 개방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함경북도에서의 실적을 인정받아 1992년 12월 11일 정무원 총리에 복귀했다.
김일성 시대에는 "개혁적인 경제 관료"[7]로서 김일성의 신임을 받았으나, 김정일 시대에는 공개적인 정무 활동이 줄어들고 당내 서열도 하락했다.
2. 4. 김정일 시대와 실각
김일성 사후, 김정일 시대가 되면서 1996년에 실각되었고, 당 의원직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5] 김정일은 "파티 정치"라는 독자적인 스타일로 김일성의 권력을 자신에게 흡수해 나갔지만,[6] 강성산은 그의 파티에 초대받지 못했다.[5]"개혁적인 경제 관료"[7]로서 김일성의 신임을 받아 정무를 담당했던 강성산이었지만, 김정일 시대가 되자 공개적인 정무 활동은 없어졌고 당내 서열도 하락했다. 김일성 사망 전에는 총리로서 중요 행사에서 기조 연설 등을 했지만, 김일성 사후에는 중요 연설을 거의 하지 않았다.[8] 당내 서열은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사망 직후에는 3위(1995년 2월 27일 오진우 사망 후에는 2위)였지만, 1995년 10월 10일에 열린 조선로동당 창건 5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5위로 하락했다. 이후 1996년 7월 8일에 열린 "김일성 주석 사망 2주기 중앙 추모대회" 등 중요 행사에 불참했다. 강성산에 대한 동정 보도는 1996년 1월 1일 이후 중단되었고,[9] 1997년 2월 홍성남이 총리 대리로 임명되면서 사실상 실각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97년 4월 25일 조선인민군 창건 65주년 열병식에 8위로 참석하며 1년 4개월 만에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같은 해 7월 8일에 열린 "김일성 주석 사망 3주기 중앙 추모대회"에 6위로 참석했다. 이후 강성산은 정무원 총리 자리를 유지했지만, 총리 대리 홍성남이 사실상 정무원을 총괄했다.
1998년 7월 26일 실시된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 선거에서 강성산은 대의원으로 선출되지 않았고,[7] 은퇴가 확실시되었다. 같은 해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제10기 제1차 회의에서 헌법이 개정되어 정무원이 내각으로 개편되면서 정무원 총리직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났다. 이후에도 당 정치국원 지위를 유지했지만, 정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2. 5. 사망
1997년 사망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10] 당시 한국 측은 그의 사망을 확인하지 못했다.[11] 2021년 9월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강성산은 2000년 6월 25일에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2][13] 유해는 애국렬사릉(신미리애국렬사릉)에 안장되어 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강옥준(姜沃準) | 1943년 사망 |
조부 | 강중회(姜重懷) | |
사위 | 강명도(康明道) | 강미색(姜微穡, 1955~1989)과 결혼, 1989년 사별 후 1994년 대한민국 입국, 2000년대 초반 왕금봉(王金棒)과 재혼. |
9촌 숙부 | 강진석 | 강돈욱 목사의 아들 |
할아버지뻘 친척 | 강돈욱, 강량욱 | 강성산의 조부 강중회와 고종사촌 간 |
4. 평가
강성산은 노동당과 정부의 요직을 두루 거친 경제 전문가로,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인물이었다.[5] 그는 단호하고 직설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1991년부터 1992년 사이 북한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김일성에게 농촌의 참혹한 실태를 직접 호소하고, 함경북도에서의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한 조치를 건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4. 1. 긍정적 평가
강성산은 노동당과 정부의 요직을 두루 거친 경제 전문가로,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인물이었다.[5] 그는 단호하고 직설적인 성격으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북한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김일성에게 농촌의 참혹한 실태를 직접 알리고, 함경북도에서의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상황을 설명하며 신속한 조치를 건의했다.[5]4. 2. 부정적 평가
강성산은 노동당과 정부의 요직을 두루 거친 경제 전문가로,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인물이었다.[5] 그는 단호하고 직설적인 성격으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북한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김일성에게 참혹한 농촌의 실태를 직접 호소하고, 함경북도에서의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실정을 설명하며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건의했다.[5]참조
[1]
웹사이트
gangseongsan
http://unibook.uniko[...]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2013-11-14
[2]
웹사이트
sinmiliaeguglyeolsaleung-e lyeolsadeul-ui yuhae saelo anchi
http://www.uriminzok[...]
2023-05-31
[3]
웹사이트
sinmiliaeguglyeolsaleung-e lyeolsadeul-ui yuhae saelo anchi
http://www.uriminzok[...]
2023-08-10
[4]
서적
The guerilla dynasty: politics and leadership in North Korea
I.B.Tauris
[5]
서적
萩原(2012)
[6]
서적
李相哲(2011)
[7]
서적
平井(2011)
[8]
서적
平井(2011)
[9]
서적
平井(2011)
[10]
뉴스
Former N. Korean Prime Minister Dies
https://www.latimes.[...]
1997-03-15
[11]
뉴스
안기부, '강성산 사망 확인 안됐다'
https://www.busan.co[...]
釜山日報
[12]
웹사이트
신미리애국렬사릉에 렬사들의 유해 새로 안치
http://www.uriminzok[...]
2021-09-21
[13]
웹사이트
신미리애국렬사릉에 렬사들의 유해 새로 안치
http://www.uriminzok[...]
2021-09-21
[1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