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분은 물에 녹아있는 염의 양을 의미하며, 해양학에서는 해수의 염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염분은 물질의 질량 분율로 표현되며, 해수, 강, 호수 등 다양한 수역에서 그 농도가 다르다. 염분 농도는 생물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염분 농도에 따라 수역을 담수, 기수, 염수, 소금물 등으로 분류한다. 염분은 절대염분(SA), 실용염분(PSS), 2010년 해수 열역학 방정식(TEOS-10) 등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환경 변화에도 영향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질 지표 - 마이크로시스틴
마이크로시스틴은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로, 간독성을 유발하여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식수 오염과 농작물 전이 등을 통해 노출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 수질 지표 - 녹조
녹조는 하천이나 호수에서 영양분 과다, 수온 상승, 일조량 증가 등의 조건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예방을 위해 영양염류 유입 감소, 유속 유지, 수온 조절이 중요하며, 발생 시 응급 처치로 황산 구리나 황토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 해안지리학 - 암초
암초는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를 의미하며, 기원, 지리적 위치, 수심 등에 따라 분류되고, 해양법상 영해 등의 권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해안지리학 - 갯벌
갯벌은 조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평탄한 지형으로, 생물 다양성 유지, 오염 물질 정화, 해안 침식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감소하여 보존 및 복원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 해양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해양학 - 해령
해령은 대양 중앙부를 따라 뻗은 거대한 해저 산맥으로, 판이 갈라지면서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곳이며, 활발한 화산 활동과 높은 지각 열류량을 보인다.
염분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물에 녹아있는 염의 양의 비율 |
기호 | S |
단위 | ‰ (퍼밀, 천분율) ppt (parts per thousand, 천분율) PSU (Practical Salinity Unit, 실용 염분 단위) |
염분 수준 | |
담수 | 0.05% 미만 |
기수 | 0.05–3% |
염수 | 3–5% |
염수액 | 5% 초과 ~ 26–28% 최대 |
염분 측정 | |
염분계 | 염분 측정 장비 |
수역 | |
해수 | 해수 |
염호 | 염호 |
고염호 | 고염호 |
염전 | 염전 |
염수 웅덩이 | 염수 웅덩이 |
염분별 수역 목록 | 염분별 수역 목록 |
화학 성분 | |
주요 성분 | NaCl MgCl2 MgSO4 CaSO4 KCl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염분 |
2. 정의
염분은 물에 용해된 물질의 질량비로,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측정된다.
강, 호수, 바다의 염분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정의하고 측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개념적으로 염분은 물에 녹아 있는 염의 양이다. 염은 염화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질산칼륨, 중탄산나트륨과 같이 이온으로 용해되는 화합물이다.[2] 염분은 질량 분율 즉, 용액의 단위 질량 당 용해된 물질의 질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해수는 일반적으로 약 35 g/kg의 질량 염분을 가지지만, 강이 바다로 유입되는 연안 근처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과 호수는 0.01 g/kg 미만[3]에서 수 g/kg까지 다양한 염분 범위를 가질 수 있지만, 사해와 같이 200 g/kg 이상의 염분을 가진 곳도 있다.[4]
자연수는 다양한 원소들의 복잡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측정 및 정의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형태 중 일부의 화학적 특성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실용적인 이유로 염도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용존 화학 성분의 하위 집합의 질량 합계(용액 염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조성은 자연수의 8가지 주요 이온 집합으로 제한될 수 있다.[6][7] 하지만 가장 높은 정밀도의 해수의 경우 추가적인 7가지 미량 이온도 포함된다.[8] 산소와 질소와 같은 용존 기체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염도 설명에는 포함되지 않지만,[2] 이산화탄소 기체는 종종 포함된다.
해양학에서 '염분'이라는 용어는 특정 측정 기술과 관련이 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주로 질산은을 이용한 적정으로 할로겐화물 이온 농도를 결정하여 염소량을 구하고, 다른 성분을 고려한 계수를 곱하여 '크누센 염분'을 계산했다. 크누센 염분은 퍼밀(‰) 단위로 표시되었다.
이후 전기 전도도 측정을 통해 ''실용 염분 척도 1978''(PSS-78)이 개발되었다.[9][10] PSS-78로 측정한 염분은 단위가 없으며, '''psu''' 또는 '''PSU'''(''실용 염분 단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권장되지 않는다.[11][2] 2010년에는 ''2010년 해수 열역학 방정식''(TEOS-10)이 도입되어 실용 염분 대신 절대 염분을 제안했다.[8]
호소학자와 화학자들은 종종 단위 부피당 염의 질량(mg/L 또는 g/L)으로 염도를 정의한다.[6] 이 값은 특정 기준 온도에서만 정확하며, 염도의 대용 지표로 전기전도도를 사용하기도 한다. 직접 밀도 측정도 염호에서 염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4]
물에 녹아 있는 음이온 중 가장 농도가 높은 할로겐 화합물(특히 염화물)의 농도는 염분도(halinity)라고 불린다.
염분 농도는 주변 생물에게 중요하며, 염분 농도가 높은 환경에 적응한 염생식물이나 호염균에 영향을 미친다. 염분 농도가 크게 변해도 살 수 있는 생물은 euryhaline|호염성영어 생물이라고 불린다.
과거에는 질산은 적정이나 증발 잔류물의 양으로 염분 농도를 구했지만, 1960년대 이후 액체용 전기 전도도 측정이 발달하여, 시료와 '''표준 해수'''의 전기 전도도를 비교하여 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2. 1. SA (절대염분)
해수 질량에 용해된 물질의 질량비로, 가장 정확한 염분 측정 방법이다.[27] 해양학에서는 염분 농도를 질량에 대한 천분율(단위; ‰ 또는 ppt)로 나타내는 '''절대 염분'''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2010년에 도입된 ''2010년 해수 열역학 방정식''(TEOS-10)은 실용 염분 대신 절대 염분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8] 이 표준에는 ''기준 조성 염분 척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척도의 절대 염분은 용액 1kg당 그램 단위의 질량 분율로 표시된다. 이 척도의 염분은 전기 전도도 측정과 해수 조성의 지역적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결합하거나, 직접 밀도 측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절대 염분에 따른 구분은 아래 표와 같다.
분류 | 담수(fresh water영어) | 염수(salty water영어) | 소금물(briny water영어) | |
---|---|---|---|---|
기수(brackish water영어) | 해수(marine water영어) | |||
염분 농도 | < 0.05% | 0.05% - 3.5% | 3.5% - 5% | > 5% |
2. 2. SK-S
SK-S는 해수 1kg 안에 포함된 염류의 건조 잔여물의 질량(g)으로 측정한 염분으로, 수십 년간 해양 연구에 활용되어 왔다.[27] 염분은 강, 호수, 바다에서 개념적으로는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정의하고 측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개념적으로 염분은 물에 녹아 있는 염의 양을 의미하며, 염은 염화나트륨, 황산마그네슘 등 이온으로 용해되는 화합물이다. 용해된 염화 이온의 농도는 때때로 염소량(chlorinity)으로 불린다. 실제로, 용해된 물질은 매우 미세한 필터(역사적으로 0.45 μm, 2022년 11월 이후로는 0.2 μm)를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2] 염분은 질량 분율, 즉 용액의 단위 질량 당 용해된 물질의 질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해수는 일반적으로 약 35 g/kg의 질량 염분을 가지지만, 강이 바다로 유입되는 연안 근처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인다. 강과 호수는 0.01 g/kg 미만[3]에서 수 g/kg까지 다양한 염분 범위를 가지지만, 사해와 같이 200 g/kg 이상의 염분을 가진 곳도 있다.[4] 강수는 일반적으로 20 mg/kg 이하의 총 용존 고형물(TDS)을 가진다.[5]
자연수는 다양한 원소들의 복잡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어 측정 및 정의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형태 중 일부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화학적 특성이 달라지며,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실용적인 염도 정의는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정밀도와 사용 편의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실용적인 이유로 염도는 용존 화학 성분의 하위 집합의 질량 합계(용액 염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자연수의 8가지 주요 이온 집합으로 제한될 수 있다.[6][7] 하지만 가장 높은 정밀도의 해수의 경우 추가적인 7가지 미량 이온도 포함된다.[8] 산소와 질소와 같은 용존 기체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염도 설명에 포함되지 않지만,[2] 이산화탄소 기체는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해양학에서 '염분'은 특정 측정 기술과 관련이 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주로 질산은을 이용한 적정으로 할로겐화물 이온 농도를 결정하여 염소량을 구하고, 여기에 다른 성분을 고려한 계수를 곱하여 '크누센 염분'을 계산했다. 크누센 염분은 퍼밀(‰) 단위로 표시된다. 해수의 이온 함량을 추정하기 위해 전기 전도도 측정을 사용하면서 ''실용 염분 척도 1978''(PSS-78)이 개발되었다.[9][10] PSS-78로 측정한 염분은 단위가 없으며, '''psu''' 또는 '''PSU'''(''실용 염분 단위'')라는 접미사가 붙기도 하지만, 이는 공식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11][2] 2010년에는 ''2010년 해수 열역학 방정식''(TEOS-10)이 도입되어 실용 염분 대신 절대 염분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8] 이 표준에는 ''기준 조성 염분 척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절대 염분은 용액 1kg당 그램 단위의 질량 분율로 표시된다. 이 염분은 전기 전도도 측정과 해수 조성의 지역적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해양학에서는 염분 농도를 질량에 대한 천분율(‰)로 나타내는 '''절대 염분'''을 사용해 왔다. 물은 담수, 염수(기수, 해수), 소금물로 구분된다.
분류 | 담수(fresh water영어) | 염수(salty water영어) | 소금물(briny water영어) | |
---|---|---|---|---|
기수(brackish water영어) | 해수(marine water영어) | |||
염농도 | < 0.05 % | 0.05 % - 3.5 % | 3.5 % - 5% | > 5 % |
2. 2. 1. 퍼밀 ‰
해수 1kg 속에 용해되어 있는 고형물질의 전량을 천분율(‰)로 나타낸다.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따라 전 세계 해역에서 염분 조성 비율은 거의 일정하다.[28]바다의 평균적인 염분비는 다음과 같다.
물질 | 함량 (g/kg) | 성분비 (%) |
---|---|---|
염화 나트륨(NaCl) | 27.2 | 77.7 |
염화 마그네슘(MgCl2) | 3.8 | 10.9 |
황산 마그네슘(MgSO4) | 1.7 | 4.8 |
황산 칼슘(CaSO4) | 1.3 | 3.7 |
황산 칼륨(K2SO4) | 0.9 | 2.6 |
기타 | 0.1 | 0.3 |
2. 3. psu(실용염분)
psu는 액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염분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1981년 UNESCO 보고서에서 해양학자들은 염분 단위를 퍼밀에서 psu|실용 염분 단위영어로 바꾸기로 결정했다.[27] 이는 상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무차원'이다. 이전의 퍼밀과의 혼동을 줄이기 위해, 해수의 평균 염분 35‰을 기준으로 값을 맞추었다.psu영어는 염분 35의 표준 해수를 기준으로 한다. 표준 해수는 1kg의 용액 속에 염화 칼륨(KCl영어) 32.4356g이 녹아있는 KCl영어 용액과 1기압 15°C에서 전기 전도도 비가 1.0이 되는 바닷물이다. psu는 전기 전도도와 염분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이용하여, 정밀 센서 측정만으로 염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3. 염분의 섭취
염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과다 섭취는 고혈압, 신장병,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다.[1] 그러나 염분 과잉 섭취를 우려하여 염분 섭취를 극도로 줄이면 혼수 상태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 경우, 생존하더라도 만성적인 염분 부족으로 인해 혈중 나트륨 이온 농도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몸이 변화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염분을 대량 섭취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더운 날씨에 운동하거나 땀을 흘리면 수분과 함께 염분도 배출된다. 이때 수분만 보충하면 혈중 나트륨 이온 농도가 낮아져 몸은 이를 일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땀이나 소변으로 수분을 배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분 부족으로 이어져 열사병이나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1] 따라서 고온 환경에서 작업하는 곳에서는 직원에게 염분 보급을 위한 식염을 제공하기도 한다. 건강 유지를 위해서는 불순물 함량이 없는 깨끗한 소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1]
4. 해수
해수는 일반적으로 약 35g/kg의 질량 염분을 가지지만, 강이 바다로 유입되는 연안 근처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과 호수는 0.01 g/kg 미만[3]에서 수 g/kg까지 다양한 염분 범위를 가질 수 있지만, 더 높은 염분이 발견되는 곳도 많다. 사해는 200 g/kg 이상의 염분을 가지고 있다.[4]
해양학에서 '염분'은 특정 측정 기술과 관련이 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적정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염분을 측정했으며, 질산은을 이용해 할로겐화물 이온 농도를 결정하여 염소량을 구하고, 여기에 계수를 곱해 '크누센 염분'을 퍼밀(‰) 단위로 표시했다.
해수 이온 함량 추정을 위한 전기 전도도 측정 사용으로 ''실용 염분 척도 1978''(PSS-78)이 개발되었고,[9][10] PSS-78 측정 염분은 단위가 없으며, '''psu''' 또는 '''PSU'''(''실용 염분 단위'')가 붙기도 하지만, 이는 권장되지 않는다.[11][2]
2010년 ''2010년 해수 열역학 방정식''(TEOS-10)이 도입되어 실용 염분 대신 절대 염분을, 잠재 온도 대신 보존 온도를 제안했다.[8] 절대 염분은 용액 1kg당 그램 단위의 질량 분율(g/kg)로 표시되며, 전기 전도도 측정과 해수 조성의 지역적 변화를 고려한 정보를 결합하거나 직접 밀도 측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염소량 19.37 ppt인 해수 샘플은 크누센 염분 약 35.00 ppt, PSS-78 실용 염분 약 35.0, TEOS-10 절대 염분 약 35.2 g/kg이며, 15 °C에서 전기 전도도는 42.9 mS/cm이다.[8][12]
아르헨티나의 SAC-D 위성에 탑재된 NASA 아쿠아리우스(Aquarius) 장비는 지구 전역의 해수면 염분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지구 규모에서 인간이 유발한 기후 변화가 1950년대 이후 관찰된 해수면 및 해저 염분 변화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21세기 전반에 걸친 해수면 염분 변화 예측은 담수 해역이 더욱 담수화되고 염분이 높은 해역은 더욱 염분이 높아질 것임을 나타낸다.[13]
염분은 다양한 수괴의 추적자 역할을 한다. 표층수는 침강하는 물을 대체하기 위해 유입되며, 이 물은 결국 차갑고 염분이 충분히 높아져 침강한다. 염분 분포는 해양 순환의 형태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해양학에서는 염분 농도를 질량에 대한 천분율(‰)로 나타내는 '''절대 염분'''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물은 담수, 염수(기수, 해수), 소금물로 구분된다. "염분 농도"처럼 농도를 붙이는 것은 잘못이며, 단순히 '''염분'''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과거에는 염분 농도를 질산은 적정이나 증발 잔류물의 양으로 구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1960년대 이후에는 액체용 전기 전도도 측정이 발달하여, 시료와 '''표준 해수'''의 전기 전도도를 비교하여 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초기에는 마르틴 크누센 등에 의해 설립된 중앙 실험실에서 "코펜하겐 해수"와 비교하여 염소량이 검정된 원 표준 해수가 각국에 배포되었다. 이 표준 해수 없이는 해수의 온도와 염분으로부터 밀도와 수평적 유속 분포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다.
일본은 독자적으로 "일본 표준 해수" 제작을 시도한 역사가 있다.
분류 | 담수(fresh water영어) | 염수(salty water영어) | 소금물(briny water영어) | |
---|---|---|---|---|
기수(brackish water영어) | 해수(marine water영어) | |||
염농도 | < 0.05 % | 0.05 % - 3.5 % | 3.5 % - 5% | > 5 % |
4. 1. 크누센 염분
1980년대 이전에는 주로 적정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염분을 측정했다. 질산은을 이용한 적정으로 할로겐화물 이온(주로 염소와 브롬)의 농도를 결정하여 염소량을 구했다.[9] 그런 다음 염소량에 다른 모든 성분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를 곱하여 크누센 염분을 구했으며, 퍼밀(‰) 단위로 표시했다.[10]4. 2. 실용 염분 척도 1978 (PSS-78)
해수의 이온 함량을 추정하기 위해 전기 전도도 측정을 사용하면서 ''실용 염분 척도 1978''(PSS-78)이 개발되었다.[9][10] PSS-78로 측정한 염분은 단위가 없다. '''psu''' 또는 '''PSU'''(''실용 염분 단위'')라는 접미사가 PSS-78 측정값 뒤에 붙기도 하지만,[11] 이는 "공식적으로 잘못되었으며 강력히 권장하지 않는다".[2]1978년에 해양학자들은 표준 해수 대신 염화칼륨(KCl) 표준액을 만들어 시료와 그 전기 전도도의 비율로 염분 농도를 나타내는 '''실용 염분 척도'''(PSS)(Practical Salinity Scale영어)를 제안했다. 이 단위는 무차원이며, 일반적으로 천분율로 표기된다. 때때로 PSU('''실용 염분 단위''')(Practical Salinity Unit영어)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4. 3. 2010년 해수 열역학 방정식 (TEOS-10)
2010년 해수 특성에 대한 새로운 표준인 ''2010년 해수 열역학 방정식''(TEOS-10)이 도입되어 실용 염분 대신 절대 염분을, 잠재 온도 대신 보존 온도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8] 이 표준에는 ''기준 조성 염분 척도''라는 새로운 척도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척도의 절대 염분은 용액 1kg당 그램 단위의 질량 분율(g/kg)로 표시된다. 이 척도의 염분은 전기 전도도 측정과 해수 조성의 지역적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결합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직접 밀도 측정을 통해서도 결정할 수 있다.염소량이 19.37 ppt인 대부분의 지역에서 채취한 해수 샘플은 크누센 염분이 약 35.00 ppt, PSS-78 실용 염분이 약 35.0, TEOS-10 절대 염분이 약 35.2 g/kg이다. 15 °C의 온도에서 이 물의 전기 전도도는 42.9 mS/cm이다.[8][12]
5. 담수와 기수
담수는 염분이 매우 낮은 물(0.5‰ 미만)이며, 기수는 담수와 해수 사이의 염분 농도를 가진 물(0.5‰ ~ 30‰)이다. 강, 호수, 하구 등에서 나타난다.
5. 1. 염분 측정
호소학과 화학에서 염분은 단위 부피당 염의 질량(mg/L 또는 g/L)으로 정의한다.[6] 용액 부피는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이 값은 특정 기준 온도에서만 정확하다. 호소학자들은 염분 대신 전기전도도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측정값은 μS/cm 단위로 표현되며 온도 효과가 보정될 수 있다.[14]약 70 mg/L의 염도를 가진 강이나 호숫물은 25 °C에서 80~130 μS/cm 사이의 비전도도를 갖는다. 실제 전도도는 섭씨 1도당 약 2% 정도 변한다.[14] 직접 밀도 측정을 통해 염도를 추정하기도 한다.[4]
6. 염분 농도에 따른 수역 분류
해수는 염분 농도가 대략 30‰에서 35‰ 사이이지만, 내륙에는 해수보다 염분 농도가 높거나 낮은 물이 있다. 이러한 염분 농도 차이를 나타내는 구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염분량'''(haline)이다.
1959년에 해수와 같은 염분 농도의 물을 기준으로 하는 '''동염해'''로 하여 베니스 시스템(베니스계)이라는 분류가 정의되었고,[15][16] 1972년에 수정되었다.[17]
염분 농도가 계절에 따라 해수와 거의 같은 물은 '''유사염층'''(homoiohaline)이라고 하며, 이러한 종류의 호수는 보통 바다와 연결되어 있다. 반면, 염분 농도가 변하는 물은 '''난염층'''(poikilohaline)이라고 하며, 염분 농도는 0.5‰에서 300‰ 이상까지 다양하고, 이러한 염분 변화는 생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18]
세계 해수의 염분 농도는 '''등염분선'''(isohale)을 나타낸다.[26]
6. 1. 탈라식 계열
염분 농도에 따라 초염호, 중염호, 혼합염호, 다염호, 중염호, 저염호 등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는 1959년에 베니스 시스템으로 정의되었고, 1972년에 수정되었다.[15][16][17]실용 염분 척도(‰) | 분류 |
---|---|
70 - 300 | 초염층 (hyperhaline) |
40 - 70 | 고염층 (metahaline) |
30 - 40 | 혼합염층 (mixoeuhaline) |
18 - 30 | 다염층 (polyhaline) |
5 - 18 | 중간염층 (mesohaline) |
0.5 - 5 | 소염층 (oligohaline) |
6. 2. 베니스 시스템
1959년에 정의되어 1972년에 수정된 베니스 시스템(베니스계)은 염분 농도에 따라 수역을 분류한다.[17] 이 시스템에 따르면, 염분 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실용 염분 척도 (‰) | 분류 |
---|---|
70 - 300 | 초염층 (hyperhaline) |
40 - 70 | 고염층 (metahaline) |
30 - 40 | 혼합염층 (mixoeuhaline) |
18 - 30 | 다염층 (polyhaline) |
5 - 18 | 중간염층 (mesohaline) |
0.5 - 5 | 소염층 (oligohaline) |
염분 농도가 계절에 따라 해수와 거의 같은 물은 유사염층이라 불리며, 이런 종류의 호수는 보통 바다와 연결되어 있다. 반면, 염분 농도가 변하는 물은 난염층이라 불리며, 염분 농도는 0.5‰에서 300‰ 이상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염분 변화는 생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18]
7. 환경적 고려 사항
염분은 다양한 수생 생물의 종류와 육상 식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19] 염분 변화는 세계 해양 순환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여 해양 순환과 지구 탄소 순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해양 표면의 염도 변화와 온도 변화는 밀도 변화를 일으켜 부력 변화를 유발하고, 이는 수괴의 침강과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고염도의 물은 이산화탄소 용해도가 낮아 전 세계 이산화탄소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빙하기 동안에는 수문학적으로 성층화된 해양이 생성되어 순환이 감소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지구 규모에서 인간이 유발한 기후 변화는 1950년대 이후 관찰된 해수면 및 해저 염분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21세기 전반에 걸친 해수면 염분 변화 예측에 따르면, 담수 해역은 더욱 담수화되고 염분이 높은 해역은 더욱 염분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13]
염분은 해양 순환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해양 순환의 변화 또한 염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1990년부터 2010년까지 그린란드 빙하 용융수의 증가된 유입은 염분이 많은 대서양 해수의 북쪽으로의 수송 증가에 의해 상쇄되었던 아북극 북대서양의 염도에 영향을 미쳤다.[13][21][22][23] 그러나 2010년대 중반 이후 그린란드 빙하 용융수 유출량 증가로 인해 북대서양 해수의 염분이 감소했다.[13][24]
염분을 물에서 제거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이며, 염분 함량은 식수의 적합성과 관개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해수와 같은 염분 농도의 물을 기준으로 하는 동염해로 하여, 1959년에 아래 표와 같이 베니스계라는 분류가 정의되었고, 1972년에 수정이 가해졌다.
실용 염분 척도(‰) | 분류 |
---|---|
70 - 300 | 초염층(hyperhaline) |
40 - 70 | 고염층(metahaline) |
30 - 40 | 혼합염층(mixoeuhaline) |
18 - 30 | 다염층(polyhaline) |
5 - 18 | 중간염층(mesohaline) |
0.5 - 5 | 소염층(oligohaline) |
염분 농도가 계절을 통하여 해수와 거의 같은 물은 유사염층(homoiohaline)이라고 불리며, 이러한 종류의 호수는 바다와 항상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반해, 염분 농도가 변하는 물은 난염층(poikilohaline)이라고 불리며, 그 염분 농도는 0.5‰에서 300‰ 이상까지 다양하지만, 이것이 생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7. 1. 염생식물과 호염성 미생물
염분 조건에 적응한 식물을 염생식물이라고 한다. 잔류 탄산나트륨 염도를 견디는 염생식물에는 퉁퉁마디, 나문재, 바릴라 등이 있다.[19] 매우 짠 환경에서 살 수 있는 생물은 대부분 박테리아이며, 극한 환경 미생물 또는 특히 호염성 미생물로 분류된다. 넓은 염도 범위를 견딜 수 있는 생물은 광염성이다.7. 2. 염분 오염
미국 호수와 강에서는 일반적인 도로 염과 기타 염분 제빙제의 유출로 인해 염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20]참조
[1]
웹사이트
World Ocean Atlas 2009
http://www.nodc.noaa[...]
[2]
논문
Key Physical Variables in the Ocean: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http://www.nature.co[...]
[3]
논문
The most dilute lake in the world?
[4]
논문
The salinity of hypersaline brines: concepts and misconceptions
[5]
웹사이트
Learn about salinity and water quality
http://www.salinitym[...]
2018-07-21
[6]
서적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3rd ed.
Academic Press
[7]
논문
Limnological applications of the Thermodynamic Equation of Seawater 2010 (TEOS-10)
[8]
서적
The international thermodynamic equation of seawater – 2010: Calculation and use of thermodynamic properties
http://www.TEOS-10.o[...]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UNESCO (English)
[9]
간행물
The Practical Salinity Scale 1978 and the International Equation of State of Seawater 1980
Unesco
[10]
간행물
Background papers and supporting data on the Practical Salinity Scale 1978
http://unesdoc.unesc[...]
Unesco
[11]
논문
What is PSU?
[12]
논문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Chloride Solution Having the Same Electrical Conductivity, at 15C and Infinite Frequency, as Standard Seawater of Salinity 35.0000‰ (Chlorinity 19.37394‰)
[13]
논문
Ocean, Cryosphere and Sea Level Change
https://www.vliz.b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4]
논문
Geographic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dissolved solid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South African rivers
2014
[15]
논문
Hydrobiological notes on the high-salinity waters of the Sinai Peninsula
[16]
웹사이트
Salinity {{!}} Freshwater Inflows
https://www.freshwat[...]
2020-10-25
[17]
간행물
The final resolution of the symposium on the classification of brackish waters
Venice system
[18]
논문
Ecological salinity boundaries in poikilohaline waters
[19]
웹사이트
Stennis Space Center Salinity Drifter Project. A Collaborative Project with Hancock High School, Kiln, MS
https://ntrs.nasa.go[...]
NTRS
2010-12-22
[20]
웹사이트
Hopes To Hold The Salt, And Instead Break Out Beet Juice And Beer To Keep Roads Clear
http://www.wbur.org/[...]
2018-01-29
[21]
논문
Greenland freshwater pathways in the sub-Arctic Seas from model experiments with passive tracers
https://agupubs.onli[...]
2016
[22]
논문
Role of Greenland freshwater anomaly in the recent freshening of the subpolar North Atlantic
2019
[23]
논문
The North Atlantic Current and its volume and freshwater transports in the subpolar North Atlantic, time period 1993–2016
2020
[24]
논문
Ocean circulation causes the largest freshening event for 120 years in eastern subpolar North Atlantic
2020-01-29
[25]
웹사이트
なんと、生還できたのは「たったの1艦」…!海上封鎖を突破して、ドイツから呉に戻ったイ8潜水艦、驚愕の「海を読む目」
https://gendai.media[...]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2023-12-28
[26]
웹사이트
World Ocean Atlas 2009
http://www.nodc.noaa[...]
[27]
웹사이트
중등과학교과서에서 사용된 염분 단위 분석 및 단위 개정을 위한 제안
http://seoul.snu.ac.[...]
[28]
웹인용
염분비 일정 법칙(law of the regular salinity ratio)
https://www.sciencea[...]
2022-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