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루살렘 고속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루살렘 고속철도는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1998년 기존 노선의 노후화로 인한 운행 중단 이후 건설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다양한 노선 계획이 검토되었으며, 1번 고속도로 인근에 건설하는 A1 노선이 최종 선정되었다. 2001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텔아비브-벤구리온 공항 구간은 2004년, 벤구리온 공항-모디인 구간은 2007년에 완공되었다. 이후 구간별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이스라엘에서 처음으로 전철화된 중전철 노선으로 2018년 예루살렘과 벤 구리온 공항 간의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건설 과정에서 재정 문제, 행정 분쟁,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문제와 논란이 발생했다. 향후 예루살렘 시내로의 연장 계획이 있으며, 새로운 열차 도입도 예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아비브의 교통 - 공도 제1호선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주요 간선 도로인 공도 제1호선은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연결하여 이스라엘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텔아비브 동쪽 라트룬 분기점에서 예루살렘까지 이어져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만 교통 체증이 심하고, 1번 국도 또는 1번 고속도로로도 불린다.
  • 텔아비브의 교통 - 텔아비브 항
    텔아비브 항은 1936년 개항하여 무기 수입 통로로 사용되다 1965년 폐쇄된 후 '나말'이라는 엔터테인먼트 구역으로 재개발되어 관광 명소가 되었다.
  • 예루살렘의 교통 - 예루살렘 국제공항
    예루살렘 국제공항은 1924년 칼란디아 비행장으로 개항하여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과 요르단 통치를 거쳤으나,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하여 "아타롯 공항"으로 명명되었지만 국제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고 2000년 폐쇄되어 현재는 이스라엘 방위군이 소유하고 있다.
  • 예루살렘의 교통 - 공도 제1호선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주요 간선 도로인 공도 제1호선은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연결하여 이스라엘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텔아비브 동쪽 라트룬 분기점에서 예루살렘까지 이어져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만 교통 체증이 심하고, 1번 국도 또는 1번 고속도로로도 불린다.
예루살렘 고속철도
노선 정보
이름텔아비브-예루살렘 철도
개통2018년 9월 25일
운영자이스라엘 철도
지도 이름지도_이름
지도 상태축소되지 않음
외부 미디어

2. 역사적 배경

1998년 낡은 야파-예루살렘 철도 노선의 열차 상태 불량으로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운행이 중단된 후,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잇는 철도 노선을 시급히 건설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여러 대안이 제안되었는데, 기존 노선을 보수하는 계획(S, S1, G, G1)과 443번 국도 인근에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B, B1, B2, M, M1), 그리고 1번 고속도로 인근에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A, A1)이었다.

443번 국도 인근 노선 건설 계획은 서안 지구를 경유한다는 이유로 즉시 폐기되었다. 예루살렘 시는 기존 노선을 대대적으로 보수하되 예루살렘 중심부까지 연장하는 G1 계획을 지지했고, 이스라엘 철도는 신속한 배치를 위해 기존 노선을 약간 수리하는 S 계획을 지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1번 고속도로 인근에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는 A1 계획을 지지했다.

2001년 6월 13일, 이스라엘 교통부 장관 에프라임 스네와 이스라엘 총리 아리엘 샤론은 이스라엘 철도의 A1 계획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노선이 자연 보호 구역 한가운데를 통과하는 G1 계획에 대한 환경 운동가들의 반대 때문이었다. 한편, B2 계획은 2008년에 완공된 모디인 지선에 사용되었으며, 이 구간은 리숀 레지온-모디인 철도의 일부이다.

계획 S에 따라 재건된 야파-예루살렘 철도는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 남부까지 약 75분이 소요되었고, 말하역의 위치, 단선 구간으로 인한 낮은 수송 능력 때문에 이스라엘 철도 네트워크에서 가장 적게 사용되는 노선 중 하나였다. 반면, A1 노선을 이용하면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 중심부까지 약 30분 만에 도착할 수 있으며, 높은 빈도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

3. 노선 계획



1998년 낡은 야파-예루살렘 철도 노선의 열차 상태 불량으로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운행이 중단된 후,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을 시급히 건설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여러 대안이 제안되었다.


  • 계획 S와 S1 - 기존 단선 노선(S)을 약간 수리하거나, 몇 개의 짧은 터널과 곡선 직선화(S1)를 포함하는 노선.
  • 계획 G와 G1 - 기존 노선을 대대적으로 수리하여 노선 전체의 곡선을 직선화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긴 터널을 굴착: G에서는 4-6km의 터널, G1에서는 16km의 터널. G1은 예루살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독립 공원의 지하역에서 종착할 예정이었다.
  • 계획 B, B1, B2, M 및 M1 - 모디인-마카빔-레우트를 경유하여 443번 국도 내 또는 인근에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새로운 노선 건설.
  • 계획 A와 A1 - 1번 고속도로 인근 도시 사이에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고, 모디인으로 지선을 건설. 이 계획들은 원래 이 계획을 발표한 기관에서 권장했다(A는 1994년, A1은 1997년, 2000년). 대안 A에 비해 A1은 산을 통과하는 더 직접적인 노선을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터널 공사를 포함했다.


443번 국도에 인접한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은 서안 지구 내에 위치해 있다는 이유로 즉시 폐기되었다. 예루살렘 시는 계획 G1을 지지했고, 이스라엘 철도는 신속한 배치를 위해 계획 S를 지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A1을 지지했다. 2001년 6월 13일, 이스라엘 교통부 장관 에프라임 스네와 이스라엘 총리 아리엘 샤론은 이스라엘 철도의 계획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노선이 자연 보호 구역 한가운데를 통과하여 환경 운동가들이 G1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계획 B2는 2008년에 완공된 모디인 지선에 사용되었다. 이 철도 구간은 리숀 레지온-모디인 철도의 일부이며, 431번 국도 건설 과정에서 확보된 부지를 따라 모디인에서 리숀 레지온까지 연장될 더 긴 미래 노선이다. 계획 S의 실행의 일환으로, 예루살렘 시의 요청에 따라 기존 노선이 예루살렘으로 뻗는 구간이 단축되었다. 개조된 노선은 예루살렘 기차역에서 종착하는 대신 예루살렘 남부에 있는 새로운 말하역에서 종착했다.

계획 S 재건 이후, 야파-예루살렘 철도를 이용하는 열차는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 남부까지 약 75분 만에 도착했다. 이 비교적 긴 이동 시간, 말하역의 비중심적 위치, 동부 구간이 단선으로 되어 있어 노선의 수송 능력이 낮다는 점 때문에, 두 개의 대도시를 연결함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철도 네트워크에서 가장 적게 사용되는 노선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반면, A1 노선을 이용한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 중심부까지의 이동 시간은 약 30분이며, 노선을 따라 높은 빈도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게 한다.

3. 1. 대안 노선 검토



1998년 낡은 야파-예루살렘 철도 노선의 열차 상태 불량으로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운행이 중단된 후,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을 시급히 건설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여러 대안이 제안되었다.

  • 계획 S와 S1 - 기존 단선 노선(S)을 약간 수리하거나, 몇 개의 짧은 터널과 곡선 직선화(S1)를 포함하는 노선.
  • 계획 G와 G1 - 기존 노선을 대대적으로 수리하여 노선 전체의 곡선을 직선화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긴 터널을 굴착: G에서는 4-6km의 터널, G1에서는 16km의 터널. G1은 예루살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독립 공원의 지하역에서 종착할 예정이었다.
  • 계획 B, B1, B2, M 및 M1 - 모디인-마카빔-레우트를 경유하여 443번 국도 내 또는 인근에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새로운 노선 건설.
  • 계획 A와 A1 - 1번 고속도로 인근 도시 사이에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고, 모디인으로 지선을 건설. 이 계획들은 원래 이 계획을 발표한 기관에서 권장했다(A는 1994년, A1은 1997년, 2000년). 대안 A에 비해 A1은 산을 통과하는 더 직접적인 노선을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터널 공사를 포함했다.


443번 국도에 인접한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은 서안 지구 내에 위치해 있다는 이유로 즉시 폐기되었다. 예루살렘 시는 계획 G1을 지지했고, 이스라엘 철도는 신속한 배치를 위해 계획 S를 지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A1을 지지했다. 2001년 6월 13일, 이스라엘 교통부 장관 에프라임 스네와 이스라엘 총리 아리엘 샤론은 이스라엘 철도의 계획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노선이 자연 보호 구역 한가운데를 통과하여 환경 운동가들이 G1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계획 B2는 2008년에 완공된 모디인 지선에 사용되었다. 이 철도 구간은 리숀 레지온-모디인 철도의 일부이며, 431번 국도 건설 과정에서 확보된 부지를 따라 모디인에서 리숀 레지온까지 연장될 더 긴 미래 노선이다. 계획 S의 실행의 일환으로, 예루살렘 시의 요청에 따라 기존 노선이 예루살렘으로 뻗는 구간이 단축되었다. 개조된 노선은 예루살렘 기차역에서 종착하는 대신 예루살렘 남부에 있는 새로운 말하역에서 종착했다.

계획 S 재건 이후, 야파-예루살렘 철도를 이용하는 열차는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 남부까지 약 75분 만에 도착했다. 이 비교적 긴 이동 시간, 말하역의 비중심적 위치, 동부 구간이 단선으로 되어 있어 노선의 수송 능력이 낮다는 점 때문에, 두 개의 대도시를 연결함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철도 네트워크에서 가장 적게 사용되는 노선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반면, A1 노선을 이용한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 중심부까지의 이동 시간은 약 30분이며, 노선을 따라 높은 빈도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게 한다.

3. 1. 1. 기존 노선 개량 (S, G)

기존 야파-예루살렘 철도 노선을 개량하는 방안으로, 터널을 건설하여 노선을 직선화하는 계획이었다.

3. 1. 2. 443번 국도 경유 노선 (B, M)

모디인을 경유하여 443번 국도를 따라 건설하는 방안은 서안 지구를 경유하는 문제로 인해 결국 배제되었다.

3. 1. 3. 1번 고속도로 경유 노선 (A, A1)

1번 고속도로를 따라 건설하는 방안으로, 터널을 건설하여 노선을 직선화하는 A1 노선이 최종 선정되었다.

4. 건설 과정



2001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


  • 텔아비브 - 벤구리온 공항 (철도 27호선 서쪽 구간) : 텔아비브의 하하가나 철도역에서 남동쪽으로 약 6km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1번 고속도로의 북쪽 차선과 텔아비브 - 로드 철도의 북쪽 선로 아래의 터널을 통해 분기되며, 가노트와 샤피림 인터체인지 사이에 위치한 지점에서 벤 구리온 공항 터미널 3으로 연결된다. 2004년에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그 해 10월부터 공항으로 가는 정규 운행이 시작되었다.

  • 벤구리온 공항 - 크파르 다니엘(철도 27호선 동쪽 구간) : 터미널 3에서 노선은 남동쪽으로 이어져 1번 고속도로 위를 지나는 550m 길이의 다리를 건너고, 40번 고속도로와 동부 철도 위를 지나 443번 고속도로 위의 또 다른 다리로 이어지며 아나바 인터체인지로 향하며 일련의 다리와 터널을 통해 새로운 모딘 센터 철도역으로 분기된다. 또한 로드 인터체인지 근처의 동부 철도와 연결되어 공항과 남쪽의 로드 철도역을 연결한다. 2004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2007년에 완공되었으며, 파테이 모딘 철도역으로의 운행은 2007년 9월에 시작되었다.

  • 크파르 다니엘 - 라트룬(A구간) : 이 구간은 다냐 세버스(Danya Cebus)가 건설했으며, 2011년에 완공되었으며 비용은 2억 5천만 셰켈이었다. 여기에는 아얄론 계곡 위를 가로지르는 1.2km 길이의 눈에 띄는 다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2008년에 완공되었으며 종종 "이스라엘에서 가장 긴 철도 다리"라고 주장된다. 하지만 이 주장은 정확하지 않다. 왜냐하면 2016년에 개통된 북부 이스라엘의 예즈레엘 계곡 철도의 하미프라츠 중앙 철도역과 그 플랫폼으로 접근하는 고가 철도를 지지하는 다리가 거의 두 배나 더 길기 때문이다.

  • 라트룬 - 샤아르 하가이(B구간) : 캐나다 공원 아래를 지나는 3.5km 길이의 터널이 포함되어 있으며, 입찰은 2010년 7월에 이루어졌다. 이 구간은 이스라엘 건설 회사인 미나브(Minrav)가 러시아 회사인 모스크바 메트로스트로이(Moscow MetroStroy)와 협력하여 2015년에 완공되었으며, 비용은 5억 6천만 셰켈이었다. 터널 굴착은 2012년 2월 6일에 1대의 TBM으로 시작되었다. 각 TBM의 비용은 1억 셰켈(보조 장비 1억 셰켈 제외)이며 무게는 약 1,800톤이다. 매일 20m를 굴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샤아르 하가이와 메바세레트 시온(C구간) : 입찰은 2009년 9월에 이루어졌으며, 예비 현장 작업은 2009년 11월에 시작되었으며 전체 완공은 2014-2016년으로 예상되었다.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복잡한 부분은 두 개의 다리와 여러 개의 터널을 포함하며, 그중 하나인 터널 3은 이스라엘에서 가장 긴 터널이다. 이 터널은 길이 11.6km, 너비 9.2m인 쌍둥이 터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4는 서쪽에서 두 대의 TBM을 사용하여 동시에 굴착하고 나머지는 동쪽에서 재래식 공법으로 굴착할 예정이었다. 이 작업을 수행한 회사는 이스라엘 회사인 샤피르 토목 및 해양 엔지니어링(Shapir Civil & Marine Engineering Ltd.)과 이탈리아 엔지니어링 회사인 임프레사 피자롯티(Impresa Pizzarotti)의 합작 회사이다. 2012년 3월부터 동쪽에서 서쪽으로 터널 3의 재래식 굴착이 시작되었으며, 2012년 9월부터 서쪽에서 동쪽으로 TBM 굴착이 시작되어[4] 2014년 10월에 완공되었다.

  • 메바세레트 시온 - 예루살렘-이츠하크 나본 철도역, 예루살렘(D구간) : 두 개의 다리, 800~900m 길이의 두 개의 병렬 단선 터널, 2.9km 길이의 터널이 포함되어 있다. 완공까지 4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입찰은 2009년 가을에 호프레이 하샤론(Hofrey Hasharon Ltd.)과 독일 지주 회사인 막스 뵈글(Max Bögl)에 주어졌다. 예상 비용은 6억 4천만 셰켈이며, 다리 10번은 추가로 1억 5천만 셰켈이 들 예정이며, 슬로베니아의 츠르니 칼 고가교의 설계를 기반으로 할 것이다. 이 구간은 다나 엔지니어링(Dana Engineering)이 감독한다.

4. 1. 구간별 건설 현황

텔아비브 - 벤구리온 공항 (철도 27호선 서쪽 구간) 노선은 텔아비브의 하하가나 철도역에서 남동쪽으로 약 6km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1번 고속도로의 북쪽 차선과 텔아비브 - 로드 철도의 북쪽 선로 아래의 터널을 통해 분기되며, 가노트와 샤피림 인터체인지 사이에 위치한 지점에서 벤 구리온 공항 터미널 3으로 연결된다. 2004년에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그 해 10월부터 공항으로 가는 정규 운행이 시작되었다.

벤구리온 공항 - 크파르 다니엘(철도 27호선 동쪽 구간) 터미널 3에서 노선은 남동쪽으로 이어져 1번 고속도로 위를 지나는 550m 길이의 다리를 건너고, 40번 고속도로와 동부 철도 위를 지나 443번 고속도로 위의 또 다른 다리로 이어지며 아나바 인터체인지로 향하며 일련의 다리와 터널을 통해 새로운 모딘 센터 철도역으로 분기된다. 또한 로드 인터체인지 근처의 동부 철도와 연결되어 공항과 남쪽의 로드 철도역을 연결한다. 2004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2007년에 완공되었으며, 파테이 모딘 철도역으로의 운행은 2007년 9월에 시작되었다.

크파르 다니엘 - 라트룬(A구간) 이 구간은 다냐 세버스(Danya Cebus)가 건설했으며, 2011년에 완공되었으며 비용은 2억 5천만 셰켈이었다. 여기에는 아얄론 계곡 위를 가로지르는 1.2km 길이의 눈에 띄는 다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2008년에 완공되었으며 종종 "이스라엘에서 가장 긴 철도 다리"라고 주장된다. 하지만 이 주장은 정확하지 않다. 왜냐하면 2016년에 개통된 북부 이스라엘의 예즈레엘 계곡 철도의 하미프라츠 중앙 철도역과 그 플랫폼으로 접근하는 고가 철도를 지지하는 다리가 거의 두 배나 더 길기 때문이다.

라트룬 - 샤아르 하가이(B구간) 캐나다 공원 아래를 지나는 3.5km 길이의 터널이 포함되어 있으며, 입찰은 2010년 7월에 이루어졌다. 이 구간은 이스라엘 건설 회사인 미나브(Minrav)가 러시아 회사인 모스크바 메트로스트로이(Moscow MetroStroy)와 협력하여 2015년에 완공되었으며, 비용은 5억 6천만 셰켈이었다. 터널 굴착은 2012년 2월 6일에 1대의 TBM으로 시작되었다. 각 TBM의 비용은 1억 셰켈(보조 장비 1억 셰켈 제외)이며 무게는 약 1,800톤이다. 매일 20m를 굴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샤아르 하가이와 메바세레트 시온(C구간) 입찰은 2009년 9월에 이루어졌으며, 예비 현장 작업은 2009년 11월에 시작되었으며 전체 완공은 2014-2016년으로 예상되었다.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복잡한 부분은 두 개의 다리와 여러 개의 터널을 포함하며, 그중 하나인 터널 3은 이스라엘에서 가장 긴 터널이다. 이 터널은 길이 11.6km, 너비 9.2m인 쌍둥이 터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4는 서쪽에서 두 대의 TBM을 사용하여 동시에 굴착하고 나머지는 동쪽에서 재래식 공법으로 굴착할 예정이었다. 이 작업을 수행한 회사는 이스라엘 회사인 샤피르 토목 및 해양 엔지니어링(Shapir Civil & Marine Engineering Ltd.)과 이탈리아 엔지니어링 회사인 임프레사 피자롯티(Impresa Pizzarotti)의 합작 회사이다. 2012년 3월부터 동쪽에서 서쪽으로 터널 3의 재래식 굴착이 시작되었으며, 2012년 9월부터 서쪽에서 동쪽으로 TBM 굴착이 시작되어[4] 2014년 10월에 완공되었다.

메바세레트 시온 - 예루살렘-이츠하크 나본 철도역, 예루살렘(D구간) 두 개의 다리, 800~900m 길이의 두 개의 병렬 단선 터널, 2.9km 길이의 터널이 포함되어 있다. 완공까지 4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입찰은 2009년 가을에 호프레이 하샤론(Hofrey Hasharon Ltd.)과 독일 지주 회사인 막스 뵈글(Max Bögl)에 주어졌다. 예상 비용은 6억 4천만 셰켈이며, 다리 10번은 추가로 1억 5천만 셰켈이 들 예정이며, 슬로베니아의 츠르니 칼 고가교의 설계를 기반으로 할 것이다. 이 구간은 다나 엔지니어링(Dana Engineering)이 감독한다.

4. 1. 1. 텔아비브 - 벤구리온 공항

2004년에 텔아비브-벤구리온 공항 구간이 완공되어 개통되었다.

4. 1. 2. 벤구리온 공항 - 크파르 다니엘

2007년에 텔아비브-모디인 철도의 벤구리온 공항 - 모디인 구간이 완공되어 개통되었다.

4. 1. 3. 크파르 다니엘 - 라트룬

크파르 다니엘 - 라트룬 구간은 2011년에 완공되었다. 이 구간에는 아얄론 계곡을 가로지르는 1.2km 길이의 교량이 건설되었다.

4. 1. 4. 라트룬 - 샤아르 하가이

요약과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어 출력할 수 없습니다.

4. 1. 5. 샤아르 하가이 - 메바세레트 시온

샤아르 하가이와 메바세레트 시온 사이 구간은 당초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지연되었다. 이 구간에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긴 터널인 11.6km 길이의 터널이 포함되어 있다.

4. 1. 6. 메바세레트 시온 - 예루살렘

메바세레트 시온 - 예루살렘 구간은 2018년에 부분적으로 개통되었으며, 두 개의 다리와 터널을 포함하고 있다.

4. 2. 교량 및 터널

(40m 높이)터널 1캐나다 공원공원 아래터널(TBM)2 × 3.5km교량 7메보 호론 남쪽교량80m터널 2나타프 근처터널
(25% 개착식, 75% NATM)2 × 1,250m교량 8나타프 서쪽이틀라 개울 위교량150m터널 3샤아르 하가이, 아부 고쉬하루아 산, 하아가나 산, 아부 고쉬 아래터널
(75% TBM, 25% NATM)2 × 11.6km교량 9메바세레트 시온교량255m터널 3a메바세레트 시온터널(NATM)2 × 850m교량 10메바세레트 시온교량975m
(95m 높이)터널 4예루살렘—기노트 사하로프 근처에서 비냐네이 하우마까지리프타 아래터널(NATM)2.9km



4. 2. 1. 주요 교량

4. 2. 2. 주요 터널

터널 1은 캐나다 공원 아래를 지나며, 길이는 3.5km이다. 이 터널은 TBM(Tunnel Boring Machine)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터널 2는 나타프 근처에 위치하며, 길이는 1,250m이다. 이 터널은 25%는 개착식 공법, 75%는 NATM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터널 3은 샤아르 하가이, 아부 고쉬를 지나 하루아 산, 하아가나 산, 아부 고쉬 아래를 통과하며, 길이는 11.6km이다. 이 터널은 75%는 TBM 공법, 25%는 NATM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터널 3a는 메바세레트 시온에 위치하며, 길이는 850m이다. 이 터널은 NATM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터널 4는 예루살렘—기노트 사하로프 근처에서 비냐네이 하우마까지 리프타 아래를 지나며, 길이는 2.9km이다. 이 터널은 NATM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5. 전철화

텔아비브-예루살렘 고속철도는 이스라엘에서 처음으로 전철화된 중전철 노선이다. 벤 구리온 공항 구간과 아나바 분기점까지는 처음에는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텔아비브에서 공항과 모디인으로 가는 여객 노선에 사용되었다. 아나바-예루살렘 구간이 완공된 후, 25 kV 50Hz AC 가공 전차선으로 철도 전철화가 시작되었고, 2018년 9월 예루살렘과 벤 구리온 공항 간의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그 후 2년 동안, 공항에서 텔아비브를 거쳐 헤르츨리야까지, 그리고 공항과 로드역 사이의 동부 철도 구간이 단계적으로 전철화되었다.

6. 역 목록


봄바디어 TRAXX P160 AC3, 예루살렘-이츠하크 나본역

6. 1. 추가 역 건설 계획

예루살렘 시내 중심가와 구 예루살렘 역 인근에 추가 역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이츠하크 나본역을 메바세레트 시온에서 터널을 연장하여 예루살렘 멜라역과 연결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7. 모디인 지선

모디인 지선(미래의 리숀 레지온-모디인 철도의 일부)은 2008년 4월 1일에 완전히 개통되었으며, 파테이 모디인 기차역과 모디인 센터 기차역 두 개의 역을 포함한다. 모디인 센터 기차역은 예루살렘-이츠하크 나본 철도역과 마찬가지로 지하에 위치하여 노선을 도시 내부와 그 너머까지 연장할 수 있게 한다. 과거 여러 정부 위원회에서 이 노선을 연장하려는 의사를 표명했지만, 모디인 지선에서 북쪽 또는 동쪽으로의 철도 노선 연장이 서안 지구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의 합의를 기다리면서 보류 중이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며,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영토 확장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보여준다.

2022년에는 예루살렘 방향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모디인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선 건설이 완료되었다.

7. 1. 노선 연장 문제

모디인 지선(미래의 리숀 레지온-모디인 철도의 일부)은 2008년 4월 1일에 완전히 개통되었으며, 파테이 모디인 기차역과 모디인 센터 기차역 두 개의 역을 포함한다. 후자는 예루살렘-이츠하크 나본 철도역과 마찬가지로 지하에 위치하여 노선을 도시 내부와 그 너머까지 연장할 수 있게 한다. 과거 여러 정부 위원회에서 이 노선을 연장하려는 의사를 표명했지만, 모디인 지선에서 북쪽 또는 동쪽으로의 철도 노선 연장이 서안 지구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의 합의를 기다리면서 보류 중이다.

2022년에는 예루살렘 방향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모디인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선 건설이 완료되었다.

8. 문제점 및 논란

8. 1. 재정 문제

예루살렘 고속철도 건설은 이스라엘 철도의 주력 사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부터 심각한 재정 문제에 직면했다. 초기 예상 비용은 NIS 28억이었으나, 2008년 재평가를 거치면서 약 60억 NIS로 증가했고, 이스라엘 정부는 추가로 20억 NIS를 투입해야 했다. 이로 인해 교통부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프로젝트의 터널링 단계 시작이 상당히 지연되었지만, 평가 결과 비용과 예측 수요가 모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부는 예루살렘 동쪽 모디인(B2)으로 연결하는 계획을 무기한 연기했다.

2008년 12월 2일, 이스라엘 내각은 이스라엘 철도에 증가된 예산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도록 지시했고, 재무부는 건설에 필요한 추가 30억 NIS 예산 할당을 지시받았다. 2010년까지 비용은 69억 NIS로 증가했다.

샤아르 하가이와 메바세렛 시온 사이 구간 건설 입찰에서 승리한 샤피르 엔지니어링은 이스라엘 철도가 필요한 허가를 받기 전에 입찰을 실시하여 프로젝트가 2년 지연되었다고 주장했다. 이 문제는 2009년 여름에 해결되었으나, 샤피르는 재정적 손실을 이유로 이스라엘 철도를 상대로 5억 NIS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8. 2. 행정 분쟁 및 입찰 논란

이스라엘 철도는 B구간 및 C구간 건설 감독 입찰을 공고하면서 10억 셰켈 이상의 프로젝트 감독 경험이 있는 회사만 참여할 수 있다는 조항을 포함시켰다. 이스라엘에서 이러한 경험을 가진 회사는 다나 엔지니어링(Dana Engineering)뿐이었기 때문에 논란이 야기되었다. 엘다드 스피박(Eldad Spivak)과 A. 엡스타인(A. Epstein)은 입찰 참여를 위해 지주 회사를 설립하여 낙찰받았다.

그러나 이스라엘 철도는 다나 엔지니어링의 전 임원인 단 아리(Dan Ari)를 전체 프로젝트 책임자로 임명했다. 이후 스피박, 엡스타인, 아리 간의 분쟁으로 지주 회사는 프로젝트에서 사임하고 다나 엔지니어링으로 교체되었다. 2010년 말, 철도는 프로젝트를 위한 새로운 행정부를 구성하기로 결정하면서 단 아리는 배제되었다.

8. 3. 환경 문제

2008년 1월 현재, 터널에서 파낸 흙 처리 문제가 주요 걸림돌이었다. 임시 흙더미를 만들었지만, 이는 환경을 해치는 방법이었다. 추가 흙은 텔아비브와 예루살렘 사이의 샤아르 하가이 인터체인지 옆 부지에 있는 새로운 매립지에 버려졌다.

예루살렘 고속철도 프로젝트는 이틀라 스트림을 통과하는 문제로 환경 단체의 반발을 샀다. 공원 관리청의 제에브 하코헨과 자연 보호 협회 (SPNI)의 아브라함 샤케드는 독일 터널 전문가 알프레드 하크의 의견에 따라 터널 2번과 3번을 이틀라 스트림 아래를 통과하는 더 길고 깊은 단일 터널로 대체하는 대안 설계를 제안했다.

이스라엘 철도는 이틀라 스트림 위에 150m 길이의 철교(8번 교량)를 건설하고, 건설 작업을 위한 200m 길이의 접근로를 만드는 설계를 제안했다. 이스라엘 철도와 재무부는 더 긴 통합 터널 제안에 대해 재정 및 건설 시간 관련 이유로 반대했지만, 글로브스의 칼럼니스트 모셰 리히트만은 반대가 자존심과 원칙적으로 마지막 순간에 건설 계획을 변경하려는 의지의 결합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2009년 3월 예루살렘 지역 인프라 계획 위원회는 환경론자들의 계획에 반대하며 이스라엘 철도의 원래 두 터널 계획을 따르기로 결정했고, 이 문제는 국가 인프라 계획 위원회로 전달되었다. 2009년 4월 5일, SPNI는 로버트 아우만 교수를 포함하여 수천 명의 서명이 담긴 노선 반대 청원을 제출했다.

2009년 6월 23일, 환경론자들의 청원은 기각되었고 계획 위원회는 이틀라 스트림 위에 교량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스라엘 철도와 예루살렘 시는 이 결정을 지지했다. 2009년 8월, 국가 계획 위원회는 교량 건설을 비준하면서 교량 부지를 더 친환경적인으로 만들기 위해 설계 변경을 요구했다. 그 결과, 교량은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기존의 콘크리트 보강교에서 단일 기둥 세트로 중간을 지지하는 긴 콘크리트 균형 캔틸레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건설 활동이 스트림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넓은 접근로 대신 더 작은 경로가 사용되었으며, 터널 3 건설과 관련된 중장비와 굴착 배출물은 터널 2를 통해 새 교량을 건너 현장으로 운송되었다.

8. 3. 1. 이틀라 계곡 통과 문제

환경 단체들은 철도가 여호수아기에 언급된 국립 공원이자 성경적 장소인 이틀라 스트림을 통과하는 것에 반대했다. 공원 관리청의 제에브 하코헨과 자연 보호 협회 (SPNI)의 아브라함 샤케드는 독일 터널 전문가 알프레드 하크의 의견에 따라 터널 2번과 3번을 이틀라 스트림 아래를 통과하는 더 길고 깊은 단일 터널로 대체하는 대안 설계를 제안했다.

이스라엘 철도는 이틀라 스트림 위에 150m 길이의 철교(8번 교량)를 건설하고, 건설 작업을 위한 200m 길이의 접근로를 만드는 설계를 제안했다. 이스라엘 철도와 재무부는 더 긴 통합 터널 제안에 대해 재정 및 건설 시간 관련 이유로 반대했지만, 글로브스의 칼럼니스트 모셰 리히트만은 반대가 자존심과 원칙적으로 마지막 순간에 건설 계획을 변경하려는 의지의 결합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2009년 3월 예루살렘 지역 인프라 계획 위원회는 환경론자들의 계획에 반대하며 이스라엘 철도의 원래 두 터널 계획을 따르기로 결정했고, 이 문제는 국가 인프라 계획 위원회로 전달되었다. 2009년 4월 5일, SPNI는 로버트 아우만 교수를 포함하여 수천 명의 서명이 담긴 노선 반대 청원을 제출했다.

2009년 6월 23일, 환경론자들의 청원은 기각되었고 계획 위원회는 이틀라 스트림 위에 교량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스라엘 철도와 예루살렘 시는 이 결정을 지지했다. 2009년 8월, 국가 계획 위원회는 교량 건설을 비준하면서 교량 부지를 더 친환경적인으로 만들기 위해 설계 변경을 요구했다. 그 결과, 교량은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기존의 콘크리트 보강교에서 단일 기둥 세트로 중간을 지지하는 긴 콘크리트 균형 캔틸레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건설 활동이 스트림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넓은 접근로 대신 더 작은 경로가 사용되었으며, 터널 3 건설과 관련된 중장비와 굴착 배출물은 터널 2를 통해 새 교량을 건너 현장으로 운송되었다.

9. 향후 계획

시내 중심가와 구 역 옆에 두 개의 역을 추가하여 예루살렘 시내로 연장하는 계획이 세워졌다.[5] 연장선의 예상 비용은 46억 8500만 셰켈이다.[6] 칸 극장 쪽에서 시작하는 터널 공사는 2024년 중반에 시작하여 2031년에 완료될 예정이다.[7]

또한, 이스라엘 철도는 2021년 말까지 60대의 새로운 지멘스 데지레 HC 2층 전기 동차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전기 동차는 기존 봄바디어 트랙스 기관차와 마찬가지로 노선을 따라 시속 160km로 운행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Definitions of Highspeed http://www.uic.org/h[...] 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 (UIC) 2015-11-20
[2] 웹사이트 High-Speed Railway to Jerusalem Picking Up Speed http://he.mot.gov.il[...] Ministry of Transport and Road Safety 2011-11-01
[3] Webarchive Expertise on an alternative alignment for the new high-speed railway line A1 Tel-Aviv – Jerusalem http://www.wisdom.we[...] 2011-04-01
[4] 간행물 http://he.mot.gov.il[...] Israeli Ministry of Transport and Road Safety 2012-09-09
[5] 뉴스 מעזריאלי, לדוידקה ועד לתיאטרון החאן: 20 מיליון שקלים אושרו להארכת קו הרכבת המהיר מת״א https://jerusalem.my[...] 2022-12-22
[6] 보고서 דין וחשבון שנתי 2021 https://www.rail.co.[...] Israel Railways 2022-12-22
[7] 뉴스 Authorities fast track plans to extend Tel Aviv-Jerusalem train into capital's center https://www.timesofi[...] 2024-01-10
[8] 웹인용 Jerusalem to Tel Aviv in 30 minutes http://en.mot.gov.il[...] Ministry of Transport, National Infrastructure and Road Safety 2012-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