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다 노부미치 (181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 노부미치(1819년)는 덴도 번의 9대 번주이다. 1836년 아버지 오다 노부미치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막말 시기 번 재정 악화로 홍화 전매제 등을 실시했다. 1851년에는 영지가 변경되었고, 막부 말 동란기에 소극적으로 대처했다. 1868년 은거하여 아들 오다 노부토시에게 가독을 양보했으며, 이후 도쿄로 이주하여 1891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도번주 - 오다 노부치카 (1751년)
오다 노부치카는 에도 시대 하타모토 출신으로 메이와 사건 이후 오바타 번주가 되었으며, 영지를 옮겨 다카하타 진야를 세우고 가문의 격식 회복에 힘썼으나 덴메이 대기근을 겪었고 그의 사후 아들 오다 노부카즈가 가문을 이었다. - 덴도번주 - 오다 스에마루
오다 스에마루는 덴도 번의 다이묘 오다 노부미치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나 형의 양자가 되어 덴도 번 지번사가 되었지만 어린 나이에 면직된 후 6세에 사망했다. - 쇼바타 오다씨 - 오다 나가마스
오다 나가마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자 오다 노부나가의 동생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센노 리큐에게 다도를 배워 유라쿠류를 창시한 다인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호 유라쿠는 도쿄도 유라쿠초 지명의 유래 설이 있다. - 쇼바타 오다씨 -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으로, 오와리 출신에서 시작하여 일본 통일을 목표로 센고쿠 시대를 지배하며 막강한 세력을 구축했으나 혼노지의 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819년 출생 - 조슈아 에이브러햄 노턴
조슈아 에이브러햄 노턴은 1859년 "미합중국 황제 노턴 1세"를 자칭하고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으며 21년간 "통치"한 샌프란시스코의 유명인이었다. - 1819년 출생 - 레옹 푸코
레옹 푸코는 푸코 진자를 이용한 지구 자전 증명, 회전 거울을 사용한 빛의 속도 측정, 와전류 발견, 푸코 테스트 고안 등 광학과 역학 분야에 공헌한 프랑스의 물리학자이다.
오다 노부미치 (1819년)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에도 시대 후기 - 메이지 시대 |
출생 | 분세이 2년 11월 3일 (1819년12월 19일) |
사망 | 메이지 24년 (1891년 2월 3일) |
통칭 | 야오하치 효부 |
관위 | 종5위하 이세노카미 병부소보 좌근위장감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요시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이에모치 도쿠가와 요시노부 |
번 | 데와덴도 번 번주 |
씨족 | 오다 씨 (노부카쓰 계통 노부요시 계열) |
아버지 | 오다 노부요시 |
어머니 | 도다 다다요시 4녀 아사코 |
형제자매 | 노부미치 외 3남 3녀 |
배우자 | 정실: 소마 마스타네 딸 계실: 소마 마스타네 딸 이토코 |
자녀 | 노부토시 주주마루 외 6남 9녀 |
번주 정보 | |
전임 | 오다 노부카즈 |
후임 | 오다 노부토시 |
직책 | 덴도 번 번주 |
대수 | 2 |
임기 | 1836년 ~ 1868년 |
2. 생애
오다 노부미치는 초대 번주 오다 노부미치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토다 타다히로의 딸 아사코이다.
막말의 동란기에 소번이었기에 주체적인 행동을 할 수 없었다. 게이오 3년 10월, 조정으로부터 상경 명령을 받았지만, 가로를 대신 상경시키는 것을 원했다.
메이지 3년 4월 9일, 도쿄로 이주하여 5월 7일 메이지 천황을 배알했다. 메이지 24년 2월 3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가독 상속과 번정 개혁
덴포 7년(1836년) 10월 13일, 아버지 오다 노부미치가 사망하면서 가독을 상속받았다. 같은 해 11월 1일,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를 오메미에하고, 12월 16일 종5위하 이세노카미에 서임되었다. 이후 효부쇼, 사콘쇼겐으로 개명했다. 막말의 동란기에는 번 재정 악화로 홍화(베니바나) 전매제와 연공 선납화를 실시했다. 분큐 2년(1862년)에는 조부 노부우키, 아버지 노부미치의 유지를 바탕으로 오바타번 시대와 같은 국주격 대우 복귀를 꾀하며 가문 지위 상승을 막부에 간원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가에이 4년(1851년) 10월 25일, 막부는 데와 오키타마군 내 영지 4640석여를 수거하여 무라야마군 내 대체지를 부여했다. 이로써 덴도번 영지는 무라야마군 내에 통합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무라야마군 내 21개 촌, 2만 3153석여가 되었다.
2. 2. 가문의 지위 상승 노력과 좌절
덴포 7년(1836년) 10월 13일, 아버지 오다 노부미치가 사망하면서 가독을 상속받았다. 같은 해 11월 1일,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를 오메미에하고, 12월 16일 종5위하 이세노카미에 서임되었다. 이후 효부쇼, 사콘쇼겐으로 개명했다. 막말의 동란기에 들어서면서, 번 재정 악화로 홍화(베니바나)의 전매제와 연공의 선납화를 실시했다. 분큐 2년(1862년), 조부 노부우키, 아버지 노부미치의 유지를 바탕으로 오바타번 시대와 같은 국주격 대우로의 복귀를 꾀하는 가문의 지위 상승을 막부에 간원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2. 3. 영지 변경
가에이 4년 (1851년) 10월 25일, 막부는 데와 오키타마군 내의 영지 4640석여를 수거하여, 무라야마군 내에 대체지를 부여했다. 이로 인해, 텐도번의 영지는 무라야마군 내에 통합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무라야마군 내 21개 촌에서 2만 3153석여가 되었다.2. 4. 막말 동란기의 대응
덴포 7년 아버지 노부미치가 사망하면서 가독을 상속받았다. 막말의 혼란기에 번 재정 악화로 홍화의 전매제와 연공의 선납화를 실시했다. 분큐 2년 오바타번 시대와 같은 국주격 대우로의 복귀를 막부에 간원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가에이 4년 10월 25일, 막부는 데와 오키타마군 내의 영지 4640석여를 수거하여, 무라야마군 내에 대체지를 부여했다. 이로 인해, 텐도번의 영지는 무라야마군 내에 통합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무라야마군 내 21개 촌에서 2만 3153석여가 되었다.
막말의 동란기에 소번이었기에 주체적인 행동은 할 수 없었다. 게이오 3년 10월, 조정으로부터 상경 명령을 받았지만, 가로를 대신 상경시키는 것을 원했다. 게이오 4년 1월 10일, 번사 쓰다 칸게유 등을 상경시켰지만, 신정부는 다시 노부타카의 상경을 요구했다. 2월, 노부타카는 병을 이유로 상경하지 않고, 적남 노부토시를 파견했다. 3월 2일, 신정부로부터 오우 진무시 선도역을 명받았다. 이에 번사 요시다 다이하치를 파견했다. 3월 19일, 은거하여 노부토시에게 가독을 양보했다. 노부토시는 어렸기에, 실제 번의 운영은 은거한 노부타카와 중신들의 합의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같은 해 윤4월 4일, 신정부에 따르지 않은 쇼나이번의 텐도 공격으로, 재국했던 노부타카와 그 가족들은 센다이번 영으로 도망쳤다.
2. 5. 보신 전쟁과 덴도 번
1867년 10월, 조정에서 상경하라는 명을 받았지만, 노부미치는 가로를 대신 상경시키려 했다. 1868년 1월 10일, 번사 쓰다 칸게유 등을 상경시켰으나, 신정부는 다시 노부미치의 상경을 요구했다. 2월, 노부미치는 병을 핑계로 상경하지 않고, 적남 노부토시를 파견했다. 3월 2일, 신정부는 오우 진무시 선도역을 명했고, 이에 노부미치는 번사 요시다 다이하치를 대리로 파견했다. 3월 19일, 노부미치는 은거하여 노부토시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 하지만 노부토시는 어렸기 때문에, 실제 번의 운영은 은거한 노부미치와 중신들의 합의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1868년 윤4월 4일, 신정부에 따르지 않은 쇼나이번이 덴도를 공격하자, 덴도에 있던 노부미치와 그 가족들은 센다이번 영지로 도망쳤다.
2. 6. 메이지 유신 이후
1868년 윤4월 4일, 신정부에 따르지 않은 쇼나이번이 텐도를 공격하자, 텐도번에 있던 노부타카와 그 가족들은 센다이번 영으로 도망쳤다. 1870년 4월 9일 도쿄로 이주하여, 5월 7일 메이지 천황을 배알했다. 1891년 2월 3일 사망했다. 향년 73세.3. 계보
- 아버지: 오다 노부요시
- 어머니: 아사코 - 도다 다다히로의 넷째 딸
- 정실: 소마 마스다네의 딸
- 계실: 이토코 - 소마 마스다네의 딸
- 자녀 (6남 9녀)
- 오다 노부토시 (넷째 아들)
- 오다 쥬쥬마루 (여섯째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